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새싹C스터디2005/선생님페이지

새싹C스터디2005/선생님페이지

선생님들끼리 의견 교환이 너무 없는것 같아서 만들어 봤습니다.

진도

C에서 공부해 보아야 할 내용들을 이야기 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필요한 내용이 있다면 누구나 써주시고, 순서가 뒤바뀐것이 있다면 바꾸어 주세요.
  • 변수
  • 입출력
  • 제어문
    • 제어문1 : for, while
    • 제어문2 : do while
  • 함수
  • 배열
  • 포인터
  • 구조체

가르치는 방법

  • 톱아보다는 오늘 첫 모임입니다. 신입생들에게 일정한 진도까지 공부해 오라고 미리 말해 두었으며 그중 한명에게 발표를 시키고 질문을 통해서 완성시켜 나갈 생각입니다.
  • Leonardong의 빠른코딩을 위해서 의식적으로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참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 일주일에 한번을 모이더라도 위키를 통해서 쉽지만 많은 예제가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연습보다 좋은 선생님은 없으니까요.
  • 스스로 생각해서 예제를 풀어나가는 연습도 중요할듯 싶네요.
  • 메신저를 잘 활용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 배열을 추가했습니다. 배열(이중)을 제대로 가르쳐야 Linked List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을 것 같네요. Linked List를 쓰는 이유를 알려면 이중 배열을 알아야한다 생각해요. 안쓰면 뭐가 안좋은지 알 수 있을테니까요. 영호
    • 정말 힘드네요 이거;; 스택, 큐, 트리에 대한 이해없이 링크드 리스트라...-_-ㅋ;;
  • 자료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은 피했으면 합니다. 보통의 자료구조는 일상생활의 예제문제를 풀어나가면서 익힐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톱아보다

토론

지금 배열과, 제어문까지 나간걸로 알고 있는데 지나치게 빠른건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변수에 대한 입출력 연습이 지나치게 적었던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톱아보다

지난번 세미나를 잠깐 듣고 느낀것은 한번에 너무 많은것을 알려주려고 하는 것 같았습니다. 몇번의 세미나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 한가지를 가르쳐주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주제를 더 줄이고 보다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부분을 설명하지 못해도 상관 없습니다. 어차피 언어는 스스로 익히는 것입니다. 우리가 할 일은 스스로 익히는 일에 보다 빨리 다가갈 수 있도록 조금씩 이해의 폭을 넓혀주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들보다 조금은 세미나 경험이 많은 사람이기에 한가지 이야기만 드리겠습니다. 세미나를 통해 무언가를 설명할 때 정의(definition)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려주도록 노력해 보세요. 여러분이 세미나를 한 후에 신입생들에게 "변수의 정의가 무엇이냐?", "함수의 정의가 무엇이냐?" 와 같은 질문을 한다면 신입생들이 대답을 할 수 있을까요? 혹은 여러분들은 이러한 질문에 명쾌하게 대답을 할 수 있습니까? 어떤 새로운 것을 배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어디에 쓰이는 것인지, 그것이 어떻게 쓰는 것인지와 같은 것들이 아니라 그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입니다.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아야 그 다음을 이해하는데에도 보다 쉽지 않을까요?

--상규
어디에 쓰이는 지는 스스로 알아 나가야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번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신입생의 스스로 알아가는 즐거움을 뺏는 것 같아서 불안합니다. -강희경
진도에 ㅤㅉㅗㅈ겨서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스스로 알아가고 고민하는 과정을 즐길줄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네요. - 톱아보다

오늘 집에 오면서 프로그래머를위한공부론을 다시 읽어봤는데(앞으로 수십 번은 다시 읽어봐야겠지만)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었습니다.
{{|
교육은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합니다. 어떤 알고리즘을 배운다면 그 알고리즘을 고안해낸 사람이 어떤 사고 과정을 거쳐 그 해법에 도달했는지를 구경할 수 있어야 하고, 학생은 각자 스스로만의 해법을 차근차근 '구성'(construct)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교육철학에서 구성주의라고 합니다. 교육철학자 삐아제(Jean Piaget)의 제자이자, 마빈 민스키와 함께 MIT 미디어랩의 선구자인 세이머 페퍼트 박사가 주창했습니다). 전문가가 하는 것을 배우지 말고, 그들이 어떻게 전문가가 되었는지를 배우고 흉내 내야 합니다. 결국은 소크라테스적인 대화법입니다. 해답을 가르쳐 주지 않으면서도 초등학교 학생이 자신이 가진 지식만으로 스스로 퀵소트를 유도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줄 수 있습니까? 이것이 우리 스스로와 교사들에게 물어야 할 질문입니다.
|}}
우리모두.. 무언가 뜨끔하지 않나요.? - 임인택
전 저렇게 하고자 노력을 하는데...선생님과 학생 둘 다에게 큰 인내심이 있어야 가능한 교육방법입니다. -강희경

엮어가기

1:5-6 정도 비율. 처음엔 많이 않나 싶었는데. 참 좋은 비율같아요. 딱 챙겨주기 좋은 비율 같습니다. - 톱아보다
전 7명인데요 음... 저는 솔직히 조금 벅찹니다... 여학우들만 있어서그런가...-_- - 조동영
저도 7명이 되고나니까 솔직히 조금 벅차기도 합니다. - 톱아보다

이제 포인터에 대해서 다룰 예정인데. 저는 선생님들도 이해가 좀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저만 그런가요ㅋ?) 다들 공부해 명확히 이해해서 잘 지도해주시고 스스로 발전도 하시길 바랍니다. -강희경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2-07 05:29:42
Processing time 0.0301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