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2회차 ¶
* 참가자: 정우현, 최민준, 김은솔, 신연진, 이호민, 김건우, 홍혁준
* 체력 관리
* 체력 관리
- PT를 받는 데 좋은 것 같다.
- 어지간하면 하자.
- 군대서 하고 있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 운동도 조심해서 하자.
- 운동이 부담스러우면 몸이라도 움직여라
- 명상을 한다.
- 망상은 멘탈에 좋지 않다.
- 바쁘다고 이야기하는 사람이랑 만나지 마라
- > 바쁘다고 이야기하는 거는 스스로 시간관리가 안 되는 거다.
- > 바쁘다고 이야기하는 거는 스스로 시간관리가 안 되는 거다.
- 맛있는 거 먹거나 자자
- 내가 왜 이런 일을 하는 지에 대한 목적 의식을 갖는 게 좋다.
- 자기전에 회고를 하고 기록해서 자는 편이다.
- 내가 제어할 수 없는 거라면 냅둬라
- 최대한 내가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멘탈 관리 수단인 것이 좋다.
- 최대한 내가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멘탈 관리 수단인 것이 좋다.
- 나중에 인생의 목표가 생겼을 때, 부담 없이 인생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만큼 환경을 만드는 것?
- 목표는 세계여행지만 목표를 이루기 위해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돈이 1차적 목표이긴 하다.
- 어느정도의 돈이 1차적 목표인지?
- 상황에 따라 다르다. 시간이 더 중요한 것 같다.
- 어느정도의 돈이 1차적 목표인지?
- 여행을 여러 번 가고 싶다. (유럽여행 2주에서 한달)
- 해외 여행을 가고 싶은 이유?
-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싶어서, 한 번도 안 가봤기에
- 해외 여행을 가고 싶은 이유?
- 한 곳에서 장기간 살면서, 그 지역의 교류를 해보는 것이 목표다.
- 보안쪽을 배워보고싶은 것이 목표다.
- 보안전문가를 하려는 이유가 뭔가요?
- 암호자체가 너무 재밌다.
- 아직까진 재밌다.
- 암호자체가 너무 재밌다.
- 보안전문가를 하려는 이유가 뭔가요?
- 목표
- 개인적 목표 : 통합심리학에 관심이 있다. 분석력, 논리력 등 개인적으로 성장하는 것
- 사회적 목표 : 사람들이 너무 비효율적으로 살고 있다. 각자의 강점에 맞게 살게 바꾸자. 그런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목표다.
- 관계적 목표 : 가족, 여자친구, 친구들과 깊이 교류를 하는 것
- 개인적 목표 : 통합심리학에 관심이 있다. 분석력, 논리력 등 개인적으로 성장하는 것
- 세상에게 편리함을 주는 것이 목표다.
- 다른사람들에게 위로가 되는 사람이 되고 싶다.
- 독서, 운동에서 자잘한 목표를 세워서 달성하는 중
- 사랑의 기술
- 자유로부터의 도피
- 무경계
- 원씬(파레토 법칙)
- 세컨드 브레인(옵시디언으로 잘 활용할 수 있음)
- 멋진 신세계
- 1984
- 동물농장
- 아몬드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메타 생각
- 미학 오디세이
- 맨발의 겐
- 소프트스킬
- 파우스트
- 오이디푸스 왕
- 파리 대왕
- 연애!
- 직장 다니면 연애에 몰입하기 힘들다.
- 직장 다니면 연애에 몰입하기 힘들다.
- 영어 학습
- 에이닷이 잘 되어있지만 학습해라
- 에이닷이 잘 되어있지만 학습해라
- 프로젝트 하나 만들어본다.
- 완전히 몰입해 볼 수 있는 경험을 해보는 것이 좋다.
- 여행
- 취미를 하나 엄청 몰입해봐라
- 기타
- 체스
- 기타
3.2.1. 1회차 ¶
- 대학원 생각을 하면 어느 정도 생각이 있어서 간다. (정상적인 사고면 안 감...)
- 어느 연구실에 지원할 것인가?
- 학벌 세탁 목적이 아니라면 교수님이 중요하다. 두 번째는 펀딩. (국내 대학원 기준)
- 학벌 세탁 목적이 아니라면 교수님이 중요하다. 두 번째는 펀딩. (국내 대학원 기준)
- 그냥 학부 연구생을 하는 건 상관 없나?
- 예비 대학원생으로 본다. 일을 어떻게 시킬 지는 모르지만 할 게 많아진다. 학부 연구생 경험은 있는게 좋다.
- 타대에서도 경험이 있는 사람을 선호.
- 석사가 아니니까 본인이 하기 싫으면 나가도 된다.
- 예비 대학원생으로 본다. 일을 어떻게 시킬 지는 모르지만 할 게 많아진다. 학부 연구생 경험은 있는게 좋다.
- 회사에서 연차 쌓는 거랑 대학원은 크게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 대학원 후의 삶을 생각해야 한다. 2년 간의 가치를 뽑아낼 수 있는가?
- 본인이 하고 싶은 걸 해야 한다.
- 취업이 안 돼서 가는 건 안 됨. 도피성으로는 비추.
- 본인이 하고 싶은 걸 해야 한다.
- 대학원과 취업을 동시에 생각해야 한다.
- 회사 다니다가 대학원 가는 사람도 있다.
- 석사는 2년이라 괜찮다.
- 학부 때 방황해서 나이가 많이 찬 게 아니면 다이렉트로 바로 가도 괜찮다.
- 학부 때 방황해서 나이가 많이 찬 게 아니면 다이렉트로 바로 가도 괜찮다.
- 취업해도 공부해야 한다.
- 연구 주제를 해보고 싶다 -> 랩실의 연구를 하러 가고 싶다 로 생각해야 한다.
- 연구 주제를 해보고 싶다 -> 랩실의 연구를 하러 가고 싶다 로 생각해야 한다.
- 공부는 오히려 학부 / 취업 후에 더 많이 한 듯?
- 공부라기 보다는 플젝과 연구를 해야 하는데 몰라서 공부하는 느낌이다.
- 연구라는 것은 특정 주제를 깊게 파는 것. 본인 필드에서 벗어나는 생각을 하기 힘들 수도 있다.
- 맞춰서 살다보면 그 외의 것들을 받아 들이기 어려울 수도.
- 공부라기 보다는 플젝과 연구를 해야 하는데 몰라서 공부하는 느낌이다.
- 본인이 분야의 스페셜리스트가 되고 싶은게 아니라면 제너럴 리스트가 되는 것도 좋을 수도 있다.
- 대학원 간 건 후회 안 한다. (김상렬님)
- 창업은 또 다르다. 기술로 하는 게 아니다. 비즈니스적 관점이 또 필요하다.
- 사업은 경영학과와 함께...
- 사업은 경영학과와 함께...
- 기술자 레벨과 디렉터 레벨은 관점이 다르다.
- 사업과 기술의 성공은 다르다.
- 사업과 기술의 성공은 다르다.
- 대학원생이라고 다를 거 없다. 학교 오면 연구실 가서 교수님 많이 보는...
- 인공지능은 개발과 공학적인 거 말고 수학적 머리가 필요하다. 그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 인공지능은 개발과 공학적인 거 말고 수학적 머리가 필요하다. 그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 많은 선택지가 필요하다.
- 공부하는 걸로 대학원, 창업을 나누는 건 아닌 거 같다.
- 언어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데, 실력이 더 중요하다.
- 대학원을 고르는 방법은 교수님과 연구 주제
- 김박사넷 확인
- 랩 컨택에서도 걸러진다. 그래서 잘못된 랩 들어가면 어떡하지 고민은 안 해도 된다.
- 사람을 잘 보자.
- 김박사넷 확인
- 타대에 가는 건 설카포연고인데 사전 컨택이 중요하다.
- 서울대는 석박통합 추천
- 연고대는 교수 컨택이 더 중요하다.
- 카이스트는 면접부터 거른다. 언질을 하는 건 나쁘진 않다. 우수성 입증자료를 내야 함.
- 서울대는 석박통합 추천
- 분야마다 대가가 있으면 그 쪽에 집중하는 것도 좋음.
- 대학원마다 전공 시험이 있는 곳도 있다.
- 카이스트 컴퓨터 공학과는 두 과목 선택해서 과목 본다.
- 카이스트 컴퓨터 공학과는 두 과목 선택해서 과목 본다.
- 학점 잘 챙겨야 한다.
- 대학원도 코테 중요하다.
- 틈틈이 준비하면 취업할 때 문제 없다.
- 카카오는 2차 테스트는 문제 해결력을 본다.
- 틈틈이 준비하면 취업할 때 문제 없다.
- 기출 문제 풀 듯이 하기.
- 지식이 중요한 게 아니라 경험이 중요하다.
- 경험에서 어떤 것을 얻었는지가 중요하다.
- 공학적인 해결책을 내야 한다.
- 해결책을 내기 위해 어떤 것을 했는지가 중요하다.
- 무엇을 배웠는 지가 중요하다.
- 자료 조사와 적용, 과정이 중요하다.
-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는 능력도 중요하다.
- 경험에서 어떤 것을 얻었는지가 중요하다.
- 만약에 자소서를 쓴다고 하면 아키텍쳐 개선이 필요하고,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까지 가면 베스트
- 왜 이렇게 해야 하고, 기대 효과가 뭐고, 안정성은 어떤지 생각하면 좋다.
- 적용 후에 어떤 문제가 또 발생했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 왜 이렇게 해야 하고, 기대 효과가 뭐고, 안정성은 어떤지 생각하면 좋다.
- 대학원도 갈 수 있는 곳도 많고 어디에 가는지도 달라서 정의를 내리기 쉽지 않지 않을까.
- 매일매일 하는 일을 한다. 교수님 미팅하고 메일 확인, 논문 확인 등등
- 구글 스콜라 -> 학교에서 무료로 쓸 수 있다.
- 매일매일 하는 일을 한다. 교수님 미팅하고 메일 확인, 논문 확인 등등
- 대학원에 있을 수록 자신감이 줄어들었다.
- 주변에 보이는 논문들은 대가들이 쓴다. 생각의 흐름이 이해가 안 되기도 한다.
- 의식하지 않고 하려고 해도 신경이 쓰이기도 한다.
- 연구를 주도적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조언해주시긴 한다.
- 본인의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용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 주변에 보이는 논문들은 대가들이 쓴다. 생각의 흐름이 이해가 안 되기도 한다.
- 회사는 풀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연구는 뭐가 문제인지도 모르는 게 어렵다.
- 내가 제시한 게 다른 사람보다 왜 좋은지 알려야 하는지도 어려웠다.
- 뭐가 문제점인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 내가 제시한 게 다른 사람보다 왜 좋은지 알려야 하는지도 어려웠다.
- 일할 때도 work proposal 적어야 한다.
- 어떤 장점이 있었는지 등.. 이런 걸로 평가한다.
- 정석적으로는 내가 한 것에 대해 내가 잘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 어떤 장점이 있었는지 등.. 이런 걸로 평가한다.
- 김상렬 선배님: 개인 연구 일지가 있다. 일기처럼 써두면 좋은 것 같다.
- 김상렬 선배님: 대학원이 짧게 느껴진다. 생각보다 대학원에서 많은 걸 해보고 싶으면 본인 스스로가 열심히 하면 된다.
- 부트 캠프 자체는 해야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과제가 있고 해야 하는 게 있으니까
- 소마 추천
- 소마 추천
- 회사에서 연초에 1년의 계획을 쓴다. 그 과정에서 문제점 파악이 일어난다.
- 문제점을 파악하고 어떻게 고칠 건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 계획하는 건 프로젝트하면서 하게 되어 있다.
- 문제점을 파악하고 어떻게 고칠 건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겠다. -> 왜? 가 필요하다.
-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무엇을 할 것인가?
- 기획부터 하면 그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무엇을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