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지금그때2023/월드카페 (rev. 1.4)

지금그때2023/월드카페


1. 인생

1.1. 1회차


1.3. 3회차



2. 진로

2.1. 당장 진로를 위하여 할 수 있는 공부

2.1.1. 1회차



2.1.2. 2회차



2.1.3. 3회차



2.2. 컴퓨터 전공자는 어떤 유형으로 사회에 진출하는가?

2.2.1. 1회차



2.2.2. 2회차



2.2.3. 3회차



2.3. 휴학하고 할 수 있는 일

2.3.1. 1회차



2.3.2. 2회차



2.3.3. 3회차



3. 대학원

3.1. 컴퓨터공학 & 인공지능 대학원에서의 삶

3.1.1. 1회차



3.1.2. 2회차



3.1.3. 3회차



3.2. 대학원 vs 취업

3.2.1. 1회차


  • 대학원 생각을 하면 어느 정도 생각이 있어서 간다. (정상적인 사고면 안 감...)
  • 어느 연구실에 지원할 것인가?
    • 학벌 세탁 목적이 아니라면 교수님이 중요하다. 두 번째는 펀딩. (국내 대학원 기준)
  • 그냥 학부 연구생을 하는 건 상관 없나?
    • 예비 대학원생으로 본다. 일을 어떻게 시킬 지는 모르지만 할 게 많아진다. 학부 연구생 경험은 있는게 좋다.
    • 타대에서도 경험이 있는 사람을 선호.
    • 석사가 아니니까 본인이 하기 싫으면 나가도 된다.
  • 회사에서 연차 쌓는 거랑 대학원은 크게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 대학원 후의 삶을 생각해야 한다. 2년 간의 가치를 뽑아낼 수 있는가?
    • 본인이 하고 싶은 걸 해야 한다.
    • 취업이 안 돼서 가는 건 안 됨. 도피성으로는 비추.
  • 대학원과 취업을 동시에 생각해야 한다.
  • 회사 다니다가 대학원 가는 사람도 있다.
  • 석사는 2년이라 괜찮다.
    • 학부 때 방황해서 나이가 많이 찬 게 아니면 다이렉트로 바로 가도 괜찮다.
  • 취업해도 공부해야 한다.
    • 연구 주제를 해보고 싶다 -> 랩실의 연구를 하러 가고 싶다 로 생각해야 한다.
  • 공부는 오히려 학부 / 취업 후에 더 많이 한 듯?
    • 공부라기 보다는 플젝과 연구를 해야 하는데 몰라서 공부하는 느낌이다.
    • 연구라는 것은 특정 주제를 깊게 파는 것. 본인 필드에서 벗어나는 생각을 하기 힘들 수도 있다.
    • 맞춰서 살다보면 그 외의 것들을 받아 들이기 어려울 수도.
  • 본인이 분야의 스페셜리스트가 되고 싶은게 아니라면 제너럴 리스트가 되는 것도 좋을 수도 있다.
  • 대학원 간 건 후회 안 한다. (김상렬님)
  • 창업은 또 다르다. 기술로 하는 게 아니다. 비즈니스적 관점이 또 필요하다.
    • 사업은 경영학과와 함께...
  • 기술자 레벨과 디렉터 레벨은 관점이 다르다.
    • 사업과 기술의 성공은 다르다.
  • 대학원생이라고 다를 거 없다. 학교 오면 연구실 가서 교수님 많이 보는...
    • 인공지능은 개발과 공학적인 거 말고 수학적 머리가 필요하다. 그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 많은 선택지가 필요하다.
  • 공부하는 걸로 대학원, 창업을 나누는 건 아닌 거 같다.
  • 언어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데, 실력이 더 중요하다.
  • 대학원을 고르는 방법은 교수님과 연구 주제
    • 김박사넷 확인
    • 랩 컨택에서도 걸러진다. 그래서 잘못된 랩 들어가면 어떡하지 고민은 안 해도 된다.
    • 사람을 잘 보자.
  • 타대에 가는 건 설카포연고인데 사전 컨택이 중요하다.
    • 서울대는 석박통합 추천
    • 연고대는 교수 컨택이 더 중요하다.
    • 카이스트는 면접부터 거른다. 언질을 하는 건 나쁘진 않다. 우수성 입증자료를 내야 함.
  • 분야마다 대가가 있으면 그 쪽에 집중하는 것도 좋음.
  • 대학원마다 전공 시험이 있는 곳도 있다.
    • 카이스트 컴퓨터 공학과는 두 과목 선택해서 과목 본다.
  • 학점 잘 챙겨야 한다.
  • 대학원도 코테 중요하다.
    • 틈틈이 준비하면 취업할 때 문제 없다.
    • 카카오는 2차 테스트는 문제 해결력을 본다.
  • 기출 문제 풀 듯이 하기.
  • 지식이 중요한 게 아니라 경험이 중요하다.
    • 경험에서 어떤 것을 얻었는지가 중요하다.
    • 공학적인 해결책을 내야 한다.
    • 해결책을 내기 위해 어떤 것을 했는지가 중요하다.
    • 무엇을 배웠는 지가 중요하다.
    • 자료 조사와 적용, 과정이 중요하다.
    •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는 능력도 중요하다.
  • 만약에 자소서를 쓴다고 하면 아키텍쳐 개선이 필요하고,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까지 가면 베스트
    • 왜 이렇게 해야 하고, 기대 효과가 뭐고, 안정성은 어떤지 생각하면 좋다.
    • 적용 후에 어떤 문제가 또 발생했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김태진 선배님 합류
  • 대학원도 갈 수 있는 곳도 많고 어디에 가는지도 달라서 정의를 내리기 쉽지 않지 않을까.
    • 매일매일 하는 일을 한다. 교수님 미팅하고 메일 확인, 논문 확인 등등
    • 구글 스콜라 -> 학교에서 무료로 쓸 수 있다.
  • 대학원에 있을 수록 자신감이 줄어들었다.
    • 주변에 보이는 논문들은 대가들이 쓴다. 생각의 흐름이 이해가 안 되기도 한다.
    • 의식하지 않고 하려고 해도 신경이 쓰이기도 한다.
    • 연구를 주도적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조언해주시긴 한다.
    • 본인의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용하는 자세도 중요하다.
  • 회사는 풀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연구는 뭐가 문제인지도 모르는 게 어렵다.
    • 내가 제시한 게 다른 사람보다 왜 좋은지 알려야 하는지도 어려웠다.
    • 뭐가 문제점인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 일할 때도 work proposal 적어야 한다.
    • 어떤 장점이 있었는지 등.. 이런 걸로 평가한다.
    • 정석적으로는 내가 한 것에 대해 내가 잘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 김상렬 선배님: 개인 연구 일지가 있다. 일기처럼 써두면 좋은 것 같다.
  • 김상렬 선배님: 대학원이 짧게 느껴진다. 생각보다 대학원에서 많은 걸 해보고 싶으면 본인 스스로가 열심히 하면 된다.
  • 부트 캠프 자체는 해야 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과제가 있고 해야 하는 게 있으니까
    • 소마 추천
  • 회사에서 연초에 1년의 계획을 쓴다. 그 과정에서 문제점 파악이 일어난다.
    • 문제점을 파악하고 어떻게 고칠 건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 계획하는 건 프로젝트하면서 하게 되어 있다.
  •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겠다. -> 왜? 가 필요하다.
    •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무엇을 할 것인가?
    • 기획부터 하면 그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3.2.2. 2회차



3.2.3. 3회차



4. 취업

4.1. 취업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

4.1.1. 1회차



4.1.2. 2회차



4.1.3. 3회차



4.2. 스타트업

4.2.1. 1회차



4.2.2. 2회차



4.2.3. 3회차



4.3. 부트 캠프 경험기

4.3.1. 1회차



4.3.2. 2회차



4.3.3. 3회차



4.4. 취준생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곳

4.4.1. 1회차



4.4.2. 2회차



4.4.3. 3회차



4.5. 프로젝트 매니저가 프로젝트를 바라보는 법 (feat. 개발자)

4.5.1. 1회차



4.5.2. 2회차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3-11-19 13:43:01
Processing time 0.0358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