첫 번째 방법 ¶
def ugly(pos): count = 0 uglys = [2,3,5] minVal = 0 while count != pos-1: minVal = min(uglys) if uglys.count(minVal*2)==0: uglys.append(minVal*2) if uglys.count(minVal*3)==0: uglys.append(minVal*3) if uglys.count(minVal*5)==0: uglys.append(minVal*5) uglys.remove(minVal) count += 1 print minVal if __name__=='__main__': ugly(1500)
- 위의 코드를 그대로 ruby문법에 맞게 옮긴 버전
def ugly(pos) count = 0 uglys = [2,3,5] minVal = 0 while count != pos-1: minVal = uglys.min if uglys.index(minVal*2)==nil: uglys.insert(-1,minVal*2) end if uglys.index(minVal*3)==nil: uglys.insert(-1,minVal*3) end if uglys.index(minVal*5)==nil: uglys.insert(-1,minVal*5) end uglys.delete(minVal) count += 1 end puts minVal end ugly(1500)
두 번째 방법 ¶
로그를 이용. 로그를 이용하면 곱셈을 덧셈으로, 지수를 곱셈으로 치환가능. 예를 들어, 2, 3, 5대신, log2, log3, log5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log2 = 0.3010 log3 = 0.4771 log5 = 0.6987 2 = log2 3 = log3 5 = log5 2*2 = 2^2 = (log2)^2 = 2*log2 2*3 = log(2*3) = log2 + log3 2*2*3 = log(2*2*3) = log2 + log2 + log3
가 되고 2^x*3^y*5^z 는 xlog2+ylog3+zlog5로 표현할 수 있다. log2, log3, log5는 상수이므로. 이는 3차원 공간상에서의 직선이 되는데, 이를 f(x,y,z)라고 하면, 정수 x,y,z에 대해 1500번째 위치에 있는 점을 구하고 이때의 x,y,z를 각각 2,3,5에 지수연산을 해 답을 구한다.
허나.. 더이상의 생각전개를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