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D R , A S I H C RSS

Full text search for "while 조건 do 반복 될 명령문 end"

while 조건 do 반복 될 명령문 end


Search BackLinks only
Display context of search results
Case-sensitive searching
  • VendingMachine/세연/1002 . . . . 141 matches
          3. 긴 메소드 - 함수 & 메소드를 따로 추출. 즉, 하나의 함수 내에서 하는 일들이 많다고 생각 때. [[BR]]
         === while loop 에서의 조건식 - 1번 ===
         bool isEndMenu (int choice) {
          while(isEndMenu (choice))
          MENU_END = 0,
         bool isEndMenu (int choice) {
          return choice != MENU_END;
          MENU_END = 0,
          VendingMachine.GetMoney();
          VendingMachine.Buy();
          VendingMachine.TakeBackMoney();
          VendingMachine.InsertDrink();
          case MENU_END:
          return choice >= MENU_END && choice <= MENU_INSERT_DRINK;
          MENU_ENDCODE = 0,
          MENU_END = MENU_INSERT_DRINK
         MENU_END 뜻이 달라졌으므로, 앞에서 MENU_END를 썼었던 다른 것들도 고칩니다.
          case MENU_ENDCODE:
         bool isEndMenu (int choice) {
          return choice != MENU_ENDCODE;
  • Linux/필수명령어/용법 . . . . 70 matches
         시간을 지정할 때 상당히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hhmm 혹은 hh:mm 형태도 가능하며, noon, midnight이나 오후 4시를 의미하는 teatime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오전 오후를 쉽게 구분하려면 am pm 문자를 추가해도 된다. 이미 지나간 시간이라면 다음 날 그 시간에 수행 것이다. 정확한 날짜를 지정하려면 mmddyy 혹은 mm/dd/yy 아니면 dd.mm.yy 형태 중 선택하라.
         - $ cat document.1 ,,document.1 파일을 화면으로 출력한다.
         - $ chgrp DoublePlus /usr/project/*
         이것은 /usr/project의 모든 파일들의 소유권을 DoublePlus 그룹으로 바꾼다.
         만일 중간에 다른 점을 발견한다면 더 이상의 작업은 중단하고 차이를 발견한 지점을 알려주고는 종료한다. 또한 계속해서 일치해 나가다가 두 파일 중 어느 하나가 끝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파일이 다른 파일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이때는 어느쪽 파일의 end of file 표시를 만나게 되었는지를 알려주고 종료한다.
         - $ cmp document1 document2
         - document1 document2 differ: char 128, line 13 ,,차이 발견
         : 실행 프로그램들과 스케줄의 cron 데몬을 구성한다.
         파일의 각 행은 M H D m d cmd 형태로 되어 있다. 필드의 에스테리스크(*)표시는 어떠한 값이든 일치하는 조건으로 가정한다는 의미이다.
         -f : 반대 순서로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하지만 이것은 ed 에디터에 사용 수가 없다.
         파일2에서 파일1로 첨가(append)되어야 할 것은 ‘a' 기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파일1에서 제거(delete)되어야 하는 내용은 'd'로, 두 파일의 내용이 바뀌어(change)하는 내용은 ’c'기호로 표시한다. 이러한 수정 기호와 함께 행의 번호가 함께 표시되며, 해당 줄의 내용이 함께 출력된다.
         - $ diff -i doc1.txt doc2.txt
         일반적으로 echo 명령은 프롬프트 상에서 사용되는 일은 없다. 하지만 스크립트 작성시 번번히 사용된다. 셸 스크립트 상에서 echo 명령은 BASIC의 PRINT 명령이나 C 언어의 printf() 함수와 같이 메시지를 출력하는 데에 자주 사용된다. 또한 전혀 필요없을 것 같은 echo의 -n 옵션도 스크립트 상에서는 유용하게 사용 수 있다.
         파일이 텍스트 문서인지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인지 아니면 데이터 파일인지 등을 인식한다. 에디터를 사용해서 보거나 수정 수 있는 파일인가 알아 보는 데에 많이 사용된다.
         : 원하는 특정 파일을 디렉토리를 탐색하여 찾는다. find는 매우 강력한 도구로 특정 디렉토리들을 순회하면서 지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을 찾는다. 파일의 조건은 이름이나 크기, 날짜 등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
         - find [ 디렉토리 ] 탐색 조건
         탐색 조건
         -exec 명령 : 원하는 검색 조건에 맞는 파일을 찾으면 명시된 명령을 실행한다. 명령의 끝은 \;을 사용하여 끝낸다. find가 검색해낸 파일의 이름을 인수로 사용하고 싶다면 그 위치에 {}를 사용한다.
         이것은 시스템이 처음 가동 때 자동으로 호출된다. 이름은 file system check를 줄인 것으로, 파일 시스템을 스캔(scan)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가를 검사한다.
         -e 표현 : 표현이 하이픈 문자로 시작 때 사용한다.
  • MoreEffectiveC++/Exception . . . . 54 matches
         ALA는 (Adorable Little Animal이다.)
          void processAdoptions( istream& dataSource)
          while (dataSource) {
          pa->processAdoption();
         pa에 해당하는 processAdoption()은 오류시에 exception을 던진다. 하지만, exception시에 해당 코드가 멈춘다면 "delete pa;"가 수행되지 않아서 결국 자원이 새는 효과가 있겠지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일단 예외 처리를 한다. 물론 해당 함수에서 propagate해주어 함수 자체에서도 예외를 발생 시킨다.
          void processAdoptions( istream& dataSource)
          while (dataSource) {
          pa->processAdoption();
         여기에서 재미있는 기법을 이야기 해본다. 차차 소개 smart pointer와 더불어 Standard C++ 라이브러리에 포함되어 있는 auto_ptr template 클래스를 이용한 해결책인데 auto_prt은 이렇게 생겼다.
          void processAdoptions(istream& dataSource)
          while (dataSource){
          pa->processAdoption();
         예외 발생시에 함수가 종료되면 auto_ptr상의 객체는 무조건 해제된다.
          WINDOW_HANDLE w(createWindow());
          display info in window corresponding to w;
          destroyWindow(w);
         일반적으로 C의 개념으로 짜여진 프로그램들은 createWindow and destroyWindow와 같이 관리한다. 그렇지만 이것 역시 destroyWindow(w)에 도달전에 예외 발생시 자원이 세는 경우가 생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이 바꾸어서 해본다.
          WindowHandle(WINDOW_HANDLE handle) : w(handle) {}
          ~WindowHandle() {destroyWindow(w); }
          operator WINDOW_HANDLE() {return w;}
  • OurMajorLangIsCAndCPlusPlus/math.h . . . . 49 matches
         ||double acos ( double x ) || arc코사인 값을 계산한다 ||
         ||double asin ( double x ) || arc사인 값을 계산한다 ||
         ||double atan ( double x ) || arc탄젠트 값을 계산한다 ||
         ||double atan2 ( double y, double x ) || 2개의 파라미터(각)에 대한 arc 탄젠트 값을 계산한다||
         ||double atof ( const char * string ) || 문자열을 실수형으로 변형시킨다||
         ||double ceil ( double x ) || x와 같거나 x보다 큰 가장작은 정수를 리턴한다||
         ||double cos ( double x ) || 코사인 값을 계산한다 ||
         ||double cosh ( double x ) || x에 대한 쌍곡선의 코사인 값을 계산한다 ||
         ||double exp ( double x ) || x의 값의 지수를 리턴한다 ||
         ||double fabs ( double x ) || 실수형의 절대값을 실수형으로 리턴한다 ||
         ||double floor ( double x ) || x와 같거나 x 보다 가장 작은 값을 리턴한다 ||
         ||double fmod ( double x, doublr y ) || x/y의 나머지를 계산한다 ||
         ||double frexp ( double x , int * exp ) || x = mantissa * (2^exponent) ||
         ||double ldexp ( double x , int exp ) || mentissa와 exponent값을 구한다 ||
         ||double log ( double x ) || x의 로그값을 구한다 ||
         ||double log10 ( double x ) || x의 상용로그값을 구한다 ||
         ||double modf ( double x , double * ipart ) || x를 소숫점 아래의 값과 정수로 나눈다 ||
         ||double modf ( double x , double * ipart ) || x^y||
         ||double sin ( double x ) || 사인값을 계산한다 ||
         ||double sin ( double x ) || 쌍곡선의 사인값을 계산한다 ||
  • 만년달력/인수 . . . . 49 matches
         === Calendar.java ===
         public class Calendar {
          public Calendar(int year, int month) {
          public int[] getCalendar() {
         === CalendarTestCase.java ===
         public class CalendarTestCaseTest extends TestCase {
          Calendar calendar = new Calendar(1,1);
          public CalendarTestCaseTest(String arg) {
          private int[] getExpectedCalendar(int start) {
          for(int i = start ; i < calendar.getNumOfDays() + start ; ++i)
          int real[] = calendar.getCalendar();
          calendar.set(1, i + 1);
          int expected[] = getExpectedCalendar(expectedSet[i]);
          calendar.set(2, monthSet[i]);
          assertEqualsArray( getExpectedCalendar(expectedSet[i]) );
          calendar.set(4, i + 1);
          int expected[] = getExpectedCalendar(expectedSet[i]);
          calendar.set(2003, i + 1);
          int expected[] = getExpectedCalendar(expectedSet[i]);
          calendar.set(1, monthSet[i]);
  • 새싹교실/2013/양반/3회차 . . . . 49 matches
          * whlie, do-while, for
         조건문 : if문, if-else문, switch 문
         반복문 : while문, for문, do-while
         === 조건문 if ===
         조건문 - 조건식의 결과(부울)에 따라 조건을 수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
         if 안에 들어가는 조건에 대해서 참이 나오면 수행하고, 거짓이 나오면 수행하지 않는다.
         === 조건문 if - else문 ===
         if문에 else 절을 추가한 if-else문을 이용해서 여러 가지 조건을 처리할 수 있다.
         if (조건식)
         조건식이 참이면 문장 1을 실행하고, 거짓이면 문장 2를 실행한다.
         if(조건식 1)
         else if(조건식 2)
         else if(조건식 n)
         === 반복문(루프) while ===
         while
         while(조건식)
         조건식이 참이면 본체를 다시 실행, 거짓이면 while문을 종료
         while(count <= 100){
         === do while ===
         do while
  • 경시대회준비반/BigInteger . . . . 45 matches
         * and its documentation for any purpose is hereby granted without fee,
         * in supporting documentation. Mahbub Murshed Suman makes no
          enum BigMathERROR { BigMathMEM = 1 , BigMathOVERFLOW , BigMathUNDERFLOW, BigMathINVALIDINTEGER, BigMathDIVIDEBYZERO,BigMathDomain};
          const char *BigIntErrDes[] = { "Allocation Failed", "Overflow","Underflow", "Invalid Integer", "Divide by Zero" ,"Domain Error"};
          // End of the location of the number in the array
          SizeT End;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DATATYPE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DATATYPE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BigInteger& DivideAndRemainder(BigInteger const&, BigInteger const&,BigInteger&,bool);
          friend BigInteger& DivideAndRemainder(BigInteger const&, DATATYPE const&,DATATYPE&,bool);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DATATYPE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DATATYPE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BigInteger const&, DATATYPE const&);
          friend BigInteger& operator%(DATATYPE const&, BigInteger const&);
          friend ostream& operator<<(ostream& , BigInteger const&);
  • AcceleratedC++/Chapter9 . . . . 43 matches
         || 기본 타입 || char, int, double 등 기본언어의 일부 ||
          double midterm, final;
          std::vector<double> homework;
          double midterm, final;
          std::vector<double> homework;
          double grade() const; //내부 멤버변수를 활용하여 점수를 계산하고 double 형으로 리턴한다.
         double Student_info::grade() const {
          '''friend 함수를 의미하는 것'''
          double grade() const;
          double midterm, final;
          std::vector<double> homework;
          double grade() const;
          dobule grade() const;
          double grade() const;
          dobule grade() const;
          double grade() const;
          double midterm, final;
          std::vector<double> homework;
          double grade() const;
          double midterm, final;
  • 오목/진훈,원명 . . . . 42 matches
         #endif // _MSC_VER > 1000
          COmokDoc* GetDocument();
          virtual BOOL PreCreateWindow(CREATESTRUCT& cs);
          virtual void OnEndPrinting(CDC* pDC, CPrintInfo* pInfo);
         #endif
          afx_msg void OnLButtonDown(UINT nFlags, CPoint point);
         inline COmokDoc* COmokView::GetDocument()
          { return (COmokDoc*)m_pDocument; }
         #endif
         #endif // !defined(AFX_OMOKVIEW_H__5E50035A_B51D_11D7_8B86_00105A0D3B05__INCLUDED_)
         #include "OmokDoc.h"
         #endif
          ON_WM_LBUTTONDOWN()
         END_MESSAGE_MAP()
          // TODO: add construction code here
         BOOL COmokView::PreCreateWindow(CREATESTRUCT& cs)
          // TODO: Modify the Window class or styles here by modifying
          return CView::PreCreateWindow(cs);
          COmokDoc* pDoc = GetDocument();
          ASSERT_VALID(pDoc);
  • 새싹교실/2011/데미안반 . . . . 40 matches
          * A언어 : ALGOL을 말합니다.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나 기계어를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합니다)로 각광받던 포트란ForTran에 대항하기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ALGOL은 Algorithm Language의 약자로서, 이름 그대로 알고리즘 연구개발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ALGOL은 특정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칭하기 보다는 C언어나 파스칼과 같이 구조화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칭하는 말(ALGOL-like programming language)로 쓰입니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40101&docId=68855131&qb=Q+yWuOyWtCBC7Ja47Ja0IEHslrjslrQ=&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ghtBIz331ywssZ%2BbORVssv--324794&sid=TYBj6x1TgE0AAE@GUeM 출처 링크! 클릭하세요:)]
         그리고 자료형의 실수형/정수형 등등의 표현법을 배웠습니다. 평소 취약하던 부분이었는데 오늘 해결 수 있었습니다.
         char, int, float, double의 서식문자를 암기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반복
          * while
          while(i<=10)
          * do~while
          do
          }while(i<=10);
          * 중첩 반복
          * [박성국] - 오늘은 printf 를 쓰지 않고 for 과 while or do while을 사용하여 어떻게 문장을 반복하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배웠다. 이해가 차근차근 잘되어서 좋은 수업 이었다.
          * [이준영] - 반복문을 배웠습니다. for문과 while, do while 을 배웠는데 다 비슷한 문법 같습니다.
         while을 중첩하는 방법도 배웠는데 매우 복잡한것 같습니다.
          * [강소현] - 반복문은 괜찮지만, 중첩을 하면서 안드로메다로 간 듯 합니다. 다음 시간에 다시 중첩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되네요 @ㅁ@;; 그리고...준영이가 콩나물 잘 못먹는다는 의견을 무시하고 콩불을 먹으러 가서 죄송합니다ㅠㅠ 소수의 의견을 묵살하지 마세요!하면서도 가길래 ㅋㅋ 아...성국이는 매운 거 잘 못 먹는 줄 몰랐고..저는 또 늦게 먹었다고 속쓰리고 ㅋㅋㅋㅋㅋㅋㅋ 이래서 의견은 존중해줘야 하는 거였군요!!(?!) 앞으로는 모두의 의견을 종합하여 해결봐야겠어요 ㅠㅠㅠㅠㅋ
          * if, switch, while 활용 사례
          while(1)
          do
          }while(choice != 0);
          * [강소현] - if,for,while,switch를 배우고, 실습을 병행하였습니다. 구구단에서 홀수만 출력하는 경우 i+=2 를 하거나, continue를 활용하는 사례도 시행해보았습니다. 다음 주는 시험 일주일 전인 관계로 수업을 휴강하겠습니다. 시험 끝나고 봐요~ㅁ~
          * rand()를 이용해서 up-down 게임 만들기
  • 새싹교실/2011/Noname . . . . 39 matches
          || ||double||8 byte(64 bit)||10^-307 이상 10^308 이하||
          * 연산자의 종류 : 산술, 대입, 관계, 증감, 논리, 비트, 삼항조건 연산자
          * 삼항조건연산자 - ( [조건식]? 명령어1:명령어 )
          * 저번에 제어문 할 때에는 창욱이가 없었지만 오늘은 창욱이만 나왔기 때문에 제어문 수업을 다시 했습니다.생각보다 이해가 빠르네요. 예제라던가 문제등을 좀더 준비해가야겠습니다. 또 진도를 더 빨리빨리 빼서 중간고사에 맞출 수 있도록 맞추어 봐야겠습니다. 이제 제어문 끝냈고 드디어 반복분을 할 차레입니다. 개인적으로 별찍는 문제가 가장 재미있었기에 다음번에는 그 문제를 풀어보도록 합시다ㅎㅎ - [박정근]
          * 반복문(for문, while문, do while문)
          * expr1 에는 변수 초기화. expr2에 조건. expr3에 조건문을 탈출하기 위한 문장.
          expr2조건 확인 -> 조건에 충족때 statement실행 -> expr3 ->
          expr2조건 확인 -> 조건에 충족때 statement실행 -> expr3 ->
          expr2조건 확인 -> 조건에 충족되지 않을겨우 for문을 빠져나옴.
          * While
         while(expression){
          * while문의 expression에는 for문과 다르게 조건만 들어간다.
          * expression이 충족 경우 statement를 실행한다.
          * 원치않는 무한루프를 피하기 위해 while문 안에 조건문을 탈출 할 수 있는 문장을 만든다.
          * Do-While
         do{
         }while(expression);
          * while문과 비슷하지만 do_while문은 statement를 무조건 한번은 출력한다.(그 뒤에 조건확인.)
          * 반복문을 공부하면서 별찍기를 해보았는데 생각보다 많이 어려우 하더라구요. 그래서 반복문에 대한 문제를 좀 더 준비해 왔습니다.(별찍기가 오래걸려 풀어보지는 못 했지만..ㅠ) 아무래도 문제를 더 많이 풀어보도록 해 봐야 겠습니다. 반복문은 많이 써보는게 좋으니까요ㅎㅎ - [박정근]
          * 여러가지 종류의 반복문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여러가지 형태의 별을 찍어 보았는데 재밌는 것 같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편한 반복문을 사용해야 겠습니다. 다양한 별을 찍으면서 반복문에 대해 익숙해 져야겠습니다. 저번주에 배운 내용인데도 불구하고 많이 까먹어서 복습을 해야 겠습니다.
  • 영호의해킹공부페이지 . . . . 39 matches
         dynamically at run time, and its growth will either be down the memory
         Time for a practical example. I did this some time ago on my Dad's Windoze box
         to explain it to myself: I had downloaded a file on Win32 buffer overflows but
         me +-20 mins to do the whole thing, but at least I was keeping a log of me
         READ UP on whatever I'm trying to do before I try DO it so I don't waste so
          char buffer2[20]; // This doesn't need to be smaller though
         At this point Windoze cuts in with the following...
         something to do nothing. That way, hopefully, when we overwrite the return
         I would like to have interesting shellcode, I don't have the tools to make
         some on this PC, and I *really* don't feel like going online to rip somebody
         Ammendment to FK8 by Wyzewun - Released 27th December, 1999
         shipped with Windows 9x and MS-DOS...
         (Copies 09 value to AH register) [09 is the function for MS-DOS to call - Ed]
         (Displays string) [int 21h is the MS-DOS function call interrupt - Ed]
         (Ends the program)
         from Windoze using masm32. To do this we simply pass the program's process ID
         which wont show up in the windows task list.
         end start
         We could do this in any language which we can access the Win32 API from
          Guadalajara (don't ask me where that is) which is quite detailed. As you get
  • LIB_3 . . . . 38 matches
         WAIT 와 SUSPEND 그리고 FREE 큐로 나누어 질 수 있다.
         SUSPEND는 인터럽트를 대기하던가? 아님 뭔가를 기다리기 위해 실행이 중지된 상태? 자원이겠찌?
          pSuspend_heap[count] = NULL;
          suspend_tcb_ptr = 0;
          while (1) {
         SUSPEND 된 TASK 들을 다시 살려주는 고마운 펑션
          for ( int i = 0; i<= suspend_tcb_ptr ; i++ ) {
          if ( pSuspend_heap[i]->priority == priority ) {
          pReady_heap[ready_tcb_ptr] = pSuspend_heap[i];
          pSuspend_heap[i] = pSuspend_heap[suspend_tcb_ptr];
          pSuspend_heap[suspend_tcb_ptr] = NULL;
          suspend_tcb_ptr--;
          while (1) {
         SUSPEND 큐에 넣어주고
         void LIB_suspend_task(INT16U priority){
          // ready -> suspend
          pSuspend_heap[++suspend_tcb_ptr] = pReady_heap[i];
          while (1) {
          while (1) {
          if ( pSuspend_heap[i] == task) {
  • ClassifyByAnagram/sun . . . . 37 matches
         == To Do ==
         public class PowerTest extends Applet
          g.drawString( "....vendor : " + System.getProperty( "java.vm.vendor"), 10, 35 );
          while( true ) {
          do i++; while (i <= u && seq[i] < seq[l]);
          do j--; while (seq[j] > seq[l]);
          while( (readLine=reader.readLine()) != null ) {
          keyBuf.append( keyElement );
          keyBuf.append( table.get( keyElement ));
          long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printEnd = System.currentTimeMillis();
          System.out.println( "수행시간: " + (end-start) + " ms" );
          System.out.println( "수행시간(print): " + (printEnd-start) + " ms" );
          while( (readLine=reader.readLine()) != null )
          while( true ) {
          do i++; while (i <= u && seq[i] < seq[l]);
          do j--; while (seq[j] > seq[l]);
          long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long printEnd = System.currentTimeMillis();
          System.out.println( "수행시간: " + (end-start) + " ms" );
  • 2학기파이선스터디/서버 . . . . 34 matches
          conn.send('Already resistered name\n')
          conn.send('[%s] Welcome!\n'%name) # 본인에게 가는 메시지
          conn.send(msg)
          while data:
          while 1:
          self.request.send('Name ? ')
          while 1:
          line.append(data)
          self.send('Already resistered name\n')
          self.append(Users(self.ID, self.message, self.isinEntry))
          self.send('[%s] Welcome!\n'%self.ID) # 본인에게 가는 메시지
         # conn.send(msg)
          conn.send(u.ID)
          while data:
         ## while 1:
         ## self.request.send('Name ? ')
          while 1:
          line.append(data)
          conn.send('Already resistered name\n')
          conn.send('[%s] Welcome!\n'%name) # 본인에게 가는 메시지
  • JavaScript/2011년스터디/CanvasPaint . . . . 31 matches
         <!doctype html>
          var dotx,doty;
          else if(drawmethod==2) drawDotPoint();
          element=document.getElementById('drawLine');
          dotx=undefined;
          doty=undefined;
          function undo()
          ctx.clearRect(0,0,window.innerWidth-15, window.innerHeight-50);
          function drawDotPoint()
          ctx.moveTo(dotx-7, doty-7);
          dotx=event.x;
          doty=event.y;
          <canvas id="drawLine" width="300" height="300" onmousedown="hold();"
          <button type="button" onclick="drawMethod(2)"> DOT </button>
          <button type="button" onclick="undo()"> UNDO </button>
          element=document.getElementById("drawLine");
          element.setAttribute("width", window.innerWidth-15);
          element.setAttribute("height", window.innerHeight-50);
          context.strokeRect(0, 0, window.innerWidth-15, window.innerHeight-50);
         <!DOCTYPE html>
  • Slurpys/강인수 . . . . 28 matches
         function HasDorEAtFirst (const S: String): Boolean;
         function HasDorEAtFirst (const S: String): Boolean;
         end;
         end;
          end;
          for i:=2 to Length(S) do
          end else
          end;
          end;
          end;
         end;
          end;
          if HasDorEAtFirst (S) = False then
          end;
          end;
          end;
          end;
          end;
         end;
          end;
  • CppStudy_2002_1/과제1/Yggdrasil . . . . 27 matches
          while(n!=0){
          double wei;
         double temp2;
         CandyBar input(CandyBar &, char *company="Millenium Munch", double weight=2.85, int
         CandyBar input(CandyBar & anycandy, char *company, double weight, int calorie)
          show("Done!");
          cout<<string.str<<endl;
          cout<<str<<endl;
          cout<<"\nGolfer's Name: "<<g.fullname<<endl;
          do{
          }while(1);
         double array_double[5]={1.2, 13.4, 43.0, 33.2, 456.8};
          double maximum_double=max5(array_double);
          cout<<"제일 큰 수는 "<<maximum_double<<endl;
          cout<<"제일 큰 수는 "<<maximum_int<<endl;
          double arr_double[4]={10.2, 20.5, 40.6, 132.4};
          double ret_double=max(arr_double, 4);
          cout<<ret_int<<endl;
          cout<<ret_double<<endl;
          cout<<ret_char_p<<endl;
  • RUR-PLE/Etc . . . . 27 matches
         downAndTurnRight = upAndTurnLeft
         downAndTurnLeft = upAndTurnRight
         downAndTurnLeft()
         downAndTurnRight()
         downAndTurnLeft()
         downAndTurnRight()
         downAndTurnLeft()
          * 이 경우에서의 처리를 while 문을 사용하여 처리한다.
         downAndTurnRight = upAndTurnLeft
         downAndTurnLeft = upAndTurnRight
          while next_to_a_carrot():
          downAndTurnLeft()
         downAndTurnRight()
         downAndTurnRight()
         while not next_to_a_beeper():
         while not next_to_a_beeper():
         while not next_to_a_beeper():
         while not next_to_a_beeper():
         def close_window():
          while not next_to_a_beeper():
  • whiteblue/MyTermProject . . . . 27 matches
          double ave;
          while (1)
          cout << "\t◆ 메뉴 ◆" << endl
          << "1) 과목별 입력 결과 리스트 " << endl
          << "2) 과목별 성적순 리스트 " << endl
          << "3) 학생 전과목 입력 결과 리스트 " << endl
          << "4) 학생 전과목 성적순 리스트 " << endl
          << "5) 종료 " << endl << endl
          cout << "\t◇과목 선택 메뉴◇" << endl
          << "1) 국어" << endl
          << "2) 영어" << endl
          << "3) 수학" << endl
          while (1)
          cout << "이름\t번호\t국어" << endl;
          cout << "이름\t번호\t영어" << endl;
          cout << "이름\t번호\t수학" << endl;
          while (1)
          cout << "이름\t번호\t국어" << endl;
          cout << "이름\t번호\t영어" << endl;
          cout << "이름\t번호\t수학" << endl;
  • Garbage collector for C and C++ . . . . 26 matches
          * README.QUICK 파일에 기본적인 설명이 있다. doc/README.* 에 플렛폼별 자세한 설명이 있다.
          * Windows NT 나 Windows 2000 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DUSE_GLOBAL_ALLOC 나 -DUSE_MUNMAP 옵션을 사용하여 컴파일 한다.
         # Recommended for heaps larger than about 64 MB.
         # -DDONT_ADD_BYTE_AT_END is meaningful only with -DALL_INTERIOR_POINTERS or
         # causes all objects to be padded so that pointers just past the end of
         # -DDONT_ADD_BYTE_AT_END disables the padding.
         # -DNO_SIGNALS does not disable signals during critical parts of
         # -DGC_NO_OPERATOR_NEW_ARRAY declares that the C++ compiler does not support
         # you don't want to (or can't) look at. It may not work for
         # existing code, but it often does. Neither works on all platforms,
         # Not recommended unless you are implementing a language that specifies
         # This is useful if either the vendor malloc implementation is poor,
         # Linux and Windows versions.
         # to determine how particular or randomly chosen objects are reachable
         # this facility is only used in a few places. It is intended primarily
         # Assumes that all client allocation is done through debugging
         # writes past the end of an object. This is intended for environments
         # Scheme or Java. Assumes that all client allocation is done using
         # occasionally be useful for debugging of client code. Slows down the
         # don't know how to retrieve arguments on the platform.
  • 데블스캠프2009/목요일/연습문제/MFC/서민관 . . . . 26 matches
         #endif
         double temp, res, sign;
          virtual void DoDataExchange(CDataExchange* pDX); // DDX/DDV support
         void CAboutDlg::DoDataExchange(CDataExchange* pDX)
          CDialog::DoDataExchange(pDX);
         END_MESSAGE_MAP()
          // Note that LoadIcon does not require a subsequent DestroyIcon in Win32
         void CTestMFCDlg::DoDataExchange(CDataExchange* pDX)
          CDialog::DoDataExchange(pDX);
         END_MESSAGE_MAP()
          pSysMenu->AppendMenu(MF_SEPARATOR);
          pSysMenu->AppendMenu(MF_STRING, IDM_ABOUTBOX, strAboutMenu);
          // Set the icon for this dialog. The framework does this automatically
          // when the application's main window is not a dialog
          // TODO: Add extra initialization here
          dlgAbout.DoModal();
         // to draw the icon. For MFC applications using the document/view model,
         // this is automatically done for you by the framework.
          SendMessage(WM_ICONERASEBKGND, (WPARAM) dc.GetSafeHdc(), 0);
         // The system calls this to obtain the cursor to display while the user drags
  • OurMajorLangIsCAndCPlusPlus/float.h . . . . 25 matches
         ||DBL_DIG ||double형에서 유효숫자의 최소 개수 ||15 ||
         ||LDBL_DIG ||long double형에서 유효숫자의 최소 개수 ||15 ||
         ||DBL_EPSILON ||1.0과 더했을 때 double형으로 1.0이 되지 않을 최소의 값 ||2.2204460492503131e–016 ||
         ||LDBL_EPSILON ||1.0과 더했을 때 long double형으로 1.0이 되지 않을 최소의 값 ||2.2204460492503131e–016 ||
         ||DBL_MANT_DIG ||double형 floating point로 표현 할 수 있는 significand의 비트 수 ||53 ||
         ||LDBL_MANT_DIG ||long double형 floating point로 표현 할 수 있는 significand의 비트 수 ||53 ||
         ||DBL_MAX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floating point 값 ||1.7976931348623158e+308 ||
         ||LDBL_MAX ||long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floating point 값 ||1.7976931348623158e+308 ||
         ||DBL_MAX_10_EXP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floating point의 10의 지수값 ||308 ||
         ||LDBL_MAX_10_EXP ||long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floating point의 10의 지수값 ||308 ||
         ||DBL_MAX_EXP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floating point의 2의 지수값 ||1024 ||
         ||LDBL_MAX_EXP ||long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floating point의 2의 지수값 ||1024 ||
         ||DBL_MIN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양의 floating point 값 ||2.2250738585072014e–308 ||
         ||LDBL_MIN ||long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양의 floating point 값 ||2.2250738585072014e–308 ||
         ||DBL_MIN_10_EXP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floating point의 10의 지수값 ||–307 ||
         ||LDBL_MIN_10_EXP ||long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floating point의 10의 지수값 ||–307 ||
         ||DBL_MIN_EXP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floating point의 10의 지수값 ||–1021 ||
         ||LDBL_MIN_EXP ||long doubl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floating point의 10의 지수값 ||–1021 ||
         ||_DBL_RADIX ||double형 floating point의 기수 ||2 ||
         ||_LDBL_RADIX ||long double형 floating point의 기수 ||2 ||
  • Randomwalk/조동영 . . . . 25 matches
         = [RandomWalk]/[조동영] =
          int count = 0; // 총이동한 횟수를 계산하게 integer 값
          do{
          cout << "세로, 가로의 크기의 범위를 벗어났네요. 다시 입력하세요." << endl;
          }while(true);
          // 바퀴벌레를 생성하는 do ~ while
          do{
          cout << "바퀴벌레가 방의 범위를 벗어났네요. 다시 입력하세요." << endl;
          }while(true);
          // 바퀴벌레를 이동시키고 모두 이동하면 종료하는 while
          while(count<50000 && existZero == false){
          int random = rand()%8; // 0~7 까지의 임의의 수 생성해서 random 이란 integer 값에 대입
          if (ibug + imove[random] <0 || ibug + imove[random] > Xroom-1 ||
          jbug + jmove[random] <0 || jbug + jmove[random] > Yroom-1)
          room[ibug+imove[random]][jbug+jmove[random]]++;
          ibug = ibug + imove[random];
          jbug = jbug + jmove[random];
          cout << endl;
          cout << "\n총 이동한 횟수 :" << count << endl;
         2차원 동적 배열할때 벡터를 사용해도 좋음. [RandomWalk2/Vector로2차원동적배열만들기] 자료구조 숙제는 [STL]을 사용하면 더 편하게 할수 있는거 같다. - [상협]
  • ReadySet 번역처음화면 . . . . 25 matches
          '''* What problem does this project address?'''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require a lot of "paperwork" in the form of requirements documents, design documents, test plans, schedules, checklists, release notes, etc. It seems that everyone creates the documents from a blank page, from the documents used on their last project, or from one of a handful of high-priced proprietary software engineering template libraries. For those of us who start from a blank page, it can be a lot of work and it is easy to forget important parts. That is not a very reliable basis for professional engineering projects.
         ReadySET is an open source project to produce and maintain a library of reusable software engineering document templates. These templates provide a ready starting point for the documents used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Using good templates can help developers work more quickly, but they also help to prompt discussion and avoid oversights.
          * Templates for many common software engineering documents. Including:
         This is an open source project that you are welcome to use for free and help make better. Existing packages of software engineering templates are highly costly and biased by the authorship of only a few people, by vendor-client relationships, or by the set of tools offered by a particular vendor.
         The templates are not burdened with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authorship or document change history. It is assumed that professional software developers will keep all project documents in version control systems that provide those capabilities.
         These templates are not one-size-fits-all and they do not attempt to provide prescriptive guidance on the overall development process. We are developing a broad library of template modules for many purposes and processes. The templates may be filled out in a suggested sequence or in any sequence that fits your existing process. They may be easily customized with any text or HTML editor.
         We will build templates for common software engineering documents inspired by our own exprience.
         I assume that the user takes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content of all their actual project documents. The templates are merely starting points and low-level guidance.
          '''*What are we not going to do?'''
         This project does not attempt to provide powerful tools for reorganizing the templates, mapping them to a given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or generating templates from a underlying process model. This project does not include any application code for any tools, users simply use text editors to fill in or customize the templates.
         The template set is fairly complete and ready for use in real projects. You can [http://readyset.tigris.org/servlets/ProjectDocumentList download] recent releases. We welcome your feedback.
          *2. [http://readyset.tigris.org/servlets/ProjectDocumentList Download] the templates and unarchive
          *Use a text editor or an HTML editor. Please see our list of recommended tools. (You can use Word, but that is strongly discouraged.)
          *"Chip away" text that does not apply to your project
          *6. Use the checklists to catch common erro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your documents.
          *7. Use the words-of-wisdom pages to help improve the document or deepen your understanding of relevant issues.
          *9. If you have questions or insights about a templates, please read the FAQ or send an email to dev@readyset.tigris.org. You must subscribe to the mailing list before you may post.
  • TkinterProgramming/Calculator2 . . . . 25 matches
          self.actionDict = { 'second' : self.doThis, 'mode': self.doThis,
          'delete' : self.doThis, 'alpha' : self.doThis,
          'stat' : self.doThis, 'math' : self.doThis,
          'matrix': self.doThis, 'program' : self.doThis,
          'vars' : self.doThis, 'clear' : self.clearall,
          'sin' : self.doThis, 'cos' : self.doThis,
          'tan' : self.doThis, 'up' : self.doThis,
          'X1' : self.doThis, 'X2' : self.doThis,
          'log' : self.doThis, 'ln' : self.doThis,
          'store' : self.doThis, 'off' : self.turnoff,
          'neg' : self.doThis, 'enter' : self.doEnter,
          def doThis(self, action):
          self.display.component('text').delete(1.0, END)
          def doEnter(self, *args):
          self.display.insert(END, '\n')
          self.display.insert(END, '%s\n' % result, 'ans')
          def doKeypress(self, event):
          self.display.insert(END, key)
          self.display.component('text').bind('<Key>', self.doKeypress)
          self.display.component('text').bind('<Return>', self.doEnter)
  • whiteblue/MyTermProjectForClass . . . . 25 matches
          double ave;
          double showAve();
         #endif
         #endif
         #endif
          ave = (double)total/3;
         double Data::showAve()
          cout << "이름\t번호\t\t국어\t영어\t수학\t총점\t평균" << endl;
          << endl;
          cout << "\t국어" << endl;
          cout << "\t영어" << endl;
          cout << "\t수학" << endl;
          << endl;
          cout << "\t◆ 메뉴 ◆" << endl
          << "1) 과목별 입력 결과 리스트 " << endl
          << "2) 과목별 성적순 리스트 " << endl
          << "3) 학생 전과목 입력 결과 리스트 " << endl
          << "4) 학생 전과목 성적순 리스트 " << endl
          << "5) 종료 " << endl << endl
          cout << "\t◇과목 선택 메뉴◇" << endl
  • 데블스캠프2002/진행상황 . . . . 25 matches
          * 목요일의 ["RandomWalk2"] 에 대해서 다시 CRC 디자인 세션과 구현시간을 가져보았다. (["ScheduledWalk/재니&영동"], ["ScheduledWalk/창섭&상규"]) 이번에는 신입회원팀과 기존회원팀으로 나누어서 디자인 세션을 가지고, 팀별로 구현을 하였다. (신입회원 팀에서의 클래스 구현에서는 1002가 중간 Support)
          * 일요일, 그리고 목요일, 금요일 동안 지겹도록 풀었을것 같은 RandomWalk 가 이렇게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선 꼭 푸는 문제 수가 중요하지 않다라는 점을 확신시켜주었다.
          * 마지막 날에 온 사람이 3명. 그리고 문제를 푸는데 참여한 사람이 2명 밖에 안남았다는 점은 데블스캠프를 준비한 사람들을 좌절하게 한다. 그나마 한편으로 기뻤던 점은, 아침 7시가 되도록 컴퓨터 하나를 두고 서로 대화를 하며 RandomWalk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구경했다는 점. 그 경험이 어떻게 기억지 궁금해진다.
         이번 세미나의 부제를 단다면 "우리는 어떻게 사고하고 어떤 과정으로 프로그래밍 하는가" 정도가 것이다. 지금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과정과 사고 과정을 밖으로 끄집어 내어서 함께 관찰하고,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했고, 동시에 선배/전문가들의 사고 과정과 프로그래밍 과정을 직접 보여주어서 그 차이를 느끼고, 거기서 학습이 일어나도록 했다.
          * 일단 지난시간에 만들었었던 RandomWalk 의 스펙을 수정한 RandomWalk2 를 사람들로 하여금 풀게 한뒤, 그 중에 완성한 두명을 뽑아 (상규와 현민) 자신이 어떻게 프로그래밍을 했는지에 대해 창준이형의 진행으로 질답을 하면서 설명해나갔다. 그리고 코드를 프로젝터와 노트북을 이용, 신피의 벽에 비추며 설명하였다. (["RandomWalk2/상규"], ["RandomWalk2/현민"])
          * StructuredProgramming - 창준이형이 역사적인 관점에서의 StructuredProgramming에 대해 설명을 하셨다. 그 다음 ["1002"]는 ["RandomWalk2"] 문제에 대해서 StructuredProgramming을 적용하여 풀어나가는 과정을 설명해 나갔다. (원래 예정의 경우 StructuredProgramming 으로 ["RandomWalk2"] 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자세하게 보여주려고 했지만, 시간관계상 Prototype 정도에서 그쳤다)
          * ObjectOrientedProgramming - ["RandomWalk2"] 에 대해서 창준이형과 ["1002"] 는 서로 이야기를 해 나가면서 하나씩 객체들을 뽑아내가는 과정을 설명했다. 일종의 CRC 카드 세션이었다. 그러고 나서는 프로젝터를 통해, 직접 Prototype을 만들어 보였다. OOP/OOAD로 접근하는 사람의 사고방식과 프로그래밍의 과정을 바로 옆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 ["RandomWalk2"] 를 ObjectOrientedProgramming 으로 구현하기 - 위의 Python 관련 실습동안 ["1002"] 는 ["RandomWalk2"] 에 대해서 C++ Prototype을 작성. (["RandomWalk2/ClassPrototype"]) 이를 뼈대로 삼아서 ["RandomWalk2"] 를 작성해보도록 실습. 해당 소스에 대한 간략한 설명, 구현의 예를 설명. 중간에 객체들에 대한 독립적인 테스트방법을 설명하면서 assert 문을 이용한 UnitTest 의 예를 보였다.
         ["RandomWalk2"]를 풀 때 어떤 사람들은 요구사항에 설명된 글의 순서대로(예컨대, 입력부분을 만들고, 그 다음 종료조건을 생각하고, ...) 생각하고, 또 거의 그 순서로 프로그래밍을 해 나갔다. 이 순서가 반드시 최선은 아닐텐데, 그렇게 한 이유는 무엇일까. 두가지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다른 하나는, 요구사항이 어떻게 제시되느냐가 산출물로서의 프로그램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요구사항이 어떤 순서로 제시되느냐, 심지어는 어떤 시제로 제시되느냐가 프로그램에 큰 영향을 끼친다. 심리학에서 흥미로운 결과를 찾아냈다. "내일은 한국과 브라질의 경기날입니다. 결과가 어떻게 까요?"라는 질문과, "어제는 한국과 브라질의 경기가 있었습니다. 결과가 어땠나요?"라는 질문에 대해 사람들의 대답은 큰 차이가 있었다. 후자 경우가 훨씬 더 풍부하고, 자세하며, 구체적인 정보를 끌어냈다. 이 사실은 요구사항에도 적용이 되어서, 요구사항의 내용을 "미래 완료형"이나 "과거형"으로 표현하는 방법(Wiki:FuturePerfectThinking )도 생겼다. "This system will provide a friendly user interface"보다, "This system will have provided a friendly user interface"가 낫다는 이야기다. 어찌되었건, 우리는 요구사항이 표현된 "글" 자체에 종속되고,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1002"]와 JuNe은 세미나 스케쥴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했다. 가르치려던 개념의 수를 2/3 이하로 확 잘랐고, 대신 깊이 있는 학습이 되도록 노력했다. 가능하면 "하면서 배우는 학습"(Learn By Doing)이 되도록 노력했다.
          * 세미나 - DevelopmentinWindows, EventDrivenProgramming, Web Programming
          * DevelopmentinWindows 세미나는 신입생들에게는 조금 어려웠나봅니다. 준비도 많이 하고 쉽게 설명하려고 복잡한건 다 뺐는데...... 그래도 어려웠나봅니다. 어쨌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상규
          * DOS/컴구조 세미나
          * ["RandomWalk"]
          * 대체적으로 RandomWalk 는 많이 풀었고, HanoiProblem 은 아직 재귀함수를 많이 접해보지 않은 신입회원들에게는 어렵게 다가간거 같다. - 상협
          * DOS/컴퓨터구조 세미나는 신입회원들에게 난이도가 좀 있는 세미나 였다.
          * 설명중에 '(설명) .... 말로 하긴 그렇고 앞으로 실습해 보면 이해가 갈거에요...' 이라는 말을 자주 하는 것으로 들렸다. 한편으로는 '실습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확실할겁니다' 란 말이겠지만, 한편으로는 '말로 설명하기엔 좀 힘들어요' 라는 인상을 풍길수도 있을 것 같다. 받아들이는 사람 입장에선. 실습으로서 말할 수 있는 내용들에 대해서는 대략 설명하고, 실습으로 설명할 수 없는 내용들에 대해서 (Unix 의 역사, DOS와 윈도우즈 등과 다른 점 등) 설명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실습 중간중간에 설명하는 것이 더 좋은 내용이라면 그건 실습때 설명하는것이 더 나을지도. -- 석천
  • Ruby/2011년스터디/세미나 . . . . 23 matches
          * [http://www.ruby-lang.org/ko/documentation/quickstart/ 루비 퀵가이드]
          end
          end
          end
          end
          end
          end
          end
          end
          * 부모 클래스를 동적 변경하면,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는 어떻게 까?
          end
          * 메서드는 {} 대신 def/end
          * 문자열 반복출력 메소드 만들어보기
          * while
          * do/while
          * 블럭을 이용한 반복자 함수
          {| parameters| do something with parameters..}
          * 입력받은 문자열 반복 출력해보기
          end
          end
  • 5인용C++스터디/클래스상속보충 . . . . 22 matches
          void SendToSMSServer(string number, string message)
          void SendMessage(string number, string message)
          SendToSMSServer(number, message);
          void SendToSMSServer(string number, string message)
          cout << "Send to SK SMS Server... " << number << " " << message << endl;
          void SendToSMSServer(string number, string message)
          cout << "Send to KTF SMS Server... " << number << " " << message << endl;
          skp.SendMessage("0112345678", "Hello!");
          ktfp.SendMessage("0167890123", "Hi!!");
          virtual void SendToSMSServer(string number, string message)
          void SendMessage(string number, string message)
          SendToSMSServer(number, message);
          void SendToSMSServer(string number, string message)
          cout << "Send to SK SMS Server... " << number << " " << message << endl;
          void SendToSMSServer(string number, string message)
          cout << "Send to KTF SMS Server... " << number << " " << message << endl;
          skp.SendMessage("0112345678", "Hello!");
          ktfp.SendMessage("0167890123", "Hi!!");
  • MoniWikiPo . . . . 22 matches
         msgid "Error: Don't make a clone!"
         msgid "Don't add a signature"
         msgid "Page does not exists"
         msgid "End:"
         msgid "Do you want to customize your quicklinks ?"
         msgid "%s does not support rcs options."
         msgid "Error: Don't try to overwrite it"
         msgid "Error: tarball does not exists"
         msgid "Do you want to scrap \"%s\" ?"
         #: ../plugin/sendping.php:13 ../plugin/trackback.php:40
         #: ../plugin/sendping.php:54
         #: ../plugin/sendping.php:72
         msgid "Send TrackBack ping"
         #: ../plugin/sendping.php:166
         msgid "Do you want to subscribe \"%s\" ?"
         msgid "send ping"
         msgid "Send TrackBack Ping to another Blog:"
         msgid "ID does not exists !"
         msgid "\"%s\" does not exists on this wiki !"
         msgid "Version info does not supported in this wiki"
  • Vending Machine/dooly . . . . 22 matches
         package dooly.tdd.vending;
         public class VendingMachineTest extends TestSuite {
          TestSuite suite = new TestSuite("Test for dooly.tdd.vending");
          //$JUnit-END$
         package dooly.tdd.vending;
         public class PerchaseItemTest extends TestCase {
          private VendingMachine vm;
          vm = new VendingMachine();
         package dooly.tdd.vending;
         public class RegistItemTest extends TestCase {
          private VendingMachine vm;
          vm = new VendingMachine();
          public void tearDown() {
         package dooly.tdd.vending;
         public class VendingMachine {
         See Also ["CppStudy_2002_2"] , ["VendingMachine/세연/재동"] , ["VendingMachine/세연/1002"] , [Vending Machine/세연]
  • VendingMachine/세연/재동 . . . . 22 matches
         class VendingMachine
          VendingMachine();
         VendingMachine::VendingMachine()
         void VendingMachine::insertMoney()
         void VendingMachine::buyDrink()
         void VendingMachine::takeBackMoney()
         void VendingMachine::insertDrink()
         void VendingMachine::showMainMenu()
         void VendingMachine::showDrinkMenu()
         bool VendingMachine::isMoney(int arg)
         bool VendingMachine::isBuyableDrink(int arg)
         bool VendingMachine::isSelectableDrink(int arg)
          VendingMachine vendingMachine;
          while(choice != 0)
          vendingMachine.showMainMenu();
          vendingMachine.insertMoney();
          vendingMachine.buyDrink();
          vendingMachine.takeBackMoney();
          vendingMachine.insertDrink();
         See Also ["VendingMachine/세연"]
  • RandomWalk2 . . . . 21 matches
         이 페이지에 있는 활동들은 프로그래밍과 디자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모든 활동을 끝내기까지 사람에 따라 하루에서 삼사일이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서 얻는 이득은 앞으로 몇 년도 넘게 지속 것이다. 문제를 풀 때는 혼자서 하거나, 그게 어렵다면 둘이서 PairProgramming을 해도 좋다.
          * 유사문제 RandomWalk
          * ["RandomWalk2/TestCase"]
          * ["RandomWalk2/TestCase2"]
          * 뼈대예시 ["RandomWalk2/ClassPrototype"] (OOP를 처음 다루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지 않기를 권한다)
         === 종료 조건 ===
         ||이상규 || . ||C++ ||["RandomWalk2/상규"]||
         ||조현민 || . ||C++ ||["RandomWalk2/현민"]||
         ||인수 || . ||C++ ||["RandomWalk2/Insu"] ||
         ||영동 || . ||C ||["RandomWalk2/영동"] ||
         ||. || . ||C ||["RandomWalk2/Vector로2차원동적배열만들기"] ||
         ||신재동|| . ||Python||["RandomWalk2/재동"]||
         ||상규, 신재동|| 2시간 ||Python||["RandomWalk2/ExtremePair"]||
         ||[조현태] || ||C++ ||[RandomWalk2/조현태] ||
         다음은 이상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완료되었을 경우만 본다.
         만약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위키에 올리고 싶다면 {{{RandomWalk2/아무개}}} 패턴의 페이지 이름을 만들고 거기에 코드를 넣으면 된다. 이 때, 변경사항을 하나씩 완료함에 따라, 코드의 어디를 어떻게 바꿨는지(예컨대, 새로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 붙이고, 기존 클래스에서 어떤 메쏘드를 끌어온 뒤에 다른 클래스가 새 클래스를 상속하게 했다든지 등) 그 변천 과정과 자신의 사고 과정을 요약해서 함께 적어주면 자신은 물론 남에게도 많은 도움이 것이다. 또한, 변경사항을 하나 완료하는 데 걸린 시간을 함께 리포팅하면 한가지 척도가 수 있겠다.
         대부분의 학습자는 일단 문제의 답에 도달하면 그 경험을 완전히 망각해 버리는 나쁜 습관이 있다 -- 이런 사람들은 문제를 풀긴 풀었으되, 다음 번에 유사 문제를 접하면 여전히 그 문제를 처음 접했을 때를 답습하는 제자리 걸음을 하기 쉽다. 자신의 경험을 반추해 보는 것은 효과적인 학습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다. 다음 활동을 꼭 해보길 권한다. 엄청나게 많은 것을 배우게 것이다.
         최초의 요구사항 제시 이후에 나온 변경사항들이 따라오지 않을 것이라 가정하고, 만약 이 RandomWalk2 문제를 다시 접했다면 어떻게 접근하겠는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는가?
         이와 비슷한 문제를 혹시 과거에 접해보았는가? 그 문제를 이제는 좀 다르게 풀것 같지 않은가? 그 문제와 RandomWalk2 경험에서 어떤 공통점/차이점을 끄집어 낼 수 있겠는가? 어떤 교훈을 얻었는가? 자신의 디자인/프로그래밍 실력이 늘었다는 생각이 드는가?
         see also DoItAgainToLearn
  • 김영록/연구중/지뢰찾기 . . . . 21 matches
          while(gameover)
          while(1){
          cout << "잘못된값을입력하셨습니다." << endl;
          cout << endl << endl<< endl<< endl<< endl<< endl<< endl;
          cout << " ======지뢰찾기 1.00======" << endl;
          cout << endl;
          cout << endl<< endl<< endl<< endl;
          cout << endl << " ====YOU step MINE AND BOOM====";
          cout << endl << " ============GAME OVER=============" <<endl;
          cout << endl;
          while(1) {
  • MedusaCppStudy/세람 . . . . 20 matches
         using std::endl;
          cout << endl;
         using std::endl;
          cout << endl;
         using std::endl;
          while(r!=rows)
          cout << endl;
         using std::endl;
          while(cin >> num)
          sort(number.begin(), number.end());
          while(i < number.size() && i < 4)
          cout << endl;
         using std::endl;
          while(cin >> word)
          sort(nums.begin(), nums.end());
          cout << nums[0] << ", " << nums[nums.size() - 1] << endl;
         using std::endl;
          while(size%2==0)
          while(num!=size*size+1)
          cout << endl;
  • OurMajorLangIsCAndCPlusPlus/print/이상규 . . . . 20 matches
         void ftoa(double f, char *str)
          while(*c != '\0')
          double f = va_arg(args, double);
          fputc((int)' ', stdout);
          fputs(str, stdout);
          fputs("{ ", stdout);
          fputs(str, stdout);
          fputs(", ", stdout);
          fputs(sarr[i], stdout);
          fputs(", ", stdout);
          double *farr = va_arg(args, double *);
          fputs(str, stdout);
          fputs(", ", stdout);
          fputs(" }", stdout);
          fputc((int)*c, stdout);
          va_end(args);
          double c = -10.5;
          double c[5] = { 1.543, 34.34, 65.34, 235.35, 76.46 };
  • ProjectPrometheus/AT_RecommendationPrototype . . . . 20 matches
          self.bookList.append(aNewBook)
          self.bookList.append(aBook)
          def getRecommendationBookList(self):
          bookList.append((self.bookRelation[book], book))
          returnList.append(bookdata[1])
          def getRecommendationBookListLimitScore(self, aScore):
          bookList.append((self.bookRelation[book], book))
          returnList.append(bookdata[1])
         class TestRecommendationSystem(unittest.TestCase):
          def tearDown(self):
          def testRecommendationBookList(self):
          bookList = self.book1.getRecommendationBookList()
          def testRecommendationBookListBig(self):
          bookList = self.book1.getRecommendationBookList()
          bookList = self.book2.getRecommendationBookList()
          bookList = self.book3.getRecommendationBookList()
          bookList = self.book4.getRecommendationBookList()
          def testRecommendationBookListLimitScore(self):
          limitedBookList = self.book1.getRecommendationBookListLimitScore(15)
          def testRecommendationBookListLimitScoreMore(self):
  • STL/vector/CookBook . . . . 19 matches
          for(VIIT it = v.begin() ; it != v.end(); ++it) // 제대로 복사됐나 결과 보기
          cout << *it << endl;
          * typedef으로 시작하는 부분부터 보자. 일단 반복자라는 개념을 알아야 되는데, 사실은 나도 잘 모른다.--; 처음 배울땐 그냥 일종의 포인터라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vector<int>::iterator 하면 int형 vector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순회하기 위한 반복자이다. 비슷하게 vector<Object>>::iterator 하면 Object형 vector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순회하기 위한 반복자겠지 뭐--; 간단하게 줄여쓸라고 typedef해주는 것이다. 하기 싫으면 안해줘도 된다.--;
          * for 부분을 보면 앞에서 typedef 해준 VIIT 형으로 순회하고 있는것을 볼수 있다. vector<T>의 멤버에는 열라 많은 멤버함수가 있다. 그중에 begin() 은 맨 처음 위치를 가르키는 반복자를 리턴해준다. 당연히 end()는 맨 끝 위치를 가르키는 반복자를 리턴해주는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아니다.--; 정확하게는 '맨 끝위치를 가르키는 부분에서 한 칸 더간 반복자를 리턴'해주는 거다. 왜 그렇게 만들었는지는 나한테 묻지 말라. 아까 반복자는 포인터라고 생각하라 했다. 역시 그 포인터가 가르키는 값을 보려면 당연히 앞에 * 을 붙여야겠지.
          cout << i+1 << "번ㅤㅉㅒㅤ" << endl;
          * 또 하나 살펴볼게 있다. 아까 예제에서는 반복자로 벡터 내부를 순회했었다. 하지만 벡터는 임의접근을 허용한다. 배열처럼 ar[4] 이런식으로 쓸수 있단 말이다. 편한대로 써주자.
          * vector로 간단히 해결이 가능하다. See also ["RandomWalk2/Vector로2차원동적배열만들기"]
          * container 에 값이 저장때는 복사 과정이 수행된다. 그래서 값이 간단한 int, double형 에 대한 containter는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된다.
          * 그래서 pointer만을 이용해서 저장하자. 하지만 쓸모 없는 객체는 우리가 지워줘야 한다. 포인터를 넣어줄때에는, 컨테이너가 소멸때는 포인터들은 지워지겠지만. 그 포인터들이 가르키는 값들은 지워지지 않기 때문이다.
          << c << endl;
          for(VOIT it = v.begin() ; it != v.end() ; ++it)
          for(it = v.begin() ; it != v.end() ; ++it)
  • 조영준/다대다채팅 . . . . 19 matches
          server.Do();
          public void Do()
          Console.WriteLine(TimeStamp() + "[]End");
          string dataSend = s;
          byte[] byteSend = Encoding.ASCII.GetBytes(dataSend);
          stream.Write(byteSend, 0, byteSend.Length);
          byteSend = null;
          while (!(toRemove.Count == 0))
          while (true)
          while (true)
          Thread t = new Thread(new ThreadStart(doChat));
          private void doChat()
          dataGet = Encoding.ASCII.GetString(byteGet).TrimEnd('\0');
          while (true)
          dataGet = Encoding.ASCII.GetString(byteGet).TrimEnd('\0');
          clientSocket.SendBufferSize = 1024;
          Console.WriteLine(TimeStamp() + "[] End");
          while (true)
          dataGet = Encoding.ASCII.GetString(byteGet).TrimEnd('\0');
          byte[] byteSend = new byte[1026];
  • C 스터디_2005여름/학점계산프로그램/김태훈김상섭 . . . . 18 matches
          Score(string n, vector<double> s)
          void setscore(vector<double> s)
          for(vector<double>::iterator i=score.begin();i !=score.end();++i)
          vector<double> getscore() { return score;}
          double getavg() { return avg;}
          vector<double> score;
          double avg;
         #endif
         double changescore(string score);
          sort(ban.begin(),ban.end(),zcompare);
          cout << i->getname() << "\t" << i->getavg() << endl;
          cout << endl;
          for(i=ban.begin();i!=ban.end();++i)
          cout << i->getname() << "\t" << i->getavg() << endl;
          vector<double> scoretmp;
          while(fin>>tmp) // 학생
         double changescore(string score)
  • JTDStudy/두번째과제/장길 . . . . 18 matches
         public class TestButtonMain extends Applet implements ActionListener{
         public class TestFrame extends Frame implements WindowListener{
          this.addWindowListener(this);
          public void windowClosing(WindowEvent e) {
          public void windowActivated(WindowEvent e) {}
          public void windowClosed(WindowEvent e) {}
          public void windowDeactivated(WindowEvent e) {}
          public void windowDeiconified(WindowEvent e) {}
          public void windowIconified(WindowEvent e) {}
          public void windowOpened(WindowEvent e) {}
  • MobileJavaStudy/SnakeBite/FinalSource . . . . 18 matches
         class SplashCanvas extends Canvas {
          public static final int DOWN = 4;
          else if(direction == Snake.DOWN)
         class SnakeBiteCanvas extends Canvas implements Runnable {
          Random random = new Random();
          appleX = Math.abs(random.nextInt()) % snakeXRange;
          appleY = Math.abs(random.nextInt()) % snakeYRange;
          else if(gameAction == Canvas.UP && direction != Snake.DOWN)
          else if(gameAction == Canvas.DOWN && direction != Snake.UP)
          snake.setDirection(Snake.DOWN);
         public class SnakeBite extends MIDlet implements CommandListener {
         class StartCanvas extends Canvas {
         class BoardCanvas extends Canvas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Random random;
          random = new Random();
          appleX = (Math.abs(random.nextInt()) % ((boardWidth-1) / cellRect)) * cellRect + boardX;
          appleY = (Math.abs(random.nextInt()) % ((boardHeight-1) / cellRect)) * cellRect + boardY;
          } else if(isMoveDown(ga)) {
          currentDirection = DOWN;
          return ga == UP && currentDirection != DOWN && ((SnakeCell)snakes.elementAt(0)).y >= boardY;
  • RSSAndAtomCompared . . . . 18 matches
         2005/07/21: RSS 2.0 is widely deployed and Atom 1.0 only by a few early adopters, see KnownAtomFeeds and KnownAtomConsumers.
         The RSS 2.0 specification is copyrighted by Harvard University and is frozen. No significant changes can be made and it is intended that future work be done under a different name; Atom is one example of such work.
         [http://www.ietf.org/iesg.html Internet Engineering Steering Group]. The specification is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the IETF could conceivably issue further versions or revisions of this specification without breaking existing deployments, although there is no commitment, nor currently expressed interest, in doing so.
         See the Extensibility section below for how each can be extended without changing the specifications themselves.
         RSS 2.0 requires feed-level title, link, and description. RSS 2.0 does not require that any of the fields of individual items in a feed be present.
          * some other XML vocabulary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recipient will be able to do anything useful with such content)
         The only recognized form of RSS 2.0 is an <rss> document.
         Atom 1.0 allows standalone Atom Entry documents; these could be transferred
         Atom 1.0 is in [http://www.w3.org/2005/Atom an XML namespace] and may contain elements or attributes from other XML namespaces. There are specific guidelines on how to interpret extension elements. Additionally, there will be an IANA managed directory rel= values for <link>. Finally, Atom 1.0 provides recommended extension points and guidance on how to interpret simple extensions.
         RSS 2.0 does not specify the handling of relative URI references, and in practice they cannot be used in RSS feeds.
         For identification of the language used in feeds, RSS 2.0 has its own <language> element, while Atom uses XML's built-in
         RSS 2.0 categories have two parts: label and domain.
          <managingEditor>johndoe@example.com (John Doe)</managingEditor>
          <name>John Doe</name>
          <email>johndoe@example.com</email>
         ||docs||-||||
         ||image||logo||Atom recommends 2:1 aspect ratio||
         ||description||summary and/or content||depending on whether full content is provided||
  • XMLStudy_2002/Start . . . . 18 matches
          1 Invalid Documents : XML의 태그 규칙을 따르지 않거나,DTD를 사용한 경우에 DTD에 정의된 규칙을 제대로 따르지 않는 문서
          2 Well-Formed Documents : DTD를 사용하지는 않지만,XML의 태그 규칙을 따르는 문서
          3 Valid Documents : XML의 태그 규칙을 지키며 DTD에 정의된 방식으로 바르게 작성된 문서
          * 위에 3개중 Invalid Documents는 실제 XML 문서로서의 역할을 할수 없다. XML 파서로 파싱 했을 때 바르게 파싱되지 않기 때문이다.
          2 시작 태그에 대응하는 닫는 태그가 오기전에 시작 태그의 바깥에 위치한 태그의 닫는 태그가 위치하지 않아야 한다.(태그들이 겹쳐서(orverlapped) 사용수 없다.)
         <!DOCTYPE MAIL
         [<!ELEMENT MAIL (SUBJECT,SENDER,RECEIVER,BODY,SIGNATURE)>
         <!ELEMENT SENDER (NAME,ADDRESS)>
         <SENDER>
         </SENDER>
         1. MAIL 엘리먼트에는 SUBJECT,SENDER,RECEIVER,BODY,SIGNATUER 엘리먼트가 순서대로 위치하는데 ,다른 엘리먼트들은 단 한번 위치하지만 RECEIVER 엘리먼트는 1개 이상 올수 있으며, SIGNATURE 엘리먼트는 한 번 나오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예
         <!ELEMENT MAIL (SUBJECT,SENDER,(RECEIVER)+,BODY,(SIGNATURE)?)>
         2. BODY 엘리먼트에 P엘리먼트가 한번도 오지 않거나 여러번 반복해서 위치할 수 있는 예
         <!DOCTYPE BOOK [
          *내부 엔티티 : 주로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할 문장을 내부 엔티티 선언하고 사용하면 편리
         <!DOCTYPE doc [
         <doc>
         </doc>
          *파라미터 엔티티 : DTD 문서 내에서 이거나 XML문서 내에서 XML문서의 선언부인 <!DOCTYPE> 부분과 같은 엔티티 선언부나 엘리먼트 선언부에서만 사용
         <!ELEMENT HEAD O O (%head.content;) + (%(head.misc;) --document head-->
  • 새싹교실/2012/열반/120402 . . . . 18 matches
         == 반복문 실습 ==
          * while은 수업 시간에 다룬 내용이라 짧게 설명했습니다. 위의 printstar를 응용한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while(i=<N);
          * while의 중괄호도 제대로 쓰여있지 않습니다.
          while(i>N){
          while(i>N){
          * 중첩 반복문 + 중첩된 반복문을 통한 별찍기 실습 (Optional)
          * while, do while 반복문과 재귀함수를 이용한 점찍기를 배웠습니다. -[권우성]
          * 전역변수, 지역변수, do while, while, printstar 등을 배웠습니다. 수업시간보다 더 알차게 배운 것 같습니다. -[김민규]
          * 별찍기, do while, while을 배웠습니다. 제가 짠 함수가 맞아서 기뻤습니다^o^ -[채유빈]
  • 오목/곽세환,조재화 . . . . 18 matches
         #endif // _MSC_VER > 1000
          COhbokDoc* GetDocument();
          virtual BOOL PreCreateWindow(CREATESTRUCT& cs);
          virtual void OnEndPrinting(CDC* pDC, CPrintInfo* pInfo);
         #endif
          afx_msg void OnLButtonDown(UINT nFlags, CPoint point);
         inline COhbokDoc* COhbokView::GetDocument()
          { return (COhbokDoc*)m_pDocument; }
         #endif
         #endif // !defined(AFX_OHBOKVIEW_H__1263A16D_AC1C_11D7_8B87_00105A0D3B1A__INCLUDED_)
         #include "ohbokDoc.h"
         #endif
          ON_WM_LBUTTONDOWN()
         END_MESSAGE_MAP()
          // TODO: add construction code here
         BOOL COhbokView::PreCreateWindow(CREATESTRUCT& cs)
          // TODO: Modify the Window class or styles here by modifying
          return CView::PreCreateWindow(cs);
          COhbokDoc* pDoc = GetDocument();
          ASSERT_VALID(pDoc);
  • 8queen/문원명 . . . . 17 matches
          int endFind = 0, count = 0;
          do //맨 처음답과 같을때까지 찾기 반복
          do //열바꿔가며 가능한 자리 찾기
          while( (findY != -1) && (findX != -1))
          while( (findY != 8) && (findX != -1))
          while( (findY != -1) && (findX != 8))
          while( (findY != 8) && (findX != 8))
          } while (same == 1);
          if (count == 0) endFind = 1; //종료조건
          if(endFind == 0)
          cout<<endl;
          cout<<endl<<endl;
          }while(endFind == 0);
  • CppStudy_2002_1/과제1/CherryBoy . . . . 17 matches
          do
          }while(choice==0);
          cout << exam << endl;
          cout << exam << endl;
          double weight;
         void print(candybar &, char * name="millenium Munch",double weight=2.85,int cal=350);
         void print(candybar &candy,char * name,double weight,int cal)
          cout << "캔디바의 이름\t:\t" << candy.name <<endl;
          cout << "캔디바의 무게\t:\t" << candy.weight << endl;
          cout << "캔디바의 칼로리\t:\t" << candy.cal << endl;
          show("Done!");
          cout << string << endl;
          cout << beany.str << endl;
          do
          cout<<endl;
          }while(k!=0);
          cout << "Name \t:\t" << g.fullname << endl;
          cout << "HandyCap\t:\t" << g.handicap << endl;
  • Java Study2003/첫번째과제/장창재 . . . . 17 matches
          - 자바(Java)를 이야기할 때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먼저, 기계어, 어셈블리어(Assembly), 포트란(FORTRAN), 코볼(COBOL), 파스칼(PASCAL), 또는 C 등과 같이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바 언어가 있고, 다른 하나는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주기 위한 자바 가상머신(Java Virtual Machine) 등을 가리키는 자바 플랫폼(Platform)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자바 언어는 Visual C++와 비유 수 있고, 자바 플랫폼은 윈도우 95/98/NT 및 윈도우 95/98/NT API와 비유 수 있습니다.
         컴퓨터는 각 CPU에 따라 서로 다른 기계어를 갖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도스 또는 윈도우 95/98/NT 등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유닉스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에서는 실행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나, 자바 바이트코드는 이러한 플랫폼에 상관없이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 수 있도록 정의된 중간코드입니다. 따라서, 자바 바이트코드로 컴파일 되기만 하면, 자바 인터프리터인 자바 가상머신이 설치되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 실행시켜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자바 개발자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바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사용할 때 그 플랫폼이 윈도우 95/98/NT, 유닉스, 또는 매킨토시인지 전혀 신경 쓰지 않아도 되도록 합니다.
         자바 바이트코드는 자바 가상머신에서 실행되는 기계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모든 자바 인터프리터는 자바 가상머신을 구현해 놓은 것으로, 자바 가상머신과 자바 인터프리터를 같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자바 가상머신은 JDK(Java Development Kit)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 내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자바 칩과 같이 하드웨어에 직접 구현 수도 있습니다. 자바 바이트코드는 “write once, run anywhere”라는 말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다시 말해서,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한 자바 프로그램을 각 플랫폼(윈도우 95/98/NT, 리눅스, 유닉스, 매킨토시 등)에 맞게 제공되는 자바 컴파일러를 통해서 바이트코드로 컴파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바이트코드는 자바 가상머신이 있는 어떤 곳에서도 실행 수 있습니다.
         자바 가상머신은 자바 플랫폼의기반을 이루며, 다양한 하드웨어기반 플랫폼에 포팅(poring) 됩니다. 다시 말해서, 자바 가상머신은 윈도우 95/98/NT, 유닉스, 또는 매킨토시 등과 같은 기존의 운영체제 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넷스케이프 등과 같은 웹 브라우저 등, 여러 가지 플랫폼에 설치되어 사용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바 바이트코드로 컴파일된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이 자바 가상머신을 이용하면 됩니다.
         자바는 서로 다른 이종(Heterogeneous)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분산 되어 실행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응용 프로그램들이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쳐 위에서 실행 수 있어야만 합니다. 이를 위해 자바 컴파일러는 이종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효율적으로 코드를 전송하기 위해 설계된 아키텍쳐 중립적인 중간 코드인 바이트코드를 생성합니다. 이는 동일한 자바 프로그램의 자바 바이트코드가 자바 가상머신이 설치되어 있는 어떤 플랫폼에서도 실행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자바는 기본 언어 정의를 엄격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이식성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t 형과 같은 기본 데이터형의 크기를 플랫폼과 무관하게 일정하게 하고, 연산자의 기능을 확실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C 언어를 이용하여 int 형을 선언할 때, 도스에서는 16비트, 윈도우 95/98/NT 등 32비트 운영 체제 환경에서는 32비트, 유닉스에서는 32비트 등 그 플랫폼에 따라 크기가 다르지만, 자바에서는 플랫폼에 상관없이 32비트로 고정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환경이 자바 가상머신으로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자바에서는 인터프-리터가 런타임 환경을 검사할 필요 없이 실행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뛰어난 성능을 제공해 줍니다. 쓰레기 수집기(garbage collector) 즉 메모리 관리자는 자동으로 낮은 우선순위의 백그라운드 스레드로 실행되어 메모리가 필요할 때에만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자바 가상머신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보다 나은 수행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또한, 방대한 양의 계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계산이 많은 부분을 본래의 플랫폼에 해당하는 기계어 코드로 재작성하여 자바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자바의 다중 스레드 기능은 동시에 많은 스레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자바는 동기화 메소드들을 기본적으로 키워드로 제공함으로써, 자바 언어 수준에서 다중 스레드를 지원해 줍니다. 자바 API에는 스레드를 지원해 주기 위한 Thread 클래스가 있으며, 자바 런타임 시스템에서는 모니터와 조건 잠금 함수를 제공해 줍니다.
         JDK와 함께 제공되는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독립적으로 실행 수 있도록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의 컴퓨터에서 윈도우의 도스창 또는 유닉스 쉘 등과 같은 쉘에서 자바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실행시키는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위에 나오는 그림은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존의 CGI 프로그램과 같이 웹 서버 프로그램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자바 프로그램으로서, 웹 서버 내에 있는 자바 런타임 환경과 함께 제공되는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되도록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자바 서블릿은 웹 서버 내에서 자바 런타임 환경과 함께 제공되는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되고, 자바 애플릿은 웹 서버에서 웹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 되어 웹 클라이언트에서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에 내장된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웹 서버 내에서 실행 수 있도록 작성된 자바 서블릿은 기존의 웹 서버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인 CGI 프로그램을 대체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그림은 자바 서블릿의 실행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델파이 또는 비주얼 베이직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버튼이나 창과 같은 컨트롤들을 마우스로 끌어다 프로그램 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자바 빈은 하나의 완벽한 기능을 갖고 재사용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되는 ActiveX 컴포넌트와 같이 자바에서 컴포넌트 프로그램을 가능하도록 해 줍니다.
         다른 자바 프로그램에 의해 삽입(import)되어 사용 수 있도록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자바 패키지는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던 라이브러리 또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해 주는 API 등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바 패키지 역시 해당 규약을 갖겠지요.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압축 파일의 형태로 'casses.zip"이라는 자바 패키지가 제공되고 있고, 압축 파일 내에는 디렉토리 단위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그림은 JDK 1.2.2 에서 제공되는 패키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두 개 이상의 자바 프로그램 규약을 만족시키는 자바 프로그램은 여러 자바 프로그램에 속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했는데, 이 자바 프로그램은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규약을 만족시켜 주고 자바 애플릿을 위한 규약도 만족시켜 준다면, 이 자바 프로그램은 JDK와 함께 제공되는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독립적으로 실행 수도 있고,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에 내장된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자바 애플릿으로 실행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여러 규약에 맞는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지만, 하나의 자바 프로그램이 굳이 두 개 이상의 규약을 모두 만족시켜주도록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경우는 자바 애플리케이션과 자바 애플릿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 MoreEffectiveC++/Operator . . . . 17 matches
          * C++는 타입간의 암시적 type casting을 허용한다. 이건 C의 유산인데 예를 들자면 '''char'''과 '''int''' 에서 '''short'''과 '''double''' 들이 아무런 문제없이 바뀌어 진다. 그런데 C++는 이것 보다 한수 더떠서 type casting시에 자료를 잃어 버리게 되는 int에서 short과 dougle에서 char의 변환까지 허용한다.[[BR]]
          * '''''single-argument constructors''''' 은 인자를 하나의 인자만으로 세팅수 있는 생성자이다. 여기 두가지의 예를 보자
          * '''''implicit type conversion operator''''' 은 클래스로 하여금 해당 타입으로 ''return'' 을 원할때 암시적인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operator이다. 아래는 double로의 형변환을 위한 것이다.
          operator double() const;
         dougle d = 0.5 * r;
         '''operator<<'''는 처음 Raional 이라는 형에 대한 자신의 대응을 찾지만 없고, 이번에는 r을 ''operator<<''가 처리할수 있는 형으로 변환시키려는 작업을 한다. 그러는 와중에 r은 double로 암시적 변환이 이루어 지고 결과 double 형으로 출력이 된다.[[BR]]
          double asDouble() const;
         cout << r.asDouble(); // double로의 전환의 의도가 확실히 전해 진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이 코드를 수행한다.;
         7줄 ''if ( a == b[i] )'' 부분의 코드에서 프로그래머는 자신의 의도와는 다른 코드를 작성했다. 이런 문법 잘못은 당연히! 컴파일러가 알려줘야 개발자의 시간을 아낄수 있으리, 하지만 이런 예제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이 코드는 컴파일러 입장에서 보면 옳은 코드가 수 있는 것이다. 바로 Array class에서 정의 하고 있는 '''''single-argument constructor''''' 에 의하여 컴파일시 이런 코드로의 변환의 가능성이 있다.
         위의 코드에서는 strlen() 함수내부에서 p에 관련한 null pointer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 에서는 앞의 조건이 부정 즉, ( false && anything ) 의 경우에는 뒤의 조건(anything)은 수행조차 안하기 때문이다. operator ||의 경우도 특정 조건에서,(true || anything) 뒤에 코드를 수행하지 않은다는 것은 비슷하다.
         == Item 8: Understand the differend meanings of new and delete ==
         보통 C++에서 용어들을 정확히 이해 못할 경우가 있다. 바로 ''new''operator와 ''operator new''가 그 대표적인 예가 수있을 것이다. 다음의 코드를 보자
  • UnixSocketProgrammingAndWindowsImplementation . . . . 17 matches
         페이지의 컨텐츠를 보아하니, 따로 페이지를 뽑아내도 것 같아 [문서구조조정] 하였습니다. 원래 페이지 이름은 '''데블스캠프2005/Socket Programming in Unix/Windows Implementation'''였습니다. - [임인택]
         int socket(int domain, int type, int protocol);
         === domain: ===
         데이터를 Big-Endian으로 변환 시켜주는 체계.
          htons(): host-to-network 바이트 변환 (Big-Endian으로 변환)
          htonl(): host-to-network 바이트 변환 (Big-Endian으로 변환)
          ※ 왜 우리는 데이터를 Big-Endian으로 변환 시켜주어야할까?
          ※ 그렇다면 우리가 전송하는 데이터 모두 Big-Endian으로 변환 시켜주어야할까?
         // u_short sin_port 은 Big-Endian을 사용한다.
         // 따라서 Little_Endian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Big-Endian으로 바꿔줘야한다.
          inet_addr(): 주소를 long형으로 계산하고 htonl()를 사용해 Big-Endian으로 변환 후 값을 return 한다.
          // 2780961665 의 값은 Little-Endian 체계에서는 811BC2A5이다.
         = Server 가 프로그램에 필요한 함수 =
         = Client 가 프로그램에 필요한 함수 =
         == send/write - 상대에게 데이터를 보낸다. ==
         ssize_t send(int fildes, const void * buf, size_t nbytes, unsigned int flags);
          if( send(client_sock, buf1, sizeof(buf), 0) == -1 )
          fprintf(stderr, "send error");
         // 타 시스템으로 이식을 위해 되도록 sen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타 시스템으로 이식을 위해 되도록 sen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WinampPluginProgramming/DSP . . . . 17 matches
         #include <windows.h>
         // pitch control window
         #endif
         #endif
         // otherwise returns either mod1 or mod2 depending on 'which'.
         // function that shares code for all your modules (you don't HAVE to use it though, you can make
          ShowWindow((pitch_control_hwnd=CreateDialog(this_mod->hDllInstance,MAKEINTRESOURCE(IDD_DIALOG1),this_mod->hwndParent,pitchProc)),SW_SHOW);
         // cleanup (opposite of init()). Destroys the window, unregisters the window class
          DestroyWindow(pitch_control_hwnd);
          // echo doesn't support 8 bit right now cause I'm lazy.
          if (nch == 2) while (x--)
          SendDlgItemMessage(hwndDlg,IDC_SLIDER1,TBM_SETRANGEMAX,0,18);
          SendDlgItemMessage(hwndDlg,IDC_SLIDER1,TBM_SETRANGEMIN,0,-18);
          SendDlgItemMessage(hwndDlg,IDC_SLIDER1,TBM_SETPOS,1,1);
          SendDlgItemMessage(hwndDlg,IDC_SLIDER1,TBM_SETPOS,1,0);
          g_pitch = -SendDlgItemMessage(hwndDlg,IDC_SLIDER1,TBM_GETPOS,0,0)+100;
  • 몸짱프로젝트/BinarySearchTree . . . . 17 matches
          while ( aRoot.right.key != -1 ):
          while ( right.key != -1 ):
          while(true)
          cout << "1. Insert " << endl;
          cout << "2. Delete " << endl;
          cout << "3. Search " << endl;
          cout << "4. Quit " << endl;
          cout << "숫자 입력" << endl;
          cout << aNum << "을 Tree에 추가" << endl;
          cout << "Error" << endl;
          cout << aNum << "을 Tree에 추가" << endl;
          while (true)
          cout << aNum << "은 Tree에 있습니다." << endl;
          cout << aNum << "은 Tree에 없습니다." << endl;
          cout << "Error" << endl;
          cout << aNum << "삭제" << endl;
          while(ptr->left != NULL)
  • 몸짱프로젝트/CrossReference . . . . 17 matches
          * 개발방식 : TestDrivenDevelopment
          while(!fin.eof())
          while(p != NULL)
          cout << "WORD\t\tCOUNT\t\tLINES" << endl;
          cout << "TOTAL\t\t" << count << endl;
          while(true)
          while (temp->next != NULL)
          while (aRoot->line->next != NULL)
          while (temp->next != NULL)
         while(!fin.eof()){
         while ( ch == '\n' ){
         do
         while ( ch == '\n' );
         << aNode->lines << endl;
         aOs << "WORD" << "\t\t\t" << "COUNT" << "\t\t" << "LINES" << endl
         << "--------------------------------------" << endl;
         aOs << "--------------------------------------" << endl
         << "TOTAL" << "\t\t" << num_of_node++ << endl;
  • 보드카페 관리 프로그램/강석우 . . . . 17 matches
          while(cin >> command)
          throw domain_error("잘못 입력하셨습니다.");
          catch(domain_error e)
          cout << e.what() << endl;
          throw domain_error("그 테이블은 사용중 입니다.");
          <<vec[i].minute << endl;
          throw domain_error("사람은 4명까지만 할 수 있습니다.");
          throw domain_error("테이블은 3번까지만 있습니다.");
          throw domain_error("그 게임은 사용중 입니다.");
          cout << vec[i].table << " " << bg.game << " " << "play" << endl;
          throw domain_error("그런 게임은 없습니다. ");
          throw domain_error("in을 먼저 입력하십시오.");
          cout << vec[i].table << " buy " << bg.drink << "drink" << endl;
          throw domain_error("잘못 입력하셨습니다.");
          throw domain_error("in을 먼저 입력하십시오.");
          << vec[i].person << "Person : " << price(vec, hour, minute, i) << "won" << endl;
          throw domain_error("in을 먼저 입력하십시오.");
  • 새싹교실/2012/아무거나/2회차 . . . . 17 matches
         while (a<b)
          while (d<f)
         while (a<e)
          while (d<b)
         while문으로 써서인지 머리를 덜 써서인지, 소스가 점점 길어지네요. for문 쓰는 법에 대해서도 꼭 배워야겠어요.
          * 공백을 출력하는 반복문과 *을 출력하는 반복문 2개를 사용하여 한 줄을 만든다.
          * 각 줄에서 공백을 출력하는 횟수와 *을 출력하는 횟수의 규칙을 찾아내어 식을 만들고 이를 조건식으로 활용한다.
         while (a<=n) {
          while(c<n) {
          while(b<2*a-1){
         while (a<=n-1) {
         while(c<n) {
          while(b<2*a-1){
         while (a<=n) {
          while(c<a) {
          while(b<2*d-1){
  • 큐와 스택/문원명 . . . . 17 matches
          밤(10시 이후)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저에게는 상당한 학습의 기회가 것 같군요. 재미있네요. 일단, 글로 표현하기에 자신이 없거든요. 주변의 사람들을 붙잡고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학교 교제의,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와 Pointer 관련 부분을 읽으시면 좋겠습니다. --NeoCoin
          do
          cout << "1. PUSH 2. Pop 3. Stack 4. Queue 5. Show 6. Exit" << endl;
          cout << "오버 플로우 입니다." << endl;
          // 씌웠기 때문에, 값이 출력 수 있습니다.
          cout << endl;
          cout << " 1부터 6까지의 수를 입력하세요 " << endl;
          }while(select != 6);
          _Str.append(1, _Traits::to_char_type(_Meta)); // 문자를 하나씩 더한다. 이때, string 객체가
          ps. 초반에 데블스 캠프를 대비한 ZeroWiki의 사용 방법에 대한 정책이 부재했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자체가 즐거운 학습의 기회가 수 있을 것 같습니다.
          do
          cout << "1. PUSH 2. Pop 3. Stack 4. Queue 5. Show 6. Exit" << endl;
          cout << "오버 플로우 입니다." << endl;
          cout << endl;
          cout << " 1부터 6까지의 수를 입력하세요 " << endl;
          }while(select != 6);
  • DevelopmentinWindows . . . . 16 matches
          * '''Windows 서브시스템 - GUI 모드 에플리케이션 운영'''[[BR]]
          (앞으로 Windows 서브시스템 기반의 프로그래밍을 윈도우즈 프로그래밍이라고 하겠다.)
          * Windows CE 서브시스템 - Windows CE 에플리케이션 운영
          * 표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DevelopmentinWindows/UI"])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DevelopmentinWindows/Message.jpg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DevelopmentinWindows/Hardware.jpg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DevelopmentinWindows/SLL.jpg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DevelopmentinWindows/DLL.jpg
          ||DOUBLE||double||
          * 윈도우를 만드는 함수는 CreateWindow, 메시지를 보내는 함수는 SendMessage
          ||dbl||DOUBLE 타입의 변수||
          * ["DevelopmentinWindows/APIExample"] - 소스 보기
          *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DevelopmentinWindows/API.zip - 다운 받기
          * ["DevelopmentinWindows/MFCExample"] - 소스 보기
          *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DevelopmentinWindows/MFC.zip - 다운 받기
  • OurMajorLangIsCAndCPlusPlus/2006.2.06/김상섭 . . . . 16 matches
          cout << s << endl;
          cout << s.length() << endl;
          cout << s.length() << endl;
          cout << s1 << s2 << endl;
          cout << "input string : " << s << endl;
          cout << s1 << " " << s2 << endl;
          cout << s1 << " " << s2 << endl;
          cout << s[2] << endl;
          cout << s << endl;
          cout << s << endl;
          cout << "s는 10입니다" << endl;
          cout << "s는 10아닙니다" << endl;
          cout << s1+s2 << endl;
          cout << "s1은 123입니다." << endl;
          cout << s1 << endl;
          cout << s2 << endl;
  • VMWare/OSImplementationTest . . . . 16 matches
         gcc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windows 환경하의 vc 개발을 주로 해왔으므로 무척
         불편(?)했습니다. Djgpp 라는 dos용 gcc 포팅 버전과 윈도우용 cygwin 패키지를
         http://www.nondot.org/sabre/os/articles
          ORG 0x7C00 - PC가 리셋되면 부팅 디바이스의 첫번째 섹터(512바이트)를
         - VC로 컴파일 작은 커널
          jnz short enableA20done
          jnz short enableA20done
         enableA20done:
         gdt_data: ; Data segment, read/write, expand down
         gdt_end: ; Used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GDT
          dw gdt_end - gdt - 1 ; Limit (size)
          while(bytes_read
          while(
         : warning LNK4096: /BASE value "10000" is invalid for Windows 95; image may
         컴파일을 마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탐색기 모습이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셍성된 testos.img 가 우리의 커널 이미지가 됩니다.
         무조건 그냥 기본으로 Next 합니다.
  • PowerOfCryptography/조현태 . . . . 15 matches
          while (min_answer+1!=max_answer)
          while (1)
          while (intput_number<1)
          while (intput_number<gob_gaesu || gob_gaesu<1)
          while (1)
          while (1)
          while (this_number!=MAX_LONG)
          while (1)
          while(NULL!=temp_number->get_prv())
          while (NULL!=temp_number)
          while (0!=result_compare)
          while(0!=i->compare_number(gaesu))
          while (0!=j->compare_number(temp_target))
          while (ENTER!=temp)
          while (ENTER!=temp)
  • SmallTalk/강좌FromHitel/강의4 . . . . 15 matches
         아직까지 자료실에서 Dolphin Smalltalk를 내리받아 설치하지 않으신 분이라
         Smalltalk 환경을 끝낼 때 File > Exit Dolphin 명령을 내리는 대신 알림판
         쓸 수 있습니다. 이 글이 Smalltalk에게 내리는 명령이 수도 있고, 명령
         을 설명하는 풀이글이 수도 있으며, 그냥 아무런 관계없는 글이 수도
         앞으로 이 글을 진행하면서 무수히 많은 Smalltalk의 명령이 소개 것입니
         서 'Dolphin'이라는 낱말이 들어간 것을 지금 쓰고 있는 본(image)에서 죄다
          SmalltalkSystem current browseContainingSource: 'Dolphin'
         생각보다 많은 길수에 "Dolphin"이라는 글귀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길수
         색기는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주로 여러 갈래(class)에서 조건에 맞는 길수를
         있는 창은 현재 Dolphin Smalltalk 환경에 설치되어있는 꾸러미들을 늘어놓
         여기서 여러분은 창(window)이나 대화 상자(Dialog box)를 만들어서 프로그
         다. "발자취 창"(walkback window)은 Smalltalk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에
         위 명령을 실행하자마자 "SmallInteger does not understand #hello"라는 제
         목이 붙은 발자취 창이 표시 것입니다. 이 내용인즉슨 "SmallInteger는
          SmallInteger(Object)>>doesNotUnderstand:
          UndefinedObject>>{unbound}doIt
         개가 이런 것이구나 정도로만 이해해 두면 것입니다. 나중에 벌레잡개를
         Dolphin의 경우 꾸러미 탐색기나 창맵씨, 자원 탐색기가 있으며, Smalltalk
         Windows와 같이 그림 위주의 사용자 환경(GUI)에서는 마우스가 필수적인 입
         작은 창이 뜨고, 현재 열려 있는 창들이 표시 것입니다. 은 오른
  • VendingMachine/재니 . . . . 15 matches
          * 먼저 자판기(VendingMachine)이 필요할 것이고,
          * 먼저 자판기의 역할을 보자..... 자판기는 먼저 메뉴를 사람에게 보여줄 수 있어야 꺼얌...
          또 주문받은 상품이 남아있는지도 체크해야 꺼야!!^^[[BR]]
          이 두가지 조건에 만족할 때에는 주문한 상품을 내줄 수 있어야 하겠고, 이 때 상품의 수량을 갱신해야겠지!^^[[BR]]
          while (selection < 1 || selection > num){
          cout << "REMAINDERS : " << remainders << endl;
         class VendingMachine{
          << detail[i].quantity << endl;
          VendingMachine vending_machine;
          while(selection != 4)
          vending_machine.showMenu();
          ''클래스 수가 많아서 복잡해진건 아닌듯(모 VendingMachine 의 경우 Requirement 변경에 따라 클래스갯수가 10개 이상이 되기도 함; 클래스 수가 중요하다기보다도 최종 완료된 소스가 얼마나 명료해졌느냐가 복잡도를 결정하리라 생각). 단, 역할 분담할때 각 클래스별 역할이 명료한지 신경을 쓰는것이 좋겠다. CoinCounter 의 경우 VendingMachine 안에 멤버로 있어도 좋을듯. CRC 세션을 할때 클래스들이 각각 따로 존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론 그 클래스들이 서로를 포함하고 있기도 하거든. 또는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클래스들과 협동하기도 하고 (Collaboration. 실제 구현시엔 다른 클래스의 메소드들을 호출해서 구현한다던지 식임). 역할분담을 하고 난 다음 모의 시나리오를 만든뒤 코딩해나갔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이 경우에는 UnitTest 를 작성하는게 좋겠지. UnitTest 작성 & 진행에 대해선 ["ScheduledWalk/석천"] 의 중반부분이랑 UnitTest 참조.--["1002"]''
         ["CppStudy_2002_2"] ["VendingMachine"]
  • FromDuskTillDawn/변형진 . . . . 14 matches
          list($from, $to, $start, $end) = explode(" ", trim($ln[$k+$i+1]));
          if(($start<18&&$start>6)||($end<18&&$end>6)||($start<=6&&$start>=$end)||($end>=18&&$end<=$start)) continue;
          $this->train[$from][] = array("to"=>$to, "start"=>($start+6)%24, "end"=>($end+6)%24);
          $today[$next] = min(($today[$next])?$today[$next]:0, $this->train[$from][$i][end]-12);
          else $tomorrow[$next] = min(($tomorrow[$next])?$tomorrow[$next]:0, $this->train[$from][$i][end]-12);
          foreach($today as $next => $end) $this->track($next, $to, $end+12, $days, $city);
          foreach($tomorrow as $next => $end)
          $this->track($next, $to, $end+12, $days+1, $city);
  • MoinMoinTodo . . . . 14 matches
         A list of things that are added to the current source in CVS are on MoinMoinDone.
         Things to do in the near future:
          * add a nice progress page, while the dictionary cache is built
          * Macro that lists all users that have an email address; a click on the user name sends the re-login URL to that email (and not more than once a day).
          * Send a timestamp with the EditPage link, and then compare to the current timestamp; warn the user if page was edited since displaying.
          * Send a regular "changes" mail? (checkbox, plus frequency setting hourly/daily/weekly/etc.)
          * On request, send email containing an URL to send the cookie
          * configurable fonts, font sizes etc. (copy master CSS file to a user one, and send that)
          * Using the new zipfile module, add a download of all pages
          * Lynx-friendliness (keep >>> === <<< ?)
          * Create MoinMoinI18n master sets (english help pages are done, see HelpIndex, translations are welcome)
          * Document the config options (possibly ''after'' the refactoring)
          * Document all MoinMoinUrlSchemes (i.e. action=whatever)
          * On request, send email containing an URL to send the cookie (i.e. login from a click into the email)
          * Checkbox: Send daily "changes" mail?
  • 데블스캠프2011/둘째날/Machine-Learning/NaiveBayesClassifier/김동준 . . . . 14 matches
          while(sectionLearn.hasNextLine()) {
          this.sectionWordNum++; //Word 수는 중복과 상관없이 갯수를 Count 하므로 무조건 증가시킨다.
          private double getWeight(int index, String Article) {
          double reslt = getLnPsPns(index);
          private double getLnPsPns(int index) {
          return Math.log((double)sectionTrain[index].getSectionArticleNumber() / notInSectionArticleSum);
          private double getLnPwsPwns(int index, String word) {
          return Math.log(((double)sectionTrain[index].getSectionWordNumber(word) / sectionTrain[index].getSectionWordsNumber()) / ((double)ArticleAdvantage(index, word) / notInSectionWordTotalSum));
          private double ArticleAdvantage(int index, String word) {
          double advantageResult = 0;
          advantageResult += (1 - ((double)sectionTrain[index].getSectionWordNumber(word) / sectionTrain[index].getSectionArticleNumber() * 50));
          public void DocumentResult(File f, int index) {
          Scanner targetDocument = new Scanner(f);
          while(targetDocument.hasNextLine()) {
          if(getWeight(index, targetDocument.nextLine()) < 0) { negaNum++; }
          targetDocument.close();
          System.out.println("Right : " + posiNum + " Wrong : " + negaNum + " Result : " + (getLnPsPns(index) + ((double)posiNum / (posiNum+negaNum))));
          anal.DocumentResult(new File("svm_data.tar/package/test/economy/economy.txt"), 0);
          anal.DocumentResult(new File("svm_data.tar/package/test/politics/politics.txt"), 1);
  • 새싹교실/2011/Pixar/4월 . . . . 14 matches
          * ''while''
          * ''do while''
          1. 조건문, 반복문을 오늘로 마치려고 했는데… if else, for만 가르쳐줘서 한 주 더 해야겠어요~ while은 시간상 못 한 거지만 조건문 Switch case를 깜빡하다니ㅜㅜㅜㅜ
          * ''while''
          * ''do while''
          * 누나 숙제를 안해와서 정말정말정말정말정말죄송합니다 ㅠㅠ 우으어 C는 넘어려워요........ 구구단이랑 n*n개 짜는건 잘 했는데 그다음에 빈칸남기는건 잘안되네요 ㅠㅠ while문하구 switch 배우고 C숙제 다시점검했는데 배우는건 되게 잘한거같아요 ㅋㅎㅋㅎ 누나 내일도 많이배웠으면 좋겠어요~~~~~~~~~~~~~~~~~~ [김연석]
         if else, swithch, while, for 등 몰라서 답답했던걸 알게되서 너무 좋았어요
         오늘도많은걸배운날입니다. while과 if for 등등 많은것을 배우고 복습햇습니다.
         오늘은 변수종류에대해서 배웠다 local,global,static등에 대해배웠고, 반복문을 사용하여달력도 만들어보았고, 함수에 대해서도 배웠다.
  • ErdosNumbers/문보창 . . . . 13 matches
         int serch_erdos_num(char * name);
          cout << "Scenario " << i + 1 << endl;
          strcpy(head[0]->next->name, "Erdos, P.");
          while (cin.get() != '\n')
          while (iscontinue)
          while (thesis[i] != NULL)
          while (temp != NULL)
          while (temp->next != NULL)
         int serch_erdos_num(char * name)
          while (temp != NULL)
          result = serch_erdos_num(name);
          cout << result << endl;
         [ErdosNumbers] [AOI]
  • ErdosNumbers/조현태 . . . . 13 matches
         char TARGET_NAME[]="Erdos, P.";
          datas->process_erdos_number(TARGET_NAME);
          void process_erdos_number(human_data* );
          void process_erdos_number(char* );
          while (0!=original[i])
          while (NULL!=temp_book->get_next())
          while (0!=input_line[such_point])
         void data_manager::process_erdos_number(human_data* target_man)
          while (NULL!=temp_book)
          process_erdos_number(temp_book->get_data());
         void data_manager::process_erdos_number(char* target_name)
          process_erdos_number(mans[target_man_number]);
         [AOI] [ErdosNumbers]
  • Gof/Singleton . . . . 13 matches
         더 좋은 방법은 클래스 자신으로 하여금 자기자신의 단일 인스턴스를 유지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 클래스는 인스턴스가 생성 때 요청을 가로챔으로서 단일 인스턴스로 만들어지는 것은 보증한다. 또한, 인스턴스에 접근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것이 바로 SingletonPattern이다.
          3. 명령어와 표현을 확장시킬 수 있다. Singleton class는 subclass 수 있고, 이 확장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가지고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것은 쉽다. run-time중에 필요한 경우에도 가능하다.
          5. class operation 보다 더 유연하다. 패키지에서 Singleton의 기능을 수행하기위한 또다른 방법은 class operation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C++에서의 static 함수나 Smalltalk에서의 class method 등등) 하지만, 이러한 언어적인 테크닉들은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허용하는 디자인으로 바꾸기 힘들어진다. 게다가 C++에서의 static method는 virtual이 수 없으므로, subclass들이 override 할 수 없다.
          * (b) 모든 singleton들이 static initialization time 대 인스턴스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을수도 있다. singleton은 프로그램이 실행 때 그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c) C++ 은 global 객체의 생성자가 translation unit를 통하면서 호출때의 순서를 정의하지 않는다[ES90]. 이러한 사실은 singleton 들 간에는 어떠한 의존성도 존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만일 그럴 수 있다면, 에러를 피할 수 없다.
         이러한 link-approach 방법은 link-time때 singleton class 의 선택을 고정시켜버리므로, run-time시의 singleton class의 선택을 힘들게 한다. subclass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문들 (switch-case 등등)은 프로그램을 더 유연하게 할 수 있지만, 그것 또한 이용가능한 singleton class들을 묶어버리게 된다. 이 두가지의 방법 다 그다지 유연한 방법은 아니다.
         registry 는 string name 과 singletons 을 mapping 한다. singleton의 instance가 필요한 경우, registry에 string name으로 해당 singleton 을 요청한다. registry는 대응하는 singleton을 찾아서 (만일 존재한다면) 리턴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모든 가능한 Singleton class들이나 instance들을 Instance operation이 알 필요가 없도록 한다. 필요한 것은 registry에 등록 모든 Singleton class들을 위한 일반적인 interface이다.
         많은 pattern들이 SingletonPattern을 사용하여 구현 수 있다. AbstractFactoryPattern, BuilderPattern, PrototypePattern을 참조하라.
          * 제가 테스트 용으로 n-class singleton을 구현하려 합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까요?
          friend CSingletonList; // C2248 해결
         #endif
          while(position)
          friend CSingletonList; // C2248 해결
  • Omok/재니 . . . . 13 matches
          while(winner == 0)
          cout << endl;
          while (board[cx-1][cy] == turn)
          while (board[cx+1][cy] == turn)
          while (board[cx][cy-1] == turn)
          while (board[cx][cy+1] == turn)
          while (board[cx-1][cy-1] == turn)
          while (board[cx+1][cy+1] == turn)
          while (board[cx+1][cy-1] == turn)
          while (board[cx-1][cy+1] == turn)
          cout << endl;
          while (m_Board[check_X][check_Y] == (turn % 2)){
          void showEndMsg(){
          while (!bd.checkOmok()){
          bd.showEndMsg();
  • Refactoring/ComposingMethods . . . . 13 matches
          void printOwing(double amount){
          void printOwing(double amount){
          void printDetails (double amount){
          double basePrice = anOrder.basePrice();
          // do something
          // do something
          double temp = 2 * (_height + _width);
          final double perimeter = 2 * (_height + width);
          final dougle area = _height * _width;
          double price() {
          double primaryBasePrice;
          double secondaryBasePrice;
          double teriaryBasePrice;
         http://zeropage.org/~reset/zb/data/ReplaceMethodWithMethodObject.gif
          if (people[i].equals ("Don")){
          return "Don";
          ListCandidates = Arrays.asList(new String[] {"Don", John", "Kent"});
  • Refactoring/SimplifyingConditionalExpressions . . . . 13 matches
          if (data.before( SUMMER_START ) || data.after(SUMMER_END) )
          double disabilityAmount() {
          double disabilityAmount() {
          send();
          send();
         send();
          * A method has conditional behavior that does not make clear the normal path of execution [[BR]] ''Use guard clauses for all the special cases.''
         double getPayAmount(){
          double result;
         double getPayAmount() {
          * You have a conditional that chooses different behavior depending on the type of and object [[BR]] ''Move each leg of the conditional to an overriding method in a subclass. Make the orginal method abstract.''
          double getSpeed() {
          double getExpenseLimit() {
          double getExpenseLimit() {
  • 데블스캠프2009/목요일/연습문제/MFC/정종록 . . . . 13 matches
         #endif
         double temp;
          virtual void DoDataExchange(CDataExchange* pDX); // DDX/DDV support
         void CAboutDlg::DoDataExchange(CDataExchange* pDX)
          CDialog::DoDataExchange(pDX);
         END_MESSAGE_MAP()
          // Note that LoadIcon does not require a subsequent DestroyIcon in Win32
         void CTestDlg::DoDataExchange(CDataExchange* pDX)
          CDialog::DoDataExchange(pDX);
         END_MESSAGE_MAP()
          pSysMenu->AppendMenu(MF_SEPARATOR);
          pSysMenu->AppendMenu(MF_STRING, IDM_ABOUTBOX, strAboutMenu);
          // Set the icon for this dialog. The framework does this automatically
          // when the application's main window is not a dialog
          // TODO: Add extra initialization here
          dlgAbout.DoModal();
         // to draw the icon. For MFC applications using the document/view model,
         // this is automatically done for you by the framework.
          SendMessage(WM_ICONERASEBKGND, (WPARAM) dc.GetSafeHdc(), 0);
         // The system calls this to obtain the cursor to display while the user drags
  • Fmt/문보창 . . . . 12 matches
         void remove_string_end_space(string & str);
          remove_string_end_space(str);
          while (1)
          while (str[i] == ' ')
          while (str[i] == ' ')
          while (str[i] == ' ' && str[i - 1] == ' ')
          while (1)
          while (str[i] == ' ' && str[i - 1] == ' ')
          while (str[i] != ' ')
          while (str[i] == ' ' && str[i] != ' ')
         void remove_string_end_space(string & str)
          while (str[i] == ' ')
  • JTDStudy/첫번째과제/정현 . . . . 12 matches
         public class BaseBallTest extends TestCase{
          String number= extractor.getRandomBall();
          while(!baseBall.isGameOver()) {
          System.out.println("what are you doing?");
          beholder.setAnswer(this.extractor.getRandomBall());
          public String getRandomBall() {
          int index= (int)(Math.random()*numbers.size());
          public String getRandomBall(int nBall) {
          while(numbers.size()<ballLimit(nBall)) {
          numbers.add(getRandom(ballLimit(nBall)));
          private String getRandom(int range) {
          return String.valueOf((int)(Math.random()*range));
  • LawOfDemeter . . . . 12 matches
         within our class can we just starting sending commands and queries to any other object in the system will-
         of them changes. So not only do you want to say as little as possible, you don't want to talk to more
         ()). Direct access of a child like this extends coupling from the caller farther than it needs to be. The
         caller is depending on these facts:
         Now the caller is only depending on the fact that it can add a foo to thingy, which sounds high level
         enough to have been a responsibility, not too dependent on implementation.
         The disadvantage, of course, is that you end up writing many small wrapper methods that do very little but
         something somewhere else. This tends to create fragile, brittle code.
         Depending on your applicatio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costs of high class coupling may easily
         It helps to maintain the "Tell, Don't Ask" principle if you think in terms of commands that perform a very
         the code, you can do so with confidence if you know the queries you are calling will not cause anything
  • NSIS/예제2 . . . . 12 matches
          WriteRegStr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DisplayName" "NSIS Example2 (remove only)"
          WriteRegStr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UninstallString" '"$INSTDIR\uninstall.exe"'
         SectionEnd
         SectionEnd
          WriteRegStr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DisplayName" "NSIS Example2 (remove only)"
          WriteRegStr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UninstallString" '"$INSTDIR\uninstall.exe"'
          DeleteRegKey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SectionEnd
          WriteRegStr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DisplayName" "NSIS Example2 (remove only)"
          WriteRegStr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UninstallString" '"$INSTDIR\uninstall.exe"'
         SectionEnd
         SectionEnd
          DeleteRegKey HKLM "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SectionEnd
         Contributors: nnop@newmail.ru, Ryan Geiss, Andras Varga, Drew Davidson, Peter Windridge, Dave Laundon, Robert Rainwater, Yaroslav Faybishenko, et al.
         WriteRegStr: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DisplayName=NSIS Example2 (remove only)
         WriteRegStr: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UninstallString="$INSTDIR\uninstall.exe"
         SectionEnd
         SectionEnd
         DeleteRegKey: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Example2
  • NamedPipe . . . . 12 matches
         #include <windows.h>
          // the function returns a nonzero value. If the function returns // 접속이 경우 0 아닌 값이 리턴 되며
          // zero, GetLastError returns ERROR_PIPE_CONNECTED. // 만약 0 값이 리턴이 경우 ERROR_PIPE_CONNECTED를 리턴한다.
          0, // not suspended
          while (1)
         #include <windows.h>
          while (1)
          NULL, // don't set maximum bytes
          NULL); // don't set maximum time
         // Send a message to the pipe server.
          do
          // Reply from the pipe is written to STDOUT.
          // STDOUT로 Reply 쓰기
          } while (! fSuccess); // repeat loop if ERROR_MORE_DATA
  • SeminarHowToProgramIt/Pipe/VendingMachineParser.py . . . . 12 matches
         #VendingMachineParser.py
         from VendingMachine import *
         class VendingMachine:
         v=VendingMachine()
         class VendingCmd:
         class PutCmd(VendingCmd):
         class PushCmd(VendingCmd):
         class VerifyMoneyCmd(VendingCmd):
         class VerifyButtonCmd(VendingCmd):
          self.err('Unexpected end of file')
          while 1:
          cmds.append(cmd)
  • 새싹교실/2012/세싹 . . . . 12 matches
          5) 자세한 사항은 http://forum.falinux.com/zbxe/?document_srl=441104 를 참고하세요.
          * 소켓 프로그래밍을 시작하였습니다. 네트워크에 대해 전혀 지식이 없는 친구들에게 짧은 시간안에 어떻게 개념을 알려주나 많이 고민했고 결과는 역시 fail이었던 것 같습니다. 짧은 시간에 이론적인 부분을 하는건 강사나 새싹이나 멘탈이 찢어지는 일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화요일 시간을 조정해야 것 같네요.. 새싹 수업이 선대 끝나고 바로 있어서 희성이가 꾸벅꾸벅 졸았습니다. 선대를 안들은자만이 돌을 던지라. - [정의정]
          * 소켓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수업 내용을 잘 따라가지 못할 것이 두려워 걱정을 많이 했는데 선생님이 설명을 잘 해주셔서 수업 내용을 이해 할 수 있었습니다. 옛날에 자격증 딸 때 보았던 단어들이 막 나오니까 신기했습니다. 다음 수업까지 복습을 열심히 해야 것 같습니다. '''아 그리고 선생님의 강의 노트가 굉장히 탐이 났습니다'''. - [권영기]
          2)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다수의 서버에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까요?
          - 클라이언트에 while문만 추가하면 간단할 것 같습니다.
          * 데이터 처리에 대하여 좀 더 검색하였는데 기본적으로 send된 정보는 버퍼에 계속 쌓이며, recv가 큐처럼 버퍼를 지우면서 읽는다고 되어있었습니다. 반면 read와 같은 파일포인터 함수로 읽으면 버퍼를 지우지않고 파일포인터만 이동하는 것 같더군요. recv도 옵션을 변경하면 버퍼에 계속 누적해서 보관할 수 있는거 같습니다.
          * 할 줄 아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하려니까 되질 않네요. 좀 더 열심히 해야 것 같네요. - [권영기]
          -> 직접 해보는게 숙제였는데 다들 당연히 것으로 예상하고 해보지 않았네요. :(
         #include <windows.h>
          * 값을 확인하는데 이상한 값이 나와 검색해보니 MFT에서도 Little Endian형식을 쓰는 군요. - [김희성]
          * 함수를 반복해서 실행해 보았는데 읽는 위치가 같은 걸 보아, 파일 처음 부분부터 단위를 세는 것이군요. - [김희성]
          while(htonl(*((unsigned int*)((unsigned char*)MFT+point)))!=0xFFFFFFFF)
          printf("Attribute List End\n");
          printf("DOS\n");
          printf("Win32 & DOS\n");
          //__int64는 메모리상에 little endian식으로 저장됨. 왜인지 이해가 안 가지만...
          printf("Run List End VCN : %I64d\n",*((unsigned __int64*)((unsigned char*)MFT+point+24)));
         unsigned __int64 htonll(unsigned __int64 LittleEndian)
          unsigned __int64 BigEndian;
          LittleEndian>>=16;
  • LUA_4 . . . . 11 matches
         >>end
         [ function 함수명() end ] 형태로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 end
         >> for i = 1, #arg do sum = sum + arg[i] end
         >> end
         >> end
         >> end
         >> end
         변수 범위는 이 밖에도 다양한 이슈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do ~ end 문에서도 local 로 범위를 한정할 수 있고 function 자체도 변수와 같이 범위(scope)를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local을 사용하지 않으면 전역 범위 내에서 변수나 함수 자체를 접근/변경할 수 있습니다.
  • Yggdrasil/가속된씨플플/2장 . . . . 11 matches
          * 루프불변식(loop invariant): while문이 그 조건식을 검사하는 매 경우에 대하여 참일 것이라고 가정하는 속성. 처음에 이걸 보고, 이런 개념도 있었냐고 생각했음. 루프불변식은 코드는 아니고 주석에 해당하며, while문이 진행되면서 while문의 제일 처음과 끝에서 루프의 내용이 의도한 대로 돌아간 건지를 정의한 문장이다.(말로 설명하기 애매한 듯...) 하여튼 이것을 쓰는 이유는 루프문을 제대로 설계하기 위해서. 아래의 코드는, 책에 있는 코드로, 불변식의 예이다.
         while(r!=rows)
         std::cout<<std::endl;
         using std::endl;
          cout<<endl;
          while(c!=cols)
          cout<<endl;
          * for(int i=10;i>-6;i--) std::cout<<i<<std::endl;
  • ZeroPageHistory . . . . 11 matches
         ||1학기 ||ZeroPage 창단, 1기 회원모집. 각종 강좌(C language, Utility, Advanced DOS등 다수) ||
          * C, DOS, Utility
         ||겨울방학 ||C++ for windows, X windows Programming, Object Oriented Analysis & Design 등의 Project 수행 ||
          * C++ for Windows, X Windows Programming, Object Oriented Analysis & Design
         ||여름방학 ||C++, C, X-Window, *Utility 세미나 개최. ||
          * C, C++, X-Windows, Utility
         ||2학기 ||X-Window, Visual Basic, C 세미나 개최. ||
         ||겨울방학 ||X-Window, Data Structure, C, C++ 세미나 개최. ||
          * X-Windows, Visual Basic, C
          * X-Windows, Data Structure, C, C++
          * 데블스캠프 : C, 파일 입출력, DOS, UNIX, Windows, Web Programming, Object-Oriented Programming, Network
  • 권영기/web crawler . . . . 11 matches
          * http://docs.python.org/
          * http://docs.python.org/tutorial/controlflow.html
          * http://docs.python.org/tutorial/inputoutput.html
          http://docs.python.org/library/urllib.html
          http://docs.python.org/library/os.html
          http://docs.python.org/library/os.path.html#module-os.path
          prepare.download(str(i) + 'file.html')
          sudo apt-get install libgtkglextmm-x11-1.2-dev
          sudo apt-get install gtk2-engines-pixbuf
         4. Window > Preference > PyDev > Interpreter - Python > Auto Config
          * http://docs.python.org/tutorial/classes.html / 9.5까지.
  • 데블스캠프2005/RUR-PLE/정수민 . . . . 11 matches
          while not next_to_a_beeper():
          while front_is_clear():
          while not next_to_a_beeper():
         while front_is_clear():
          while front_is_clear():
          while not next_to_a_beeper():
          while next_to_a_beeper():
          while next_to_a_beeper():
          while next_to_a_beeper():
         while front_is_clear():
         그리고 여기서 재귀함수는 선을 그어서 그밑에있는건 무조건 실행해 더 낮은 줄에있어도 if이있으면 실행이 돼는 =0=;;
  • BoostLibrary/SmartPointer . . . . 10 matches
         // See http://www.boost.org for most recent version including documentation.
         // The original code for this example appeared in the shared_ptr documentation.
         // argument, so would not work as intended. At that point the code was
          std::for_each( foo_vector.begin(), foo_vector.end(), FooPtrOps() );
          std::for_each( foo_set.begin(), foo_set.end(), FooPtrOps() );
          void do_something();
         void example::do_something()
          a.do_something();
          b.do_something();
          c.do_something();
  • ChocolateChipCookies/허준수 . . . . 10 matches
          double x;
          double y;
         void input(double x, double y)
          double d;
          cout << max_num <<endl;
          double x, y;
          while(testCase>0) {
          cout << endl;
          while(true)
  • CompleteTreeLabeling/조현태 . . . . 10 matches
          일단 만들기는 했지만..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두개를 곱해서 21이하라는 조건인데.. 최악의 경우는 각각 3개의 뿌리를 가질때 깊이가 7이되면..
          3280개의 노드가 생긴다. 고로 이걸 3280!해서 나오는 경우의 수를 생각하면 10^10000이 사뿐히 넘어간다는... 애초에 계산이 리가 없잖..
          while (0==sub_line[such_point])
          while (0==sub_line[such_point])
          while (1)
          int end=gaesu-1;
          int find_last=end;
          if (find_last==end)
          for (register int j=end; j>=0; --j)
  • Java Study2003/첫번째과제/방선희 . . . . 10 matches
          -- class파일은 그 자체가 실행파일이 아니다. 따라서 그냥 수행 수 없으며, 이 class파일을 읽어서 해석한 후, 실행해 줄 무언가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JVM이다.
          * 장점 : 가상머신이 한 플랫폼에서 제공되면, 어떠한 자바 프로그램도 그 플랫폼에서 실행 수 있다.
          애플릿은 브라우저에 플러그인 형식으로 실행 수 있는 자바 프로그램을 말하고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가 아닌 순수 자바 프로그램들을 말합니다. 굳이 따지자면 서블릿, 빈즈, JSP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겠죠.
          빈즈에 대해서 이야기 하자면 웹 서비스라는 큰 테두리 내에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간단하게 말하자면 빈즈라는 것이 만들어진 이유는 프로그램의 DISPLAY 부분과 LOGIC 부분을 분리해서 좀 더 확장성있고 유연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탄생한 것입니다.(언뜻 이해가 안 수도 있음...)
          * 이 내용들을 대충이라도 이해했으면 꺼 같군요. 역시 마찬가지로 실제로 프로그램을 돌게끔 만들지를 못한거 같군요. 한번 해 보세요.
          * Java는 보안능력이 뛰어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내 PC로 download된 Java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그 능력이 제한된다. 다시 말해 바이러스처럼 작용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점은 MicroSoft의 Active X와 비교된다).
          * MicroSoft windows에서 신나게 실행되는 게임이 Linux에서도 잘 돌까? 아마도 답은 '아니다' 일 것이다. 그러나 만약 그 게임이 Java로 제작되었다면 답은 '예' 이다. 다시 말해 Java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PC, Macintosh, Linux등 machine이나 O/S에 종속되지 않는다.
          기존에 Sun OS에서 Java로 개발한 인사시스템을 Windows NT로 이관하고 싶다. 이때 프로그램 수정없이 가능할까? Windows NT를 지원하는 JDK가 있다면 가능하다. 그러고 Windows NT를 지원하는 JDK는 있다.
  • SmallTalk/강좌FromHitel/강의3 . . . . 10 matches
          1.4.1. Dolphin Smalltalk 등록하기
         1.4.1. Dolphin Smalltalk 등록하기
         이제까지 우리는 Dolphin Smalltalk를 사용하면서 저장 기능을 사용할 수 없
         Arts사(社)는 공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Dolphin Smalltalk 98 / 1.1판을
         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Dolphin Smalltalk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계
         Dolphin Smalltalk를 시작합니다. 그런 다음 File > Exit Dolphin 메뉴를 실
         행시켜서 Dolphin Smalltalk를 종료합니다. 이 때 현재 Smalltalk의 상황을
         래에 있는 라는 단추를 누를 수 있게 것입니다. 인
         "등록 페이지"로 이동하게 것입니다.
         * Product: 사용하고 있는 Dolphin Smalltalk의 종류. 우리는 1.1판을 고르
          과 번지수를 씁니다. 저의 경우라면 2288-3, DaeMyung 3 Dong, Nam-Gu
          Dolphin Smalltalk에 대해 처음어로 접한 매체를 고릅니다.
         * Intended use of this product?
          Dolphin Smalltalk를 어떤 목적에 사용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 How many attempts did it take you to download this software?:
          Dolphin Smalltalk를 몇 번만에 전송받았는지를 묻습니다.
         용 수 있으므로, 다음부터는 등록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습니다.
         등록 절차를 마치면 이제부터 여러분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Dolphin
         이렇게 해서 발급받은 password를 (1)과 마찬가지로 입력하게 되면 Dolphin
         을 것입니다. 이제 저장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여러분의 Dolphin Smalltalk
  • ThinkRon . . . . 10 matches
         aka {{{~cpp WhatTheyWouldDoInMyShoes}}}
         전문가 비전문가 PairProgramming을 하다가 문제에 직면했습니까? 스스로에게 물어보십시오. 만약 KentBeck이나 WardCunningham, RonJeffries 같은 사람이 이 자리에 나 대신 있었다면 이 문제에 어떻게 대응했을런지. 그리고 거기서 얻은 해답을 꼭 실행에 옮겨 보세요. 자신은 물론 상대방도 놀라게 것입니다. 해답은 늘 안에 있습니다.
         Let me tell a brief story about how that came about. Our president, at the time was Bob Doherty. Doherty came from General Electric via Yale, and had been one of the bright young men who were taken under the wing of the famous engineer Stiglitz. Every Saturday, Stiglitz would hold a session with these talented young men whom General Electric had recruited and who were trying to learn more advanced engineering theory and problem-solving techniques. Typically, Bob Doherty would sometimes get really stuck while working on a problem. On those occasions, he would walk down the hall, knock on Stiglitz’s door, talk to him — and by golly, after a few minutes or maybe a quarter of an hour, the problem would be solved.
         One morning Doherty, on his way to Stiglitz’s office, said to himself, "Now what do we really talk about? What’s the nature of our conversation?" And his next thought was, "Well Stiglitz never says anything; he just asks me questions. And I don’t know the answer to the problem or I wouldn’t be down there; and yet after fifteen minutes I know the answer. So instead of continuing to Stiglitz’s office, he went to the nearest men’s room and sat down for a while and asked himself, "What questions would Stiglitz ask me about this?" And lo and behold, after ten minutes he had the answer to the problem and went down to Stiglitz’s office and proudly announced that he knew how to solve it.
  • 루프는0부터? . . . . 10 matches
         첫번째 것은 0부터 번호를 매기고 !=를 사용하는데 반해, 두번째 것은 1부터 번호를 매기고 <=로 비교합니다. 반복횟수는 둘다 동일합니다. 두번째 것보다 첫 번재 것을 더 성호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지금까지 r개의 행을 출력했따고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1부터 번호를 매긴다면? 이제막 r번째 행을 출력하려는 찰나라고 정의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한 구문은 불변식으로 정당치 않습니다. 왜냐하면, while조건식을 마지막으로 검사할때, rows+1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우리가 원하는 것은 rows행만을 출력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r번째 행을 막 출력 하려던 것이 아닌 셈이 됩니다. 지금까지 r-1개의 행들을 출력했다고 불변식을 정의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불변식을 그런식으로 정의 햇다면, r을 0부터 시작시켜 단순화 시키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요?
         조건식이 r!=rows라면, 루프가 끝날 때 r==rows라는 사실을 알수 있습니다. 불변식은 r개의 행을 출력했따는 사실을 말해 주기 때문에, 정확히 rows개의 행을 출력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만약 조건식이 <=rows라면, 그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은 최소한 rows개의 행을 출력했다는 사실 뿐입니다. 따라서 그 이상을 출력했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0부터 번호를 매기게 되면 정확히 rows번의 반복을 수행했는지 확실히 하고자 할 때, R!=rows를 조건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복횟수가 rows번 또는 그 이상이 되기만을 원한다면, r<row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1부터 번호를 매기다면 최소 rows번의 반복만을 원할때 r<=row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rows가 정확한 숫자가 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런 경우에는 좀더 복잡한 조건식인 r==rows+1과 같은 방법을 사용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복잡하게 해서 얻을수 있는 이득은 거의 없습니다.
  • 오목/재니형준원 . . . . 10 matches
         #endif // _MSC_VER > 1000
          COmokDoc* GetDocument();
          virtual BOOL PreCreateWindow(CREATESTRUCT& cs);
          virtual void OnEndPrinting(CDC* pDC, CPrintInfo* pInfo);
         #endif
          afx_msg void OnLButtonDown(UINT nFlags, CPoint point);
         inline COmokDoc* COmokView::GetDocument()
          { return (COmokDoc*)m_pDocument; }
         #endif
         #endif // !defined(AFX_OMOKVIEW_H__95EACAA5_FAEA_4766_A6B3_6C6245050A8B__INCLUDED_)
         #include "omokDoc.h"
         #endif
          ON_WM_LBUTTONDOWN()
         END_MESSAGE_MAP()
         BOOL COmokView::PreCreateWindow(CREATESTRUCT& cs)
          // TODO: Modify the Window class or styles here by modifying
          return CView::PreCreateWindow(cs);
          COmokDoc* pDoc = GetDocument();
          ASSERT_VALID(pDoc);
          return DoPreparePrinting(pInfo);
  • 정모/2011.4.11 . . . . 10 matches
          * 4월 30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https://tumblbug.com/letstudent LETStudent]가 있습니다. 매우 재미있는 시간이 것 같아요. 함께가요~
          * 항상 그렇듯 정모할때 궁금한건 Ice Breaking 시간이군요. 녹화 재방이라도 제발 보고싶은 마음입니다. 정모시간에 소개해주신 LETSudent는 참석해봐야겠습니다. 유익한 정보군요. 새로온 21기 학우들 반갑습니다. 얼굴 기억했어요. Zeropage의 생활을 맘껏 즐겨보아요. 새얼굴들이 보였는데 이제 새로 새내기들을 한번 정모에 참여할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잠깐 들었던 시간입니다. 권순의 학우의 OMS는 배경이 아야나미 레이라서 기쁨반 안타까움 반으로 배경을 지켜보았고 안티짓도 좀 올렸었습니다만, 그거 알잖아요 안티도 팬입니다. OMS에서 소개된 노래들에 대해 다시한번 들어보고 생각해보게 되었던 시간은 기쁩니다. 창작자의 의미가 가득차있는 것을 알게해주었으니까요. 그사람들도 기쁠겁니다. 회장님이 만들으셨던 스피드 퀴즈는 정말 신선했어요. '우리도 올해는 이런 레크레이션을 다하는구나'는 뿌듯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 이런거 좋아하니까요. 저도 어느정도 공통된 경험이 쌓인사람들과 만난다면 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다음주 소풍은 정말 꽃이 만발했으면 좋겠단 생각이드네요 한번 이건 알아봐야겠습니다. 비는 안오겠죠. 시험기간 전이라 걱정이 사람도있겠지만 경험상, 시험기간 전에는, 시험기간 중에는, 시험기간 후에는 노는겁니다. Enjoy EveryThing이죠. 항상 늦지만 이렇게라도 정모에 참석해서 후기를 남길수있는게 가장 즐겁습니다. 다음주에는 즐거운 소풍준비를 해가야겠군요 - [김준석]
          * 이번 정모에는 11학번 학우분들이 참여하여 반가웠습니다. Ice Breaking때는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다들 웃으면서 ㅎㅎ 재미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일일 퍼실리테이터... 어떤 느낌일지는 모르겠지만 한번 해 보는 것도 재밌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이번 OMS를 진행하면서.. 음... 역시 배경이 문제였었던 같습니다 -ㅅ-;; 그리고 생각했던거 보다 머리속에 있는 말이 입 밖으로 잘 나오지를 않아가지고 제가 생각했던 것들을 모두 전달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음악을 좋아하다 보니까 영화나 TV를 보다가 아는 음악이 나오면 혼자 반가워 하고 그랬는데,, 그 안에 있는 의미를 찾아보는 일은 많이 하지 않았었습니다. 다만, 이런걸 해 보겠다고 생각했던게 아이언맨 2 보다가 (보여드렸던 장면에서) 처음에는 Queen의 You're my Best Friend라는 노래로 생각하고 저 장면과 되게 모순이다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노래가 아니라 다른 노래라 조금 당황했던 것도 있고, 노래 가사를 보면서 아 이런 의미가 있을 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것 저것 찾아보게 되었던 것이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 스피드 퀴즈는 그동한 제로페이지에서 했던 것들이 많았구나 라는 생각과 함께, 제가 설명하는데 윤종하 게임이 나올줄이야 이러면서 -ㅅ-;; ㅋㅋㅋ 마지막으로 다음주 소풍 기대되네요 ㅋ - [권순의]
          1. Ice Breaking을 제가 많이 해 본 것은 아니라 원활한 진행이 잘 안 되네요. 당장은 할 일들이 쌓여있으니 바로 공부하겠다고 하면 거짓말이 테고… 방학 중에 Ice Breaking에 대해 알아보고 2학기땐 더 즐거운 시간이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 처음 참여한 제페 정모! 재밌었습니다.ㅋㅋ 재밌는 아이스브레이킹. 처음이라 그런지 적정 수준의 문제를 내는게 꽤 난감했고... 제페에 현재 어떤 스터디가 진행중인지 알게 됐습니당, 그리고 ACM 스터디가 열리면 참가하게 것 같구요ㅋㅋ, 현재 웹 구축을 진행하고 있어서 자바스크립트도 관심이 있는데, 지금은 데이터베이스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는 커녕 코딩도 못하고 DB만 만들고 없애고 반복 중이라 ㅜㅜ엉엉.. 디비짜고 기본틀 갖춰지면 HTML, CSS, PHP 거치고 나서야 자바스크립트를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처음 본 OMS는 어째서인지 배경화면만 기억에 남아있네요...ㅋㅋㅋ 수업 듣고 과제하고 놀고만 반복하다가 오랜만에 신선한 자극을 받은거 같습니당. 다음주는 갈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ㅜㅜ 선형대수학+동양철학의 압박;; 주자의 격물치지에 대해 아시는 분??! - [정진경]
          * 저는 횟수로 따지자면 이번이 두번째로 참여하게 되는건데, 좀 제대로 참여한건 오늘이 처음이라 어떨지 많이 개대됐어요. Ice Breaking도 좀 더 재밌게 쓸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남네요. 또, 중간에 스터디 소개같은거 하는데서는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지.... 라는 것도 좀 있었구요. OMS는 매트릭스가 제일 기억에 남...는 다고 하면 거짓말이겠고.. (배경이..) 사실 OMS하는게 상당히 많이 전문적인(저번에 현이형이 준비하는거 봤거든요.)걸 하는 줄 알았는데 꼭 그런건 아닌거 같아 좀 쉽게 다가온거 같아 좋았어요. 근데 갑자기 궁금한게.. 위키에 두명이 동시에 수정하게 되면 어떻게 까요? 앞에 저장한 사람의 내용이 씹히게 까요;? - [김태진]
  • AcceleratedC++/Chapter1 . . . . 9 matches
          std::cout << "Hello, " << name << "!" << std::endl;
          // build the message that we intend to write
          std::cout << std::endl;
          std::cout << first << std::endl;
          std::cout << second << std::endl;
          std::cout << "* " << greeting << " *" << std::endl;
          std::cout << second << std::endl;
          std::cout << first << std::endl;
         초기화, end-of-file, buffer, flush, overload, const, associativity(결합방식), 멤버함수, 기본 내장 타입, 기본타입(built-in type)
  • CPPStudy_2005_1/STL성적처리_2 . . . . 9 matches
         double total(const vector<int>&);
          double accu(const vector<int>&) = total);
          while(getline(fin, line)) {
         double total(const vector<int>& grades) {
          return accumulate(grades.begin(), grades.end(), 0.0);
          double accu(const vector<int>&)) {
          iter != record.end();
          grades != (iter->second).end();
          cout<<endl;
  • CollectionParameter . . . . 9 matches
         ComposedMethod의 단점중 하나는, 작은 메소드들 사이의 연관때문이다. 큰 메소드 하나에서 공유되었던 임시 변수들이, 이제는 작은 메소드들 사이에 공유된다. 가장 해결하기 쉬운 방법은 ComposedMethod를 없애고 다시 하나의 큰 메소드에 다 때려넣는 것이지만, 안좋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는 이 작은 메소드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임시 변수를 멤버변수에 넣는 것이다. 이것은 객체의 생명기간 동안 유효한게 아니라, 저 메소드들이 실행때에만 유효하다. 역시 안좋다.
          for(vector<People>::iterator it = result.begin() ; it != result.end() ; ++it)
          for(vector<People>::iterator it = result.begin() ; it != result.end() ; ++it)
          for(vector<People>::iterator it = result.begin() ; it != result.end() ; ++it)
          for(vector<People>::iterator it = result.begin() ; it != result.end() ; ++it)
          return marriedMen() + unmarriedMen(); // 지 안지는 모르겠지만 된다고 가정하자.
          for(vector<People>::iterator it = result.begin() ; it != result.end() ; ++it)
          for(vector<People>::iterator it = result.begin() ; it != result.end() ; ++it)
  • DPSCChapter2 . . . . 9 matches
         Before launching into our descriptions of specific design patterns, we present a case study of sorts, involving multiple patterns. In the Design Pattern preface, the Gang of Four speak about moving from a "Huh?" to an "Aha!" experience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design patterns. We present here a little drama portraying such a transition. It consists of three vignettes: three days in the life of two Smalltalk programmers who work for MegaCorp Insurance Company. We are listening in on conversations between Don (an object newbie, but an experienced business analyst) and Jane (an object and pattern expert). Don comes to Jane with his design problems, and they solve them together. Although the characters are fictitious, the designs are real and have all been part of actual systems written in Smalltalk. Our goal is to demonstrate how, by careful analysis, design patterns can help derive solutions to real-world problems.
         디자인 패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우리는 다양한 패턴들이 포함된 것들에 대한 예시들을 보여준다. 디자인 패턴 서문에서 GoF는 디자인 패턴을 이해하게 되면서 "Huh?" 에서 "Aha!" 로 바뀌는 경험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는 여기 작은 단막극을 보여줄 것이다. 그것은 3개의 작은 이야기로 구성되어있다 : MegaCorp라는 보험회사에서 일하는 두명의 Smalltalk 프로그래머의 3일의 이야기이다. 우리는 Don 과(OOP에 대해서는 초보지만 경험있는 사업분석가) Jane (OOP와 Pattern 전문가)의 대화내용을 듣고 있다. Don 은 그의 문제를 Jane에게 가져오고, 그들은 같이 그 문제를 해결한다. 비록 여기의 인물들의 허구의 것이지만, design 은 실제의 것이고, Smalltalk로 쓰여진 실제의 시스템중 일부이다. 우리의 목표는 어떻게 design pattern이 실제세계의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가져다 주는가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Our story begins with a tired-looking Don approaching Jane's cubicle, where Jane sits quietly typing at her keyboard.
         우리의 이야기는 지친표정을 지으며 제인의 cubicle (음.. 사무실에서의 파티클로 구분된 곳 정도인듯. a small room that is made by separating off part of a larger room)로 가는 Don 과 함께 시작한다. 제인은 자신의 cubicle에서 조용히 타이핑하며 앉아있다.
         Don : Hey, Jane, could you help me with this problem? I've been looking at this requirements document for days now, and I can't seem to get my mind around it.
         Jane : That's all right. I don't mind at all. What's the problem?
         Don : It's this claims-processing workflow system I've been asked to design. I just can't see how the objects will work together. I think I've found the basic objects in the system, but I don't understand how to make sense from their behaviors.
         제가 디자인부탁하는 것은 바로 이 요구-진행 작업흐름시스템 입니다. (그냥 영어 그대로 써도 것 같은데.. 대체할 용어가 생각안난다. 아, 어휘 딸려라. --;) 이 개체들이 어떻게 같지 작용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제가 생각하기론, 이 시스템에서의 기본적인 개체들은 찾은 것 같은데, 각 개체들의 행위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Jane : Can you show me what you've done?
         Don : Here, let me show you the section of the requirements document I've got the problem with:
          3. Provider/Plan Match. An automated process attempts to mach the plan (the contract unser which the claim is being paid) and the health care provider (e.g., the doctor) identified on the claim with the providers with which the overall claim processing organization has a contract. If there is no exact match, the program identifies the most likely matches based on soundex technology (an algorithm for finding similar-sounding words). The system displays prospective matches to knowledge workers in order of the likeinhood of the match, who then identify the correct provider.
          4. Automatic Adjudication. The system determines whether a claim can be paid and how much to pay if and only if there are no inconsistencies between key data items associated with the claim. If there are inconsistencies, the system "pends" the claim for processing by the appropriate claims adjudicator.
          5. Adjudication of Pended Claims. The adjudicator can access the system for a claim history or a representation of the original claim. The adjudicator either approves the claim for payment, specifying the proper amount to pay, or generates correspondence denying the claim.
  • HowManyZerosAndDigits/문보창 . . . . 9 matches
          double N; // number
          double B; // base
          double i;
          double nDigit; // how many digits?
          double temp;
          double backTemp;
          while (cin >> N >> B)
          while (true)
          cout << nZero << " " << int(nDigit) + 1 << endl;
  • ProjectVirush/Idea . . . . 9 matches
         의 게임도 이런 길을 걷지 않도록 노력은 해보아야 할것이다. 실시간이라고 해서 강한 인공지능을 부여했더니 몇년동안 자리를 비워도 꿋꿋하게 성장해서도 안된다. 또 규칙이 단순해서 오늘은 '성장' 내일은 '정지' 이런식으로 반복하면 수학적으로 최적화된 성장 알고리즘이 나온다. 와 같이 되면 재미가 없어질 것이다.
          위의 조건들과
          ( 이를 막기위해 플레이어는 DNA에 분열할 조건을 추가할 수 있지만 이는 추가적인 영양소의 소모를 의미한다.)
         조건에 따라 뭉치고 흩어지는 면역채제와 유사한 방식이 좋을꺼 같슴미다.
          페로몬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홀로 떨어진 백혈구를 습격하고 도망가는 게릴라 수법을 쓴다면 당해내지 못할 것 같기도 하네요. 일단 알려진 바이러스는 다음번에 무조건 잡을 수 있게 하는 걸까요?
          바이러스 빈도에 따라 해당 백혈구를 늘리는 방법도 생각 중인데, 무조건 잡게 하면 백혈구에 노출된 바이러스가 너무 취약할 것 같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리고 바이러스를 잡는건 제가 생각하기에는 무조건 잡았으면 합니다.
          사용자가 백신역할을 하는 사용자를 두는 방법도 있겠고, 게임 안에서 NPC나 거꾸로 생각해서 바이러스가 퇴치해야 하는 적으로 생각할 수 있겠네요. -- [Leonardong]
          전에 만들어 놓은 것이 파이썬이라서 이번에도 파이썬으로 할 예정이에요. -- [Leonardong]
  • STL/map . . . . 9 matches
         // for 에서 반복자 이용 순회
         for(map<int, int>::iterator i; i = m.begin() ; i != m.end() ; ++i) {
          << "value: " << (*i).second << endl;
          cout << "전화 번호부의 내용은 " <<endl;
          for ( ; i != directory.end();i++)
          << " 전화번호: " << (*i).second << endl;
          cout << "입니다. "<<endl;
          while( cin >> name ){
          if (directory.find(name) != directory.end())
  • TheKnightsOfTheRoundTable/김상섭 . . . . 9 matches
         void process(double a, double b, double c)
          double s = (a+b+c)/2.0;
          cout << "The radius of the round table is: 0.000" << endl;
          double temp = 2.0*sqrt(s*(s-a)*(s-b)*(s-c))/(a+b+c);
          cout << "The radius of the round table is: " << temp << endl;
          double a,b,c;
          while(cin >> a >> b >> c)
  • [Lovely]boy^_^/Diary/2-2-16 . . . . 9 matches
          * Today, All final-exams will end.
         DeleteMe) I envy you. In my case, all final-exams will end at Friday. Shit~!!! -_- Because of dynamics(In fact, statics)... -_-;; --["Wiz"]
          * It's 1st day of a winter school vacation. I must do a plan.
          * '''When I am given a motive, I can do the things extreme.'''
          * I studied Grammar in Use Chapter 39,40. I have not done study this book since then summer.--;
          * '''Don't write a big program when a little one will do.'''
          * I don't understand accuracy a world, view, projection matrix.--; I should study a lot more.
          * I had drunken with friend until A.M. 2:00. and had sung until A.M. 4:00--;
          * I don't know my drinking amount yet.--;
  • 데블스캠프2011/셋째날/RUR-PLE/송지원 . . . . 9 matches
          while(front_is_clear) :
         while front_is_clear():
          while(front_is_clear()) :
          while(front_is_clear()) :
         while front_is_clear() :
          while on_beeper() :
         while front_is_clear() :
         while carries_beepers() :
         while not on_beeper() :
  • 숫자를한글로바꾸기/정수민 . . . . 9 matches
         while (1) {
         while (ja_ris_soo>0) {
          // 숫자를 출력한다. 여기서 "input[ dummy_ja_ris_soo - ja_ris_soo ]"이조건은 시작을 //
          // else if 부분은 시작부분은 무조건 숫자를 출력한다는 조건이다. /
          // 이조건은 0인부분은 작은자리단위를 출력하지 않는다는 조건이다. /
          // 큰 자리단위를 출력한다. "(ja_ris_soo-1)%4==0"이조건은 숫자의 뒤에서부터 4개단위로 //
          // '만','억','조'를 출력하는 조건이다. /
  • 숫자야구/문원명 . . . . 9 matches
          do
          } while(ans[1] == ans[0]);
          do
          } while((ans[2] == ans[0]) || (ans[2] == ans[1]));
          cout << ans[0] << "\t" << ans[1] << "\t" << ans[2] << endl << endl;
          do
          cout << "strike = " << strike << "\t ball = " << ball << endl;
          }while(strike != 3);
  • 코드레이스/2007/RUR_PLE . . . . 9 matches
          *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때는 반복을 하지 마라.
         http://rur-ple.sourceforge.net/images/newspaper_end.png
         http://rur-ple.sourceforge.net/images/move_pick_end.png
          * 아그래 그림처럼 로봇이 방안을 한바퀴돌게 해보자. 방 크기에 따라서 반복 횟수를 다르게 해줘야 한다. 크기가 5라면 5*4=20 이런식으로..
         == while ==
          while next_to_a_carrot():
          * while문을 사용하여 중복된 씨앗의 개수가 2 이상인 임의의 개수일 경우에도 처리 가능하게 위 소스를 수정한다.
         http://rur-ple.sourceforge.net/images/sort1_end.png
         http://rur-ple.sourceforge.net/images/sort3_end.png
  • A_Multiplication_Game/권영기 . . . . 8 matches
         long long int n, start1, end1, start2, end2;
          while(scanf("%lld", &n) == 1){
          while(1)
          end1 = start2 - 1;
          if(start1 <= 1 && 1 <= end1)break;
          swap(end1, end2);
  • C++스터디_2005여름/학점계산프로그램/문보창 . . . . 8 matches
         #endif
          double grade[4]; // 4과목 점수
          double average; // 평점
         #endif
          static double ital_grade[9] = {4.5, 4.0, 3.5, 3.0, 2.5, 2.0, 1.5, 1.0, 0.0};
          // 해당 학점을 double형 숫자로 1대 1 로 변환 시켜 입력
          double sum = 0.0;
          cout << "학번 : " << number << " 평점 : " << average << endl;
  • CubicSpline/1002/NaCurves.py . . . . 8 matches
          controlPointListY.append(givenFunction(x))
          return self.controlPointListX[self.getFirstPiecePoint(i) : self.getEndPiecePoint(i)]
          def getEndPiecePoint(self, i):
          self.doublePrimeListY = self._makeDoublePrimeY()
          return (self.getDoublePrimeY(i+1) - self.getDoublePrimeY(i)) / (6 * self.deltaX(i))
          return (self.getDoublePrimeY(i) / 2)
          return (self.deltaY(i) / self.deltaX(i) ) - (self.deltaX(i) / 6) * (self.getDoublePrimeY(i+1) + (2*self.getDoublePrimeY(i)) )
          def getDoublePrimeY(self, i):
          return self.doublePrimeListY[i][0]
          cplY.append (givenFunction(x))
          matrixB.append([6 * ( self.deltaY(i)/self.deltaX(i) - self.deltaY(i-1)/self.deltaX(i-1) )])
          def _makeDoublePrimeY(self):
          tempY.append([0.0])
          row.append(0.0)
          matrix.append(row)
  • EightQueenProblem/nextream . . . . 8 matches
         처음엔 2차원 배열 메모리 공간을 두고 메모리 상에 체크해 가며 루프를 돌릴까 하다가 생각을 바꿔서 재귀호출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첫 문제에서 일단 제일 첫 퀸은 무조건 (0,0) 이라고 고정하고 재귀를 두번째 퀸부터 돌렸는데, 오히려 나중에 이 생각이 두번째 문제 풀때 딱 한글자만 바꿔서 적응이 되는 것을 가능케 한것 같습니다.
          for (var i=0; i<8; i++) document.write(positions[i] + " ");
          document.write("<br>");
          document.write("X");
          document.write("X");
          document.write("O");
          document.write("<br>");
          document.write("<br>");
  • Gof/Mediator . . . . 8 matches
         대게 다이얼로그의 도구들 사이에는 어떤 dependency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어떤 버튼은 어떤 입력 필드가 비어있을때는 비활성화 되어있는다. list box라 불리는 선택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는 것은 입력필드의 내용을 바꿀 것이다. 바꿔말하면, 입력필드에 문자를 타이핑하는 것은 자동적으로 리스트 박스에서 하나이상의 대응대는 입력을 선택하는 것이다. 한번 텍스트가 입력 필드에 나타나면, 다른 버튼들은 아마 활성화 것이다. 그래서 사용자가 텍스트로 어떤 일을 하게 하게할 것이다. 예를 들자면, 관련있는 것을 삭제하거나 변경하거나 하는 따위의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다이얼로그 박스들은 도구들 사이에서 다른 dependency들을 지닐 것이다. 그래서 심지어 다이얼로그들이 똑같은 종류의 도구들을 지닌다 하더라도, 단순히 이전의 도구 클래스들을 재사용 할 수는 없다. dialog-specific dependency들을 반영하기 위해서 customize되어져야 한다. subclassing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도구들을 Customize하는 것은 지루할 것이다. 왜냐하면 많은 클래스들이 그렇게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방법은 colleague들이 보다 더 직접으로 communication할 수 있도록 특별한 interface를 mediator에게 심는 것이다. 윈도우용 Smalltalk/V가 대표적인 형태이다. mediator와 통신을 하고자 할 때, 자신을 argument로 넘겨서 mediator가 sender가 누구인지 식별하게 한다. Sample Code는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Smalltalk/V의 구현은 Known Uses에서 다루기로 하겠다.
         윈도우용 Smalltalk/V의 application구조는 mediator 구조에 가반을 두고 있다.[LaL94] 그런 환경에서 application은 윈도우를 pane들의 모음으로 구성하고 있다. library는 몇몇의 이미 정의된 pane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자면 TextPane, ListBox, Button등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pane들은 subclassing없이 이용 수 있다. Application 개발자는 단지 inter-pane coordination할 책임이 있는 ViewManager만 subclassing할 수 있다. ViewManage는 Mediator이고 각각의 pane들은 자신의 owner로서 단지 자신의 ViewManager를 알고 있다. pane들은 직접적으로 서로 조회하지 않는다.
         SmallTalk/V는 Pane-ViewManager 통신을 위해 event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어떤 pane은 어떤 정보를 mediator로 부터 얻기 원하거나 어떤 의미있는 일이 발생해서 이를 mediator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event를 생성한다. 하나의 event는 그 event를 식별하는 symbol을 정의한다. 그 event를 다루기 위해서 ViewManager는 pane에 method selector를 등록한다. 이 selector는 event의 handler이다. 이것은 event가 발생한 때면 언제든지 수행 것이다.
         MediatorPattern의 또다른 application은 coordinating complex updates에 있다. 하나의 예는 Observer로서 언급되어지는 ChangeManager class이다. ChangeManager는 중복 update를 피하기 위해서 subjects과 observers중간에 위치한다. 객체가 변할때, ChangeManager에게 알린다. 그래서 ChangeManager는 객체의 dependecy를 알리는 것으로 update를 조정한다.
  • HowManyFibs?/하기웅 . . . . 8 matches
         char start[101], end[101];
         int output(BigInteger startNum, BigInteger endNum)
          if(fibNum[i]>=startNum && fibNum[i]<=endNum)
          while(cin>>start>>end)
          if(start[0] == '0' && end[0] =='0')
          cout << output(convertBig(start), convertBig(end)) << endl;
  • IsBiggerSmarter?/문보창 . . . . 8 matches
          while (fin >> e[count].weight >> e[count].IQ)
         // cout << e[t].index << " " << e[t].weight << " " << e[t].IQ << endl;
         // end
          cout << max_count << endl;
          cout << result[i] << endl;
          while (cin.peek() != EOF)
          cout << len << endl;
          cout << result[i] << endl;
  • PairProgramming . . . . 8 matches
          * 해당 시간 내 집중도의 상승, Pair Pressure - 평소 프로그래밍 외의 것(프로그래밍 중 음악듣기, 쓸데없는 웹서핑, 메일 읽기)에 대한 잡음을 없앤다. 작업 자체에만 몰두하게 해준다. ["TestDrivenDevelopment"] 와 상호작용이 빠른 언어(["Python"] 등..)를 이용하면 Feedback 이 빠르므로 집중도가 더 높아진다.
          * Pair 중 Expert는 Junior에게 많은 설명을 해줘야 한다? - 이는 Junior 의 Feedback 을 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 처음부터 Expert 가 꼭 '선생님'이 필요는 없다.
          * Pair 의 진행을 이끌어가는 것 - 프로그래밍의 흐름이라고 해야 할까. 디자인을 어느정도 선정도로 맞추고 어떠한 문제를 풀 것인가에 대한 약간의 선이 필요할 것 같다. 이 경우에는 초반 디자인이 허술했었다는 약점이 있었다. '전체적인 관점에서 무엇무엇을 하면 프로그램이 완성 것이다' 라는 것. UserStory 만 생각하고 EnginneringTask 를 간과한 것이 큰 문제였다. (그때 EnginneringTask 에 대한 개념이 없었었다는. 어디서 함부로 주워만 지식. --; 사고를 하자 사고를. -_-)
          * 집중 - 이번 경우에는 '시간제한' 이라는 것까지 있어서인지; 석천은 더더욱 프로그래밍 자체에 집중했다. (스크립트 언어 스타일의 접근방법과 이전의 TDD 연습도 한몫 거든듯. 조금씩 만들고 결과 확인해보고 조금 또 만들어보고 결과 확인을 했다. 단, 이번엔 Test Code 를 안만들어서, 뒤에가서 버그가 났을때 대체를 못했다는.-_-; 잘때는 문제가 아니다. 잘 안때, 문제상황에 대한 대처가 중요하다고 생각.)
          function Execute(){ odbc_do(); }
          case Odbc: odbc_do();
         나는 이에 대해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여러개의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게 경우 여러개의 추가적인 파일들을 관리해야 지도 모른다고 했다. 그리고 new SqlConnection(); , new MySqlConnection()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직관적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 ProjectPrometheus/CookBook . . . . 8 matches
         regular expression 패턴을 정의하기 위해서 ["Komodo"] 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Seminar:TddRegularExpression 을 시도해보는 것도 좋다. ["1002"] 는 Python Interpreter 를 이용, 표현식을 찾아냈다.
         public class HelloWorldApp extends HttpServlet {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httpServlet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Python 에서는 urllib 와 httplib 를 이용한다. Python document 의 httplib - examples 를 참조하면 GET 의 예와 POST 의 예가 나온다.
         ["cookieSend.py"]
         root 디렉토리는 <doc-dir> 태그부분을, port 는 <http port='____'> 부분을 수정한다.
         resin 에서 홈 디렉토리를 변경하거나 resin 이 실행때 기본적으로 생기는 디렉토리들(example 등)이 있다.
          while (rs.next()) {
  • Robbery/조현태 . . . . 8 matches
         #include <Windows.h>
         #define DONT_MOVE_POINT 1
          g_cityMap[receiveTime - 1][i][j] = DONT_MOVE_POINT;
          if (DONT_MOVE_POINT == g_cityMap[nowTime][nowPoint.x][nowPoint.y])
          if (g_saveMessageTime.end() == find(g_saveMessageTime.begin(), g_saveMessageTime.end(), receiveTime - 1))
          cout << "Robbery #" << testCaseNumber << ":" << endl;
          cout << "The robber has escaped." << endl;
          cout << "Time step " << i + 1 << ": The robber has been at " << g_maxPoints[0][i].x + 1 << "," << g_maxPoints[0][i].y + 1 << "." << endl;
          cout << "Nothing known." << endl;
          cout << endl;
  • Self-describingSequence/1002 . . . . 8 matches
          while e!=n+1:
          end = start + repeat - 1
          table.append((start,end))
          while True:
          end = start + repeat - 1
          table.append((start,end))
  • ServerBackup . . . . 8 matches
          * (./) http://www.pixelbeat.org/docs/screen/
          * (./) sudo 권한 설정
          * {{{/etc/group}}} 에 admin 그룹에 원하는 사용자 추가, {{{/etc/sudoers}}}에서 사용자 제거
          * http://docs.python.org/library/ftplib.html
          f = open(filename,'rb') # file to send
          s.storbinary('STOR %s'%filename, f) # Send the file
          * 해결 ~ {{{/etc/resolv.conf}}} 에 무료 dns 서버 등록 후 교내 서버는 가장 마지막 순위로 변경 http://theos.in/windows-xp/free-fast-public-dns-server-list/
          * 문제 ~ sudo 가 안됨
  • SpiralArray/영동 . . . . 8 matches
         const int DOWN=1;
         bool isEnd(int endCount);//루프 끝날지 검사
          do
          }while(isEnd(countMove));//종료조건
         bool isEnd(int endCount)
          if(endCount<MAX_X*MAX_Y)
          cout<<"시작 점의 x좌표는?"<<endl;
          cout<<"시작 점의 y좌표는?"<<endl;
  • 논문번역/2012년스터디/이민석 . . . . 8 matches
         원문 URL: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6.6413&rep=rep1&type=pdf
         필기 줄을 전처리한 이미지는 특징 추출 단계의 입력 자료로 사용된다. sliding window 기법을 [11]이 설명하는 접근법과 비슷하게 적용한다. 우리의 경우 이미지의 높이와 열 네 개 크기의 창이 이미지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두 열씩 겹치면서 움직이고 기하 추출의 쌍을 추출한다.
         sliding window의 각 열에서 특징 7개를 추출한다. (1) 흑-백 변화 개수(windowed text image의 이진화 이후), (2) 베이스라인에 대한 강도 분포의 평균 값 위치, (3) 최상단 글자 픽셀에서 베이스라인까지의 거리, (4) 최하단 글자 픽셀에서 베이스라인까지의 거리, (5) 최상단과 최하단 텍스트 픽셀의 거리, (6) 최상단과 최하단 텍스트 픽셀 사이의 평균 강도, (7) 그 열의 평균 강도. 특징 (2)-(5)는 core size, 즉 하단 베이스라인과 상단 베이스라인(극대값을 통한 line fitting으로 계산)의 거리에 의해 정규화되어, 글씨 크기의 변동에 대해 더욱 굳건해진다. 그 후에 모든 특징은 윈도우의 네 열에 걸쳐 평균화된다.
         강도 분포의 평균값의 변화 뿐 아니라 하단 contour와 상단 contour의 방향을 고려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세 가지 방향성 특징을 계산한다. 말인 즉 우리는 네 lower countour 점, upper contour 점, sliding window 내 평균값을 통해 줄들을 재고 선 방향들을 (8), (9), (10) 특성으로 각각 사용한다. (뭔 소리) 더 넓은 temporal context를 고려하여 우리는 특징 벡터의 각 성분마다 근사적인 수평 미분을 추가로 계산하고 결과로 20 차원 특징 벡터를 얻는다. (윈도우당 특징 10개, 도함수 10개)
          * 보잉사의 공돌이들은 3D 모델링과 계산유체역학을 사용하여 차세대 상업 및 군사용 비행기를 설계한다. 이들은 비행기 주변의 기류를 시뮬레이션하고자 방정식과 변수를 대략 200만개 포함하는 일차 방정식을 반복하여 푼다. 이러한 거대한 방정식계를 현실적인 시간 내에 풀려면 분할 행렬(partitioned matrix)과 행렬 인수분해(matrix factorization)라는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
  • 데블스캠프2004/세미나주제 . . . . 8 matches
          혹은 확률 통계가 우리 삶과 얼마나 관련이 깊으며 컴퓨터가 확률 통계적 도구로 우리 삶에 얼마나 많은 도움이 수 있나
         데블스캠프가 일주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너무 스케쥴이 정해지지 않는 것 같아서 위와 같은 커리큘럼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강사의 스케쥴에 따라, 강사의 기호에 따라 날짜나 주제가 변경 수 있습니다. 더 좋은 의견 있으면 써주세요. --[신재동]
          * 월요일 처음 시작 3~4시간을 저 주시면 안까요? --NeoCoin
          정도로 계획을 짜 놓았는데 전부다하기에는 캠프의 첫날이 다 필요합니다. 월요일에 저렇게 예약된게 많으니, 3시간 정도만 해서 Wiki탐험과 ZeroPage역사+OT 정도만 진행할수 있으면 좋겠어요. 흐흐 벌써 [1002]를 섭외(?)해 놓았고, 다른 분들도좀 섭외를 해서 적절한 요일에 만나면 것 같습니다. :) --NeoCoin
          * 월요일 처음 시작 3~4시간을 저 주시면 안까요? 시작이 아니면 그리 큰 의미가 없는데요. 재동, 상규 의 그래픽스 시간이 힘든가요? --NeoCoin
          * 음 제가 알바 때문에 화목 밖에 참가를 못 할 거 같거든요. 그래서 목요일에 제가 해도 까요? --영동
         [STL]을 할때 단순히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방법을 같이 보는것도 중요하겠지만 내부구조 (예를 들어, vector는 동적 배열, list은 (doubly?) linked list..)와 같이 쓰이는 함수(sort나 또 뭐가있드라..그 섞는것..; ), 반복자(Iterator)에 대한 개념 등등도 같이 보고 더불어 VC++6에 내장된 STL이 ''표준 STL이 아니라는 것''도 같이 말씀해 주셨으면;; (SeeAlso [http://www.stlport.org/ STLPort]) - [임인택]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함수/문제풀이/윤성준 . . . . 8 matches
          cout << "1" << endl;
          cout << "2" << endl;
          cout << "3" << endl;
          cout << "4" << endl;
          cout << "5" << endl;
          cout << "6" << endl;
          cout << "7" << endl;
          cout << "공주" << endl;
  • 비밀키/황재선 . . . . 8 matches
          cout << "원본값" << endl;
          while(true)
          cout << endl;
          cout << "암호화" << endl;
          cout << endl;
          fout << endl;
          cout << "복호화" << endl;
          cout << endl;
  • 송년회 . . . . 8 matches
          예약 당연히 필요하다. 올 만한 사람 수의 2/3 정도로 예약 하면 듯 하다. --재동
          Good job!--[Leonardong]
         송년회야말로 OpenSpaceTechnology를 할 만한 좋은 기회가 아닐까 생각도 해봅니다. 친숙한 송년회는 아니겠지만요. --[Leonardong]
          콜! --[Leonardong]
         이런 연말모임도 해 보면 좋겠습니다.[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8&article_id=0000089874§ion_id=103&menu_id=103]--[Leonardong]
         그날 뒤풀이로 가기 전에 잠깐 이런 것도 해보면 좋겠습니다. 아이디어는 템플스테이에서 했던 유서쓰기 시간을 차용한 것입니다. A4용지 한 장과 펜을 나누어주고 (펜은 지참하는 사람이 많겠습니다만) 한 해를 되돌아보는 글쓰기를 해 봅니다. 단 시간은 너무 길지 않게 5분정도로 하고요. 그리고 사람들에게 자신이 쓴 그대로를 읽어줍니다. 템플스테이에서는 불을 전부 끄고 각자 촛불을 하나씩 켜고 이야기했는데, 그런 준비가 안 된다면 그냥 해도 좋겠습니다. --[Leonardong]
         [임인택]은 아르바이트 관계로 그날 관계자와 미팅을 갖게 것 같습니다(관계자라고 해봐야.. 우리과 졸업생이지만.. 단기알바라서 이번주말에 만나야 합니다). 저녁시간대에 잡혀있어서 힘들것 같네요.
         어, 나는 연락 못받았는데? 그리고 송년회에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지 정해진 바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그에 따라 출석여부가 결정 듯. --JuNe
  • CppStudy_2002_2 . . . . 7 matches
         || 자판기 ||["VendingMachine/세연"]||["VendingMachine/세연/재동"]||["VendingMachine/세연/1002"]||
         || 자판기 ||["VendingMachine/재니"]||||
          이것만 잘 따라가도 이번 방학 정말 뿌듯히 보내시게 것입니다 --재동
          * 우선은 세연이 누나꺼 부터 제가 고쳐야 부분을 고쳐보았습니다. 재니꺼도 곧 고칠수 있는 부분을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 ["Refactoring"] 책을 보고 있다면, 이번이 아마 Bad Smells 를 인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것임. ^^ --["1002"]
  • HardcoreCppStudy/첫숙제/Overloading/임민수 . . . . 7 matches
         함수의 이름은 같게 하되 전달인자들의 개수나 형식에 따라 다르게 사용 수 있도록 정의하는것을 말함..
          while ( cnt < num*num )
          cout << endl;
          cout << endl ;
          cout << endl << "총 이동 횟수는 " << cnt << "입니다. ";
          cout << endl ;
          cout << endl << "총 이동 횟수는 " << cnt << "입니다. ";
  • JavaStudy2002/상욱-2주차 . . . . 7 matches
          tempY = yRoach + roach.moveUpandDown();
          Random rand = new Random();
          public int randomNumber_1() {
          public int randomNumber_2() {
          public int moveUpandDown() {
          return (randomNumber_1()%3)-1; // -1 is left, 1 is right.
          return (randomNumber_2()%3)-1; // -1 is up, 1 is down.
  • JavaStudy2003/두번째과제/곽세환 . . . . 7 matches
         RandomWalk
          while (!bo.IsStepFull()) {
          do
          int dir = (int)(Math.random() * 8);
          } while (!SeeNextPos(bo, c_x, c_y));
          모듈성은 각각의 객체를 위한 소스코드가 서로 무관하게 유지 수 있다는 것이다.
         friendly(생략):같은 클래스, 같은 패키지내에 있는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 JavaStudy2004/자바따라잡기 . . . . 7 matches
          자바는 가전 제품에 들어갈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해 탄생했다. 자바를 개발한 사람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사의 제임즈 고슬링(James Gosling)이라는 사람이다. 그는 특정한 컴퓨터 칩에 대해 컴파일하여야 하는 널리 알려진 컴퓨터 언어인 C 언어의 문제점, 또 가전 제품의 긴 수명으로 인한 완벽한 호환을 가진 소프트웨어의 개발 요구, 가전 제품에 사용 소프트웨어의 높은 신뢰성 필요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 해야만 됬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슬링은 C와 C++를 개조해서 해결을 해보려고 시도를 했던 것이다.그래서 C언어의 불필요한 부분이나 문제가 부분들을 제거한 새로운 언어를 개발하게 되였는데, 이것이 바로 자바인 것이다. 최초로 자바를 이용한 프로젝트는 가전 제품과 전기 기기들을 통합하여 가정 환경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위 그린 프로젝트(Green Project)라는 것 이였다. 그러던 1993년, 그래픽 기반의 월드와이드웹이 발표되고 자바의 개발자들은 곧 이러한 웹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에는 자바와 같은 기기(컴퓨터 및 그 운영체제)로부터 독립된 언어가 이상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이 개발한 것이 나중에 핫자바(HotJava)로 이름이 바뀐 웹러너(WebRunner)라는 웹 브라우저였다. 이것이 최초로 자바를 지원한 웹 브라우저가 되었다. 자바라는 이름은 지역의 어느 커피점 안에서 얻었다. 그래서 지금은 웹 페이지에서 항상 끓고 있는 커피의 상징을 볼 수 있다.
          *1. 최근의 컴퓨터 분야의 용례에서, 가상머신은 자바 언어 및 그 실행 환경의 개발자인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의해 사용된 용어이며, 컴파일된 자바 바이너리 코드와, 실제로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또는 하드웨어 플랫폼) 간에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가리킨다. 자바 가상머신이 일단 한 플랫폼에 제공되면, 바이트코드라고 불리는 어떠한 자바 프로그램도 그 플랫폼에서 실행 수 있다. 자바는, 응용프로그램들이 각각의 플랫폼에 맞게 재작성 되거나, 다시 컴파일하지 않아도 모든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자바 가상머신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 자바 가상머신의 규격은 실제 "머신"(프로세서)이 아닌 추상적인 머신을 정의하고, 명령어 집합, 레지스터들의 집합, 스택, 가배지를 모은 heap, 그리고 메쏘드 영역 등을 지정한다. 이러한 추상적, 혹은 논리적으로 정의된 프로세서의 실제 구현은, 실제 프로세서에 의해 인식되는 다른 코드, 혹은 마이크로프로세서 그 자체에 내장 수도 있다. 자바 소스 프로그램을 컴파일한 결과를 바이트코드라고 부른다. 자바 가상머신은, 실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명령어에 그것을 대응시키면서 한번에 한 명령어씩 바이트코드를 해석하거나, 또는 그 바이트코드는 실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맞게 JIT 컴파일러라고 불리는 것을 이용해 나중에 컴파일 수도 있다.
          * http://zeropage.org/~iruril/jdk-1_5_0_01-windows-i586-p.exe
         http://java.sun.com/docs/books/tutorial/getStarted/cupojava/index.html
  • JollyJumpers/황재선 . . . . 7 matches
          * TODO To change the template for this generated file go to
          * Window - Preferences - Java - Code Style - Code Templates
          while(true) {
          * TODO To change the template for this generated file go to
          * Window - Preferences - Java - Code Style - Code Templates
          while (i.hasNext()) {
          while(true) {
          * TODO To change the template for this generated file go to
          * Window - Preferences - Java - Code Style - Code Templates
         public class TestJollyJumpers extends TestCase {
  • OurMajorLangIsCAndCPlusPlus/2006.2.06/허준수 . . . . 7 matches
          //friend ostream& operator << (ostream& o, myString &s);
          cout << s[2] << endl;
          cout << s<<endl;
          cout << s1 << s2 <<endl;
          cout << s << s.length() << endl;
          cout << s2 <<endl;
          cout << "input string : " << s <<endl;
  • ReverseAndAdd . . . . 7 matches
         일단 어떤 수를 받아서 그 수를 뒤집은 다음 뒤집어진 수를 원래의 수에 더하는 과정을 뒤집어서 더하기라고 부르자. 그 합이 회문(palindrome, 앞뒤 어느 쪽에서 읽어도 같은 말이 되는 어구. 예:eye, madam, 소주만병만주소)이 아니면 회문이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처음에 195에서 시작해서 다음과 같이 네 번 뒤집어서 더하기를 반복하면 9339라는 회문이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정수는 이 방법을 몇 단계만 반복하면 회문이 된다. 하지만 예외도 있다. 회문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밝혀진 첫번째 수는 196이다. 하지만 회문이 없다는 것이 증명된 적은 없다.
         어떤 수가 주어졌을 때 회문이 있으면 출력하고, 그 회문을 찾기까지 뒤집어서 더하기를 반복한 횟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테스트 데이터로 쓴이는 수는 모두 뒤집어서 더하기를 1,000번 미만 반복해서 회문을 찾을 수 있는 수고, 그렇게 만들어진 회문을 4,294,967,295보다 크지 않다고 가정해도 된다.
         N개의 각 정수에 대해 회문을 발견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반복 횟수를 출력하고, 스페이스를 한 칸 출력한 다음, 그 회문을 출력한다.
  • Ruby/2011년스터디/서지혜 . . . . 7 matches
          * windows API로 프로세스의 정보 받아오기 ([http://sosal.tistory.com/100 원본])
         #include <Windows.h>
          do{
          }while(Process32Next(hProcessSnap, &pe32));
         #include <Windows.h>
          do{
          }while(Process32Next(hProcessSnap, &pe32));
  • Temp/Commander . . . . 7 matches
         #VendingMachineCommander.py
         import VendingMachineParser
          self.parser = VendingMachineParser.Parser()
          self.doc_header = "Type 'help <topic>' for info on:"
          self.intro = 'Welcome to Vending Machine Simulator!\n'\
          self.undoc_header = ''
          def do_quit(self,line):
  • TheTrip/문보창 . . . . 7 matches
          while (cin >> n)
          while (cin.peek() != 'n')
          int dollor, cent;
          for (i=0; i<count; i++) // dollor단위로 출력
          dollor = ex[i]/100;
          cout << "$" << dollor << ".";
          cout << endl;
  • eXtensibleStylesheetLanguageTransformations . . . . 7 matches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 or XSLT, is an XML-based language used for the transformation of XML documents. The original document is not changed; rather, a new document is created based on the content of an existing one. The new document may be serialized (output) by the processor in standard XML syntax or in another format, such as HTML or plain text. XSLT is most often used to convert data between different XML schemas or to convert XML data into web pages or PDF documents.
         XSLT was produced as a result of the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XSL) development effort within W3C during 1998–1999, which also produced XSL Formatting Objects (XSL-FO) and the XML Path Language, XPath. The editor of the first version (and in effect the chief designer of the language) was James Clark. The version most widely used today is XSLT 1.0, which was published as a Recommendation by the W3C on 16 November 1999. A greatly expanded version 2.0, under the editorship of Michael Kay, reached the status of a Candidate Recommendation from W3C on 3 November 2005.
  • html5/communicationAPI . . . . 7 matches
          window.onmessage = function(e) {
          window.addEventListener("message", function(e) {
          var destFrame = document.getElementById("message-dest");
          destFrame.contentWindow.postMessage("메세지 내용", /*포트 생략가능*,/ "http://desc.example.com");
          * 주의 : 배열안에 null이 포함 때, 이전에 postMessage()의 인수로 전달된 적이 있는 포트가 포함 때, 한 채널의 포트1과 포트2가 동시에 포함
  • zennith/source . . . . 7 matches
          do fac *= num; while (--num);
          time_t start, end;
          end = clock();
          while (arr[i] != 0)
          printf("\n%f\n", (double)(end - start) / CLK_TCK);
  • 가위바위보/성재 . . . . 7 matches
          while(fin.get(ch))
          cout << "이선호의 이긴 수는 " << win <<"번이고," <<endl
          <<"진 횟수는 "<< lose <<"번이고,"<< endl
          <<"비긴횟수는 "<< moo <<"입니다."<<endl;
          cout << "\n\n"<<"강인수의 이긴 수는 " << lose <<"번이고," <<endl
          <<"진 횟수는 "<< win <<"번이고,"<< endl
          <<"비긴횟수는 "<< moo <<"입니다."<<endl;
  • 만년달력/강희경,Leonardong . . . . 7 matches
          while (true)
          cout << "잘못 입력하셨습니다." << endl;
          cout << "====================================================" << endl
          << "일\t월\t화\t수\t목\t금\t토" << endl;
          cout << endl; //다음줄로 가고
          cout << endl << "====================================================" << endl;
  • 이영호/미니프로젝트#1 . . . . 7 matches
          while(1){
          send(sockfd, msg, strlen(msg), 0);
          send(sockfd, msg, strlen(msg), 0);
          send(sockfd, msg, strlen(msg), 0);
          send(sockfd, "join #linuxn", 12, 0);
          while(1){
          send(sockfd, msg, strlen(msg), 0);
  • 인수/Smalltalk . . . . 7 matches
          [a <= aTo] whileTrue: [
          [b <= 9] whileTrue:[
          numsOfWalked do: [ :val | val = 0 ifTrue: [^false] ].
          newValue := num + 3 atRandom - 2.
          [ aBoard isAllPut = false. ] whileTrue: [ self moveOne:aBoard. ].}}}
          * 짜놓고 생각 : 이건 스몰토크프로그래밍이 아니다. C++/Java의 냄새가 너무 많이 나는것 같다. 부분부분을 좀더 간단하게 할 수 있을것 같기도 하다. 책을 더 봐야 할듯 싶다. 인스턴스 생성할때도 인자를 넘겨 받을 수 있을 텐데 잘 안된다.(지금 보니까 그렇게 하지 말라 한다. 대충 찾아보니 팩토리 메소드를 많이 쓰는것 같다. 또 클래스 메소드 만드는법 알아낼라고 줄기차게 삽질을 했다.--;) do라는 좋은게 있었군.
          * 스퀵 소스 옮기기 너무 힘들다. ㅠ.ㅠ 좀 더 커지면 어떻게 지... 흑 ㅠ.ㅠ
  • EnglishSpeaking/2012년스터디 . . . . 6 matches
          * Don't be nervous! Don't be shy! Mistakes are welcomed. We talk about everything in English.
          * We tried to do shadowing but we found that conversation is not fit to do shadowing.
          * Today, we were little confused by Yunji's appearance. We expected conversation between 2 persons but there were 3 persons who take part in episode 2. And we made a mistake about deviding part. Next time, when we get 3 persons' conversation again, we should pay attention to devide part equally. Or we can do line by line reading instead of role playing.
          * We decided to talk about technical subject freely, about 3 minutes in every month. It might be a little hard stuff at first time. But let's do it first and make it better gradually. Do not forget our slogan(?) - '''''Don't be nervous! Don't be shy! Mistakes are welcomed.'''''
  • HanoiProblem . . . . 6 matches
         재귀함수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 몇가지를 보여줍니다. 재귀함수 사용에도 그 종류가 다른데, 대표적인 종류들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 재귀함수라는 것이 이렇게도 사용 수 있구나!" 퍼뮤테이션/콤비네이션, 피보나치수열, 트리검색, 팩토리알, 조건문과 재귀호출로 반복문(while) 만들기 등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합니다.
         반대로 문제가 너무 단순해서 복잡할 경우에는 오히려 100개, 200개 등의 복잡/일반적인 경우를 생각하는 것이 도움이 수도 있습니다.
         종종 미로가 너무 복잡할 때 목적지에서 거꾸로 내려오는 것이 더 간단할 때가 있습니다. TestDrivenDevelopment도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컴퓨터에게 설명해 주고, 그 목적지에서 거슬러 내려옵니다.
         혹은, 중간을 끊어서 볼 수도 있습니다. 어찌되었건 모든 원반이 옮겨가려면 어느 순간엔가는 가장 큰 원반이 비어있는 막대기로 이동해 가야 합니다. 이 상황에서 가장 큰 원반이 있는 막대기에는 큰 원반 하나만 있을 것이고, 그 원반이 옮겨갈 막대기는 비어있어야 하므로, 결국 두개의 막대기가 모두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의 막대기에는 나머지 원반들이 모두 크기 순으로 쌓여있게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앞 뒤 상황을 생각해 보면 어떤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 OurMajorLangIsCAndCPlusPlus/XML/김상섭허준수 . . . . 6 matches
          while(temp->ptr != NULL)
          while(strtok(NULL, seps));
          // cout << text << endl;
          while(strtok(NULL, seps));
          while(fgets(line, 100, stream))
          while(temp != NULL)
  • R'sSource . . . . 6 matches
         while 1 :
          downUrl = 'http://www.replays.co.kr/technote' + matching.group(1)
          #print downUrl
          #print 'rep페이지 접근중 : %s' % downUrl
          aa = urllib.urlopen(downUrl)
         sys.argv.extend(['--packages', 'win32com'])
  • RandomWalk/성재 . . . . 6 matches
         Random Work...
          c = rand() % num; //end
          while(!quit)
          int q = rand() % 8; //end
          cout << endl;
         ["RandomWalk"]
  • Star/조현태 . . . . 6 matches
          for (map<SavePoint, int>::iterator i = points.begin(); i != points.end(); ++i)
         const int END_POINT_Y[4] = {6, 6, 7, 8};
          while (j < END_POINT_Y[i - 2])
          if (points.end() == points.find(SavePoint(x, y, z)))
          if (!(4 <= i && j == END_POINT_Y[i - 2] - 1))
          if (points.end() == points.find(SavePoint(x, y, z)))
          cout << GetMinimum() << " " << GetMaximum() << endl;
          cout << "NO SOLUTION" << endl;
  • UML/CaseTool . . . . 6 matches
         There is some debate among software developers about how useful code generation as such is. It certainly depends on the specific problem domain and how far code generation should be applied. There are well known areas where code generation is an established practice, not limited to the field of UML. On the other hand, the idea of completely leaving the "code level" and start "programming" on the UML diagram level is quite debated among developers, and at least, not in such widespread use compared to other [[software development]] tools like [[compiler]]s or [[Configuration management|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s]]. An often cited criticism is that the UML diagrams just lack the detail which is needed to contain the same information as is covered with the program source. There are developers that even state that "the Code ''is'' the design" (articles [http://www.developerdotstar.com/mag/articles/reeves_design_main.html] by Jack W. Reeves [http://www.bleading-edge.com/]).
         Reverse engineering encloses the problematic, that diagram data is normally not contained with the program source, such that the UML tool, at least in the initial step, has to create some ''random layout'' of the graphical symbols of the UML notation or use some automatic ''layout algorithm'' to place the symbols in a way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e diagram. For example, the symbols should be placed at such locations on the drawing pane that they don't overlap. Usually, the user of such a functionality of an UML tool has to manually edit those automatically generated diagrams to attain some meaningfulness. It also often doesn't make sense to draw diagrams of the whole program source, as that represents just too much detail to be of interest at the level of the UML diagrams. There are also language features of some [[programming language]]s, like ''class-'' or ''function templates'' of the programming language [[C plus plus|C++]], which are notoriously hard to convert automatically to UML diagrams in their full complexity.
  • 김신애/for문예제1 . . . . 6 matches
          cout<< i << "\t" <<11-i<<endl;
          cout << b <<"*"<<a<<"="<<a*b<<endl;
          cout << b <<"*"<<a<<"="<<a*b<<endl;
          cout << array[i] << endl;
          cout << array[i] << endl;
          cout << c << endl;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연습문제/if-else/윤성준 . . . . 6 matches
          while (1) {
          cout << endl << "50~100 까지 숫자 입력 :";
          cout << "3의배수" <<endl;
          cout << endl;
          cout << "5의 배수" <<endl;
          cout << "잘못입력" <<endl;
  • 데블스캠프2010/다섯째날/ObjectCraft/미션3/김상호 . . . . 6 matches
          while(!((a[0].hp<=0 && a[1].hp<=0) || (a[2].hp<=0 && a[3].hp<=0))) //0과 1이 죽으면 끝or 2와 3이 죽으면 끝
          int defenderunit = rand() % 2;
          attack(a[attackerTeam * 2 + attackerUnit],a[(!attackerTeam) * 2 + defenderunit]);
          while(!((a[0].is_dead() && a[1].is_dead()) || (a[2].is_dead() && a[3].is_dead()))) //0과 1이 죽으면 끝or 2와 3이 죽으면 끝
          int defenderunit = rand() % 2;
          a[attackerTeam * 2 + attackerUnit].attack(a[(!attackerTeam) * 2 + defenderunit]);
  • 비밀키/임영동 . . . . 6 matches
          while(!fin.eof())
          for(string::iterator i=str.begin();i!=str.end();i++)
          cout<<str<<endl;
          for(i=str.begin();i!=str.end();i++)
          fout<<str<<endl;
          cout<<"-> "<<str<<endl;
  • 새싹교실/2011/무전취식/레벨10 . . . . 6 matches
         아마 기계식 키보드는 못쓰고 무선 마우스가 선택것 같음. 끝.
          * 개념 정리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가르침이 없었습니다. 오늘의 집중 항목은 여러명이 코딩하는 방법과 직접 코딩을 해보는것이었죠. 지각에 대해서도 한마디했군요!! 지각할때 상대방의 양해를 구하지 않는것은 상대방에게 크나큰 실례입니다~ 모두 지각한다면 먼저 알려주는 센스쟁이가 되주세요. 오늘은 진경이가 와줘서 너무 기쁩니다. 든든한 조교가 있으니 강사가 무능해도 잘 진행되는군요. Show me the money!!! 담시간을 기대하시라!! 또한 태진이도 들으러와서 신나보이는 새싹이었습니다. 이런 수업방식이 적응이 안수도잇죠. 신나고 신나게 배우고 먹고 마시는것입니다. 이게 맞는지는모르겠지만 학생들이 모쪼록 제 배움을 즐겁게 받아들여주었스면 좋겠습니다. 다음시간에도 Coding Coding입니다!! 얏후!! 후기써라. - [김준석]
          * 으앜 오늘도 자느라 교양과목을 빼먹게되네요. 과제는 금요일 C수업까지 듣고 해보려고 합니다~ 코딩은 아무도 모르게 혼자 하는것이 편한것 같아요ㅋㅋ 누가 보고있으면 두려워서 제대로 못하겠어요. 자신감을 키우기위해 반복해서 코딩을 해보는게 관건이겠지요? 다음시간에도 코딩을 해야하니까 새싹교실수업에 앞서 코딩연습좀 해보고 수업에 임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주석달기 숙제 여기다 쓰는건줄 알았는데 소라가 안쓴거 보니까 다른곳에 올리는건가???? 주석도 짜면서 1,2번은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마지막 과제인데 어렵네요. 모든강의가 다 마지막 과제는 어렵게 나오나봐요ㅋ - [서원태]
          while (1) {
         // ! 가 입력때까지 영어단어 입력하기
          어려워요이이이이잉 ㅠㅠㅠ 30분안에 게 아닌데에에잉어우옹휴ㅗㅇ */
  • 새싹교실/2012/아우토반/앞반/5.10 . . . . 6 matches
          double d = 3.5;
          double * pD = &d;
          double * pD = &d; // pD는 d의 주소값, *pD는 d의 값
          printf("%d %d\n", sizeof(*pD), sizeof(pD)); // *pD의 문자열은 double(8), pD의 (주소값)문자열은 int(4)
          double d = 3.5;
          double * pD = &d;
  • 새싹교실/2012/주먹밥/이소라때리기게임 . . . . 6 matches
         " ,M7 DO?O~I= =+ZMDO= NNMO MZ ZM:$MN, ",
         " ZN ~$MM NDO MM88MO DMNO$I7I=: ",
         " ~MM= :$, ,MM$$8MMM8: =8NMDOMONM8 ",
          while(1){
          // 그리고 반복
          printf("\nDouble KO. 둘다 쓰러졌습니다.\n");
          break;//while문을 빠져나간다.
          while(select == -1){
          while(1){
          while(1){
  • 숫자를한글로바꾸기/허아영 . . . . 6 matches
          while(1)
          while(i < number_len)
          while(number > 9)
          while(1)
          while(i < number_len)
          while(number > 9)
  • 음계연습하기 . . . . 6 matches
         피터 드러커의 '''이노베이터의 조건''' 에서
          피아니스트는 연주 능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것 같지 않은 음계를 여러 달 동안 계속 연습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 연습이 피아니스트로 하여금 원하는 음악적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해준다. 외과 의사는 능숙한 수술 실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것 같지 않은 작은 손놀림을 익히기 위해 여러달 동안 계속해서 봉합용 실과 씨름을 한다. 외과 의사는 그 꾸준한 연습 덕분에 수술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게 되고, 그 결과 소중한 인명을 구하기도 한다. [[HTML(<FONT COLOR=RED>무언가를 성취하는 것은 반복적인 연습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FONT>)]]
         에릭슨(Ericsson)의 전문성(expertise)연구가 이쪽 방면에 유명합니다(see also http://www.vocationalpsychology.com/expertise.htm 및 각종 인지심리학 서적). 바이올린 전문가들에 대해 막대한 추적조사를 해보았는데, 그들의 실력은 자신이 바이올린 연습(정확히 말하면 deliberate practice)에 투자한 시간과 거의 비례했습니다. 하지만 에릭슨은 여기에 전제를 답니다. 단순한 반복 연습은 아무 도움이 안된다고 강조합니다. 자기 자신을 관찰하는 것, 그리고 피드백을 통해 재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아노 배울 때는 '하농'과 '체르니' 연습이 음계연습이었습니다. 프로그래밍에 있어 음계연습이 어떤 것이 수 있을지 전혀 감이 안 잡힙니다. 누구 자신만의 음계연습 알려주실 분 없나요? :) --[창섭]
  • 지금그때2005 . . . . 6 matches
         [Leonardong], [강희경], [이승한], [조동영], [윤성만], [황재선], [하욱주]
         아직 안 읽으신 분은 리허설 전에 할 일이 하나 있습니다. [지금그때]에 링크가 걸린 페이지를 읽어보세요. 2단계 정도 링크 걸린 페이지까지 읽어보면 적당합니다. --[Leonardong]
          [지금그때2005/준비물]에 포함시키면 되겠네~--[Leonardong]
          자봉단장에게 회의를 옮겨줄 수 있냐고 물었더니 생각해본다긴 했지. --[Leonardong]
         질문 레스토랑과 OST시간은 [http://zeropage.org/wikis/nowthen2004/%C1%F6%B1%DD%B1%D7%B6%A72005 지금그때위키]에 정리하여 [지금그때]가 누적 수 있도록 하는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네요.--[Leonardong]
  • 최소정수의합/허아영 . . . . 6 matches
          while(sum <=3000)
          while(sum <=3000)
          double n, sum;
          while(sum <=18000000000000000000)
         만약에 3000까지가 아닌 더 큰 수를 입력하고 프로그램을 돌려보시겠어요? 위의 코드에서 int 를 double 형으로 바꾸고 3000 대신 18000000000000000000 을 넣은 코드입니다. 한번 실행해 보세요. 더 나은 방법이 생각나실수도 있을것 같아요. 문제를 풀고 나서 어떤 점을 느끼셨나요? - 아무개
         [LittleAOI] [반복문자열]
  • 큐/Leonardong . . . . 6 matches
          while(true)
          cout << "1 : Push \t 2 : Pop \t 3: Show" << endl;
          default : cout << "눈 똑바로......" << endl;
          cout << "입력 초과" << endl;
          cout << "자료 없음" << endl;
          cout << endl;
  • 타도코코아CppStudy/0728 . . . . 6 matches
          ZeroWiki:DevelopmentinWindows
         || ZeroWiki:RandomWalk2 || [CherryBoy] || Upload:randomWork2_CheRy.cpp || 다시 ||
          * 해오면 첨삭해 줍니다. 자유...라고 하면 아무도 안해올걸 알지만서도... 왠만하면 해보세요. 많은 도움이 겁니다.
         || 랜덤워크 || [CherryBoy] || Upload:randomWalk_CherRy.cpp || . ||
          * 인수형~~~~~ 파일 입출력 Random Walk2 올렸씁니다.. 지금 시간 8시..1시간정도 걸렸네요..-_-; 파일 입출력 고생하다..!! - [CherryBoy]
  • 타도코코아CppStudy/객체지향발표 . . . . 6 matches
          예를 들어 '이동(move)' 이라는 기능이 '교수'라는 클래스에 적용 때는 자택의 이사가 수 있으나, '승용차'라는 클래스에 적용되면 특정 목적지로 일정한 시각에 정해진 속도로 움직이는 행위가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structured programming language : C, Pascal 등)도 객체지향 개발에 활용 수 있는가 하면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OODBMS)이 개발의 도구로 이용 수도 있다.
         객체지향의 초기개념은 프로그래밍 언어로부터 시작됐으나, 이젠 실세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으로 그 중요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개발언어에 너무 종속 필요는 없다.
  • 3N+1/김상섭 . . . . 5 matches
          while(num != 1)
          cout << " 하하 " <<endl;
         // cout << i << " " << table[i] << endl;
          while(cin >> i >> j)
          cout << max_num << endl;
  • ACM_ICPC/2013년스터디 . . . . 5 matches
          * 각자 문제를 풀어오고 설명, 설명들은 문제는 다음 시간까지 개인적으로 풀어올 것.(Dovelet 사용)
          while sum < abs(x) + abs(y) or (sum + x + y) % 2 == 1:
          while N > 0:
          * [http://www.algospot.com/judge/problem/read/WEEKLYCALENDAR Weekly Calendar]
          * Sliding Window Minimum Algorithm - http://people.cs.uct.ac.za/~ksmith/articles/sliding_window_minimum.html
  • ACM_ICPC/PrepareAsiaRegionalContest . . . . 5 matches
          cout << " " << max << endl;
          bool isEnd();
          if ( gamer.isEnd() )
         bool Gamer::isEnd()
          cout << engine.report() << endl;
         int round(double n);
          cout << fall(N,K) << endl;
         int round(double n)
  • AM/AboutMFC . . . . 5 matches
         || Upload:MFC_Macro_1of3_2001.11.06.doc || 분석||
         || Upload:MFC_Macro_code_23of3_2001.11.11.doc ||분석||
         || Upload:MFC_Macro_23of3_2001.11.11.doc ||예제 소스코드 그림 파일로 캡춰||
         그런데요. C# 관련해서 프로그래밍 프로젝트는 없어요? Windows플랫폼이라면, 일반 어플리케이션은 C# 뿐만아니라, Embeded 까지 .NET 계열이 맡게 텐데 말이죠 :) --NeoCoin
  • AdventuresInMoving:PartIV/김상섭 . . . . 5 matches
          while (cin.peek() != EOF && cin.peek() != '\n')
          while(now != numStation)
          while(station[now].length + go >= station[search].length)
          cout << cost << endl;
          cout << endl;
  • CC2호 . . . . 5 matches
          * 반복
          * 조건
         || [반복문자열] || [반복문자열/김유정] || [반복문자열/이재경] ||
  • Chapter I - Sample Code . . . . 5 matches
          === Compiler-Independent Data Types ===
         #endif
         #endif
         #endif
          uCOS-II는 여타의 DOS Application 과 비슷하다. 다른말로는 uCOS-II의 코드는 main 함수에서부터 시작한다. uCOS-II는 멀티태스킹과 각 task 마다 고유의 스택을 할당하기 때문에, uCOS-II를 구동시키려면 이전 DOS의 상태를 저장시켜야하고, uCOS-II의 구동이 종료되면서 저장된 상태를 불러와 DOS수행을 계속하여야 한다. 도스의 상태를 저장하는 함수는 PC_DosSaveReturn()이고 저장된 DOS의 상태를 불러오는것은 PC_DOSReturn() 함수이다. PC.C 파일에는 ANSI C 함수인 setjmp()함수와 longjmp()함수를 서로 연관시켜서 도스의 상태를 저장시키고, 불러온다. 이 함수는 Borland C++ 컴파일러 라이브러리를 비롯한 여타의 컴파일러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한다.[[BR]]
          '''uCOS-II를 끝내기 전에 PC_DOSSaveReturn 함수를 호출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DOS가 curruped mode 가 되어버리고 이것은 당신의 windows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 ClassifyByAnagram/재동 . . . . 5 matches
          self.wordList.append(self.wordString[i])
          self.anagramList[self.index].append(self.wordString)
          self.anagramList.append([self.getSortWordString()])
          self.anagramList[len(self.anagramList)-1].append(self.wordString)
          while str:
  • ContestScoreBoard/차영권 . . . . 5 matches
          while (count < nCase)
          cout << endl;
          while (cin.peek() != EOF)
          while (1)
          << team[bestTeam].timePenalty << endl;
  • DermubaTriangle/하기웅 . . . . 5 matches
         double row, col;
         double getDistance(int s, int e)
          while(cin>>first>>second)
          cout << getDistance(first, second)<< endl;
          cout << getDistance(second, first)<< endl;
  • DispatchedInterpretation . . . . 5 matches
         또한, commantAt이나 argumentAt같은 메세지 말고, sendCommand(at,to) 같은 메세지를 제공하자. 위의 line,curve도 이꼴이므로 같이 다룰수 있다.
          aShape.sendCommand(i,this);
         void Shape::sendCommandTo(Object& anObject)
          sendCommand(i,object);
          aShape.sendCommandTo(this);
  • EnglishSpeaking/TheSimpsons/S01E01 . . . . 5 matches
          * Doctor - longest
         Homer : Oh, good, because I do love you.
         Homer : I don't deserve you as much as a guy with a fat wallet...and a credit card that won't set off that horrible beeping.
         Marge : I think it does have something to do with your Christmas bonus. I keep asking for it,but--
         Homer : Well, I would- I- I wanna do the Christmas shopping this year.
  • Map연습문제/노수민 . . . . 5 matches
          while(fin.get(ch))
          cout << endl;
          while(fin.get(ch))
          for(map::iterator i=vec.begin(); i< vec.end() ;i++)
          cout << endl;
  • Minesweeper/이도현 . . . . 5 matches
          while (cin >> inputRow >> inputCol)
          // 종료조건
          cout << endl;
          cout << "Field #" << outputNumber++ << ":" << endl;
          cout << endl;
  • SummationOfFourPrimes . . . . 5 matches
         오일러는 솟수가 숫자 영역에서 무한하다는 가설을 자신의 고전이론으로 증명했다. 모든 수들이 4개의 양의 솟수 합으로 표현 수 있을까? 답을 알 수는 없다. 답은 느린 386 컴퓨터에서도 돌아갈 수 있기를 원한다. 시간 제한은 펜티엄3 800 컴퓨터를 기준으로 한다. 이 문제에서 솟수의 정의는 "완전한 두 개의 다른 정수로만 나눠 떨어지는 양수"이다. 예를 들어,37은 정수 37과1로만 나눠지는 솟수이다.입력은 한 라인에 하나의 정수N만 포함한다. 여기서 N은 10000000이하의 수이다. 이 수는 4개의 솟수의 합으로 구성 수 있는 수이다. 입력은 하나의 수만 받는다. 입력 라인에 맞춰, 주어진 조건에 맞는 4개의 솟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입력된 수가 솟수 4개의 합으로 표현 수 없으면"Impossible."이라 출력한다. 답은 여러개가 있을수 있다. 모든 정답을 받아들인다.
         [http://www.n2n.pe.kr/util/find_prime.php 소수판정기]로 답을 확인해볼 수 있겠네요. --[Leonardong]
  • TAOCP/InformationStructures . . . . 5 matches
         (6a),(7a)에서는 초기 조건이 F = R = 1이다. 만약 F = 0이라면 오버플로우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AnswerMe 그렇다면 새 원소를 넣으면 X[2]부터 들어간다는 건가? --[Leonardong]
         오버플로우와 언더플로우가 일어났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언더플로우는 하나의 의미있는 조건 - 에러 상황이 아니라 - 이다. 하지만 오버플로우는 더 들어갈 공간이 없는데 들어갈 정보가 남아있어서 에러이다. 따라서 오버플로우가 생기면 용량한계를 넘어서서 프로그램이 종료한다.
          ''초기 조건 : p.247 (11) 참고
          b) ''''아래로 한칸씩 밀기(moving things down)''' a)에 해당하는 k가 없을 경우
  • The Trip/Celfin . . . . 5 matches
         double student[MAX_STU+1];
         double least, most;
         double calculate()
          while(cin>>student_num)
          cout << "$" << calculate()/100 <<endl;
  • ToyProblems . . . . 5 matches
         학생은 이 경험을 통해 프로그래밍 "개념"과 "패러다임"들을 학습하게 되며, 어떤 경우에 어떤 패러다임이 더 적절한지 판단할 능력이 생기고, 무엇보다도 한가지 패러다임에 대한 초기 각인(새끼새가 처음 본 흰색을 무조건 어미라고 생각하는 효과)을 깨트리고,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 -- 한가지 패러다임만 아는 사람보다는 여러가지 패러다임을 아는 사람이 더 개방적이고 포용력이 넓다. --JuNe
         고학년(저학년을 가르칠 사람들) 대상으로 강의를 해줄 용의가 있습니다. 만만한 문제가 결코 만만한 게 아니라는 것, 간단한 것에서 정말 엄청나게 많은 걸 배울 수 있다는 것 등을 느끼게 것입니다. --JuNe
         ToyProblems를 풀면서 접하게 패러다임들(아마도): CSP, Generators, Coroutines, Various Forms of Recursion, Functional Programming, OOP, Constraint Programming, State Machine, Event Driven Programming, Metaclass Programming, Code Generation, Data Driven Programming, AOP, Generic Programming, Higher Order Programming, Lazy Evaluation, Declarative Programming, ...
          * ToyProblems 후보 : 구구단, 소수구하기, SpiralArray, 삼각형 그리기, (기타 참가자가 원하는 것 추가 가능. 단 조건은 1학년이 한 시간 내에 풀 수 있는 간단한 문제)
          * 자신이 원하는 언어 (python recommended)
          * How to Read and Do Proofs
  • TugOfWar/김회영 . . . . 5 matches
          while(changeTwoPart(rightPart,leftPart,rightTotal-leftTotal,nPeople))
          //cout<<endl<<leftTotal<<" "<<rightTotal<<endl;
          cout<<endl<<leftOfTotal[j]<<" "<<rightOfTotal[j];
          cout<<endl;
  • User Stories . . . . 5 matches
         User stories serve the same purpose as use cases but are not the same. They are used to create time estimates for the release planning meeting. They are also used instead of a large requirements document. User Stories are written by the customers as things that the system needs to do for them. They are similar to usage scenarios, except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describing a user interface. They are in the format of about three sentences of text written by the customer in the customers terminology without techno-syntax.
         Developers estimate how long the stories might take to implement. Each story will get a 1, 2 or 3 week estimate in "ideal development time". This ideal development time is how long it would take to implement the story in code if there were no distractions, no other assignments, and you knew exactly what to do. Longer than 3 weeks means you need to break the story down further. Less than 1 week and you are at too detailed a level, combine some stories. About 80 user stories plus or minus 20 is a perfect number to create a release plan during release planning.
         Another difference between stories and a requirements document is a focus on user needs. You should try to avoid details of specific technology, data base layout, and algorithms. You should try to keep stories focused on user needs and benefits as opposed to specifying GUI layouts.
  • WhyWikiWorks . . . . 5 matches
          * wiki is not wysiwyg. It's an intelligence test of sorts to be able to edit a wiki page. It's not rocket science, but it doesn't appeal to the TV watchers. If it doesn't appeal, they don't participate, which leaves those of us who read and write to get on with rational discourse.
          * wiki participants are, by nature, a pedantic, ornery, and unreasonable bunch. So there's a camaraderie here we seldom see outside of our professional contacts.
         So that's it - insecure, indiscriminate, user-hostile, slow, and full of difficult, nit-picking people. Any other online community would count each of these strengths as a terrible flaw. Perhaps wiki works because the other online communities don't. --PeterMerel
  • WindowsTemplateLibrary . . . . 5 matches
         {{|The Windows Template Library (WTL) is an object-oriented Win32 encapsulation C++ library by Microsoft. The WTL supports an API for use by programmers. It was developed as a light-weight alternative to Microsoft Foundation Classes. WTL extends Microsoft's ATL, another lightweight API for using COM and for creating ActiveX controls. Though created by Microsoft, it is unsupported.
         Being an unsupported library, WTL has little formal documentation. However, most of the API is a direct mirror of the standard Win32 calls, so the interface is familiar to most Windows programmers.|}}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128e26ee-2112-4cf7-b28e-7727d9a1f288&DisplayLang=en MS WTL]
  • joosama . . . . 5 matches
         당시의 김대중 대통령은 이러한 협상이 추후에 문제가 것이라는 것을 몰랐을 리가 없다.
         그런데 이런 영토문제가 쉽게 해결 리도 없기 때문에 백년이상이 걸려도 해걸되리라는 보장이 없다.
         대세를 리드하는..위키를 상당히 즐기는 것 같네.--[Leonardong]
         자꾸 쓰는 태그가 있다면 자기만의 css를 만들어봐도 괜찮겠네.--[Leonardong]
          페이지를 볼 때 폰트나 배경 색 같은 걸 정해진대로 보이게 하는 것? 지금 위키 기본 css는 미색 배경에 굴림체이려나. CssMarket--[Leonardong]
  • 단식자바 . . . . 5 matches
         [Java], [http://zeropage.org/~iruril/jdk-1_5_0_01-windows-i586-p.exe ZP pub의 JDK]
         [Eclipse], [http://www.eclipse.org/downloads/download.php?file=/eclipse/downloads/drops/R-3.1-200506271435/eclipse-SDK-3.1-win32.zip&url=http://eclipse.areum.biz/downloads/drops/R-3.1-200506271435/eclipse-SDK-3.1-win32.zip&mirror_id=26 이클립스 3.1]
  • 데블스캠프2009/월요일/연습문제/svn코드레이스/박준호 . . . . 5 matches
         void down(int *, int *);
          while(1)
          down(&guess, &maxnum);
         void down(int * guess, int * maxnum)
          printf("Down.\n");
          while(1){
  • 데블스캠프2011/다섯째날/후기 . . . . 5 matches
          * 옛날에 c로 TCP/IP 프로그래밍 책을 본 적이 있었는데 그쪽에서 소켓을 이용하는 부분을 생각해보면 c에 비해서 파이썬쪽에서는 참 쉽게 되는구나 싶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좀 신기했던게 리턴 값이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는 함수도 있다고 한 부분이었습니다. 이건 파이썬쪽의 특성인지 아니면 다른 인터프리터쪽 언어도 이렇게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네트워크쪽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도 좋았습니다. 와이어샤크쪽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려면 공부가 더 필요할 듯. -_-
          * 루아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문법의 설명. 사실 바쁘실텐데 와서 짧은 세미나라도 하고 가신 것만 해도 참 대단하시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루아에 대한 이미지는 세미나 때 전체적인 분위기도 그렇듯이 와우 UI에 사용하는 언어라는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세미나를 듣고 든 생각은 두 가지군요. 하나는 객체가 없다니??? 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크기가 작다는 게 그렇게까지 큰 메리트가 수 있는가? 하는 점이었습니다. 사실 요즘 이런저런 곳에서 게임 로직을 루아로 만든다는 얘기를 들었는데, 특정 작업에서 쓰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은 그 부분에서 인정할 만한 뭔가가 있다는 뜻이겠지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직도 조금 더 손을 대 봐야 할 언어들이 있어서 당장은 건드려 볼 일이 없을 것 같다는 느낌이 좀...
          * Java를 통한 TDD (비스므리한) 것을 실습했죠. 좀 신기한 방식이라 신기했던거(??) 같습니다. 테스트 케이스를 만족하도록 코드를 만들거어간다라.. 확실히 다른사람의 코드이고 주석이 없는데도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은 좋은 거였던거 같습니다. 여러사람들이 한개의 프로젝트를 다루게 된다면 이런식의 것도 필요할거같네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스트 케이스만 만족하면 된다는 사상도 있어서 어려움이 완전히 해소것이리라! 라는건 아닌거 같네요. (사실 남의 스펙을 자신이 구현했기 때문에 발생했던 문제겠지마는,.) SVN도 써보고 TDD나 이런 저런 기법들을 데블스에서 처음 접해봐 신선했습니다.
          * 남이 짠 스펙을 보고 구현한다는건 처음이었습니다. 대개는 학교 프로젝트 할 경우에는 무슨 기능이 필요하다는걸 처음부터 생각하고 만드는데 실제 일하는 쪽에서는 그렇지 않을테니 좋은 경험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유닛 테스트에서 해당 테스트 케이스가 스펙이 수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잘 생각해보고 또 적용해보기 위해 노력해봐야겠습니다. 근데 TDD의 단점에 대해서는 크게 말이 없었던 것 같아서 그 부분이 좀 아쉽습니다.
          * (페이지 하단을 임의대로 조금 바꿨습니다. 양해해주세요 =_=)쪽지를 돌리며 회고하는 시간이었죠. 저는 개인적으로 형진이 형이 제일 마지막에 했던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회사에 나가서 1주일간 나갔다면 약 80만원에 해당하는 것이었을텐데, 1주일 휴가를 내고 왜 데블스에 나왔냐면, 미래를 위해 자기개발하는 것이 후에 훨씬 도움이 것이고, 또 데블스에 올때마다 형이 가장 많이 배워간다고 생각한다고 하셨지요. 하지만 저는 제가 이번 데블스캠프에서 가장 많은걸 배워간다고 확신합니다 --+ 데블스 5일간의 후기에 담긴 모든 말들을 해야하겠지만 생략하구, 그만큼 많은걸 얻었으니까요. 정말 대학와서 지금까지 한 것중 가장 보람찬 날들이었습니다. -[김태진]
  • 벡터/임민수 . . . . 5 matches
          sort(vector1.begin(), vector1.end(), comp_score);
          cout << vector1[i].score << endl ;
          sort(vector1.begin(), vector1.end(), comp_name);
          for(vector<student>::iterator j=vector1.begin(); j<vector1.end(); j++)
          cout << (*j).name << endl ;
  • 블로그2007 . . . . 5 matches
          * PHPEclipse ~ Zend팀이 Swing의 방향으로 Zend Studio를 내놨을때 Java 개발툴 시장을 뒤엎은 Eclipse를 위해 PHP공식 팀이 아니라 다른 개발팀이 만든 환경입니다.
          * PDT - PHP Development Tool PHP 스크립트 엔진을 개발하는 Zend 팀이 Eclipse 진영에 합류후에 PHP개발 툴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아직 1.0 까지도 올라가지 않은 개발 중인 제품입니다. 좋기는 하지만, 적극적인 배포도 하지 않고 Ecilpse의 공식 배포 스케줄+환경인 Calisto에도 반영되려면 멀었습니다.
         PHP 인터프리터는 APM을 같이 생각해 설치해야 합니다. 국내에 유명한 APM패키지로는 [http://apmsetup.com/ APM Setup]이 많이 쓰입니다. 그러나 작년 말에 예정된 업그레이드 버전 이후 소식이 없습니다. (내부 사정이 있는 것 같아요.) 더 추천할 곳은 [http://www.apachefriends.org Apach Friends]라는 멋진 곳에 있는 XAMPP를 사용하세요. 천천히 RTFM해보면, 됩니다.
  • 새싹교실/2012/햇반 . . . . 5 matches
         2. 조건
          - while
          - do-while
         저번시간에 했었던 순환문과 조건문 복습
  • 새싹스터디2006/의견 . . . . 5 matches
         따라서 지금 위키 구조를 잘 이용해 필요한 정보는 제로페이지 위키에, 각 소그룹으로 진행하는 내용은 개인 위키에 정리하면 좋겠습니다. 나중에 정리할 필요 없는 시간 약속, 출석 체크, 메시지 전달 들을 개인 위키에서 진행하면 되겠죠. 단 숙제를 내면 반 이름의 하위페이지를 만들기보다, [EightQueenProblem]처럼 정보를 모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로써 현재 미약한 개인 위키 사용이 늘어날 것이고, 덤으로 사용자가 위키 카페 구조에 익숙해지는 효과도 얻을 것 같습니다. -- [Leonardong]
         위키에 기록을 남기되 개인위키를 활용하자는 말입니다. [stuck]같은 페이지에서 언제 만날지, 오늘은 누가 나왔는지까지 후에 참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 [빵페이지/구구단], [복/숙제제출] 같이 페이지 아래 실습한 내용이 분산되지 않고, 각 반의 숙제 페이지는 되도록 문제에 따라 한자리에 정리하면 좋겠습니다. 진행 상황은 페이지를 만들지 않아도 링크를 걸면 되겠죠. -- [Leonardong]
         제 말도 그거에요 ㅋ 링크 걸자는 거에요.. 그런데, 개인위키에 적는건 더 분산 아닌가요? 우리가 프로젝트 진행할 때 프로젝트 한 페이지에 여러 링크, 내용을 적잖아요? 새싹스터디2006/날아라병아리 이런식으로 만들어서 그 페이지 안에,우리가 풀었던 문제를 링크거는건 어떨까요?, 뭐 방법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번처럼 새싹스터디 단체로 숙제를 내 주게 때는 달라지겠지만요.. -- [허아영]
         위키의 [분류분류]나 [지도분류]가 잘 정리 수 있다면 아무래도 상관없습니다. 이미 여러 프로젝트, 스터디 페이지가 제로페이지 위키에 존재하고 [프로젝트지도]나 [2004년활동지도]같은 곳에 링크가 걸려 있습니다. 개별 스터디 그룹의 메인페이지를 개인 위키에서 유지하고, 숙제등은 제로페이지 위키에 올리고 메인페이지에서 링크를 걸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어느쪽이 되었든 하위페이지는 신중히 만들어야 합니다. 하위페이지는 순간 만들기 쉽지만 갈수록 구조를 바꾸기가 어려워집니다. '''숙제'''로 제로페이지 위키에 있는 페이지를 검색해 보세요.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는 페이지가 있지만, 손보려면 드는 시간이 적지 않을 겁니다. 일일이 페이지를 열어보기 전까지는 그 안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알 수도 없고요. 또 하위페이지는 링크를 걸기가 더 어렵습니다. 상위 페이지 외에는 그 하위 페이지의 역링크 개수는 0에 가깝습니다. 이를테면 [5인용C++스터디/멀티쓰레드]는 [5인용C++스터디]에서만 링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하위의 하위 페이지로 들어가면 더 심해질 것입니다. -- [Leonardong]
  • 소수구하기/상욱 . . . . 5 matches
          time_t start, end;
          cout << "2" << endl;
          end = clock();
          cout << (end - start)/CLK_TCK << endl;
  • 숫자야구/장창재 . . . . 5 matches
          while (key_first == key_second)
          while (key_first == key_third || key_second == key_third)
          cout << key_first << key_second << key_third << endl;
          while (i != key)
          cout << strike << "스트라이크 " << ball << "볼" << endl;
  • 우리가나아갈방향 . . . . 5 matches
          홈 브루 컴퓨터 클럽을 그 대상으로 한다면 참 좋은것 같다. 우리의 정모가 해당 모임이 수 있을 것이고, 과거에도 그렇게 하려고 노력했것만, 호응도가 낮았다고 생각한다. 뭐 하지만 계속 바위에 계란을 던지다 보면 언젠가 이끼라도 끼지 않을까. 할수있는 최상은 제자리에서 열심히 --상민
         시대의 흐름을 바로 읽어 우리가 해야 할 것들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서로 도와가며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길 바랍니다. 낯선 학문에 대한 설레임과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어느 곳부터 손을 대야 할 지 몰라 고민하는 신입생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 1~2가지를 익혔으나 그 다음에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내가 이 도구를 공부해서 무엇에 써야하는지 몰라 일관성 없는 학습만을 반복하여 제자리를 맴돌고 있는 친구들도 많이 있습니다. 우리 학회에는 훌륭한 선배님도 많이 계시고 능력있는 회원님들도 많이 있다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배우고자 하는 회원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또 배우는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학습하며 자신의 능력을 개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타성에 빠지지 않으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늘상하는 같은 종류의 세미나가 학회 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이 매년 반복되어서는 안됩니다. 1,2학년때는 열심히 참여하다가 3,4학년때는 별로 배울것이 없다하여 많은 수의 회원들이 활동을 하지않는 모습에대해 비판만 할것이 아니라 반성해보는 자세를 가져야합니다. 최신기술에 대한 순회 세미나와 조직화된 프로젝트팀을 활성화시켜서 회원들의 동기유발을 유도해야합니다. 컴퓨터의 시작은 하나의 뿌리였지만 지금은 수만갈래로 나뉘어져 혼자서는 각각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조차 얻기가 어렵습니다. 항상 새로운 주제로 많은 회원이 온/오프라인상에서 꾸준히 공부하고 그것을 나누는 분위기를 조성할 것을 제안합니다.
         학교를 따라 인맥이 형성되는 현상은 그다지 바람직하지는 않아 보이나,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인맥이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아는 사람이라고 무조건 우대하는 눈먼 인맥이 문제이니까요. 인맥을 통하면 자신이 모르는 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에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도 아는 사람을 통해서 구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연락망을 만드려면 연락처를 구하는 일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제로페이지 회원 연락망이 회장단에게 물려져 내려오고 있지만 연락처가 부정확한 경우가 상당수 있습니다. 연락이 가능한 회부터 시작하여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락처를 구해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 현재 활동하지 않는 회원들에게도 가치를 돌려줄 수 있는 정보 공유의 장이 마련되어야 하리라 봅니다. 무조건 도움을 받기만을 바라고 이러한 인맥을 만든다면 그다지 많은 호응을 얻어낼 수도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2002년도ACM문제샘플풀이/문제E . . . . 4 matches
         int doJob(vector<int>& weights);
          cout << doJob(weights);
         int doJob(vector<int>& weights)
          sort(sortedWeights.begin(), sortedWeights.end());
  • 3 N+1 Problem/조동영 . . . . 4 matches
          while(temp<high){
          while(temp !=1){
          cout << "2개의 값을 입력하시오 단 첫번째것이 더 작은 숫자이어야함" << endl;
          cout << "MAX cycle-length값은 " << CheckCount(num1,num2) << "입니다." << endl;
  • ACM_ICPC . . . . 4 matches
          * [http://acm.kaist.ac.kr/2009/rank/new_summary_full.html 2009년 스탠딩] - No attending
          * [http://acm.kaist.ac.kr/phpBB3/viewtopic.php?f=7&t=129 2010년 스탠딩] - No attending
         == To do ==
          * 작년과 비슷하게 진행된다고 보시면 것 같습니다.
  • AdventuresInMoving:PartIV . . . . 4 matches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가 입력되며, 그 다음 줄은 빈 줄이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정수만으로 구성된다. 첫번째 정수는 워털루에서 대도시까지의 거리를 킬로미터 단위로 표시한 것으로, 최대 10,000이다. 그 밑으로는 출발지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것부터 먼 것 순서로, 주유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며, 최대 100개까지 입력 수 있다. 각 주유소에 대해 워털루로부터의 거리(킬로미터 단위)와 휘발유 1리터당 가격(0.1센트 단위)이 입력된다. 리터당 휘발유 값은 최대 2,000(즉 200센트 = 2달러)이다. 서로 다른 테스트 케이스 사이에는 빈 줄이 입력된다.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워털루에서 대도시까지 가는 데 드는 연료비의 최소 값을 출력한다. 문제의 제약조건에 따를 때 워털루에서 대도시까지 갈 수 없으면 "Impossible"이라고 출력한다. 서로 다른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결과 사이에는 빈 줄을 출력한다.
         음. 나중에 대도시에서 차를 반납할 때도 기름은 절반 이상 채워 놓아야 한다. 여기서 절반 이상이라는 조건에 주의를 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 보창
         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보면 처음에는 거리가 100인 주유소에 무조건 가야합니다. 그러면 기름은 0이 되고, 스터디때 말한 방법으로 하면 앞의 200까지를 살피고, 가장 작은 가격이 있는 곳인 (200, 777) 까지 갈 수 있는 기름 100을 넣고 출발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살펴보면 최적의 해는 여기서 50만큼의 기름만 넣고, 150의 지점에서 또 50의 기름을 넣어서 (200,777)에 가는 경우입니다. -- 보창
  • Bigtable/DataModel . . . . 4 matches
          1. 메타태블릿이 분할 때(또는 삽입 때) 갱신됨.
          1. 유저태블릿이 분할 때(또는 삽입 때) 갱신됨
  • CheckTheCheck/곽세환 . . . . 4 matches
          while (true)
          cout << "Game #" << gameCnt << ": white king is in check." << endl;
          cout << "Game #" << gameCnt << ": black king is in check." << endl;
          cout << "Game #" << gameCnt << ": no king is in check." << endl;
  • ClassifyByAnagram/1002 . . . . 4 matches
          def __init__(self, anAnagramTable, out=os.sys.stdout):
          self.anagrams[aw].append(aWord)
          end=time.clock()
          print "time : ", end-start
  • EcologicalBinPacking/황재선 . . . . 4 matches
          cout << "병의 수 초과" << endl;
          cout << "다시 입력" << endl;
          while(allColorSet < 6)
          cout << color[colorResult] << " " << min << endl;
  • IsThisIntegration?/김상섭 . . . . 4 matches
         double pie = 3.141592653589793238462643383279 , a, b, c, d;
          double temp;
          while(cin >> temp)
          cout << temp*a << " " << temp*b << " " << temp*c << endl;
  • JavaStudy2003/두번째과제/노수민 . . . . 4 matches
          * 원래 RandomWork 짜던게 있는데 eclipse가 Run이 안되더군요;
          * 객체가 생성 때 자동호출, 객체의 변수초기화, 메모리 할당들의 작업을 함
          * 인스턴스 변수, 클래스 변수, 그리고 클래스 메소드는 은닉 수는 있어도 재정의 수는 없다.
  • JollyJumpers/허아영 . . . . 4 matches
          while(cin >> num)
          cout << "Jolly" << endl;
          cout << "Jolly" << endl;
          cout << "Not jolly" << endl;
  • LoadBalancingProblem . . . . 4 matches
         Load Balancing 이라는 개념은 앞으로 몇번 접하게 개념입니다. 컴퓨터분야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 (예를 든다면 이삿짐 업체나, 택배업체, 우체국 등등..) 에서도 쓰입니다. Load Balancing은 역할분담을 가장 적당하고 고르게 하여 각각의 개체들이 부담을 적게 느끼고 전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도록 해 줍니다. 간단한 LoadBalancingProblem 문제를 접하여보고 기회가 닿는다면 조금더 복잡한 종류의 문제를 풀어보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이 과정을 모든 CPU 가 최고-최저<=1 이 때까지 반복한다)
         || 나휘동 || . || Python || [LoadBalancingProblem/Leonardong] ||
  • MagicSquare/성재 . . . . 4 matches
         혹시나 이거 밑바탕으로 지 압니까??? ^-^;;
          cout<<endl;
          cout<<endl;
          cout<<endl;
  • Map/임영동 . . . . 4 matches
          //반복자 선언
          for(it=decoder.begin();it!=decoder.end();++it)
          {//이런 식으로도 된다. 하지만 반복자 쓰는 연습을 하기 위해 아래의 식으로.
          for(string::iterator i=input.begin();i!=input.end();i++)
  • MoinMoinDone . . . . 4 matches
         Things from MoinMoinTodo that got implemented.
          * Strip closing punctuation from URLs, so that e.g. (http://www.python.org) is recognized properly. Closing punctuation is characters like ":", ",", ".", ")", "?", "!". These are legal in URLs, but if they occur at the very end, you want to exclude them. The same if true for InterWiki links, like MeatBall:InterWiki.
          ||||is done||
          * Check for a (configurable) max size in bytes of the RecentChanges page while building it
  • NumberBaseballGame/재니 . . . . 4 matches
          while (a == b)
          while (c == a || c == b)
          cout << a << b << c << endl;
          while (input != a * 100 + b * 10 + c)
  • ProgrammingContest . . . . 4 matches
         나이나 학력 제한이 전혀 없습니다(Open경우). 팀은 세명까지 가능하고, 혼자서도 참가 가능합니다. 사용 가능 언어는 Java, C++, Pascal, Python 등 입니다. 제한 조건은 한 팀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하나의 컴퓨터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금요일(2002/5/10)에 한국 시간으로는 오후 9시부터 5시간 동안입니다. 온라인(이메일)으로 진행합니다. (see also .http://ipsc.ksp.sk/rules.php )
         만약 자신이 K-In-A-Row를 한 시간 이상 걸려도 풀지 못했다면 왜 그랬을까 이유를 생각해 보고, 무엇을 바꾸어(보통 완전히 뒤집는 NoSmok:역발상 으로, 전혀 반대의 "極"을 시도) 다시 해보면 개선이 지 생각해 보고, 다시 한번 "전혀 새로운 접근법"으로 풀어보세요. (see also DoItAgainToLearn) 여기서 새로운 접근법이란 단순히 "다른 알고리즘"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그냥 내키는 대로 프로그래밍을 했다면, 종이에 의사코드(pseudo-code)를 쓴 후에 프로그래밍을 해보고, 수작업 테스팅을 했다면 자동 테스팅을 해보고, TDD를 했다면 TDD 없이 해보시고(만약 하지 않았다면 TDD를 하면서 해보시고), 할 일을 계획하지 않았다면 할 일을 미리 써놓고 하나씩 빨간줄로 지워나가면서 프로그래밍 해보세요. 무엇을 배웠습니까? 당신이 이 작업을 30분 이내에 끝내려면 어떤 방법들을 취하고, 또 버려야 할까요?
         만약 팀을 짠다면 두사람은 PairProgramming으로 코딩을 하고(이 때 Interactive Shell이 지원되는 인터프리터식 언어라면 엄청난 플러스가 것임), 나머지 하나는 다른 문제를 읽고 이해하고, (가능하면 단순한) 알고리즘을 생각하고 SpikeSolution을 종이 위에서 실험한 뒤에 현재 커플이 완료를 하면 그 중 한 명과 Pair Switch를 하고 기존에 코딩을 하던 친구 중 하나는 혼자 다른 문제를 읽고 실험을 하는 역할을 맡으면 효율적일 겁니다. 즉, 두 명의 코더와 한 명의 실험자로 이루어지되 지속적으로 짝 바꾸기를 하는 것이죠.
  • RandomWalk2/상규 . . . . 4 matches
          cout << count << endl;
          cout << endl;
          // 종료 조건 검사
         ["RandomWalk2"]
  • RedThon/HelloWorld과제 . . . . 4 matches
          * 주말에 남는 시간을 투자하면 충분히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꼭 3가지로 하지 않아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 테니 한 번 시도해 보세요. --[Leonardong]
          대충..결과만 나오면 되니깐.ㅋ windows 창이랑 python shell 이랑 둘이 열심히 번갈아 가면서..
          * 참고 하세요. 그러나 이것도 무조건 공백이 들어가서 안되는군요.
          사실 그 클래스때문에 오프모임을 하자는 거지. 클래스라는 문법도 생소할 뿐더러, 클래스를 가지고 객체 지향이라는 개념을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야. --[Leonardong]
  • ReverseAndAdd/허아영 . . . . 4 matches
          while(num >= 10)
          while(testCaseNum >= 1)
          while(1)
          cout << turn << " " << addNum << endl;
  • RoboCode/random . . . . 4 matches
         Upload:random.ILLIA_1.0.jar
         Upload:random.ElLin_1.0.jar
         Upload:random.Xman_1.0.jar
         Upload:random.JeongSeo_1.0.jar
  • ScheduledWalk/임인택 . . . . 4 matches
         package RandomWalk;
         public class RandomWalk {
          public RandomWalk() {
          new RandomWalk();
  • SoftwareEngineeringClass . . . . 4 matches
          * 본인은 거의 독학으로 SE 공부를 했다. 수업시간에 구조적 프로그래밍(structured programming)에 대해 설명을 들었을 때는 전혀 감흥이 없었고 졸음까지 왔다. 기억나는 내용도 없다. 하지만 스스로 공부를 하면서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 OOP는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Goto 제거 정도로만 이해하는 것은 표피적 이해일 뿐이다! 구조적 프로그래밍 하나만 제대로 익혀도 내 생산성은 엄청나게 향상 것이다! (참고로 정말 구조적 프로그래밍이 뭔지 알고 싶은 사람들은 다익스트라의 6,70년대 이후의 저작들을 읽어보길 권한다. 칸트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칸트의 1차 저술을 읽지 않는다는 게 말이 되겠는가.) --김창준
         시간이 나면 ExtremeProgramming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하신다는데,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 궁금하네요. [SPICE] 레벨4는 되어야 사용할 수 있다는 말엔 조금 당황스러웠어요. --[Leonardong]
         하지만 역할별, 작업별로 만드는 계획서와 보고서에 쏟는 시간이 너무 많다는 생각은 저 뿐만이 아닐 것입니다. 심사시에는 계획서에서 언급하지 않은 활동을 실행했다고 딴지를 걸 정도로, 계획서대로 실행된 내용을 변경없이 실행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반복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준인것 같습니다. 설계와 구현 사이에서 계획대로 실행 안되는 부분을 극단적으로 느꼈는데, 예를 들어 클래스 다이어그램과 시퀀스 다이어그램이 [Refactoring]과 같은 코드 재구성 작업을 할 때마다 바뀌어야 했습니다. 다이어그램이 코드로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코드를 바꿈은 물론 다이어그램을 바꾸는 이중의 수고를 겪어야 했습니다. :( --[Leonardong]
  • StringOfCPlusPlus/상협 . . . . 4 matches
          void lenstr() {while(st[n]!='\0') n++;}//문자열의 길이를 n값으로 저장
          friend ostream& operator<<(ostream &os, String &s);
         #endif
          while(st[n]='\0')
  • TheKnightsOfTheRoundTable/하기웅 . . . . 4 matches
         double a, b, c, halfSum;
          cout << "The radius of the round table is: 0.000"<<endl;
          cout << "The radius of the round table is: " << 1.0*sqrt(halfSum*(halfSum-a)*(halfSum-b)*(halfSum-c))/halfSum << endl;
          while(cin>>a>>b>>c)
  • TheLagestSmallestBox/하기웅 . . . . 4 matches
         double length, width;
          cout << (length+width - sqrt(length*length - length*width + width*width))/6.0 << " 0.000 " << length/2.0 << endl;
          cout << (length+width - sqrt(length*length - length*width + width*width))/6.0 << " 0.000 " << width/2.0 << endl;
          while(cin>>length>>width)
  • ThePriestMathematician/김상섭 . . . . 4 matches
          cout << i << " " << a[i] << " " << hanoi[i] << endl;
          while(cin >> num)
          for(vector<int>::iterator j = test.begin(); j != test.end(); j++)
          cout << hanoi[*j] << endl;
  • TowerOfCubes . . . . 4 matches
         서로 무게가 다른 N개의 색이 칠해진 정육면체가 주어졌다. 각 정육면체의 모든 면은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져 있다. "무거운 정육면체를 가벼운 정육면체 위에 올려놓지 않는다"라는 첫번째 조건과 "모든 정육면체의 바닥면(맨 밑에 있는 것은 제외)의 색은 그 밑에 있는 정육면체의 윗면의 색과 같아야 한다"라는 두번째 조건이 주어졌을 때, 두 조건을 만족하면서 최대한 높은 탑을 쌓아야 한다.
         여러 테스트 케이스가 입력 수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번째 줄에는 주어진 정육면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1≤N≤500)이 입력된다. 그 밑으로 N줄에 걸쳐 각 정육면체를 설명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각 정육면체를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각 면의 색이 입력되는데, 각각 앞, 뒤, 왼쪽, 오른쪽, 위, 아래의 색을 나타내는 색이 순서대로 입력된다. 편의상 색은 1에서 100까지의 정수로 표현하자. 정육면체는 무게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입력된다고 가정해도 좋다. 즉 첫번째 정육면체가 가장 가볍고 N번째 정육면체가 가장 무겁다고 가정할 수 있다.
  • XpWeek/20041220 . . . . 4 matches
          먼저 설치 : [http://zeropage.org/pub/language/java/j2re-1_4_2_01-windows-i586.exe Java 1.4.2]
          * [http://javastudy.co.kr/api/api1.4/index.html JDK API(Korean)] [http://zeropage.org/pub/j2sdk-1.4.1-doc/docs/index.html JDK Full Document]
         스피커를 가져오지 않았다. 준비가 덜 되어서 허둥댔다. TDD를 상당히 어려워 하므로 좀더 수준에 맞는 예제가 필요하겠다. --[Leonardong]
  • Yggdrasil/020523세미나 . . . . 4 matches
          do{
          }while(select!=4);
          do{
          }while(select!=4);
  • ZeroPage . . . . 4 matches
         여러가지 힘든 여건 속에서도 뜻이 있는 사람들의 수고와 노력으로 지금까지 이어져 온라인/오프라인 활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ZeroPage 는 ZeroPage를 거쳐간 사람들이 만들어놓은, 혹은 현재 활동중인 사람들의 과정에 대한 결과이며, 다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재창조되고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나가게 것입니다. 언제나 '현재 진행형' 중인 학회이기를. 이 정의 또한 사람들이 스스로 깨뜨리고, 더 좋은 방향으로 바꾸어나가기를.
          * 2013 삼성 Software Friendship 선정
          * 2015 Samsung Software Friendship 4기 동아리 선정
          * 삼성 Software Friendship 동아리 선정
  • eXtensibleMarkupLanguage . . . . 4 matches
         The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is a W3C-recommended general-purpose markup language for creating special-purpose markup languages, capable of describing many different kinds of data. In other words XML is a way of describing data and an XML file can contain the data too, as in a database. It is a simplified subset of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Its primary purpose is to facilitate the sharing of data across different systems, particularly systems connected via the Internet. Languages based on XML (for example,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RDF/XML, RSS, Atom, MathML, XHTML, SVG, and MusicXML) are defined in a formal way, allowing programs to modify and validate documents in these languages without prior knowledge of their form.
         [DOM] : XML 전체를 읽어들여 파싱. 전체 데이터를 파싱 traversal 하기 편하다.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993c0bcf-3bcf-4009-be21-27e85e1857b1&DisplayLang=en MSXML SDK DOWNLOADS]
          * XML은 정말로 굉장히 강력하다. 덕분에 톰캣을 위시한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셋업 파일로 XML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BUT 크리티컬한 부분에 XML을 소통 데이터로 이용하게 경우 해당 부분이 그 프로그램의 performance critical path 가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 [DTD] 는 뭘까요? 제가 [DOM]을 헛갈린게 아니라 DTD에서 좌절 했었더군요;; - 톱아보다
          * DTD로 검색하다 여기로 왔네요ㅋㅋㅋ 예전에 쓰신 것 같아서 지금은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나중에 다른 분들이 이 페이지를 보실 수 있으니 시간을 건너뛰어 댓글 답니다~ DTD는 Document Type Definition의 약자로 XML 문서 작성을 위한 규칙을 기술하는 형식입니다. valid XML Document의 경우 well-formed XML Document이면서 XML에서 사용되는 원소 이름이 해당 문서에 대한 XML DTD나 XML Schema에 명세된 구조와 합치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이 내용에 대한 수업을 들으며 씁니다ㅋㅋㅋㅋㅋㅋㅋ - [김수경]
  • minesweeper/Celfin . . . . 4 matches
          cout << "Field #"<<field<<":"<<endl;
          cout<<endl;
          while(cin>>y>>x)
          cout << endl;
  • whiteblue/자료구조다항식구하기 . . . . 4 matches
          while (true)
          cout << "End" << endl;
          cerr << "다시 입력하시오." << endl;
          cout << a->coef << "X^" << a->expon << endl;
  • 겨울과프로젝트 . . . . 4 matches
         일정이나 기간에대해서 회의에서 동의를 얻어야 할 부분이 많이 있었네요;; 준비가 부족했습니다. 죄송합니다. 혹시 문제가 만한 부분은 지적해 주십시요 - [이승한]
          * 아마 실제적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마당은 3번의 마당 한달반 가량 듯 싶습니다. 연말, 설, 오티, 크리스마스 까지 있어 지장이 많을듯.
          * 게다가 실제적으로는 이 정모 때에 마무리를 해야 듯 싶습니다.
         [ZPHomePage] ([곽세환]) : ZP홈을 만들어보신다는. 금방 거라네요~ >__<ㅋ
  • 김재현 . . . . 4 matches
         네이버블로그--- www.naver.com/syniori.do
         #define TITLE "[ LOTTO RANDOM NUMBER GENERATOR ]\n"
          do
          while (used[n]); // 이미 사용 ㅤ됐으면 다시 난수 발생
          while(aInput){
  • 데블스캠프2003/셋째날 . . . . 4 matches
         [RandomWalk2/Leonardong]
         [Random Walk2/곽세환]
         [RandomWalk/창재]
  • 데블스캠프2005/RUR-PLE/Newspaper/Refactoring . . . . 4 matches
         def floor_down():
         repeat(floor_down, 4)
         def goAndDown():
         repeat(goAndDown, 3)
         def move_down():
         repeat(move_down, 3)
  • 데블스캠프2011/둘째날/후기 . . . . 4 matches
          * 겉모습에서 일단 코드가 나오지 않으니 확실히 잘 모르는 사람도 생각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다만 반복문 구문 블록이 여러개로 나뉘어 있는데 비슷비슷해 보여서 좀 불편하기도 하더군요. 하지만 중요한건 언어의 사용법이나 형태가 아니라 만드는 사람의 실력에 달렸다는걸 만들면서, 그리고 다른 분들이 만든 물건들을 보면서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어릴 때부터 이런걸로 교육받고 자라면 코딩 잘하려나 -_-
          double count_economy=0, count_politics=0, count_total=0;
          while (!feof(fpe)) {
          while (!feof(fpp)) {
  • 문자반대출력/문보창 . . . . 4 matches
          reverse(str.begin(), str.end()); // 문자열을 거꾸로 해주는 STL 함수
          while (ch != EOF)
          reverse(str.begin(), str.end()); // 문자열을 거꾸로 해주는 STL 함수
          while (ch != EOF)
  • 문자열검색/허아영 . . . . 4 matches
         즉, H, t, m, i, v, g가 기점이 수 있다.
          while(1){
          while(x[x_n])
          while(search_str[search_str_num])
  • 문제풀이/1회 . . . . 4 matches
          while True:
          v.append(input())
          news.append(int(i))
          이런 경우를 개선하기 위해서 map 함수가 있는것입니다. 이를 Haskell에서 차용해와 문법에 내장시키고 있는 것이 List Comprehension 이고 차후 [http://www.python.org/peps/pep-0289.html Genrator Expression]으로 확장 예정입니다. 그리고 print 와 ,혼용은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print를 여러번 호출하는것과 동일한 효과라서, 좋은 컴퓨터에서도 눈에 뜨일만큼 처리 속도가 늦습니다. --NeoCoin
  • 비밀키/김태훈 . . . . 4 matches
          do{
          }while(!(fin.eof()));
          do{
          }while(!(fin.eof()));
  • 새싹배움터05 . . . . 4 matches
         신입생들에게도 우리들에게도 좀더 많은것이 남을 수 있는 새싹 배움터가 수 있지 않을까요??[[HTML(</font></b>)]]
         || 2_4/11 || C ([이승한]) || 기본문법과, 포인터 || 중간고사 대비라는 느낌이 진하게 듯 ||
          C, 발표잘하는법, PPT제작 기법, [Python], [PHP], [ExtremeProgramming], ToyProblems, Linux, Internetworking(TCP/IP), Ghost(demonstration), OS(abstraction), OS+Windows, Embedded System, 다양한 언어들(Scheme, Haskell, Ruby, ...), 보안(본안의 기본과 기초, 인터넷 뱅킹의 인증서에 대해..), C언어 포인터 특강(?), 정보검색(검색 엔진의 원리와 구현), 컴퓨터 구조(컴퓨터는 도대체 어떻게 일을 하는가), 자바 가상머신 소스 분석
         5/31 월요일은 세미나가 없는 건가요? 내일이 기말 고사 전 마지막이 듯 한데. --재동
  • 새회원을받으면 . . . . 4 matches
          입니다.(둘은 and로 묶입니다.) ZeroPagers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Leonardong]
          * 04학번에게 이상한(?) 소문을 들었습니다. 그대로 적어봅니다. ' ''제로페이지는 들어가면 졸라 빡시다. 열심히 활동 안 하면 준회원되고, 제로페이지에서 짤린다.'' '라고 하더군요. --[Leonardong]
          *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도 좀 알려주세요? :) --[Leonardong]
          [위키설명회]를 하였습니다. --[Leonardong]
  • 수/구구단출력 . . . . 4 matches
         do {
          } while(number <=1 || number >=10);
          do {
          } while(num<1 || num>9);
  • 수학의정석/집합의연산/조현태 . . . . 4 matches
          int end=gaesu-1;
          int find_last=end;
          if (find_last==end)
          for (register int j=end; j>=0; --j)
  • 숫자야구/조재화 . . . . 4 matches
          cout<<a<<b<<c<<endl;
          do{
          cout<<i<<"스트라이크 "<<j<<"볼입니다."<<endl;
          }while(i != 3);
  • 위키로프로젝트하기 . . . . 4 matches
         일반게시판에 경우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까? 하나의 프로젝트당 하나의 게시판이 열려있어야 한다. 프로젝트가 10개라고 한다면 게시판이 10개가 열려있어야 하고, 각각의 글들은 시간순서대로 저장이 된다. 위키에서의 page 10개의 의미와 게시판 10개의 의미중 어떤 것이 더 cost가 적게 들까? 그리고, 시간순서의 글 index 나열방식과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중심 글 나열방식중 어느것이 더 의미있는 정보를 담을까?
          * 자신이 공부하거나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내용들을 문서로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공부한 내용을 확실히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또한 정리된 문서는 타인에게 하나의 좋은 공부자료가 것이다. 오프라인 세미나의 자료로 사용할 수도 있겠다.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정리하는 것 자체가 좋은 습관이라 생각된다.
          *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원한다면, 해당 지식을 이해한 상태에서 정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만일 2~3명 이상 다른 사람들과 스터디를 하게 되는 경우, 해당 지식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의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알게 것이다. 여러 관점을 보는 것 또한 좋은 경험이 것이다. (외국의 대학에서는 위키를 해당 강의에 대한 공동필기장으로 쓰기도 한다.)
  • 이영호/64bit컴퓨터와그에따른공부방향 . . . . 4 matches
         하지만 많은 양이므로 불가능 하다. 그전에 64bit체제가 완성 것이므로.
          * 어떻게 하면 확장성과 교체성이 뛰어나고 코드 상의 중복이나 Dependency 문제를 적게 일으키는 모듈을 만들어낼까?
         새로운 기술은 전혀 어울릴것 같지 않은 기술들이 섞일 때 나오곤 합니다. 한가지만을 고집하다가는 자신의 영역에서 최고로 많이 아는 사람이 지는 모르겠지만, 자신의 영역을 발전시켜가는 사람은 되지 못합니다. 언젠가 시간이 된다면, 영호군의 주장과는 반대로 보다 상위 개념을 기초로 하여 C++를 공부해 보세요. Assembly를 기초로 C++를 공부한 사람들을 절대로 넘지 못할 새로운 것들을 얻게 것입니다. --[상규]
  • 장용운/알파벳놀이 . . . . 4 matches
         using std::endl;
         void draw(char begin, char end) {
          for(int i=0; i<= (end-begin); i++) {
          cout<<endl;
  • 중위수구하기/남도연 . . . . 4 matches
          cout<<"비교할 세 수를 입력하세요"<<endl;
          cout<<"프로그램 종료"<<endl;
          cout<<"A="<<x<<" B="<<y<<" C="<<z<<endl;
          cout<<"중위수는 "<<center<<"입니다."<<endl;
  • 파스칼삼각형/김영록 . . . . 4 matches
          cout << "===== △파스칼의 삼각형△ =====" << endl;
          do{
          }while(X > Y) ;
          cout << num_ret(X,Y) <<"입니다! ㅋㅋ" << endl;
  • 혀뉘 . . . . 4 matches
         그러나 상대방을 잘 알게 때까지 이 따뜻함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타인을 무조건 이해해 주고 자기 의견과는 상관없이 따라가 준다
         오래도록 계속 관계로 보아도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순정파라고 해서 만만하게 생각해서는 안 것입니다.
  • 3N+1Problem/문보창 . . . . 3 matches
          while (cin >> a >> b)
          cout << a << " " << b << " " << maxCycle << endl;
          while (true)
  • 8queen/곽세환 . . . . 3 matches
          while (++crow < Max && --ccol >= 0)
          while (++crow < Max && ++ccol < Max)
          cout << endl;
  • AM/20040705두번째모임 . . . . 3 matches
          * 설명구조 & 반복설명잦음 -> DFS, BFS
         ex) 배우는 부분이 Windows Programming, Window Event Driven Programming, GDI, GUI Control 들이라 한다면
  • AOI/2004 . . . . 3 matches
          || [Doublets] || . || X || X || . || X || . || . || . ||
          || [Where'sWaldorf?] || . || . || . || . || . || . || . || . ||
         잠깐 다른 사람 소스들을 봤는데 이런식이 많더라. 나쁘다는 건 아니다. 실제로 재동과 상규가 프로그래밍대회에서는 저런식으로 했었다. 이유는 대회에선 무조건 속도전이라 함수 이름이나 함수의 길이는 신경쓰지 못하기 때문이였다. 하지만 적어도 대회가 아닌 연습에서는 좀 더 흐름을 알아보기 쉽게 하는게 좋을 거 같다. --재동
          그러게 다들 다른 사람들 코드는 보는 겐가? --[Leonardong]
         한 문제를 풀어본 후에 소요시간이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결과코드가 불만족스럽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내가 만약 이 문제를, 아직 풀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다시 풀어본다면 어떻게 접근하면 더 빨리 혹은 더 잘 풀 수 있을까를 고민합니다. 그리고 그 방법을 이용해서 다시 한 번 풀어봅니다(see DoItAgainToLearn). 개선된 것이 있나요? 이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와 기술을 다른 문제에도 적용해 봅니다. 잘 적용이 되는가요?
  • ActiveXDataObjects . . . . 3 matches
         = ADO? =
         {{|Microsoft ADO (ActiveX Data Objects) is a Component object model object for accessing data sources. It provides a layer between programming languages and databases, which allows a developer to write programs which access data, without knowing how the database is implemented. No knowledge of SQL is required to access a database when using ADO, although one can use ADO to execute arbitrary SQL commands.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at this introduces a dependency upon the database.
         마이크로소프트 ADO(ActiveX Data Objects)는 데이터 소스에 접근하려고 고안된 COM객체이다. 이것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 베이스 사이의 층을 만들어준다. 이 층은 개발자들이 DB의 구현부에 신경쓰지 않고 데이터를 다루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도록 해준다. ADO 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 SQL 을 알 필요는 없다. 물론, SQL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해 ADO 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SQL 커맨드를 직접 이용하는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의존성을 가져온다는 단점이 있다.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library/en-us/ado270/htm/dasdkadooverview.asp MS ADO]
         {{|In the newer programming framework of .NET, Microsoft also present an upgraded version of ADO called ADO.NET, its object struct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ADO. But ADO.NET is still not quite popular and mature till now.
         새로운 프로그래밍 프레임웍인 .NET에서 MS는 ADO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ADO.NET을 만들었다. ADO.NET의 객체 구조는 기존의 ADO와는 꽤 다르다. 하지만 ADO.NET은 아직까지는 대중화되거나 성숙화되지 못했다.
         ADO 는 ActiveX 이므로 C++ 이건 VB 이건 Python 이건 어디서든지 이용가능. 하지만, 역시나 VB 나 Python 등에서 쓰는게 편리. 개인적으로는 ODBC 연동을 안하고 바로 ADO 로 C++ Database Programming 을 했었는데, 큰 문제는 없었던 기억. (하긴, C++ 로 DB Programming 할 일 자체가 거의 안생겨서..) --[1002]
         [ADO]
  • AntOnAChessboard/김상섭 . . . . 3 matches
          cout << x << " " << y << endl;
          cout << y << " " << x << endl;
          while(num)
  • AustralianVoting/Leonardong . . . . 3 matches
          do{
          }while( isUnionWin(candidators) && isSomeoneWin(candidators) );
          cout << candidators[i].name << endl;
  • BasicJAVA2005/실습1/송수생 . . . . 3 matches
          Random number = new Random();
          while(strike!=3)
  • BusSimulation/영창 . . . . 3 matches
         [[NewWindow("http://zeropage.org/cvs/bus_simulation/?root=sapius&rev=7", "최초 동작 버전")]]
         [[NewWindow("http://zeropage.org/cvs/bus_simulation/?root=sapius&rev=8", "station, bus 객체의 people의 승탑 메소드 구현")]]
         [[NewWindow("http://zeropage.org/cvs/bus_simulation/?root=sapius", "탑승하차상황 가정 버전")]]
  • CompilerTheory/ManBoyTest . . . . 3 matches
          end;
          end;
          end;
         Donald Knuth 가 Algol 60의 구현 정도를 판변하기위해서 만든 프로그램. 테스트의 목적은 올바르게 구현된 scoping rule, call-by-name의 구현 정도를 판별해서 boys(algol 60 구현물)들중에서 men (쓸만한 놈)을 가려내는 용도로 고안되었습니다.
  • ContestScoreBoard/문보창 . . . . 3 matches
          cout << endl;
          while (cin.peek() != EOF)
          cout << rankTeam[i] << " " << team[rankTeam[i]].numberSuccessProblem << " " << team[rankTeam[i]].penalty << endl;
  • DPSCChapter3 . . . . 3 matches
          패턴은 실제로 아주 간단하다. 문제 상황은 많은 부분들을 포함한다. Abstract Factory 패턴이 적용 수 있는 예제를 보도록
          (결국, 각각이 CarEngine을 Base Class로 해서 상속을 통해 Ford Engine,Toyota Engine등등으로 확장 수 있다는 말이다.)
          만약, 팩토리가 FordFactory의 인스턴스였다면, 자동차에 추가되기 위해 얻어진 엔진은 FordEngine일 것이다. 만약 팩토리가 ToyotaFactory였다면, ToyotaEngine은 팩토리의 makeEngine에 의해서 만들어 질 것이고, 그 때 자동차에 추가 것이다.
  • DataStructure/String . . . . 3 matches
          while(1)
          * Failure Function 설명 좀 해주실 분? 대체 써 놓은 것을 보아도 개념이 잡히질 않는군요. f(j)값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나오는건가요? -[Leonardong]
          고마워.^^근데 C로 fail() 구현 부분은 더 신기하다. ㅡㅡ; --[Leonardong]
  • DataStructure/Tree . . . . 3 matches
         while(1)
          * 조건
          cout << root->Data << endl;
  • DebuggingSeminar_2005 . . . . 3 matches
          || [http://www.dependencywalker.com/ DependencyWalker] || Dependency Walker (Included at VS6) ||
          || [http://www.compuware.com/products/devpartner/softice.htm SoftIce for DevPartner] || 데브파트너랑 연동하여 쓰는 SoftIce, [http://www.softpedia.com/get/Programming/Debuggers-Decompilers-Dissasemblers/SoftICE.shtml Freeware Download] ||
  • DesignPatterns/2011년스터디/1학기 . . . . 3 matches
          * DoWeHaveToStudyDesignPatterns?
          1. SRP에서 책임나누기 - 변화를 상상해보라.. 서비스가 변경 때 함께 수정되어야 할 코드들을 분리해라! 그것이 변화의 축이다. - 많은 상상과 삽질을 해야겠습니다.
          1. 무엇이든 생각없이 받아들이지 말고 장점과 단점을 모두 생각한 후에 지금 사용하기 적절한지 판단하고 적용하라는 아주 중요한 메세지가 반복되어 나온다. 다시 한번 되새기는 시간이 되었다.
          1. 오늘 스터디한 부분은 '왜 extends가 나쁜가'였다. 왜 나쁜지 예를 보았는데 와닿지 않아 이해하기 힘들었다.
  • EightQueenProblemDiscussion . . . . 3 matches
         말 그대로 그냥 정공법 (이 지는 모르겠지만. -_-;)으로 나갔다. 여기서는 테스트 코드로 대신을..
         자신에게 항상 "What is the simplest thing that could possibly work?"라는 질문을 하면서 TestDrivenDevelopment를 했나요? 테스트/코드 사이클을 진행하면서 스텝을 작게 하려고 노력했나요? 중간에 진척이 별로 없는 경우, 어떤 액션을 취했나요? 그 때 테스트 사이클의 스텝을 더 작게하려고 했나요? 만약 다시 같은 문제를 새로 푼다면 어떤 순서로 테스트를 하고 싶나요? (직접 다시 한번 새로 시작하는 것도 강력 추천) 왜 다른 사람들에 비해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걸렸을까요? 테스트 코드를 사용한 것이 그 시간만큼의 이득이 있었나요? TestDrivenDevelopment를 해내가면서 현재 패스하려고 하는 테스트 케이스에서 무엇을 배웠나요? 켄트벡이 말하는 것처럼 사고의 도구가 되어 주었나요? 참고로 저는 EightQueenProblem을 파이썬으로 약 30분 정도 시간에 50 라인 이내로(테스트 코드 제외) 풀었습니다. TestDrivenDevelopment로요. --김창준
         직접 다시 새로 시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비교계산을 내리기 힘들것 같네요. (더 좋은 디자인을 얻어내는 것과 훈련라는 점에서는 물론 저도 추천) 제가 잘못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퀸을 배열하는 방법 알고리즘 부분에 대해 TestDrivenDevelopment 를 지키지 못했다는 점이죠. (머릿속에 먼저 재귀함수 호출 등의 특정 알고리즘들이 먼저 떠오른지라. )
         사고의 도구로써는 연습장과 TFP 둘 다 이용했지만, 순수하게 적용하지는 않았습니다. (위의 Queen을 놓는 부분에 대한 재귀호출부분에서는 적용못함) 테스트작성시간/코드작성시간 등에 대한 관리는 하지 않았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반성을. ^^;) 흠.. 그리고 'The Simplest Thing'을 찾아나갔다기 보다도, 이미 해당 문제에 대해서 의사코드를 생각하고, 해당 코드에 대해 Top-Down 형태로 모듈을 나눈뒤에 모듈에 대해 테스트를 만들어갔다는 생각이 드네요. --석천
         지금가지 모두 C++, Python, Java 등 OOPL을 이용했는데 그 중 OOP로 푼 사람은 아무도 없네요 -- class 키워드가 있다고 OOP라고 하긴 힘들겠죠. 사람은 시간이 급하다고 생각이 들수록 평소 익숙한 도구와 멘탈리티로 돌아가려고 하죠. 어쩌면 OOP가 편하고 수월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없다는 이야기가 지도 모르겠네요. 물론 모든 문제를 푸는데 OOP가 좋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만. --김창준
         적당한 자료구조를 생각하는 시간이 초반이든, 중반이든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Leonardong]
  • English Speaking/The Simpsons/S01E04 . . . . 3 matches
         Ah, don't worry. This dog has the scent.
         Police 1 : That figures. Come on, you stupid dog.
         Barney : Don't blame yourself, Homer. You got dealt a bad hand.
  • EnglishSpeaking/2011년스터디 . . . . 3 matches
          * There are four members in my family: my father, mother, and a younger brother. Well, actually there are five including our dog. My father was a military officer for twenty years. He recently retired from service and now works in a weaponry company. My mother is a typical housewife. She takes care of me and my brother and keeps our house running well. My brother is attending a university in the U.S.A. He just entered the university as a freshman and is adjusting to the environment. I miss the memory of fighting over things with him. The last member of my family is my dog named Joy. She is a Maltese terrier and my mother named her Joy to bring joy into our family. That's about it for the introduction of my family members.
  • EuclidProblem/조현태 . . . . 3 matches
          while (1)
          while(number_a*(*x)+number_b*(*y)!=gcm)
          while (temp=number_a%number_b)
  • FromCopyAndPasteToDotNET . . . . 3 matches
          * 장소 : 미정 (7층 PC실 옆 대학원 세미나실이 것같음)
          *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FromCopyAndPasteToDotNET/FromCopyAndPasteToDotNET.doc 세미나 자료]
          *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FromCopyAndPasteToDotNET/DLLExample.zip DLLExample]
          *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FromCopyAndPasteToDotNET/UsingDLL.zip UsingDLL]
          *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FromCopyAndPasteToDotNET/ATLCOMExample.zip ATLCOMExample]
          * [http://zeropage.org/~lsk8248/wiki/Seminar/FromCopyAndPasteToDotNET/UsingCOM.zip UsingCOM]
          * [http://msdn.microsoft.com/library/en-us/winui/winui/windowsuserinterface/dataexchange/dynamicdataexchange/aboutdynamicdataexchange.asp About Dynamic Data Exchange]
  • FrontPage . . . . 3 matches
          * 제로페이지에 처음 방문하신다면 [ZP%20Docs|여기]를 참고.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ccc?key=0AuA1WWfytN5gdEZsZVZQTzFyRzdqMVNiS0RDSHZySnc&usp=sharing 기자재 목록]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c5oB2qnh64Em4yVOeG2XT4i_YXdPsygzpqbG6yoC3IY/edit?usp=sharing 도서목록]
          * '''개인정보 누출을 주의해 주세요. 위키 페이지에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를 노출 시키면 웹에 돌아다니는 로봇에 수집 수 있습니다.'''
  • Hessian . . . . 3 matches
         이를 컴파일 하기 위해서는 hessian-2.1.3.jar 화일과 jsdk23.jar, resin.jar 화일이 classpath 에 맞춰줘야 한다. (이는 resin 의 lib 폴더에 있다. hessian jar 화일은 [http://caucho.com/hessian/download/hessian-2.1.3.jar hessian] 를 다운받는다)
         public class RpcTest extends HessianServlet implements Basic {
         Python 모듈은 http://caucho.com/hessian/download/hessianlib.py 를 다운받는다.
  • HowToStudyDataStructureAndAlgorithms . . . . 3 matches
         제가 생각컨데, 교육적인 목적에서는, 자료구조나 알고리즘을 처음 공부할 때는 우선은 특정 언어로 구현된 것을 보지 않는 것이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 대신 pseudo-code 등으로 그 개념까지만 이해하는 것이죠. 그 아이디어를 Procedural(C, 어셈블리어)이나 Functional(LISP,Scheme,Haskel), OOP(Java,Smalltalk) 언어 등으로 직접 구현해 보는 겁니다. 이 다음에는 다른 사람(책)의 코드와 비교를 합니다. 이 경험을 애초에 박탈 당한 사람은 귀중한 배움과 깨달음의 기회를 잃은 셈입니다. 참고로 알고리즘 교재로는 1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한 CLR(''Introduction to Algorithms, Thomas H. Cormen, Charles E. Leiserson, and Ronald L. Rivest'')을 적극 추천합니다(이와 함께 혹은 이전에 Jon Bentley의 ''Programming Pearls''도 강력 추천합니다. 전세계의 짱짱한 프로그래머/전산학자들이 함께 꼽은 "위대한 책" 리스트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책입니다. 아마 우리 학교 도서관에 있을 것인데, 아직 이 책을 본 적 없는 사람은 축하드립니다. 아마 몇 주 간은 감동 속에 하루하루를 보내게 겁니다.). 만약 함께 스터디를 한다면, 각자 동일한 아이디어를 (같은 언어로 혹은 다른 언어로) 어떻게 다르게 표현했는지를 서로 비교해 보면 또 배우는 것이 매우 많습니다. 우리가 자료구조나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이유는, 특정 "실세계의 문제"를 어떠한 "수학적 아이디어"로 매핑을 시켜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효율적이고, 또 이를 컴퓨터에 어떻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효율적인지를 따지기 위해서이며, 이 과정에 있어 수학적 개념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해 내는 것은 아주 중요한 능력이 됩니다. 개별 알고리즘의 카탈로그를 이해, 암기하며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알고리즘을 생각해 낼 수 있는 능력과 이 알고리즘의 효율을 비교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료구조/알고리즘 공부를 할 때에는 가능하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실세계의 문제를 함께 다루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모든 학습에 있어 이는 똑같이 적용됩니다. 인류의 지성사를 봐도, 구상(concrete) 다음에 추상(abstract)가 오고, 인간 개체 하나의 성장을 봐도 그러합니다. be 동사 더하기 to 부정사가 예정으로 해석 수 있다는 룰만 외우는 것보다, 그러한 다양한 예문을 실제 문맥 속에서 여러번 보는 것이 훨씬 나은 것은 자명합니다. 알고리즘/자료구조 공부를 할 때 여러 친구들과 함께 연습문제(특히 실세계의 대상들과 관련이 있는 것)를 풀어보기도 하고, ACM의 ICPC 등의 프로그래밍 경진 대회의 문제 중 해당 알고리즘/자료구조가 사용되는 문제를 -- 이게 가능하려면 "이 알고리즘이 쓰이는 문제는 이거다"라는 가이드를 해줄 사람이 있으면 좋겠죠 -- 같이 풀어보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알고리즘을 공부하면 큰 줄기들을 알아야 합니다. 개별 테크닉들도 중요하지만 "패러다임"이라고 할만한 것들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알고리즘을 상황에 맞게 마음대로 응용할 수 있습니다. 또, 자신만의 분류법을 만들어야 합니다. (see also HowToReadIt Build Your Own Taxonomy) 구체적인 문제들을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여럿 접하는 동안 그냥 지나쳐 버리면 개별자는 영원히 개별자로 남을 뿐입니다. 비슷한 문제들을 서로 묶어서 일반화를 해야 합니다. (see also DoItAgainToLearn)
  • HowToStudyXp . . . . 3 matches
          * ["TestDrivenDevelopmentByExample"] (Kent Beck) : 곧(아마 올해 내에) 출간 예정인 최초의 TDD 서적. TDD를 모르면 XP도 모르는 것. (TDD를 실제 적용하려면 적어도 반년 정도는 계속 훈련해야 함)
          * [http://groups.google.co.kr/groups?hl=ko&lr=&ie=UTF-8&newwindow=1&group=comp.software.extreme-programming news:comp.software.extreme-programming]
          * http://groups.yahoo.com/group/testdrivendevelopment
          * [http://groups.google.co.kr/groups?dq=&num=25&hl=ko&lr=&ie=UTF-8&newwindow=1&group=comp.object&start=0 news:comp.object]
  • JTDStudy/첫번째과제/원희 . . . . 3 matches
          comNum[0] = (int)(Math.random() * 10 +1);
          comNum[1] = (int)(Math.random() * 10 +1);
          comNum[2] = (int)(Math.random() * 10 +1);
  • Java Script/2011년스터디/박정근 . . . . 3 matches
          document.write("Infor : "+s,"<br>")
          document.write("<br><br>");
          document.write("arr[" + i + "] = " + arr[i] + " <br> length : " + arr[i].length,"<br>");
  • Java/스레드재사용 . . . . 3 matches
          while(true) {
          while (true) {
          while(target==null) {
  • KnightTour/재니 . . . . 3 matches
         #endif // _MSC_VER > 1000
         #endif // !defined(AFX_KNIGHT_H__B5234B12_3582_4CB8_8253_6ADFBE7B5E68__INCLUDED_)
          while (++direction <= 8 && m_ChessBoard[m_CurrentRow][m_CurrentColumn] < 64) {
  • KnowledgeManagement . . . . 3 matches
          * 예를 들어서 조직을 위해서 새로운 프로젝트에 착수하는 개인은 이전에 비슷한 프로젝트에서 배웠던 교훈이나 지식에 접근하려고 할 것이다. 현재 처리하고 있는 문제에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프로젝트 중에 관련된 정보에 접근하고, 프로젝트를 마치고 추후 프로젝트에서도 필요하게 정보를 남기기 위해서 관련된 정보에 접근하게 것이다. 지식 관리를 행하는 사람은 시스템, 저장소, 협동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이러한 활동을 촉직 한다.
          * 지식 저장소에서 지식을 넣고 가져오는 한가지 대체적인 전략은 각 개인이 자신의 지식 요구에 따라 ad hoc 기반으로 접근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각 개인에게서 오는 응답의 내용과 제시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풍부하고 그것을 제시하는 개인에게 특화 수 있다는 점이다.
  • Linux . . . . 3 matches
         I'm doing a (free) operating system (just a hobby, won't be big and
         리눅스는 현재 컴퓨터의 커다란 흐름중의 하나이다. FSF에 의해서 지원을 받는 핵심적인 운영체제로 현재 기능적, 보안적 측면이 기존의 [Unix] 시스템에 버금갈 정도 발전하였고 [GNU]의 사상하에 만들어진 [GPL]을 따르기 때문에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여 서버 운영체제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본디 리눅스라는 하는 것은 운영체제의 [Kernel] 명칭이며, 주로 접하게 되는 패키지 형태로 이루어진 배포판의 전체 구성을 리눅스라고 여기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리눅스의 광의적 정의라고 생각하면 듯 싶다.
         리눅스와 비슷한 운영체제로는 정통적인 유닉스 클론 이라고 평가받는 [:FreeBSD BSD]계열이 있다. BSD계열중 가장 잘알려진 [http://www.kr.freebsd.org FreeBSD]의 경우 실제로 과거부터 hotmail.com, yahoo.com, cdrom.com 을 운영해온 네트워킹에 대한 안정성이 입증된 운영체제이다. 실제로 2.6커널의 도입이전에는 BSD의 네트워킹이 더욱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일반적인 의견이었으나, 많은 구조적 변경을 통해서 리눅스는 현재 이런 점을 극복하고 BSD와 리눅스를 선택하는 것은 운영자의 기호일 뿐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최근에는 리눅스를 데스크탑의 용도로 까지 확장하려는 노력의 덕분에 로케일 설정관련 부분이 대폭 강화되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WindowManager인 [Gnome], [KDE] 등의 프로그램이 대폭 강화되면서 low-level 유저라도 약간의 관심만 기울인다면 충분히 서버로써 쓸 만한 운영체제로 변모하였다.
  • MFCStudy_2002_2 . . . . 3 matches
          '어쩌죠? 제가 맡은일이 있었는데 계속 미루다가 된통 걸렸습니다. 일단은 이일만 하게듯해요..죄송.. 이번주 불참 가능성이 무척이나 많은...-_-;;' - 성재[[BR]]
          * 아마.. 내가 이정도 때 했구나.. -_-;; 그때 딱 도움 되었던게.. 남의 source 훔쳐 보기. -_-+ www.codeguru.com 가서 많이 받아서 봤지.. -_-;; MFC 잘쓰는데는 꽤나 도움이 거구만.. 뭐.. 거 가보면 mfc 내에서 엄청나게 상속받아서 지들이 만들어 놓은게 많아서 왠만한건 분석도 못하는게 많이 있지만. --; 그래도 도움 짱이지... 지금 쓰질 않아서.. -_-; 기억이 하나도 안나는구만. 에또.. 제프 아저씨와 찰스 아저씨의 책을 읽어 보도록 해요. --; 세미나 하는 사람들한테 물어봐 그건.. --;; 그럼.. 휘릭~ -- guts
          책이 없어서 그런지 좀 정리가 안된 느낌이다. 책을 빨리 사야겠다..함수를 몇개 배운거 같긴 한데 기억이 잘 나질 않으니..기억나는 사람이 이 페이지에 내용을 올려놨음 좋겠다.그리고 앞으로 스터디 할 때 책을 중심으로 차근차근 진도를 나가면 좀 정리가 것 같기두 한데..-은지 [[BR]]
  • MineSweeper/김상섭 . . . . 3 matches
          cout << endl;
          cout << endl;
          while(row != 0 || col !=0)
  • OperatingSystem . . . . 3 matches
          * [[windows|MicrosoftWindows]]
          * Palm, WindowsCE
  • PlatformSDK . . . . 3 matches
         = Download =
         [http://www.microsoft.com/msdownload/platformsdk/sdkupdate/psdk-full.htm 다운로드 페이지] : 최신 버전은 VC6 와 호환되지 않는 다고함.
         기타 최신버전은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library/en-us/sdkintro/sdkintro/devdoc_platform_software_development_kit_start_page.asp MSDN platform SDK 소개 페이지] 에서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WindowsProgramming]
  • PowerOfCryptography/이영호 . . . . 3 matches
          double ret_buf;
          double buf;
          buf = log10((double)atof(p_buf)/10); // 첫 두자리를 log취한다.
  • PreviousFrontPage . . . . 3 matches
         You are encouraged to add to the MoinMoinIdeas page, and edit the WikiSandBox whichever way you like. Please try to restrain yourself from adding unrelated stuff, as I want to keep this clean and part of the project documentation.
         You can edit any page by pressing the link at the bottom of the page. Capitalized words joined together form a WikiName, which hyperlinks to another page. The highlighted title searches for all pages that link to the current page. Pages which do not yet exist are linked with a question mark: just follow the link and you can add a definition.
          * MoinMoinTodo: discussion about the improvement of MoinMoin
  • ProgrammingWithInterface . . . . 3 matches
         class Stack extends ArrayList {
         class MonitorableStack extends Stack {
         깔끔한 코드가 나왔다. 하지만 MonitorableStack은 pushMany 함수를 상속한다. MonitorableStack을 사용해 pushMany 함수를 호출하면 MonitorableStack의 입력 받은 articles의 articles.length 만큼 push가 호출된다. 하지만 지금 호출된 push 메소드는 MonitorableStack의 것이라는 점! 매번 size() 함수를 호출해 최대 크기를 갱신한다.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누군가 Stack의 코드를 보고 pushMany 함수의 비 효율성 때문에 Stack을 밑의 코드와 같이 수정했다면 어떻게 것인가???
  • ProjectPrometheus/LibraryCgiAnalysis . . . . 3 matches
          * Servlet-Engine: Tomcat Web Server/3.2.1 (JSP 1.1; Servlet 2.2; Java 1.3.1_01; Windows 2000 5.0 x86; java.vendor=Sun Microsystems Inc.)
         Windows 2000 아파치 톰켓 조합에 Java JDK 가 1.3.1_01 이라. 약간 신기한 조합같다는 생각이.. --a
  • RandomQuoteMacro . . . . 3 matches
         {{{[[RandomQuote]]}}}
         [[RandomQuote(3)]]
         '''Q''' : 블로그를 쓰면 Calendar 밑에 이 모듈이 붙어있더군요.
  • RandomWalk2/TestCase2 . . . . 3 matches
         c:\RandomWalk2Test> alltest.bat test.exe
         {{{~cpp C:\RandomWalk2Test> fc output1.txt e-output1.txt}}}를 통해 정답과 자동 비교를 해볼 수 있습니다.
         ["RandomWalk2"]
  • SignatureSurvey . . . . 3 matches
          def repl_tagEnd(self, aText):
          tagEnd = Rep1(AnyBut(">")) + Str(">")
          (tagEnd, repl_tagEnd),
          while True:
         정확히 분석을 한 것은 아니지만. <> 태그 안으로 쓴 글자수가 같다면 화면상에서도 비슷한 것을 보이게 하기 위해 C & P 를 했을 확률이 높다. 그러면 그 부분에 대해서 looping 을 하는 식으로 묶으면 것 같다. 종이로 찍어놓고 보면 반복되는 부분에 대해서 일반화된 패턴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부분에 대해 적절히 1차적으로 검색을 하고, generating 할때의 단위들을 끄집어내면 되는 것이다.
  • StackAndQueue/손동일 . . . . 3 matches
          while(cin>>choice)
          cout << " 1 : 입력"<<"\t"<<" 2 : 빼기"<<"\t"<< " 3 : 보여주기"<<endl;
          cout << "숫자를 입력하세요.. "<< endl;
  • Steps/문보창 . . . . 3 matches
          cout << 2 * (i - 1) << endl;
          cout << 2 * i - 1 << endl;
          cout << 2 * i << endl;
  • TermProject/재니 . . . . 3 matches
         double avr_ind[students + 1];
          else cout << endl << (select == 1 ? "국어" : (select == 2 ? "영어" : "수학")) << " 목록n"
          << "t " << sort_stats[i][select] << endl; // 성적 출력
  • ThePriestMathematician/문보창 . . . . 3 matches
          cout << 0 << endl;
          cout << result << endl;
          while (cin >> n)
  • VimSettingForPython . . . . 3 matches
          if &diffopt =~ 'icase' | let opt = opt . '-i ' | endif
          if &diffopt =~ 'iwhite' | let opt = opt . '-b ' | endif
         endfunction
  • WeightsAndMeasures/김상섭 . . . . 3 matches
          while(cin >> temp.weight >> temp.strength)
          sort(test.begin(), test.end(), compare);
          while(value[--max] == maxweight);
  • XpWeek/20041224 . . . . 3 matches
         종목을 잘못 골랐다는 느낌이 여운처럼 남는다.--[Leonardong]
          사실 네트워크에 대한 MockObjects는 어렵지 않았던 것 같아. JUnit에서 제공하는 MockObject클래스를 소켓에 써먹는 방법에 집착한 나머지 포기하지 않았을까? 단순히 서버와 클라이언트 흉내만 내면 텐데...
          [테스트주도개발]이 도착해서 읽고 따라해보고 있어. 다 읽고 나서 다시 이 프로젝트 결과물을 가다듬을 수 있을 것 같아. --[Leonardong]
  • XsltVersion . . . . 3 matches
          <xsl:value-of select="system-property('xsl:vendor')"/>
          (<a href="{system-property('xsl:vendor-url')}"><xsl:value-of select="system-property('xsl:vendor-url')"/></a>)
  • ZeroPagers . . . . 3 matches
         회원 : (정회원; [회원조건]에 맞는 회원)
          * 나휘동 : [Leonardong] - 포항공대.
          * 이봐라 : ["ddori"]
  • ZeroPage회칙토론 . . . . 3 matches
          * 회칙이 만한것들 & 안건들
          ["neocoin"]:설마, 그렇게 까지는 필요 없겠지 회원 자격 상실 조건과, 정모 만 확실하게 정하면 더 이상 무슨 규칙이 있겠냐 --상민
         엘레베이터에 붙였다가는 금방 떼어저 버리더군요. 1층 엘레베이터 옆이 낫겠지요? --[Leonardong]
  • callusedHand/books . . . . 3 matches
          저는 오픈 소스 진영을 좋아하며 그 곳에서 많은 도움을 얻고 있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오픈 소스 개발 방식을 옹호하는 것은 아닙니다. 공개 소스 방식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보완해야 할 부분과 함께 단점이라고 여겨지고 있는 부분들에 대한 나름대로의 반론을 펼치고자 합니다.
          공개 소스 방식의 개발은 많은 개발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낭비라고 볼 수 있는 많은 동류의 소프트웨어 개발, 무수히 많은 패치들, 중복된 작업들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런 양상은 혼란스러워 보입니다. 하지만 이것을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 합니다. 소프트웨어 산업에도 약육강식, 적자생존의 법칙이 적용됩니다. 엔드 유저가 찾고 엔드 유저의 눈에 보이는 것은 경쟁 속에서 살아남은 몇 가지 소프트웨어입니다. 그리고 개발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는 성당 개발 방식에서 개발자들을 기계화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참여 개발자라면 적어도 그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자율이라는 점에서 더욱 힘을 얻어 개발자는 개발에 열중하게 것입니다. 이럴때 개인의 창의력, 프로그래밍 능력이 극대화 수 있을 겁니다.
  • mantis . . . . 3 matches
         // $t_password = auth_generate_random_password( $t_seed );
         ./mantis-1.0.2/core/adodb/drivers/adodb-mysql.inc.php
  • neocoin/Log . . . . 3 matches
          * 이번달 마소를 보니, Tiger에서 추가 개념이 C#에서 구현된 것이 많다. 대체 무슨 이점이 존재하는가 보고서 작성, 추가되기를 원하는 기능과 삭제되기 원하는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작성
          * 작년에 비하여 독서량을 대폭 늘였고, 더 늘여야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에 반하여, 해당 정보의 정리 능력에 고민 중이다. 문자 해독 능력과 의미론적 정리를 위해서 좀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 (위키의 정리는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
          - JXTA는 과거 JXTA를 기고했던 마소 필자가 강의자(숭실대 대학원) 였는데, 거기에서 크게 발전한 것은 없다. JXTA의 구현 방향이 IPv6와 겹치는 부분이 많고, P2P의 서비스의 표준을 만들어 나가는 것에 많은 난관이 있다는 것이 느껴졌음. JMF는 강의자가 JMF의 초심자에 가까웠다. JMF가 계획 시행 초기의 당초 원대한 목표에 따르지 못했고, 미래 지향적인 프레임웍만을 남기고 현재 미미하다는 것에 중점, JavaTV가 일부를 차용하고, 그 일부가 무엇인지만을 알게되었음. JavaTV가 정수였다. 이 강연이 없었다면, 이날 하루를 후회했을 것이다. 현재 HDTV에서 JavaTV가 구현되었고, 올 7,8월 즈음에 skylife로 서비스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가장 궁금했던 "HDTV 상에서의 uplink는 어떻게 해결하는가"의 대답을 들어서 기뻤다.
  • pragma . . . . 3 matches
         Each implementation of C and C++ supports some features unique to its host machine or operating system. Some programs, for instance, need to exercise precise control over the memory areas where data is placed or to control the way certain functions receive parameters. The #pragma directives offer a way for each compiler to offer machine- and operating-system-specific features while retaining overall compatibility with the C and C++ languages. Pragmas are machine- or operating-system-specific by definition, and are usually different for every compiler.
         혹시라도.. 저 #pragma warning(disable: n ... m) 을 써서 언제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저 위의 설명에도 씌여있듯이, pragma directive 는 지극히.. 시스템에 의존적입니다. 그러므로, VC 에서는 먹힌다는 저 명령어가 GCC 에서는 안수도 있고.. 뭐 그런겁니다. 확실하게 쓰고싶으시다면.. 그 컴파일러의 문서를 참조하는것이 도움겁니다.
  • wiz네처음화면 . . . . 3 matches
          * http://blog.empas.com/tobfreeman/13965830 , http://knowhow.interpark.com/shoptalk/qna/qnaContent.do?seq=96903
          * English music - singer : sweet box, toxic recommended by Ah young.
          * MP3 file download site to listen English - [http://iteslj.org/links/ESL/Listening/Downloadable_MP3_Files Listening English]
  • woodpage/VisualC++HotKeyTip . . . . 3 matches
         === Ctrl + Up/Down ===
          *모르는 사람이 없을거 같은데 솔직히 1학년 중반쯤에 알았다. Undo 이전 거로 복귀(?)
          *Undo하기 전으로 다시 복귀(?)
          *#ifdef 와 #endif의 짝을 찾아줌
          *WndTabs 라는 프로그램으로 Visual c++에 AddOn(스타처럼) 시키는 프로그램이다.
  • 구구단/김상윤 . . . . 3 matches
          cout<<endl;
          cout<<endl;
          cout<<endl;
  • 김희성/MTFREADER . . . . 3 matches
          while(*((unsigned long*)((unsigned char*)$MFT+point))!=0xFFFFFFFF)
          fprintf(fp,"DOS\n");
          fprintf(fp,"Win32 & DOS\n");
          while(*(point+i))
          while(!(*((unsigned long*)((unsigned char*)MFT+i*BytesPerFileRecord+j))&0xFFFFFF00))
  • 데블스캠프2003/다루어볼문제와관련세미나 . . . . 3 matches
          큰 프로그램이라고 말은 해 봤자 선배님들이 풀면 4~5시간이면 풀어버릴 문제가 꺼 같습니다. 휴대폰 메뉴 만들기나 PDA기능 만들기 등 이런 조그만 프로그램을 묶어놓는 프로그램을 하면서 OOP를 조금이나마 느껴보라는 차원에서 하는 것입니다. 물론 같이 페어를 하는 선배님들은 정말 기초적인 것만 알려주는 식이고요 그 팀을 이끌어 가서는 안되겠죠? ^^; -[상욱]
          * 세미나 기간 중에 하루 "Parellel/Distributed Computing for Dummies"를 해드릴 수 있습니다. CSP와 Tuple Space 등을 다루게 것 같습니다. 학생들은 서너명씩 팀을 이루어 수십대의 컴퓨터를 동원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경이적인 체험을 하게 것입니다. --JuNe
  • 데블스캠프2005/월요일/BlueDragon . . . . 3 matches
         import random
          self.aDragon.hp -= random.randrange(100)
          self.aUser.hp -= random.randrange(100)
  • 데블스캠프2006/CPPFileInput . . . . 3 matches
          while(fin >> temp)
          // cout << "에이 뿔이다."<<endl;
          cout << endl;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연습문제/for/임다찬 . . . . 3 matches
          cout << endl;
          cout << endl;
          cout << factorial(number) << endl;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연습문제/switch/김준석 . . . . 3 matches
          do{
          cout << "잘못 했습니다 다시 해주세요" <<endl; continue;
          }while(!(i==999));
  • 데블스캠프2006/화요일/pointer/문제4/이장길 . . . . 3 matches
          cout <<reverse << endl;
          cout << "false" << endl;
          cout << " true " <<endl;
  • 데블스캠프2009/금요일/SPECIALSeminar . . . . 3 matches
          1. 어떻게 하면 전문가가 수 있을지를 연구.
          1. 반복
          * 반복문이 제대로 됐는지 체크 - 첫, 끝 index 출력, 에러 메세지 확인
  • 데블스캠프2009/금요일/SPECIALSeminar/송지훈/김홍기/박성현 . . . . 3 matches
          2. 피드백들. 반복을 안했는데 왜 부족한지 알게됐다. 부족했던 부분을 알게된게 만족스럽다.
          3. C++ 를 보고있는데 지금까지 했던 부분들을 피드백해보고 반복해보기. 다음주까지.
         2. 반복과 지식.
  • 데블스캠프2011/넷째날/루비/김준석 . . . . 3 matches
          end
          end
         end
  • 마방진/곽세환 . . . . 3 matches
          while (input % 2 == 0)
          while (count != input * input)
          cout << endl;
  • 마이포지셔닝 . . . . 3 matches
          * 이책에서는 자기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수 없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가 보통 믿고 있는것과 같이 아주 죽으라고 공부하고 일만해서 성공할 확률은 1%정도밖에 안된다고 한다. 확실히 맞는말 같다. 우리는 무조건 공부만 열심히 하면 꺼라는 생각을 주입받았지만 그렇게 해서 성공하는건 정말 1%도 안 정도로 힘들다고 본다. 뭐 어느정도 안정된 생활은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 만년달력/방선희,장창재 . . . . 3 matches
          while (cc < start_copy)
          cout << endl;
          cout << endl;
  • 문자반대출력/허아영 . . . . 3 matches
          while(ch[i])// 간단히 영어만 된다.
          while(str_temp[i] > 0)
          MSB는 비트로 표현된 값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값을 말합니다. 가령 10001000 이라는 값이 있을때 가장 왼쪽에 있는 1이 MSB입니다. 마찬가지로 가장 왼쪽에 있는 0을 LSB (Least Significant Bit)라고 합니다. 지금 설명드린 내용은 BigEndian Machine 의 경우, 즉, 비트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는 아키텍처에서의 MSB, LSB를 설명드린 것이고, LittleEndian (비트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아키텍처에서는 LSB와 MSB가 바뀌어야겠죠. 현대의 거의 모든 아키텍처에서 영문은 ascii 코드로 표현합니다. ascii코드의 값은 0~127인데 이를 8비트 2의 보수를 사용해서 표현하면 MSB가 모두 0 이 됩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문자가 1바이트의 문자란 것을 뜻하고, MSB가 1인 경우에는 뒤에 부가적인 정보가 더 온다 (죽, 이 문자는 2바이트 문자이다)라는 것을 말합니다.
         [LittleAOI] [반복문자열]
  • 새싹교실/2011/學高/4회차 . . . . 3 matches
          * 실수형 data type: float, double
         double
         float 와 double에 배웠는데, 더블이 좀더 정확한 수를 표현할때 쓰는 수이구여 .
  • 새싹교실/2012/열반/120409 . . . . 3 matches
          * 중첩 반복문을 이용한 별찍기
          while(N){
          while(N<0){
  • . . . . 3 matches
          ||[신혜지]||doiha86 골뱅이 hotmail 닷 com|| ||
         영어성적://5번 반복한다.
          └스스로 이해때까지 약간씩 힌트만 주시는게 괜찮았어요^^ㅎㅎㅎ-[joosama]
  • 숫자를한글로바꾸기/조현태 . . . . 3 matches
          while (input_number<0 || input_number>=MAX_NUMBER)
          while (input_number>0)
          while (print_number.get_out(&temp))
  • 숫자야구/방선희 . . . . 3 matches
          while ( x2 == x1 )
          while ( x3 == x1 || x3 == x2)
          while( !(x1 == a && x2 == b && x3 == c))
  • 전시회 . . . . 3 matches
          넉넉히 1시 이후에 가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Leonardong]
          그럼 승한군과 途?2시에 가죠.--[Leonardong]
          * 이런 분위기라면 아마 전시회 가능? --[Leonardong]
  • 정모/2004.2.3 . . . . 3 matches
          * 소풍을 여행으로 바꾸려고 합니다. 동문서버 제로페이지 게시판에도 있고 [2004겨울여행] 에도 관련 내용이 있으니 참석할 수 있는지 없는지 적어주세요. 다른 장소를 추천하셔도 좋습니다. -[Leonardong]
          * 회의 시간을 잘 맞춰주세요. -[Leonardong]
          * 이번에 예정 시간에 맞춰 회의를 진행하려 했으나 이런 저런 사정으로 뜻대로 되지 않았네요. ㅜㅜ -[Leonardong]
  • 정모/2011.3.21 . . . . 3 matches
          * 이번에 승한이 형의 Emacs. Elisp 세미나를 들었다. 세미나를 들어보니 Emacs는 매우 자신에 맞게 전환 할 수 있는 도구 인 것 같다. 와우 에드온 같이 자기에게 딱 맞게 설정하는 재미가 있을꺼 같다. 기회가 되면 한번 다뤄봐야겠다. 그리고 다음 OMS로 주제를 키넥트에 관해서 하고싶은데 아직 사지도 않아서!!! 뭘해야지 고민이다... 그냥 요즘 새로나온 게임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통짜로 해버릴까...고민중임 - [임상현]
          1. 키워드 전기수가 생각처럼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아마 첫 시도라 그렇겠죠? 현이가 낸 아이디어가 매우 좋아서 지난 한 주간 이 활동을 굉장히 기대했는데 생각해보니 제가 글을 못 쓴다는 사실을 망각한 채 기대만 했어요… 다음주엔 더 재미있게 진행 수 있도록 시간제한이나 키워드 수 등 방식을 고민해보겠습니다:)
          * 키워드 전기수 재밌었습니다. 괜히 저는 혼자 말도 안돼는 드립치다가 웃음보 터져가지고 민망하게 진행도 못하긴 했었지만요 ㅋㅋㅋ elisp과 emacs 세미나는 파스텔톤 분위기에 취해서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emacs는 '''단축키가 리눅스랑 같다'''는 이야기때문에 끌렸습니다... ㅋㅋ 그래서 설치하고 튜토리얼도 따라해봤습니다. 재밌더군요 {OK} OMS는 들으면서 놀랐습니다. 실제 마케팅부서에서 마케팅 나온 듯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OMS를 보고 와우 스토리에 흥미도 생겼구요. 속으로 이런 생각도 했습니다. '와우는 무저갱이니까 와우 소설이나 읽어서 대리 만족이나 하자.' ㅋㅋㅋ 근데 소설 읽으면 결국 하게 거 같아서 Stop Thinking! 결국 결론은 '''와우에는 접근도 하지 말자.''' 피자도 맛있게 '냠냠 쩝쩝 우물우물 쓰읍쓰읍 꿀꺽 쯥'하면서 잘 먹었습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새싹 교실 트레이드를 못한 것 입니다. 제 반에 같이 햇빛을 못 쬐는 새싹이 있는데 결국 다른 새싹으로 바꾸지 못해서 제 새싹이 양분을 먹지 못했습니다...담번에는 꼭 흙 째로 옮겨주고 싶네요. - [박성현]
  • 정모/2013.9.4 . . . . 3 matches
          * 덧붙여서, 지원금을 왜 주는지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했으면 좋겠어요. 저는 이게 학술 활동 지원이라 생각하는데, 지원 받는데 세세한 조건같은거 있으면 귀찮아서 학술활동을 포기해 버리겠죠?
          * 소모임방식으로 진행이 수도 있다.
          * 클린 코드 :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DIP(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방식을 공부하였고 디자인패턴 중 템플릿 메소드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그리고 스레드에 대해서 공부 하였습니다. trello와 github연동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상당히 유용할 것같으므로 관심있으신분들은 조금만 찿아보시면 쉽게 하실수있습니다.
  • 최소정수의합/이도현 . . . . 3 matches
          while ((n * n + n) / 2 <= 3000)
          while (sum <= 3000)
         [LittleAOI] [반복문자열]
  • 테트리스만들기2006/예제1 . . . . 3 matches
         #include <Windows.h>
          while(1)
          while(1)
  • 파일 입출력_1 . . . . 3 matches
          while(fin >> temp)
          // cout << "에이 뿔이다."<<endl;
          cout << endl;
  • 페이지이름 . . . . 3 matches
          * 영문 제목의 경우 모두 빈칸을 붙여서 사용한다. (제목으로 표시때 자동으로 단어의 대문자 단위로 빈칸을 띄어주므로)
         = 논의 중 Document =
         사실 ["ZeroWiki/제안"] 이나 ["제안"]과 같은 페이지는 그 ["페이지이름"]이 다소 추상적이라고 생각됩니다. ["페이지이름"]에 좀 더 구체성을 주기위해 ZeroWiki에 제안 사항들은 각각의 주제가 제목이 되어 페이지가 열리는것이 좋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있습니다. 이는 ["페이지이름"] 페이지에서 보다 일반화되어 정리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이덕준"]
  • 프로그래머가지녀야할생각 . . . . 3 matches
         어쨌든 저처럼.. ㅡ.ㅡ게으르면 안지도.. -- 선호
         프로그래머는 예술가가 수도 있고, 스니커가 수도 있고, 비난을 듣는 경영자로 변신할 가능성도 있지요. --혀뉘
  • 프로그래밍잔치/첫째날후기 . . . . 3 matches
         (이 부분은 Document Mode 이며, 해당 한 일들을 기억하는 사람들끼리 기억을 모아서 만듭니다. ^^ 그날 했었던,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억나는대로 간단히 정리해봅시다. 너무 길어지면 '프로그래밍잔치첫째날' 식으로 페이지를 나누어도 좋겠고요. )
         학부생이 공부해볼만한 언어로는 Scheme이 추천되었는데, StructureAndInterpretationOfComputerPrograms란 책을 공부하기 위해서 Scheme을 공부하는 것도 그럴만한 가치가 있다고 했다. 특히 SICP를 공부하면 Scheme, 영어(VOD 등을 통해), 전산이론을 동시에 배우는 일석삼조가 수 있다. 또 다른 언어로는 Smalltalk가 추천되었다. OOP의 진수를 보고 싶은 사람들은 Smalltalk를 배우면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감상 : 위키에 글을 쓸 수 있는 용기를 내어...;;짧은 시간이나마 참여했던 후기를 남겨보면..내가 선택했던 python은 c나 java와 비슷하면서도 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패러다임의 변화로부터 오는 충격은 적었던것 같다. 오히려 문법은 간단하지만, 손과 눈에 익지 않은 구조문들과 프로그램 실행 방식으로 인해 상당히 불편하다는 느낌을 받았고, 이렇게 실행 되는 인터프리터 언어를 접한다는게 어떤 도움이 는지....;;;란 생각이 들었다. 특히, 툴과 언어가 익숙하지 않으니 문제(삼목)의 알고리즘도 생각이 나질 않아 당황스러웠다. 마구잡이로 짜는 코딩 습관 때문인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1. 충격 이었다.. 라고 하면 너무 일반적인 수식어 일까. 사실 앉아서, 해당 언어들에 대하여 집중 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 지지 않았다는 것이 너무나 아쉬웠다. To Do 로 해야 할일이 추가 되었다. 아니 Memory List로 표현해야 할까?
         >>> printgugupair=lambda pair: sys.stdout.write("%d * %d = %d\n"%(pair[0],pair[1],pair[0]*pair[1]))
  • 10학번 c++ 프로젝트 . . . . 2 matches
         0. 프로젝트의 이름은 10학번 c++ 프로젝트라 하고, 이는 프로젝트의 정기모임에서 변경 수 있다.
          * 어떻게든 해결 잘 거 같음
  • 1thPCinCAUCSE/ExtremePair전략 . . . . 2 matches
          cout << outputData[i] << endl;
          * 이때 여러 문제를 동시에 푸는 게(예: 2명이서 2개의 문제를 동시에 푸는 것) 아니라 한 문제에 대해서만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문제 1번을 생각하는 데 A가 12분 B가 8분이 걸리고 문제 2번을 생각하는데 A가 10분 B가 15분이 걸렸다고 하면 한문제를 둘이 동시에 풀면 8 + 10... 총 18분이 걸렸을 것을 문제를 각각 나누어 풀면 최악의 경우 A가 1번 B가 2번으로 나누어 풀면 12 + 15... 총 27분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대회 규칙상 컴퓨터는 각 팀당 무조건 1대입니다)
          * ["TestDrivenDevelopment"]를 사용했다고 말하기는 그렇지만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으로 넣어놓고 프로그래밍 중간 중간에 제대로 돌아가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진행 상황을 출력했습니다.
  • 2학기파이선스터디/모듈 . . . . 2 matches
         ['__builtins__', '__doc__', '__file__', '__name__', 'add', 'c', 'mul']
         ['_StringTypes', '__builtins__', '__doc__', '__file__', '__name__', '_float', '_idmap', '_idmapL', '_int', '_long', 'ascii_letters', 'ascii_lowercase', 'ascii_uppercase', 'atof', 'atof_error', 'atoi', 'atoi_error', 'atol', 'atol_error', 'capitalize', 'capwords', 'center', 'count', 'digits', 'expandtabs', 'find', 'hexdigits', 'index', 'index_error', 'join', 'joinfields', 'letters', 'ljust', 'lower', 'lowercase', 'lstrip', 'maketrans', 'octdigits', 'printable', 'punctuation', 'replace', 'rfind', 'rindex', 'rjust', 'rstrip', 'split', 'splitfields', 'strip', 'swapcase', 'translate', 'upper', 'uppercase', 'whitespace', 'zfill']
  • 2학기파이선스터디/문자열 . . . . 2 matches
          4. 반복(Repeat) = *
          2. 문서 문자열(doucmentation string)을 이용하는 방법
  • 3DAlca . . . . 2 matches
          * 솔직히 제대로 지 안지 모르겠습니다. ㅡㅡ;;
  • 5인용C++스터디 . . . . 2 matches
         2003년 8월 27일로 공식적인 스터디가 종료되었습니다. 하지만 비공식적으로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질때까지 계속 하는거 아시죠?^^ 강요하는건 아니지만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서 목표를 달성해보면 많은 도움이 것입니다.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는 연락주세요~ 그리고 다들 [5인용C++스터디/후기]에 스터디를 끝내고 난 후기를 적어주세요~ --[상규]
          '''다들 만들면'''이라니..ㅜㅜ-[Leonardong]
  • 5인용C++스터디/마우스로그림그리기 . . . . 2 matches
         || 나휘동 || Upload:Leonardong_APIdrawing.zip || 컴파일 안됨. ||
         || 나휘동 || Upload:Leonardong_MFCdrawing.zip|| 잘했음. ||
  • Applet포함HTML/상욱 . . . . 2 matches
          codebase = "http://java.sun.com/products/plugin/autodl/jinstall-1_4_1_01-windows-i586.cab#Version=1,4,1,1"
          pluginspage = "http://java.sun.com/products/plugin/index.html#download">
         <!--"END_CONVERTED_APPLET"-->
  • Applet포함HTML/진영 . . . . 2 matches
          codebase = "http://java.sun.com/products/plugin/autodl/jinstall-1_4_1_01-windows-i586.cab#Version=1,4,1,1"
          pluginspage = "http://java.sun.com/products/plugin/index.html#download">
         <!--"END_CONVERTED_APPLET"-->
  • Boost . . . . 2 matches
          '''라이브러리를 확장한 결과는 그 자체가 현재의 기술이 되며, 언젠가는 차후의 표준으로 제안 수 있을 것입니다. http://boost.org 를 통해 라이브러리를 공개하는 일은 그러한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쉽게 말해서, Boost는 미래의 표준 C++ 라이브러리의 일부가 수 있는 구성 요소들의 옥석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네요. 참으로 가치 있는 서비스이고, 이러 일을 하는 분들이 있다는 데에 고개 숙여 감사해야겠습니다.
  • C++Seminar03 . . . . 2 matches
          1. 사회자 한명과 2인 1PC 또는 3인 1PC 로 PC 1대당 한조가 되어 PairProgramming 식으로 진행. 사회자는 간단한 개념을 설명하고 개념에 대한 실습(?) 또는 적용된 코드작성을 Pair 해본다. (이런식으로 진행할경우 장소에 문제가 수도 있을것 같네요. 실습실 하나를 제로페이지가 점령할수도 없는 일이고..-_- 강의실에서 간단한 설명 -> PC 실로 이동.. 정도가 대안이 까요? ) --["임인택"]
  • C++Study_2003 . . . . 2 matches
          * 어떤 내용을 공부할 건가요???-[Leonardong]
          더이상 시간 끌다가는 그냥 흐지부지 것 같네요. -- [장창재]
  • CProgramming . . . . 2 matches
         반복
         조건
  • Celfin's ACM training . . . . 2 matches
         || 30 || 3 || 110302/10010 || Where's Waldorf? || 1 hour 30 mins || [WheresWaldorf/Celfin] ||
  • ComputerNetworkClass/Exam2006_2 . . . . 2 matches
         인터넷 보안 관련된 문제에서 문제로 출제 만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인 Authencation Protocol (3-way-handshake, keberos, using RSA)에 대한 내용역시 미출제되었음. 덕분에 시험 난이도는 낮아졌지만, PEM 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 들어갔기 때문에 따로 관심을 가지고 공부한 사람이 아니면 약간 어려웠을지도 모르겠음.
         availability(interruption, DoS, Jamming -> Firewall, Proxy-base Network System)에 대한 설명과 수업때 배운 보안기술들을 분류하고 설명하는 문제임.
          2.5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TCP는 왜 잘 사용 안
  • ComputerNetworkClass/Report2006/BuildingProxyServer . . . . 2 matches
         [http://www.mnot.net/cache_docs/#CONTROL 웹 캐싱 기법들]
         [http://www.elbiah.de/hamster/doc/ref/errwinsock.htm Winsock Error Code]
  • Counting/문보창 . . . . 2 matches
          while (cin >> n)
          cout << Tn[n] << endl;
  • CppStudy_2002_1 . . . . 2 matches
          * 공부하는 범위 C++기초 플러스 8장 ~ 13장 (14,15 장은 나중에 해도 상관 없는거(저도 안했음 ㅡㅡ;), 16장은 2학기때 과제로 하게 것임)
          * 먼저 매주 몇개씩의 과제가 나가면 각자 그 과제를 해오고(도우미도 해올 것임) 서로 소스를 보면서 분석이나, 비판 해보고 나서 각자 일주일 동안 공부하면서 느낀점을 구체적으로(앞으로 도움이 되도록 발전적인 방향에서, 즉 어떤 점이 잘못되어서 앞으로 어떻게 하면 잘것 이라든가 어떤점은 잘되었는데 그이유는 어쨌다는 둥, 공부한 내용이나 학습 방법적인 면에서) 토론하기
  • Cracking/ReverseEngineering/개발자/Software/ . . . . 2 matches
         Jeffrey Richter의 Programming Applications for Microsoft Windows란 책을 추천한다. 현재 4th edition까지 나온 상태이다. 물론 한글판은 없다.
         (윈도우즈 시스템 커널이 하는 일등을 배울 수 있으며 그것을 이용해 나쁘게 사용하든 좋게 사용하든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다. Windows에 Base를 둔 Software 개발자로서는 꼭 읽어야할 책.)
  • CryptKicker . . . . 2 matches
         각 줄을 복호화하여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 여러 문장으로 복호화 수 있다면 그 중 아무 결과나 출력하면 된다. 가능한 풀이가 없다면 알파벳 모든 문자를 아스테리스크(*)로 바꾸면 된다.
         또 gh, ing, ed, the, a 와같은 자주출현하는 글자쌍도 존재한다. 만약 암호화된 코드에 덩그라니 한글자짜리 x 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a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qer가 있따면 이것은 the가 확률이 높아지는것이고.
  • CubicSpline/1002/GraphPanel.py . . . . 2 matches
         class GraphPanel(wxScrolledWindow):
          wxScrolledWindow.__init__(self, parent, id, pos, size)
          dc.EndDrawing()
  • CubicSpline/1002/TriDiagonal.py . . . . 2 matches
          emptyRow.append(0.0)
          emptyMatrix.append(emptyRow)
  • CxxTest . . . . 2 matches
          if fileName.endswith("Test"):
          testFiles.append(eachFile)
  • DebuggingApplication . . . . 2 matches
         [http://www.cplusplus.com/doc/tutorial/tut5-3.html]
         [http://www.dependencywalker.com/]
  • DebuggingSeminar_2005/DebugCRT . . . . 2 matches
         || _CRTDBG_CHECK_ALWAYS_DF || _CrtCheckMemory() 함수를 모든 new, delete 함수에 대해서 자동 호출 되도록 지정한다.[[BR]] 이 함수는 할당된 공간의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즉 domainerror나 기타 메모리 access에 관한 부분을 검사한다. 대신 오버헤드가 상당하다. 그러나 그만큼 디버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 ||
         || _CRTDBG_MODE_DEBUG || 디버그 윈도우 안에서 보게 디버그 문자열에 출력을 전달 ||
         || _CRTDBG_FILE_STDOUT || 표준 출력 스트림으로 전달 ||
  • EXIT MUSIC처음화면 . . . . 2 matches
          * Intaek Lim, masterhand {{{at}}} gmail {{{dot}}} com
          * [http://blog.naver.com/sentijaewon.do]
  • EdsgerDijkstra . . . . 2 matches
         위의 Stepwise Program Construction과 The Humble Programmer는 초강력 추천. 감동의 물결. 아마 그 글을 읽고 몇 주 동안은 여러가지 실험을 해보며 흥미진진하게 보내게 것이며, 몇 몇은 프로그래밍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 믿음. --김창준
         [http://www.cs.utexas.edu/users/UTCS/notices/dijkstra/ewdobit.html 2002년 8월 6일 타계]. 위대하다고 불리는 인물들이 동시대에 같이 살아있었다는 것, 그리고 그 사람이 내가 살아있는 동안에 다른 세상으로 떠났다는 사실이란. 참 묘한 느낌이다. --["1002"]
  • EightQueenProblem/강인수 . . . . 2 matches
          next_permutation(ar.begin(), ar.end());
          cout << endl;
  • EightQueenProblem/김준엽 . . . . 2 matches
          std::cout << std::endl;
          std::cout << std::endl;
  • EightQueenProblem/조현태2 . . . . 2 matches
          while(qeen!=8){
          while (8==x[qeen])
  • Expat . . . . 2 matches
         James Clark released version 1.0 in 1998 while serving as technical lead on the XML Working Group at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Clark released two more versions, 1.1 and 1.2, before turning the project over to a group led by Clark Cooper, Fred Drake and Paul Prescod in 2000. The new group released version 1.95.0 in September 2000 and continues to release new versions to incorporate bug fixes and enhancements. Expat is hosted as a SourceForge project. Versions are available for most major operating systems.
         To use the Expat library, programs first register handler functions with Expat. When Expat parses an XML document, it calls the registered handlers as it finds relevant tokens in the input stream. These tokens and their associated handler calls are called events. Typically, programs register handler functions for XML element start or stop events and character events. Expat provides facilities for more sophisticated event handling such as XML Namespace declarations, processing instructions and DTD events.
         Expat's parsing events are similar to the events defined in the Simple API for XML (SAX), but Expat is not a SAX-compliant parser. Projects incorporating the Expat library often build SAX and DOM parsers on top of Expat.
  • FileInputOutput . . . . 2 matches
          fout << a+b << endl; // cout으로 화면으로 출력한다면, fout은 연결된 output.txt에 a+b를 출력
         while((inputString = br.readLine()) != null) {
  • HardcoreCppStudy/첫숙제/ValueVsReference/김아영 . . . . 2 matches
         값에 의한 전달에서 변수의 값이 함수에서 변경 수 없는 반면에, 참조에 의한 전달에서 변수의 값이 함수에서 변경 수 있다.
  • HowManyZerosAndDigits/김회영 . . . . 2 matches
          cout<<endl;
          while(n>radix)
  • Java2MicroEdition . . . . 2 matches
          그림을 보면 맨 아래에 MID, 즉 휴대전화의 하드웨어 부분이 있고 그 위에는 Native System Software가 존재하며 그 상위에 CLDC가, 그리고 MIDP에 대한 부분이 나오는데 이 부분을 살펴보면, MIDP Application과 OEM-Specific Classes로 나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의 OEM-Specific Classes라는 것은 말 그대로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의 상표로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다른 휴대전화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자신의(같은 통신 회사의) 휴대전화에서만 독립적으로 수행 수 있도록 제작된 Java또는 Native로 작성된 API이다. 이는 자신의(같은 통신 회사의) 휴대전화의 특성을 잘 나타내거나 또는 MIDP에서 제공하지 않는 특성화된 클래스 들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나와있는 많은 MIDP API들에도 이런 예는 많이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SK Telecom에서 제공하는 SK-VM에도 이런 SPEC을 가지고 휴대전화의 특성에 맞는 기능, 예를 들어 진동 기능이나, SMS를 컨트롤하는 기능 들을 구현하고 있다. 그림에서 보듯이 CLDC는 MIDP와 OEM-Specific Classes의 기본이 되고 있다.
          * [http://zeropage.org/~dduk/development/j2me/midp-2_0-src-windows-i686.zip midp 2.0 (win용)]
  • JollyJumpers/서지혜 . . . . 2 matches
          while(true) {
          while(true) {
  • LC-Display . . . . 2 matches
         입력 파일은 여러 줄로 구성되며 표시 각각의 숫자마다 한 줄씩 입력된다. 각 줄에는 s와 n이라는 두 개의 정수가 들어있으며 n은 출력 숫자(0<=n<=99,999,999), s는 숫자를 표시하는 크기(1<=s<=10)를 의미한다. 0이 두 개 입력된 줄이 있으면 입력이 종료되며 그 줄은 처리되지 않는다.
  • MFC/Control . . . . 2 matches
         하나의 컨트롤은 클래스와 연계 수도, 안 수도 있다. 정적 컨트롤의 경우 클래스가 필요없을 것 같지만 CStatic 이라는 클래스를 통해서 모양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버튼 컨트롤들의 경우도 대부분 Dialog 객체를 통해서 처리가 된다. CButton 클래스의 경우에는 컨트롤을 관리하는데있어서 객체가 필요할 경우에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든 컨트롤들은 모두 윈도우의 일종이기 때문에 CWnd 에서 상속된 클래스를 이용한다.
  • MFC/DynamicLinkLibrary . . . . 2 matches
         Upload:dependency_walker_kernel32_dll.JPG
         Library.DLL을 3개의 프로그램 A,B,C가 동시에 공유한다고 하면 각각의 프로그램이 실행때마다 각 프로그램에서는 DLL파일의 함수로의 링크가 일어난다. 이런 과정은 윈도우 운영체제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한개의 프로그램이라도 실행이 종료되지 않으면 윈도우는 DLL을 메모리에서 제거하지 않고 남겨준다.
  • MIB . . . . 2 matches
          * 요즘 ["상민"]이는 "MIB들이 처리해 줄꺼야" 라는 말을 많이 쓴다. dcinside에서 "MIB들이 처리 했습니다." 라는 소리 한마디 듣고 전염이 되어 버렸다. 여기에서 MIB라면 일전에 창준 선배가 말씀하신 그린베레 프로그래머(Green Beret Programmer(Wiki:GreenBeretCoding) 정도의 의미가 것이다. 후에 MIB Programmer가 더 적당한 말이 수 있겠다고 생각하곤 한다.
  • MagicSquare/동기 . . . . 2 matches
          while(i==0)
          cout<<endl;
  • MagicSquare/재니 . . . . 2 matches
          while (num > 9 || num < 0 || num % 2 == 0)
          cout << endl;
  • MagicSquare/정훈 . . . . 2 matches
          cout << endl << endl;
  • Map연습문제/박능규 . . . . 2 matches
          cout << endl;
          cout << endl;
  • MineSweeper/김민경 . . . . 2 matches
          check.append([0 for j in range(size2)])
          data.append(temp)
  • MoinMoinDiscussion . . . . 2 matches
         Talk about the things on MoinMoinTodo and MoinMoinIdeas in this space...
         '''Q''': How do you inline an image stored locally? (e.g. ../wiki-moimoin/data/images/picture.gif)
  • MySQL . . . . 2 matches
         === 개인 암호 변경 방법 ( 전자가 안 경우 후자로 변경) ===
          * 중지 : myadmin shutdown -p
  • NSIS/예제4 . . . . 2 matches
         ;WindowIcon on
         AutoCloseWindow false
         SectionEnd
  • NeoZeropageWeb . . . . 2 matches
         다른 블로그에서도 트랙백이 가능하다면 무조건 글을 남길 수 있음
         (특이한 형태가 것 같은데.. -_-)
  • One/구구단 . . . . 2 matches
          do {
          }while(b<9);
  • One/주승범 . . . . 2 matches
          do
          }while(n<10);
  • Ones/송지원 . . . . 2 matches
          while( len >= 4 ) {
          while( scanf("%d", &n) != EOF ) {
  • OurMajorLangIsCAndCPlusPlus/Variable . . . . 2 matches
          double duration;
          duration = (double)(finish - start) / CLOCKS_PER_SEC;
  • OurMajorLangIsCAndCPlusPlus/XML/조현태 . . . . 2 matches
          while(0 != *readData)
          const char* nameEndPoint = strchr(readData, '>');
          char* textBuffur = (char*)malloc(sizeof(char) * (nameEndPoint - readData + 1));
          strncpy(textBuffur, readData, nameEndPoint - readData);
          textBuffur[nameEndPoint - readData] = 0;
          return nameEndPoint + 1;
          readData = CreateTree(myPoint, nameEndPoint + 1);
          while(' ' == *readData || '\n' == *readData)
          const char* contentsEndPoint = strchr(readData, '<');
          char* textBuffur = (char*)malloc(sizeof(char) * (contentsEndPoint - readData + 1));
          strncpy(textBuffur, readData, contentsEndPoint - readData);
          textBuffur[contentsEndPoint - readData] = 0;
          return contentsEndPoint;
          const char* suchEndPoint = NULL;
          suchEndPoint = strchr(query + 1, '/');
          if (NULL == suchEndPoint)
          suchEndPoint = query + strlen(query);
          textBuffur = (char*)malloc(sizeof(char) * (suchEndPoint - query + 1));
          strncpy(textBuffur, query, suchEndPoint - query);
          textBuffur[suchEndPoint - query] = 0;
  • OurMajorLangIsCAndCPlusPlus/stdio.h . . . . 2 matches
         || FILE * fdopen(int, const char *) || 파일 지정자 필드로 부터 스트림을 얻습니다. ||
         || int fseek(FILE *, long, int) || 해당 스트림의 포인터를 세번째 인자를 기준으로 두번째 인자만큼 옮긴다. SEEK_SET : 스트림 시작, SEEK_CUR : 현재 포인터 위치, SEEK_END : 스트림 끝 ||
         || int fgetchar(void) || 표준 입출력으로 부터 문자 한개를 엔터가 입력 때 입력받는다. ||
  • OurMajorLangIsCAndCPlusPlus/string.h . . . . 2 matches
         || char * strcat(char * strDestination, const char * strSource) || Append a string. ||
         || char * strncat(char * strDestination, const char * strSource, size_t count) || Append characters of a string. ||
  • PrimaryArithmetic . . . . 2 matches
          || [Leonardong] || Python || 50분 || [PrimaryArithmetic/Leonardong] ||
  • ProgrammingLanguageClass . . . . 2 matches
         개인적으로 학기중 기억에 남는 부분은 주로 레포트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Recursive Descending Parser 만들었던거랑 언어 평가서 (C++, Java, Visual Basic) 작성하는것. 수업시간때는 솔직히 너무 졸려서; 김성조 교수님이 불쌍하단 생각이 들 정도였다는 -_-; (SE쪽 시간당 PPT 진행량이 60장일때 PL이 3장이여서 극과 극을 달렸다는;) 위의 설명과 다르게, 수업시간때는 명령형 언어 페러다임의 언어들만 설명됨.
         아쉬운 부분은 프로그램 언어론이란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설명의 비중은 많이 쓰이는 언어일수록 높았던 점입니다. 함수형언어(FunctionalLanguage)는 기말 고사 바로 전 시간에 한 시간만에 끝내려다가, 그나마 끝내지도 못하고 요약 부분만 훑었습니다. 그 밖의 종류에 대해서는 거의 절차적 언어, 특히 C계열 언어를 설명하다가 부연 설명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논리형언어(LogicLanguage)에 대한 설명은 거의 못 봤습니다. 어차피 쓰지 않을 언어라고 생각해서일까요.--[Leonardong]
  • ProgrammingPearls/Column1 . . . . 2 matches
         === A Friendly Conversation ===
         대부분의 언어에는 소트가 이미 구현되어 있다. 그런데 꼭 새로운 나만의 소트를 만들어야 때가 있다. 레코드가 한 천만개쯤 된다고 하자.이것을 우리가 알고 있는 버블소트, 퀵소트 같은 것으로 하기에는 메모리가 많이 든다. 32bit(4byte)의 정수라고 한다면, 40메가바이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작업을 할때에, 우리가 소트에 할당할 수 있는 공간은 1메가 남짓이라고 가정하자. 시간이 많이 걸려서도 안된다.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 레코드들은 7자리 전화번호이기 때문에 같은 것이 없다고 한다.
  • ProjectAR/ThinkAbout . . . . 2 matches
         엑션 RPG의 충돌 처리가 미숙하면 하는 사람에게 짜증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 게임의 주가
          - 속도는 많이 걱정하지 않아도 것이다. 해상도가 낮고 텍스쳐의 크기가 작다면 생각보다 높은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선호
  • ProjectGaia/기록 . . . . 2 matches
          * Extendible Hash 병합, 분할 구현
          * 12/9 : Pc실 Key Sequential File 초안 , Extendible Hash 초안 구현
  • ProjectGaia/참고사이트 . . . . 2 matches
          *[http://www.istis.unomaha.edu/isqa/haworth/isqa3300/fs009.htm Extendible Hashing] in English, 개념.코볼 구현소스
          *[http://perso.enst.fr/~saglio/bdas/EPFL0525/sld009.htm Extendible Hashing]
  • ProjectPrometheus/Estimation . . . . 2 matches
         Recomendation System 2
          * Recommendation
  • ProjectPrometheus/MappingObjectToRDB . . . . 2 matches
          For Recommendation System (Read Book, point )
          For Recommendation System ( Related Book Point )
  • PythonIDE . . . . 2 matches
          * Visualwx : wxToolkit 의 WYSWIG 을 지원하는 디자인 중심의 IDE. 파이선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GUI 개발시 wxWindow 를 공부하는 유저에게 상당히 좋은 학습자료가 수 있다.
  • RandomPage . . . . 2 matches
         25개의 RandomPage 무작위 추출. ^^;
         [[RandomPage(25)]]
  • RandomWalk2/질문 . . . . 2 matches
         RandomWalk2의 변경4에 대한 질문인데요, (긁어서 보세요)
         ''RandomWalk2 Requirement Modification 4 is now updated. Thank you for the questions.''
  • RubyLanguage/InputOutput . . . . 2 matches
          * STDOUT << , STDIN >>
          * 반복
         client.send("상대방", 0) # 0은 표준패킷 의미
  • STL . . . . 2 matches
         앞으로 C++ 을 이용하는 사람중 STL 을 접해본 사람과 STL을 접해보지 않은 사람들의 차이가 어떻게 까 한번 상상해보며. (Collection class 를 기본내장한 C++ 의 개념 이상.. 특히 STL 를 접하면서 사람들이 [GenericProgramming] 기법에 대해 익숙하게 이용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본다면 더더욱.) --["1002"]
          DeleteMe) 인수가 가진 모든 STL 페이지 ["Refactoring"] (예제가 그 자체로만으로 돌아가나 컴파일. 이모티콘과 잡담 모두 빼서, Document Mode로 만들기, 쉬운말, 쉬운 예제로 고치기) 결과 ["인수"]의 모든 STL 페이지 사라짐(피바람);;
         [STL]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직접 만들어보는것도 (프로젝트 형식으로 해서) 좋을 것 같네요. [GenericProgramming] 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것 같고 그 안에 녹아있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체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임인택]
  • ShellSort . . . . 2 matches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한 줄에 하나씩의 거북이 이름이 출력되며 이 거북이 이름은 스택을 빠져 나와서 맨 위로 올라가는 거북이의 이름을 의미한다. 이 출력에 나와있는 순서대로 자기 자리를 빠져 나와서 맨 위로 올라가는 과정을 반복하면 원래의 스택이 새로운 스택으로 바뀌어야 하며 최소한의 이동 횟수로 작업을 끝낼 수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이동 방법이 여러 가지 있으면 그 중 아무 것이나 출력해도 된다.
  • SimpleDelegation . . . . 2 matches
          void do( (void*) blockFunc() ) {
          elements->do(blockFunc); // Array에게로 위임
  • Slurpys/김회영 . . . . 2 matches
          cout<<endl;
          cout<<"END OF OUTPUT\n";
          while(string[(*nowPointer)+1]=='F')
  • SmithNumbers/김태진 . . . . 2 matches
          while(l!=0){
          while(k!=0){
  • SpikeSolution . . . . 2 matches
         어떻게 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Visual C++로 해당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을 할때 우리는 어떻게 할까? 아마도 Visual C++을 2개를 띄울 것이다. 그리고 한 창에서는 해당 라이브러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대강 값들을 넣어보고 이리저리 제대로 원하는 일을 하게끔 여러 시도들을 하게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서 미지인 부분에 대한 대강의 선을 잡아놓는다.
         이러한 실험들을 XP에서는 Spike Solution이라고 한다. 다른 점이라면, 우리는 보통 실험 코드를 만든 뒤 실전 코드에 바로 붙일 것이다. 하지만 Spike Solution 의 경우는 '실험은 실험에서 끝난다' 에서 다를 수 있다. 보통 Spike Solution 에서 실험한 코드들을 메인소스에 바로 적용시키지 않는다. Spike Solution은 처음 계획시 estimate의 선을 잡기 위한 것으로 메인소스에 그대로 적용 코드는 아닌 것이다. 지우고 다시 만들어 내도록 한다. 그러함으로써 한편으로는 학습효과를 가져오고, 실전 소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StacksOfFlapjacks/조현태 . . . . 2 matches
          while(1)
          while (1)
  • Steps/하기웅 . . . . 2 matches
          while(testcase--)
          cout << showResult(y-x) << endl;
  • SwitchAndCaseAsBadSmell . . . . 2 matches
         케이스문이 줄줄이 나오는 것이나 비슷한 구조가 반복되는 것이나 모두 "나쁜 냄새"(Moa:BadSmell )입니다. 조금이라도 나쁜 냄새가 나면 바로바로 냄새 제거를 해야 합니다. 예컨대, 반복되는 케이스문은 테이블 프로그래밍(Table/Data Driven Programming)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TCP/IP . . . . 2 matches
          * http://cs.ecs.baylor.edu/~donahoo/practical/CSockets/textcode.html <Socket Programming for C>
          * http://kldp.org/KoreanDoc/html/GNU-Make/GNU-Make.html#toc1 <using make file>
          * http://kldp.org/KoreanDoc/VI-miniRef-KLDP <using vi editer>
          * http://kldp.org/KoreanDoc/Thread_Programming-KLDP <using thread>
          * http://www.paradise.caltech.edu/slide <sliding window project>
          * Richard Stevens와 Douglas Comer의 저작들: 이 쪽에서는 바이블로 통함.
  • TheTrip/Leonardong . . . . 2 matches
          resultList.append(each)
         무엇이 잘못 되어도 테스트를 추가해본다는 점은 역시나 TDD가 매력적일 수 밖에 없는 요인이다. 이제는 손으로 테스트를 하려면 너무 귀찮고 시간낭비라고 생각한다. TDD 리듬을 조절해줄 파트너가 옆에 있다면 더욱 좋으련만. :) --[Leonardong]
  • UglyNumbers/1002 . . . . 2 matches
          while True:
          while True:
  • WERTYU/Celfin . . . . 2 matches
          cout << input << endl;
          while(cin.getline(input, 255))
  • WERTYU/문보창 . . . . 2 matches
          while (cin.getline(str, 256, '\n'))
          cout << str << endl;
  • WeightsAndMeasures/문보창 . . . . 2 matches
          while (cin >> t[*numT].weight >> t[*numT].strength)
          cout << result << endl;
  • [Lovely]boy^_^/Diary/12Rest . . . . 2 matches
          * I modify above sentence.--; I test GetAsyncKeyState(), but it's speed is same with DInput.--; How do I do~~~?
  • [Lovely]boy^_^/USACO/WhatTimeIsIt? . . . . 2 matches
          fout << endl;
          string m(a.begin() + token + 1, a.end());
  • abced reverse . . . . 2 matches
          cout << str1 << endl;
          cout << str2 << endl;
  • django/RetrievingObject . . . . 2 matches
         사용자는 values함수를 이용해서 원하는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이는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의 필요한 속성만을 이용하므로 효율적이다. 또한 values함수는 QuerySet을 상속한 ValuesQuerySet을 리턴하므로 다시 위에서 사용한 검색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ValuesQuerySet은 사전형(dictionary)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수의 레코드를 얻어오기에는 부적절하다. 다음은 사원 정보에서 이메일 속성만을 얻어온다.
  • lostship/MinGW . . . . 2 matches
          * /STLport-4.5.3/doc/index.html 에서 컨피그 셋팅을 보고 필요하면 수정한다.
          || {{{~cpp g++ -o out -Id:/MinGW/STLport-4.5.3/stlport test.cpp -Ld:/MinGW/STLport-4.5.3/lib/ -lstlport_mingw32 -mwindows}}} ||
  • nilath개인페이지처음화면 . . . . 2 matches
         언어의 세대 차이. C를 제대로 배운 사람(기계어 수준의, 컴퓨터의 기초, C언어의 매우 깊은 분야)이 다른 언어를 배우면 프로그래머가 수있고... 그것은 예술이고...
         다른 생산성을 기초로한 차세대 언어만을 배운 사람이 수 있는 것은 기껏해야 코더뿐... 그것은 기술이다...
  • 개인키,공개키/강희경,조동영 . . . . 2 matches
          while(fin.get(num))
          while (fin1.get(num))
  • 고한종/on-off를조절할수있는코드 . . . . 2 matches
          while(onOff)
         while(1)
  • 구구단/송지훈 . . . . 2 matches
         조건처럼 2단 3단 4단 5단 과 같이 출력하진 않았고
         조건처럼 출력하는 방법은 아직 생각중.....
  • 구조체 파일 입출력 . . . . 2 matches
          cout << endl << "Input age : ";
          cout << endl << "Input phone number : " ;
  • 네이버지식in . . . . 2 matches
         다음으로는 익숙하지 않은 형식이었다. 아예 인터넷을 처음 만나는 사람이라면 익숙한 형식이 있지도 않겠다만,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쓸 때는 게시판에 제목과 이름과 내용정도가 달린 게 글 형식이고, 글 제목이 목록으로 한 페이지에 나오는 형식이 익숙한 형식일 것이다. 때문에 전부 '''내용'''처럼 생긴 위키를 보고는 일단 다르게 생긱 형식에 바로 적응하지는 못할 것이다. 쓰기 어렵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때문에 위키가 엄청난 장점을 가져서 적응하는 노력을 들이고 싶을 만 하지 않다면 굳이 사용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Leonardong]
         사람들은 [네이버지식in]을 마치 수학 문제 해답지처럼 여기는 것 같습니다. 저도 요즘엔 누가 궁금한 게 있다고 물어봤을 때 모르는 경우''지식in 검색해봐''라는 말을 자주 합니다. 제가 누군가에게 모르는 걸 물어봤을 때도 자주 듣습니다. ''지식in엔 없는게 없다니까''라는 말도 들어보았습니다. 마치 [네이버지식in]에는 살아가며 궁금한 것들에 대한 모든 해답이 있는 듯이 여기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Leonardong]
  • 데블스캠프2003/셋째날/J2ME . . . . 2 matches
         [http://165.194.17.15/pub/language/java/j2sdk-1_4_0_01-windows-i586.exe J2SE]
         [http://165.194.17.15/pub/language/j2me_wireless_toolkit-2_0-windows.exe wireless toolkit]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연습문제/for/이경록 . . . . 2 matches
          cout<<endl;
          cout<<endl;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연습문제/switch/윤영준 . . . . 2 matches
          do{
          }while((student[i-1] != 999) && (i<10));
  • 데블스캠프2006/화요일/pointer/문제1/김준석 . . . . 2 matches
          cout << "a = " << a << " b = " <<b << endl;
          cout << "a = " << a << " b = " <<b << endl;
  • 데블스캠프2006/화요일/pointer/문제1/정승희 . . . . 2 matches
          cout << a<<" "<< b<<endl;
          cout <<a<<" "<<b<<endl;
  • 데블스캠프2006/화요일/pointer/문제2/윤성준 . . . . 2 matches
          cout << a << endl;
          cout << b << endl;
  • 데블스캠프2006/화요일/pointer/문제2/정승희 . . . . 2 matches
          cout<<a<<endl;
          cout<<b<<endl;
  • 데블스캠프2009/수요일/JUnit/서민관 . . . . 2 matches
          private double result;
          public double calculate(char op, int num1, int num2)
  • 데블스캠프2009/수요일후기 . . . . 2 matches
          * [김준석] - 강의 내내 속으로 피말렸다. 강의 도중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걸 몇몇 빼먹은게 자꾸 떠올라서 천천히라도 설명하려했으나 설명해놓고 보니 좀 엉뚱한데서 설명해버린 안타까운 현실. 현역 군인이라 OOP 강의에 대해서 그렇게 많은 준비는 못한것이 사실이라 강의할때 도움도 좀 받았고. 휴가 나오기전에 1~2시간씩 코딩없이 강의 할만한 내용을 찾다가 C++을 사용할 1,2학년에게 좀 중요한 내용을 잡게 됬는데.. 휴가 나오고 PPT를 작성하는데 3일동안 하루 3~4번은 고치고 내용추가를 고민하는등 긴장을 좀 많이 탓다. OOP를 이해시키고 학교생활중 설계의 중요성을 몰라 삽질을 반복했기 때문에 그 후에 코딩하기 전에 설계하는법에 좀더 중점을 둔 시간을 가지고 싶었다. 그냥 무작정 달려들어서 Run&Fix도 하기 쉽지 않은 중복많은 2~3백자리 코딩을 하기 보다는 전날 Abstractionism에서 형진이가 말했듯이 20줄 이내의 코딩, 잘 설계된 잘나뉜 코딩은 어딘가를 목표로 갈때 지도나 정보를 모아 쉽고 편한 길로 가는것과 같다. 돈도 절약되고. 안힘들고. 문제가 생겨도 모아온 정보로 해결할수 있는.. 문제를 풀어 결과를 도출해놓는것도 좋지만.. 주위에는 답을 똑같이 도출해놓을수 있는사람이 90%는 것이다. 그렇다면 짧고 보기쉬운것이 좋겠지. 정말 아쉬운 점이라면 API나 로보코드때 이걸 설명하고 했더라면 들은 학우들에게 더 많은것을 이해할수 있었던 시간일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좀더 빨리 준비했었어야됬어.
  • 데블스캠프2011/다섯째날/HowToWriteCodeWell/강소현,구자경 . . . . 2 matches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el.pressButten(5, 1, 15);//현재 위치, 1: up, 0: down, 이동하고픈 위치
          el.pressButten(8, 1, 13);//현재 위치, 1: up, 0: down, 이동하고픈 위치
  • 데블스캠프2011/셋째날/String만들기/김준석 . . . . 2 matches
          if(s->subString(3,2)->equals(*s2)) cout << "꾸엑" <<endl;
          //cout << s->lastIndexOf(*s2) << endl;
  • 레밍즈프로젝트/박진하 . . . . 2 matches
          int Append(const CArray& src);
         #endif
  • 마방진/임민수 . . . . 2 matches
          while ( cnt < num*num )
          cout << endl;
  • 몸짱프로젝트/InfixToPostfix . . . . 2 matches
         #endif
          /*while (!isEmpty())
  • 몸짱프로젝트/KnightTour . . . . 2 matches
          * 개발자 : [Leonardong]
          * TestDrivenDevelopment 방식을 씀
         Upload:KnightMove_Leonardong.jar
  • 문서구조조정토론 . . . . 2 matches
         '문서 조정은 문서 작성자가 손대지 말아야 한다' 라는 어처구니 없는 내용을 어떻게 끌어냈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느 부분에서 도대체 '구조 조정은 구조 조정자의 몫이다'라는 식의 이야기를 했다는지 궁금하군요. 제 이야기는 현재의 잘잘못을 따지고, '문서 구조 조정은 ''누군가 그 일을 할 사람''이 알아서 해라'라는 식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문서는 누구나가 노력을 해서 고쳐가되, 다만 문서 구조 조정자는(누가됬건 현재 문서를 구조 조정하고 있는 사람은), 자신이 한 결과에 따라 어울리지 않는 글이 수 있으므로 해당 문서 구조 조정의 시점에서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뜻입니다. 물론, 해당글의 작성자가 나중에 발견하고 이를 고칠수도 있지만, 처음 시점부터 좀 더 신경을 쓰는 방법이 효과적이라 생각한 이유입니다. 한번 더 강조하자면, 문서 구조 조정자가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라는 이야기가 해당 글의 작성자 자체가 '나는 문서를 구조조정할 필요가 없다'라는 의미는 절대 아님을 이야기합니다. 모로가도 서울만 가면 되지만, 더 편한 방법이 있다면, 그런 방법을 택하는게 자연스러운건 자명한 이치입니다. --이선우
          ["neocoin"]: 그렇다면 저에게는 지금까지 페이지가 나온 이유 자체가 모호해 집니다. 그럼 말씀하시는 주제가 결국 "문서 구조 조정은 신중히 해야한다."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의견이라기 보다 문서 구조 조정시의 기본 명제라 생각하며, 이중에 말씀하신 "문서 구조 조정시에 위치 변경은 글쓴이의 의도의 방향을 바꾼다."라는 것도 문서 구조 조정을 신중히 겠지요. 이런 것은 당연히 동의 합니다. [[BR]] 이것에 반대한다는 말이 없고, 이는 해당 의견의 암묵적 동의라고 생각하고, 잘못된 부분에 대하여 다시 구조조정을 해 주십사 원한 것인데, 다시 대화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어서 "문서 구조 조정자"와 "문서 작성자"로 나뉘어서 접근하시는 말씀인것으로 받아 들였습니다.[[BR]]해당 글처럼 잘못 된 부분의 지적 이후, 고치지 않는다면 다른 이가 해당 문서를 더 고치지 못하는 위화감 이랄까요. 그런것이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위키에 00들와 01들이 이러한 "조심스러움의 유발 요인" 때문에 활발히 글을 날리는데 방해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글을 장려하는 입장에서 글을 계속 올리다 보니, 대화의 주제가 어긋난 것 같습니다. --상민
         그리고 이건 논제와 약간 다른데, 성급하게 'Document' 를 추구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Thread 가 충분히 길어지고, 어느정도 인정되는 부분들에 대해서 'Document' 화를 해야겠죠. (꼭 'Document' 라고 표현하지 않아도 됩니다. 오히려 의미가 더 애매모호합니다. '제안된 안건' 식으로 구체화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석천
  • 문원명 . . . . 2 matches
          Email - shivan2to5 at hanmail dot net
         학교에서 볼 수 있는건가.ㅎㅎ - [Leonardong]
  • 미로찾기/곽세환 . . . . 2 matches
          while (fin.get() != '\n');
          cout << endl;
  • 바람의딸걸어서지구3바퀴반 . . . . 2 matches
          * 이책에서는 한비야의 세계여행을 재밌게 전해준다. 이책에서 인상깊은 구절은 킬리만자로 산을 올라갈때 천천히 자신의 속도로 꾸준히 올라간다면 누구나 올라갈 수 있다고 하는 구절이다. 인생도 마찬가지로 누가 어떤 속도로 가던지 자신의 속도를 알고 자신의 속도로 꾸준히 나간다면 못 이룰게 없다. 또 얻은 교훈은 세상은 사람이 만들어낸 각종 규칙, 규범들로 돌아가지만 말만 잘하면 얻고자 하는것을 얻을 수 있다. 결국 그런 규칙, 규범도 사람이 만든 것들이기에.. 그리고 반드시 환경이 편하고 몸도 편해야 행복한건 아니란것도 느꼈다. 오히려 더 행복을 방해하는 조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환경이 아주 불편하고 바빠도 사람은 아주 행복할 수 있고, 오히려 행복하기에 더 좋은 조건일 수 도 있다. 오지일 수록 더 행복해 보이는 이유도 이러한 이유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행복은 내 안에 있다. 그리고 세계에는 지금의 나의 환경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불편하고 좋지 못한 환경에서도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많다는걸 느끼고 지금의 생활에 감사하자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한비야가 어떤 외국인과 만나서 같이 등산하는데 그 외국인 행동이 꼴볼견이고 싫어할 행동만 했다고 그런다. 그런데 알고보니 그 외국인은 마약에 중독되었다가 마약을 끊고 나서 지독한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그 말을 듣고 쉽게 다른 사람을 판단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사람 사는 일에는 원인이 있고 결과가 있다. 또 무슨일을 하던지 목표를 잡고 나서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서 차근 차근 해 나간다면 아무리 큰 목표라도 이룰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람은 계획에 있어서는 치밀해야겠단 생각이 들었고, 꾸준한 계획들의 실천이 있어야만 원하는 성과를 이룰수 있다는걸 느꼈다.
  • 반복문자열/김정현 . . . . 2 matches
          -소스페이지 양식은 [반복문자열/허아영]을 참고해 주시구요. -- [허아영]
         [LittleAOI] [반복문자열]
  • 새싹교실/2011/AmazingC/6일차 . . . . 2 matches
          * 반환형: int, char, float, double 등
          * 함수의 선언부=정의부가 수 있다.
  • 새싹교실/2013/책상운반 . . . . 2 matches
         조건문 : if, else, else if, switch
         반복문의 존재
  • 숫자야구/ 변준원 . . . . 2 matches
          while(a!=def[0] || b!=def[1] || c!=def[2])
          cout << S <<" S " << B <<" B " <<endl;
  • 스택/조재화 . . . . 2 matches
          cout<<"1.Push"<<"\t"<<"2. Pop"<<"\t"<<"3. 자료출력"<<endl;
          cout<<endl;
  • 시간맞추기/조현태 . . . . 2 matches
         그런데.. 도데체 왜 for를 쓰라고 했는지..ㅠ.ㅜ while도 아니고..
          while(now_time==before_time)
  • 실습 . . . . 2 matches
         등수 double m_nRank
         double m_dAvg;
  • 실시간멀티플레이어게임프로젝트/첫주차소스2 . . . . 2 matches
         import random, math, time
         position = random.choice(organ)
  • 위키QnA . . . . 2 matches
         Q: Bioinformatics에 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소개와 내용의 재정리를 위해서는 많은 이미지 파일들을 위키에 올려야 지도 모르겠는데, 위키에서의 이미지 사용은 그렇게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Q: 어디에 글을 올려야 지 고민하던 중 이곳에 글을 올립니다. 위키를 쓰다가 얼마전부터 느끼기 시작한 점인데요. 이것이 문제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키의 Recent Changes를 통해 바뀐 글중 관심있는 글들을 봅니다. 변경되었다고 해서 글을 읽어보지만 쉽게 무엇이 변경되었는지 알아볼 수 없었습니다.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나 읽어보게 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무튼 제가 느끼기에 제가 읽지 않은 부분을 쉽게 알 수 있으면 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미 안다고 생각한 글을 다시 읽어도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 세세한 변화는 눈치채기 힘든듯 합니다.--["Benghun"]
  • 위키설명회2005/PPT준비 . . . . 2 matches
         자들 간의 소통이 반복되고 방해받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큐먼트 방식은 이미 완성된 텍스트가 아닌 점점 완성되어가는 텍스트를 지향하고
          * 위키위키가 어떠한 경우에나 적합하다고 하기는 힘들 것이다. 예를 들어, 정치적으로 대립이 심한 사이트에서 위키위키가 제대로 운영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 정규표현식/스터디/문자하나찾기/예제 . . . . 2 matches
         ./ta1411.doc
         ./ub1401.doc
  • 정모/2011.7.18 . . . . 2 matches
          * 자신이 한주동안 했던 것 중 다른사람들에게 도움이 만한 것들을 한가지씩 공유하는 시간이었습니다.
          * 인원이 적었던게 아쉬웠습니다. 좋은 얘기는 그래도 여전히 많이 나오네요. OMS는 점점 익숙해져가는 단계인것 같아서 좋습니다. 갑자기 서버를 만들고 싶어지네요. 프로젝트를 발표하면 Addon을 만드는 결의를 다지고 갑니다. 다음주에도 좋은 정모가 되기를 - [김준석]
  • 정모/2012.1.6 . . . . 2 matches
          * [http://valleyinside.com/2012-technology-trend/ 2012년 기술 트렌드]
          * Hadoop
  • 정모/2012.2.24 . . . . 2 matches
          * 아, 그리고 회고 진행 때 느낀 건데 올해 회장 태진이가 확실히 세심하게 준비하는 면이 있어 좋아요. 지난 일년간 정모를 준비할 때 (후반에는 사실 뭔가 잘 준비를 못한 적이 많았고....) 초반에 열심히 준비할 때에도 세세한 부분은 신경쓰지 못한 게 많았거든요. 완벽한 ZeroPage보다는 항상 더 나아가는 ZeroPage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데 올해 ZeroPage가 작년보다 더 나은 ZeroPage가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기뻤습니다. 회장 태진이도 그렇고, 방학인데도 열심히 정모에 참석하고 또 회고를 손 들어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ZeroPager의 모습이 정말 보기 좋았습니다 :) - [김수경]
  • 조현태/놀이/지뢰파인더 . . . . 2 matches
          내일 레인져의 머리를 완성하고, 모레 레인져의 머리가 돌아가도록 짜주면 완성 듯 하기도 하다.
          계획 전면 수정. 알고리즘 및 소스 재작성 돌입. 과거 단순 "로봇을 이용해서 마호로매틱 쵸비츠..는 아니고 어쨋든 멋지게 만들어 보자!" 에서 "로봇만 이용하는건 넘흐 어려벙~ 다른걸 섞어봐야겠어~!" 로 변경. 사용하기가 편하고 검색속도가 빠른 기존의 방법과 정확도가 높은 로봇을 밀가루와 팥이만나 붕어빵이 되듯.. 잘 섞어보기로 결정했다. 새로 모든소스를 작성하고 기존 소스의 심각한 문제점이었던, 어설픈 분할과 최악의 테스트 조건(윈도우 지뢰찾기는 실행해서 어떤 맵이 나올지 모른다. 또한 테스트 시간이 길고 준비가 필요하다)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정을 가했다. 좀더 체계화된 분할로 좀더 보기편하고 소스에 간지가 흐르도록 하였으며, 테스트 주도개발의 내용에서 눈꼽의 반만큼을 이용, 편리한 테스트 환경을 만들었다. (나름대로 진보환 환경과 소스!) 가슴은 아팠지만 재앙보다야 나을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로봇..그 부분은 아직 경험이 없어서(데블스 캠프에 만들어 본게 다..)그런지 조금 빡세다. 뭐 그래도 한번 실패도 했으니, 더 쉽게 만들어 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만들기로 결정했다. - 2005.08.13
  • 지금그때2003/토론20030310 . . . . 2 matches
          * Opening Questions - 대화를 할때 다른 사람들에게 의미를 줄 수 있는, 또는 다른 사람의 말문을 여는데 도움이 질문들. 또는, 주제에 가까운 질문들에 대해.
          * 어떻게 하면 선배들의 일방적인 설교가 아닌, 선후배들간의 '대화'가 것인가.
  • 지금그때2004/패널토의질문지 . . . . 2 matches
         도우미와 도우미 아닌 다른 분들도 많이 질문을 내주세요.--[Leonardong]
          아직 부족하네요.--[Leonardong]
  • 포인터 swap . . . . 2 matches
          cout << "a = " << a << "b = " << b << endl;
          cout << "a = " << a << "b = " << b << endl;
  • 포커솔리테어평가 . . . . 2 matches
         2. 원 페어 : 아래 계급 중 어떠한 것도 해당죄 않으며, 두장의 카드가 동일한 숫자로 구성 때 (예 : 2C, 3H, 4H, KD)
         5. 스트레이트 : 아래 계급 중 어떠한 것도 해당되지 않으며, 5장의 카드의 숫자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A(에이스)는 14나 1로 사용 수 있다. 예를 들어, AC, 2H, 4D, 3H, 5S도 스트레이트 이며, JH, XD, QC, KD, AS도 스트레이트 이다.
  • 화이트헤드과정철학의이해 . . . . 2 matches
         계속 화이트헤드에 주목하는 이유라면 (김용옥씨 관점의 화이트헤드해석일지도 모르겠다. ["이성의기능"] 때문이지만.) 점진적 발전과 Refactoring 에서 뭔가 연결고리를 흘핏 봐서랄까나. 잘못하면 뜬구름 잡는 넘이 지 모르겠지만. 이번에도 역시 접근방법은 '유용성' 과 관련해서. 또 어쩌면 용어 차용해서 써먹기가 까봐 걱정되지만. 여유를 가지고 몇달 생각날때 틈틈히 읽으려는 책.
  • 01학번모임 . . . . 1 match
         어차피 사회에 나가면 서로 협력하며 살게 우리 동기들 (아닌가..?ㅋ) 가끔씩 모여서 나쁠것 없지 않은가...?
  • 05학번만의C Study/숙제제출1/이형노 . . . . 1 match
          cout << "섭씨 " << cel << "도는 화씨로 " << fah << "도 입니다." << endl;
  • 05학번만의C++Study/숙제제출/2 . . . . 1 match
          * 평상시에는 문자열의 주소를 하나의 전달인자로 취하여, 그 문자열을 한 번 출력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그러다가 0이아닌 int형 값을 두 번째 전달인자로 제공하면, 그 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그 함수가 호출되었던 횟수만큼 그 문자열을 반복해서 출력한다. (문자열이 출력되는 횟수는 두 번째 전달인자의 값이 아니라 그 함수가 호출되었던 횟수와 같다.)물론 이 함수는 거의 쓸모가 없다. 하지만 이것은 이 장에서 설명한 몇 가지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할 것을 요구한다. 이들 함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작동을 보여 주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 1~10사이 숫자 출력, 5 제외 (continue 문 사용) . . . . 1 match
          cout << i << endl;
  • 2006신입생/방명록 . . . . 1 match
         어쨌든 가입!! ㅋ그런데 위키는 하나도 모르겠다.. ㅠ_ㅠ 선배들한테 배워야 게 넘 많은거 같은 기분이.. ㅋ_ㅋ - 차형 -
  • 2010Python . . . . 1 match
          * id() : id(256)까지는 계속 반복해서 써도 같은 값이 나오는데 id(257)부터는 할때마다 다른 값이 나온다. 왜그럴까?
  • 2011년독서모임/주제 . . . . 1 match
         ||자신의 취미가 담긴 책 읽기||Legend, 고구려, 수집이야기||
  • 2thPCinCAUCSE . . . . 1 match
          cout << "I got " << n << endl; // 표준 출력 부분
  • 3DGraphicsFoundation . . . . 1 match
          * [http://http://www.drunkenhyena.com/docs/d3d_tutorial.phtml] : 여기는 nehe 소스를 DX로 만들어 놓은 곳.. -- 정수
  • 50~100 사이의 3의배수와 5의 배수 출력 . . . . 1 match
          cout << i << endl;
  • 5인용C++스터디/시계 . . . . 1 match
         ||나휘동||[http://165.194.17.15/pub/upload/Leonardong_Timer.zip]|| 잘했음. ||
  • 5인용C++스터디/윈도우즈프로그래밍 . . . . 1 match
         #redirect DevelopmentinWindows
  • 5인용C++스터디/작은그림판 . . . . 1 match
         || 나휘동 || Upload:Leonardong_paintingboard.zip || 잘했음. ||
  • 5인용C++스터디/후기 . . . . 1 match
         문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정말 힘들었지만 그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이나마 극복하게 된것 같습니다. MSDN 찾아보면서 숙제를 완성시키는 과정이 나름대로 만족스러웠습니다. MFC의 메시징 시스템 등의 체계, 윈도우 메시지의 작동 원리 등을 완벽히 이해하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스터디를 어떤 식으로 준비하고 발표해야지 알게 되었고 윈도우 프로그램을 보면 어떤 식으로 만들었는지 대략 알 수 있는 능력이 생긴 것 같습니다. 다음 스터디부터 더욱 열심히 하고 싶습니다.
  • APlusProject/CM . . . . 1 match
         Upload:APP_ConfigurationManagementPlan_0512.zip - 최종버전 다시 출력해야 것 같다. ㅡ.ㅡ
  • APlusProject/PMPL . . . . 1 match
          보고 똑같이 만든다고 만들었는데... 흠; 반복되는게 있네요- 윤주
  • AppletVSApplication/영동 . . . . 1 match
          * 스스로 실행 수 있는 자바 프로그램.
  • Applet포함HTML/영동 . . . . 1 match
          pluginspage="http://java.sun.com/products/plugin/index.html#download">
         <!--"END_CONVERTED_APPLET"-->
  • AsemblC++ . . . . 1 match
         [http://www.google.co.kr/search?num=20&hl=ko&newwindow=1&client=firefox-a&rls=org.mozilla:ko-KR:official&q=disassembler&spell=1 역어셈블러 구글검색]
  • BasicJava2005/3주차 . . . . 1 match
          * [http://java.sun.com/j2se/1.5.0/docs/api/] : 영문 5.0 API문서
  • BeeMaja/고준영 . . . . 1 match
          while(scanf("%d", &willy)){
  • Button/상욱 . . . . 1 match
         public class Test extends JFrame implements ActionListener
  • CORBA . . . . 1 match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는 소프트웨어 객체가 분산 환경에서 협력하여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일단의 명세서이다. 이 명세서에 대한 책임 기관은 OMG이며, 소프트웨어 업계를 대표하는 수 백 개의 회원 업체로 이루어져 있다. CORBA의 핵심부분은 ORB이다. ORB는 객체의 소비자인 클라이언트와 객체 생산자인 서버 사이에서 객체를 전달하는 일종의 버스로 생각 수 있다. 객체의 소비자에게는 IDL이라는 언어를 이용한 객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객체의 생상자에 의해 제공되는 객체의 자세한 구현사항은 객체의 소비자에게는 완전히 숨겨진다.
  • Class/2006Fall . . . . 1 match
          * Persuaving Presentation until 6 Oct. I'll do it until 29 Sep.
  • ClearType . . . . 1 match
          * 특허문제로 Adove, Linux, Apple 들이 각 다른 방식의 벡터 드로잉 방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CompleteTreeLabeling . . . . 1 match
         입력된 각 줄에 대해 한 줄의 결과를 출력한다. 그 줄에는 위에서 설명한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k진 트리에 레이블을 붙이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 CuttingSticks/문보창 . . . . 1 match
          while (input())
  • DataCommunicationSummaryProject/Chapter11 . . . . 1 match
          * 고정된 무선 기술은 오퍼레이터들에거 고객에게 닿을수 있는 간단하고 값싼 방법이 수 있다.
  • DatabaseManagementSystem . . . . 1 match
         DBMS라는 것은 DB를 다루기위해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다수의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처리합니다. 원래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루기위해서 만들어진 컴퓨터때문에 만들어진 것으로 DBMS는 컴퓨터의 back-end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일부로서 완전히 통합되었다.
  • DebuggingSeminar_2005/UndName . . . . 1 match
         Microsoft(R) Windows (R) 2000 Operating System
  • DefaultValueMethod . . . . 1 match
         의사소통을 더 쉽게 해주고, 상속때에 오버라이딩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준다.(상속관계마다 상수가 다른 경우를 말하는 것 같다.)
  • Devils . . . . 1 match
         Devils ( Developers' Idols ) 란, 과거에 [제로페이지]가 한해 70명~80명의 인원을 넘어서 너도나도 [제로페이지] 시절(19xx년~?)에 엘리트 주의를 표방하며 등장한 두개의 소모임([데블스],[폴리곤]) 중 하나이다.
  • DirectVariableAccess . . . . 1 match
         하지만 이 클래스가 상속이 가능성이 있다면, setter/getter를 오버라이딩 해서 사용할수 있으므로, IndirectVariableAccess를 쓰는 것이 괜찮다.
  • Downshifting . . . . 1 match
         ''다운 시프트Downshift''
         또 하나 유용한 충고. 다운시프팅 같은 변화를 행동으로 옮길 때는 작은 부분부터 바꾸어나가라. 그리고 한 번 변화에 실패했다고 포기하지 말라! -- [Leonardong]
  • EcologicalBinPacking/임인택 . . . . 1 match
          results.append(sum)
  • EightQueenProblem/이덕준소스 . . . . 1 match
          cout<<endl;
  • EightQueenProblem2/이덕준소스 . . . . 1 match
          cout<<endl;
  • EightQueenProblemSecondTry . . . . 1 match
         이 테스트는 자신이 처음 문제를 푸는 동안 얼마나 많이 배웠는가 하는 지표가 수 있습니다.
         see also DoItAgainToLearn
  • ExtremeProgrammingExplained . . . . 1 match
          제가 먼저.ㅡㅡㅋ --[(Leonardong)]
  • Factorial2 . . . . 1 match
         임의의 수 A 에 대한 Factorial 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A 는 20이상이 수 있습니다.)
  • GDG . . . . 1 match
          * 자율성이 저하 수도 있음
  • GameProgrammingGems . . . . 1 match
         솔직히 이렇게 장황하게 써 놨지만 언제 책을 다 볼 수 있을 지 미지수다(.... 너무 어렵다 T_T) 일단 6개월동안 책 2권 다 보기다 -_-; 그리고 이렇게라도 선언해 놓지 않으면 영영 책 사놓고 끝까지 안보게 듯 싶어서 ZP 위키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다. =_=; 간간히 요약하여 게임을 제작하려는 자들(.... 필자도 포함 -_-V)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GarbageCollection . . . . 1 match
         특정 주기를 가지고 가비지 컬렉션을 하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상당한 시간상 성능의 저하가 생긴다. 이건 일반적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time critical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상당한 문제가 부분임. (Incremental garbage collection? 를 이용하면 이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하지만 리얼타임 동작을 완전하게 보장하기는 어렵다고 함.)
  • Gof/Facade . . . . 1 match
          for (i.First (); !i.IsDone (); i.Next ()) {
         Choices operating system [CIRM93] 은 많은 framework를 하나로 합치기 위해 facade를 사용한다. Choices에서의 key가 되는 추상객체들은 process와 storge, 그리고 adress spaces 이다. 이러한 각 추상객체들에는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시스템이 있으며, framework로서 구현된다. 이 framework는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대해 Choices에 대한 porting을 지원한다. 이 두 서브시스템은 '대표자'를 가진다. (즉, facade) 이 대표자들은 FileSystemInterface (storage) 와 Domain (address spaces)이다.
         예를 들어, 가상 메모리 framework는 Domain을 facade로서 가진다. Domain은 address space를 나타낸다. Domain은 virtual addresses 와 메모리 객체, 화일, 저장소의 offset에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Domain의 main operation은 특정 주소에 대해 메모리 객체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너가 page fault를 다루는 기능을 제공한다.
          RepairFault 명령은 page fault 인터럽트가 일어날때 호출된다. Domain은 fault 를 야기시킨 주소의 메모리객체를 찾은뒤 RepairFault에 메모리객체과 관계된 캐쉬를 위임한다. Domain들은 컴포넌트를 교체함으로서 커스터마이즈 수 있다.
  • Hacking/20040930첫번째모임 . . . . 1 match
          [http://fedora.redhat.com/ 페도라]
  • HanoiProblem/임인택 . . . . 1 match
          while(enum.hasMoreElements()) {
  • Hartals . . . . 1 match
         입력의 첫번째 줄에는 입력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하나의 정수 T가 들어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번째 줄에는 한 개의 정수 N(7≤N≤3,650)이 들어있으며 시뮬레이션을 돌릴 기간(날 수)을 나타낸다. 그 다음 줄에는 정당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P(1≤P≤100)가 들어간다. 그 다음부터 시작하는 P개의 줄 가운데 i번째 줄(1≤i≤P)에는 i번째 정당의 동맹 휴업 지수를 나타내는 양의 정수 hi(7의 배수는 아님)가 들어있다.
  • HaskellLanguage . . . . 1 match
          * 저 위에보면, featuring static typing, higher-order functions, polymorphism, type classes and modadic effects 라고 있는데, 이것들이 아마 haskell language의 큰 특징들이 아닐까 한다. 각각에 대해서 알아두는게 도움이 듯. ([http://www.nomaware.com/monads/html/ monad관련자료])- 임인택
  • HelpOnConfiguration . . . . 1 match
         $path='./bin;c:/windows/command;c:/Program Files/gnuplot;c:/Program Files/vim/vim71'; # for win32
  • HelpOnInstallation/SetGid . . . . 1 match
         Setgid 퍼미션을 작동시키려면 간단히 "`chmod 2777 ''dir''` 명령을 내리면 되는데, 모니위키가 여러 파일들을 만들게되는 디렉토리에 대해 이 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모니위키를 최초 설치하는 과정에서 setgid를 사용하려면 우선 모니위키 최상위 디렉토리를 먼저 `chmod 2777`을 해 줍니다. 아마 wiki.php가 들어있는 디렉토리가 것입니다.
  • HelpOnSubPages/SubPages . . . . 1 match
          * MoniWiki/DownLoad
          * XWindows
  • HelpOnUserPreferences . . . . 1 match
          * 웹상의 비번은 쉽게 노출 가능성이 많으므로 가능한 노출되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비밀번호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IdeaPool . . . . 1 match
          * 우리는 아이디어를 갖고 있어도 어떠한 사정에 의해 실현(혹은 개발)까지 이르지 못하기도 한다. 따라서 모두의 아이디어를 공유한다면 프로젝트를 비롯한 각종 활동 사항에 촉진제가 것이다.
  • Ieee754Standard . . . . 1 match
          * [http://docs.sun.com/htmlcoll/coll.648.2/iso-8859-1/NUMCOMPGD/ncg_goldberg.html What Every Computer Scientist Should Know About Floating-Point Arithmetic] (''강추'')
  • InterWiki . . . . 1 match
         MoinMoin marks the InterWiki links in a way that works for the MeatBall:ColourBlind and also is MeatBall:LynxFriendly by using a little icon with an ALT attribute. If you hover above the icon in a graphical browser, you'll see to which Wiki it refers. If the icon has a border, that indicates that you used an illegal or unknown BadBadBad:InterWiki name (see the list above for valid ones). BTW, the reasoning behind the icon used is based on the idea that a Wiki:WikiWikiWeb is created by a team effort of several people.
  • JAVAStudy_2002/진행상황 . . . . 1 match
         이제 슬슬 네트워크로 들어가도 것 같다.[[BR]]
  • JavaStudy2002/입출력관련문제 . . . . 1 match
          while(tokenizer.hasMoreTokens()){
  • JavaStudy2003/두번째수업 . . . . 1 match
         http://www.javastudy.co.kr/docs/yopark/chap03/chap03.html
  • JavaStudy2003/세번째과제/곽세환 . . . . 1 match
          private double area;
  • JollyJumpers/iruril . . . . 1 match
          while(true)
  • JollyJumpers/강소현 . . . . 1 match
          while(scan.hasNextInt()){
  • JollyJumpers/곽세환 . . . . 1 match
          while (cin >> n)
  • JollyJumpers/김태진 . . . . 1 match
          while(1){
  • LinuxSystemClass . . . . 1 match
         개인적으로 교재가 마음에 든다. 단, 제대로 공부할 것이라면 가능한 한 원서를 권한다. 한서의 경우 용어의 혼동문제와, 중간 오역문제가 눈에 띈다. (inexpensive를 expensive 로 정 반대의 뜻으로 해석한) 뭐,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 사람들은 한서 읽는 속도가 원서 읽는 속도의 3배 이상은 테니. 알아서 잘.
  • Map/곽세환 . . . . 1 match
          cout << endl;
  • Map/박능규 . . . . 1 match
          cout << endl;
  • MindMapConceptMap . . . . 1 match
         ConceptMap 은 'Concept' 과 'Concept'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으로, 트리구조가 아닌 wiki:NoSmok:리좀 구조이다. 비록 도표를 읽는 방법은 'TopDown' 식으로 읽어가지만, 각 'Concept' 간 상하관계를 강요하진 않는다. ConceptMap 으로 책을 읽은 뒤 정리하는 방법은 MindMap 과 다르다. MindMap 이 주로 각 개념들에 대한 연상에 주목을 한다면 ConceptMap 의 경우는 각 개념들에 대한 관계들에 주목한다.
         '''마인드맵은 지극히 개인적인 도구이다.''' ["데기"]가 마인드맵에 기록하는 것들은 주로 연상 작용을 일으켜 이미 알고있는 것을 쉽게 떠오르게 할 수 있는 열쇠들이다. 마인드맵에 적힌 내용들이 그 열쇠가 되기도 하지만 그보다 마인드맵을 그리는 과정이 그 열쇠가 되어준다. 잉크가 말라 잘 안나오는 파란색 펜을 선택해서 굵은 줄로 가지를 치고 조금 삐딱한 글씨체로 ''겨울 바다''라고 썼던 일이 나중에 그 마인드맵을 다시볼때 기억의 실마리가 되어준다. 그 실마리는 언어가 수도 있겠지만 이미지적인 요소도 무시할 수 없다. 굴림체 ''겨울 바다''와 ["데기"]체 ''겨울 바다''를 통해 연상되는 기억에는 분명히 차이가 있을것이다.
         MindMap 의 표현법을 다른 방면에도 이용할 수 있다. 결국은 트리 뷰(방사형 트리뷰) 이기 때문이다. [1002]의 경우 ToDo 를 적을때 (보통 시간관리책에서 ToDo의 경우 outline 방식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자주 쓴다. 또는 ProblemRestatement 의 방법을 연습할때 사용한다. --[1002]
  • MineSweeper/zyint . . . . 1 match
          map.append(raw_input())
  • ModelingSimulationClass_Exam2006_1 . . . . 1 match
         Step 2) 실기 시험. 필기 시험 합격자에 한해서 치루게 된다. 시험은 차 2대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시험을 준비하는데 1분의 시간이 소요되며, 보통 6분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 단, 시험 도중에 결격 사유가 발견시 6분이 안되어도 시험이 종료되게 된다.
  • MoinMoin . . . . 1 match
         ''No! Originally "MoinMoin" does '''not''' mean "Good Morning". "Moin" just means "good" or "nice" and in northern Germany it is used at any daytime, so "Good day" seems more appropriate.'' --MarkoSchulz
  • MoniWiki/HotKeys . . . . 1 match
          ||A||action=randompage || ||
  • MoniWikiProcessor . . . . 1 match
         1.1.3 이후에 지원이 추가 예정. 예) TextileProcessor
  • NetworkDatabaseManagementSystem . . . . 1 match
         The chief argument in favour of the network model, in comparison to the hierarchic model, was that it allowed a more natural modeling of relationships between entities. Although the model was widely implemented and used, it failed to become dominant for two main reasons. Firstly, IBM chose to stick to the hierarchical model in their established products such as IMS and DL/I. Secondly, it was eventually displaced by the relational model, which offered a higher-level, more declarative interface. Until the early 1980s the performance benefits of the low-level navigational interfaces offered by hierarchical and network databases were persuasive for many large-scale applications, but as hardware became faster, the extra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of relational systems won the day.
  • NumberBaseballGame/jeppy . . . . 1 match
          randomize();
  • PowerReading . . . . 1 match
         영어가 쉬우므로 영어원서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들도 쉽게 읽을 수 있다. 앞부분만 읽어보긴 했는데, 추천할만 한 것 같습니다. '더 복잡한 룰'은 직접 필요할때 만들어서 이용하시면 듯.
          - 저도 읽어보고있는데 괜찮은것 같아요. self-testing ..(?) 을 안해서 그렇지..-_-; Do It Now! 를 마음속으로만 외치는군요.....- 임인택
  • PrimaryArithmetic/황재선 . . . . 1 match
          while True:
  • ProgrammingPearls/Column6 . . . . 1 match
          * 시스템 독립적인 코드 튜닝 : double형보다 시간이 절반 정도 걸리는 float를 썼다.
  • ProjectAR/CollisionCheck . . . . 1 match
          * 그런데 왜 부채꼴이야? 창이라면 푹 찌르니까 사각형 + 사각형이 테고.. 검도 찌르면 사각형 + 사각형. 베면 사각형 + 부채꼴이 되겠구나. 생각외로 복잡하군.
  • ProjectPrometheus/Iteration3 . . . . 1 match
         ||||||Story Name : Recommendation System(RS) Implementation, Login ||
  • ProjectPrometheus/Iteration5 . . . . 1 match
         ||||||Story Name : Recommendation System(RS) Implementation ||
         |||||| To Do Later ||
  • ProjectSemiPhotoshop . . . . 1 match
          * 제출해야 게 1. 시간예측(스케줄), 2. SPEC 3. 회의일지 이렇게 3가지야
  • ProjectVirush/Rule . . . . 1 match
         * 명령을 수행하는데는 현실 세계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게임에 접속해서 명령이 수행 시간을 예약한다. 그리고 예약한 시간에 자신의 명령이 수행되었는지를 다음 번에 확인하고 새로운 전략을 세운다.
  • PyIde . . . . 1 match
          * auto completion ( http://don.freeshell.org/jython/ 참조)
  • QuestionsAboutMultiProcessAndThread . . . . 1 match
          * 만약 그것이 아니라면, I/O 작업을 CPU가 담당하지 않는 것인가? CPU 내부 ALU와 I/O 작업 회로가 따로 있는 Independent 상황이기 때문에 그런 것인가?
  • RSS . . . . 1 match
         RDF Site Summary, the first version of RSS, was created by Dan Libby of Netscape in March 1999 for use on the My Netscape portal. This version became known as RSS 0.9. In July 1999 Netscape produced a prototype, tentatively named RSS 0.91, RSS standing for Rich Site Summary, this was a compromise with their customers who argued the complexity introduced (as XML namespaces) was unnecessary. This they considered a interim measure, with Libby suggesting an RSS 1.0-like format through the so-called Futures Document [2].
         The RSS-DEV group went on to produce RSS 1.0 in December 2000. Like RSS 0.9 (but not 0.91) this was based on the RDF specifications, but was more modular, with many of the terms coming from standard metadata vocabularies such as Dublin Core. Nineteen days later, Winer released RSS 0.92, a minor and (mostly) compatible revision of RSS 0.91. The next two years saw various minor revisions of the Userland branch of RSS, and its adoption by major media organizations, including The New York Times.
  • RUR-PLE/Newspaper . . . . 1 match
         def climbDownOneStair():
         climbDownOneStair()
         climbDownOneStair()
         climbDownOneStair()
         climbDownOneStair()
         = RUR-PLE/Newspaper(함수화 후, 함수 반복제거) =
         def climbDownOneStair():
         repeat(climbDownOneStair,4)
  • RandomFunction . . . . 1 match
          int x1 = rand() % 10; // % 10 연산을 하면 x1 에는 10의 나머지가 수 있는
  • RandomWalk2/Vector로2차원동적배열만들기 . . . . 1 match
         ["RandomWalk2"]
  • RandomWalk2/서상현 . . . . 1 match
         파이썬으로 개발함. 7/1 밤 11시부터 1시까지 3시간. 중간에 ["RandomWalk2/질문"]. 7/2 다시 30분간 수정. 다시 질문. 답변을 받고 몇군데를 다시 고쳐서 업로드함.
         DoItAgainToLearn 할 생각임. 처음 할때는 중간 과정을 기록하지 않고 했지만 다시 할때는 과정을 기록해 봐야겠음.
  • Refactoring/RefactoringTools . . . . 1 match
         === Undo ===
  • STL/참고사이트 . . . . 1 match
         [http://www.cs.rpi.edu/projects/STL/htdocs/stl.html C++ STL from RPI univ]
  • Scheduled Walk/소영&재화 . . . . 1 match
          cout<<endl;
  • Score/1002 . . . . 1 match
         위에서 원소가 없을 때 if e!=''로 처리하는데, 없으면 len(e)가 0이 되므로 그냥 일반화해도 것이다. 즉 "있다"와 "없다"를 일반화.
  • Self-describingSequence . . . . 1 match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가 입력 수 있다. 각 줄마다 하나씩의 정수 n이 입력되며, 정수 한 개가 하나의 테스트 케이스를 이룬다(1 ≤ n ≤ 2,000,000,000). n이 0인 테스트 케이스가 입력되면 입력이 종료되며, 그 케이스는 처리하지 않는다.
  • Server&Client/상욱 . . . . 1 match
          while (true) {
  • ServiceOrientedProgramming . . . . 1 match
          * [http://www.openwings.org/download/specs/ServiceOrientedIntroduction.pdf Introduction to service oriented programming]
  • SharedSourceProgram . . . . 1 match
         이야기가 나온지 어느정도 지났는데, 어떻게 하기로 했나요?--[Leonardong]
  • SibichiSeminar/TrustModel . . . . 1 match
          * 세미나를 보면서, 와.. 저런걸 여기서(우리 코앞에 있는 연구실)도 구현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 뭐랄까, 진짜로 뭔가 연구하는데 다가간다는 느낌이 들었네요. TrustModel과 비슷한걸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을 아는데, 저런식으로 아예 수치화 시키는게 역시 효율적인가.. 라는 생각도 들었구요, 후에 연구실(다른데인가?)에 들어간다면 저런걸 하는걸 보게/혹은 후에는 직접 하게 수 있다는 사실에 나름 다시 감탄(?)했어요. ..아, 개발자와 기획자가 상상하는 것에서 상당히 그럴듯하다고 생각했어요.(창설에 이렇게 만들어달라고 하면 상당히 다른 모양이 탄생하곤 했지요) -[김태진]
  • Slurpys/문보창 . . . . 1 match
          cout << "END OF OUTPUTn";
          while (str[index] == 'F')
  • SoftwareEngineeringClass/Exam2006_1 . . . . 1 match
         3) S/W Test 와 Independent Verification & Validation 비교하라
  • SolidStateDisk . . . . 1 match
         백업 메카니즘으로서 배터리나 일반적인 자기디스크를 내장하곤 한다. SDD 는 일반적인 HDD I/O interface 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서 얻을 수 있는 잇점은 적은시간에 빈번한 I/O 작업이 일어날 경우에, seek time 이나 rotational latency 가 없는 메모리로서, 자기디스크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그에 덧붙여 구동부가 없는 구조로서 좀더 내구성이 뛰어나다고도 할 수 있겠다. 단점은, 특성상 대용량화가 어려우며 커다란 데이터의 요구량이 커질때. 즉 access time 보다 transfer time 이 더 요구때 효율성이 안좋다.
  • StudyingFundamentalsOfTcpIp . . . . 1 match
          [[ISBN(0201633469)]] 입니다. 상당히 평이 좋은 책이라고 합니다. 1학년때 잠깐 (챕터두개정도;; ) 보다가 덮어둔지 어언 3년이 되어가는군요. 책 없는분은 제본하면 것 같네요
  • TAOCP/BasicConcepts . . . . 1 match
          ) 이면 Z←0하고 B2반복
  • TAOCP/Exercises . . . . 1 match
          휘동, STX라는 명령문이 없어--[강희경]
  • TestDrivenDevelopmentBetweenTeams . . . . 1 match
         관련 문서 : http://groups.yahoo.com/group/testdrivendevelopment/files 에 Inter-team TDD.pdf
         ["TestDrivenDevelopment"]
  • TheKnightsOfTheRoundTable . . . . 1 match
         그래서 그 원탁은 방 안의 특정한 삼각형 영역 안에 자리잡아야 한다. 물론 아서 왕은 주어진 조건 내에서 최대한 큰 원탁을 만들고 싶어한다.
  • TheWarOfGenesis2R/일지 . . . . 1 match
          === ToDo ===
          === ToDo ===
          * 가드 직업의 구현 완료. 계속 이 템플릿으로 가면 거 같다.
  • TicTacToe/노수민 . . . . 1 match
         public class TicTacToe extends JFrame {
  • VisualBasicClass/2006/Exam1 . . . . 1 match
         7. a=2, b=3 일 때 다음 조건 중 true인것은?(1점)
         Dim I As Double
         End Sub
         Do While I <= 30
         ① For I = 1 to 10 ② Do
         ③ Do Until I = 10 ④ Do While I = 10
         End Sub
         End sub
  • VisualStudio2005 . . . . 1 match
          * 소스의 수정된 부분은 노란색으로 표시합니다. 저장이 되면 초록색으로 바뀝니다. 아마도 합병(merge)에서 사용 부분인듯.
  • VonNeumannAirport . . . . 1 match
         ||[VonNeumannAirport/Leonardong] || 한 번 실패 후 재도전한 Python버전 ||
  • VonNeumannAirport/Leonardong . . . . 1 match
          self.matrix.append([0]*numofGates)
  • WikiGardening . . . . 1 match
          실제 위키의 View 구조를 조성하는 사람을 WikiGardening을 하는 사람이라고 보면 까요? see NoSmok:WikiGardening --["이덕준"]
  • XMLStudy_2002/Encoding . . . . 1 match
         electronic documents." MultiLingual Communications & Technology. Volume 9, Issue 3
  • Yggdrasil/가속된씨플플/4장 . . . . 1 match
         sort(students.begin(), students.end(), compare);
  • ZPHomePage/20050111 . . . . 1 match
          싸이즈도 정해야 텐데? --[강희경]
  • ZeroPageServer/BlockingUninvitedGuests . . . . 1 match
          - 확실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위키철학에 어긋나는 방법이 수도 있다.
  • [Lovely]boy^_^/Diary/2-2-2 . . . . 1 match
          * 우리나라에 사람 무는 바퀴벌레가 들어온 기념으로.. TDD를 이용한 RandomWalk2를 해보았다.(Python) 파이썬 문법 자체에서 좀 많이 버벅거렸다는게 좀 아쉽다. 테스트 수십개가 통과하는 것을 보고 있자니 괜시리 기분이 좋아진다는--;
  • [Lovely]boy^_^/ExtremeAlgorithmStudy/MathematicalFoundations . . . . 1 match
          * 재귀(... 아 이건 아무리 해도 감이 잘 안온다. 역시 마니 짜보면 까)
  • aekae/* . . . . 1 match
          cout << endl;
  • callusedHand . . . . 1 match
          ''(move to somewhere appropriate plz) 논리학 개론 서적으로는 Irving Copi와 Quine의 서적들(특히 Quine의 책은 대가의 면모를 느끼게 해줍니다), Smullyan의 서적들을 권하고, 논리학에서 특히 전산학과 관련이 깊은 수리논리학 쪽으로는 Mendelson이나 Herbert Enderton의 책을 권합니다. 또, 증명에 관심이 있다면 How to Prove It을 권합니다. 대부분 ["중앙도서관"]에 있습니다. (누가 신청했을까요 :) ) --JuNe''
  • cogitator . . . . 1 match
         zeropage passive attender
  • erunc0/Mobile . . . . 1 match
         mobile. 왠지 거창하다. 내가 하는 일은 요즘 pda를 산다면 대부분이 사는 arm processor 를 장착한 wince 기반의 ipaq 기종에 미니 게임을 만든다는.. --; 아직 시장도 없거니와. sk 쪽에서 휴대폰에 이어 앞으로 펼쳐지게(?) pda 시장에 sk 이름에 걸맞게 휴대폰 장사에 이어 독점 비슷하다 싶이 하기위해 자그마치 500 억이라는 투자로 인해 매일 같이 삽질을 하고 있다.
  • jQuery . . . . 1 match
         jQuery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이고, 반복되며, 업무량을 증가시키는 불필요한 마크업들을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고, 훌륭하며, 이해하기 쉬운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ljh131 . . . . 1 match
         [http://ljh131.dothome.co.kr]
  • matlab . . . . 1 match
          end
  • sakurats . . . . 1 match
          막연한 고민은 아무것도 고민하지 않는것 보다 오히려 좋지 않은걸지도 몰라.. 또 고민하기 전에 상대를 먼저 아는것이 더 도움이 거 같고.. 그래서 지금 생각하는건.. 할수있는 만큼의 몇가지 도전들을 해보려고.. 헐헐. 이번에도 흐지부지하게 끝이 나지 않았으면 좋으련만. 노력해야지. -- 혜욘
  • zyint . . . . 1 match
          || LPU4.0 Limited Edition || . || ★★★★·|| 라이브앨범 -ㅅ- with랑 it's goin' down, step up 좋다 +ㅁ+ [[BR]]아무래도 팬클럽회원 전용 앨범이라; 노래 수가 많지 않아 아쉽긴 하다.||
  • zyint/articleTest . . . . 1 match
         DeleteMe ) 역링크 걸고 갑니다. [OrphanedPages] 가 것 같아서요 : ) --[창섭]
  • 강희경/도서관 . . . . 1 match
          역사에 대해서는 문명의 충돌도 한 번 읽어보길 추천~나는 역사학입문을 들으면서 봤던 책이야. --[Leonardong]
  • 걸스패닉 . . . . 1 match
          * 이런 말하긴 뭐하지만, 시일 내에 마치기는 힘들 것 같다. 밀린 숙제도 해야되고...전시회는 포기하고 좀 완급조절할까? 이러다가 흐지부지 까봐 두렵다. --[강희경]
  • 고수를찾아서 . . . . 1 match
         고수는 하루아침에 수 없다. 극단적으로 수련을 하든, 화두를 잡고 몇 년을 끙끙대든 결국 고수가 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나면 자신만의 길을 개척할 수 있다. 처음부터 모든 것을 창조해내지는 못하는 법이다.
  • 고슴도치의 사진 마을처음화면 . . . . 1 match
         [http://www.cs.cmu.edu/afs/cs.cmu.edu/user/avrim/www/Randalgs97/home.html Randomized Algoritms]
  • 공업수학2006 . . . . 1 match
         http://www.hil.cau.ac.kr/file/down/
  • 권영기 . . . . 1 match
         == 해야 일 ==
  • 그림으로설명하기 . . . . 1 match
         = 조건부 확률 =
  • 김준호 . . . . 1 match
          # 3월 16일에는 앞으로 새싹교실이 어떻게 진행것인지와 컴퓨터의 기본장치들을 배웠습니다 예를들어 CPU, Main Memory 등등 입니다.
  • 데블스캠프2003/둘째날/후기 . . . . 1 match
          * 문제에 하염없이 매달려있다는...졸려..ㅜㅜ 한계를 뛰어 넘어야 하는데 그게 쉽지가 않네요...-[Leonardong]
  • 데블스캠프2005/RUR-PLE/TwoMoreSelectableHarvest/이승한 . . . . 1 match
          while(1):
  • 데블스캠프2005/Socket Programming in Unix/Windows Implementation . . . . 1 match
         UnixSocketProgrammingAndWindowsImplementation
  • 데블스캠프2005/언어디자인/그까이꺼 . . . . 1 match
         loop(viewer<-star,ent)x5는 별을 화면에 하나 나타내고 한줄 띄우는 프로그램을 5번 반복한다.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연습문제/기타문제/임다찬 . . . . 1 match
          cout << i <<endl;
  • 데블스캠프2006/참가자 . . . . 1 match
          * 알바 날짜가 어떻게 지 모르는 관계로 참여 여부가 불확실합니다. 잠정적으로 빠지는 걸로 하겠습니다. 알바 날짜 잘 결정되면 다시 올리도록 하지요. --[인수]
  • 데블스캠프2009/금요일/연습문제/ACM2453/조현태 . . . . 1 match
         main(a,b,c){while(scanf("%d",&a)&&a){for(b=0;!(a&1<<b);++b);for(c=1<<b;a&c;c<<=1);printf("%u\n",(a|c)&~(c-1)|(c>>b+1)-1);}}
  • 데블스캠프2009/월요일/연습문제/svn코드레이스/박근수 . . . . 1 match
          while(a!=number)
  • 데블스캠프2010/다섯째날/ObjectCraft/미션1/허준 . . . . 1 match
          while(zeli2.HP>0) {
  • 데블스캠프2011 . . . . 1 match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ccc?key=0AtizJ9JvxbR6dGNzZDhOYTNMcW0tNll5dWlPdFF2Z0E&usp=sharing 타임테이블링크]
  • 데블스캠프2012/넷째날/묻지마Csharp/Mission3/서민관 . . . . 1 match
         private void timer1_T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데블스캠프2013/둘째날/API . . . . 1 match
          while ($data = mysql_fetch_row($q)) {
  • 도덕경 . . . . 1 match
         ... 내가 함이 없으니 백성이 스스로 질서를 찾고, 내가 고요하기를 좋아하니 백성이 스스로 바르게 되고, 내게 일이 없으니 백성들이 스스로 부유하게 된다. 나는 바램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니 백성들은 스스로 통나무가 뿐이다.
  • 땅콩이보육프로젝트2005 . . . . 1 match
         휘동( [Leonardong] ), 수생, 현태
  • 로고캐릭터공모 . . . . 1 match
         우와 좋은 아이디어다. [로고캐릭터공모/문의]로 따로 페이지 또는 게시판 링크가 걸리게 해도 좋을 것 같네. --[Leonardong]
  • 로마숫자바꾸기 . . . . 1 match
         === 처리조건 ===
  • 마방진/김아영 . . . . 1 match
          cout<<endl;
  • 몸짱프로젝트/DisplayPumutation . . . . 1 match
         == PsuedoCode ==
  • 몸짱프로젝트/InfixToPrefix . . . . 1 match
          self.list.append(aToken)
  • 문자반대출력 . . . . 1 match
         === 처리조건 ===
  • 문자열검색 . . . . 1 match
         === 처리조건 ===
  • 미로찾기/최경현김상섭 . . . . 1 match
          while(!(nowr==5 && nowc==5))
  • 반복문자열/남도연 . . . . 1 match
          cout<<"CAUCSE LOVE"<<endl;
  • 반복문자열/문보창 . . . . 1 match
         [반복문자열] [LittleAOI]
  • 빵페이지/소수출력 . . . . 1 match
          cout << endl;
  • 사랑방 . . . . 1 match
          ''약간은 사기라고 봐도 됩니다. 퀵소트에서 첫번째 원소를 피봇으로 잡는 경우가 헤스켈에서 아주 간단히 표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죠 -- 첫번째가 피봇이 되면 문제가 생기는 상황들이 있죠. 보통 헤스켈의 "간결성"을 강조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예입니다. 뭔가 독특한 점을 강조하기 위해 쓰인다는 것 자체가 이미 약간의 과장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see also Seminar:QuickSort --JuNe''
  • 상협/감상 . . . . 1 match
         || [TestDrivenDevelopmentByExample] || 켄트벡 || 1 || 굿 || 아직 제대로 이해와 적용은 못하겠다. 그래도 좋은책~ ||
          * 난 원래 영화 잘 안보는 스타일 이지만, 마음도 심난하고 해서 컴퓨터로 이 영화를 보게 되었다. 처음 부분에서는 좀 황당한 재미가 있었고, 중간 부분으로 가면서 지루해져서 그만 볼까 하는 생각도 했지만, 좀 더 보다 보니깐 재밌어져서 결국 끝까지 봤다. 이 영화를 보고 느낀점은... 음.. 지금 내가 보고 있는 세계도 혹시 환상은 아닐까 하는. ㅡㅡ;; 메트릭스도 생각나고.. 그리고 영화속 주인공이 불쌍해 보였다. 뭐 비록 천재인거 같지만 그렇게 사는것은 별로 유쾌한 일은 아닐거다. 또한 천재적인 사람들은 사회에 잘 적응 못하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한때 나도 머리가 천재적으로 좋았다면 좋겠다고 생각도 해보았지만, 그땐 이런 생각을 했었다. 머리가 너무 좋다면 노력해서 뭔가를 해내는 그런 쾌감을 얻을 기회가 적을 수도 있고, 주위로부터 한사람의 인격체로 인정되기 보다는 하나의 이용해 먹을 도구로 인식되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그사람 == 머리, 이런 이미지가 생기면 그 사람의 다른 모습은 전혀 관심밖의 일이 테니..)
  • 새싹교실/2011/學高/8회차 . . . . 1 match
          * random()
  • 새싹교실/2011/쉬운것같지만쉬운반/2011.3.29 . . . . 1 match
          * 오늘 가르치면서 느낀건 내가 준비가 좀 부족했다는 것이다. 시나리오가 제대로 준비되지 않아, 말에 두서가 없었다. Flexible하게 해보려고 하는 것도 좋지만, 일단 최소한의 시나리오는 그리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컴퓨터로 실습을 하려고 했는데, 다음부터는 일단 개념적으로 익히고 실습을 해야겠다. 손에 익숙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선적으로 머리가 추측을 할 수 있도록 하는게 더 중요한 것 같다. 그 사이의 갭은 점점 실습을 통해 줄여나가면 것 같다. - [박성현]
  • 새싹교실/2012/새싹교실강사교육 . . . . 1 match
          1. 기본 커리큘럼으로 만들은 강의자료와 교육시간은 강사들에게 약간의 준비됬다는 자신감(자신이 뭘 가르쳐야지에 대한 확신감으로 표현 가능)을 부여한다.
  • 새싹교실/2012/아우토반/앞반/4.5 . . . . 1 match
          while((b-a)>=0)
  • 새싹교실/2012/열반/120507 . . . . 1 match
          * 어떤 도서관의 서가에 책이 정렬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해봅시다. 그 상황에서는 어떤 특정한 책을 찾기는 매우 힘듭니다. 우리가 도서관에서 책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이유는 책들이 정렬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단, 저런 편리함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기존의 데이터를 정렬할 때 드는 비용이 있고, 새로운 데이터가 삽입하려 할 때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드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도서관의 서가에 책이 정렬되어 있으면 새로운 책이 들어왔을 때 제 자리에 찾아 꽂아야 하지만, 정렬되어 있지 않다면 아무 빈 공간에 꽂으면 됩니다. 이렇듯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어떤 자료를 항상 정렬할 필요는 없습니다. 찾는 일보다 추가하는 일이 훨씬 많다면 정렬하지 않는 것이 이득이 수도 있습니다.
  • 새싹교실/2013/라이히스아우토반 . . . . 1 match
          * 반 이름의 유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1489800 네이버국어사전]
  • 새싹교실/2013/양반/2회차 . . . . 1 match
         조건문이 꽤나 흥미로웠다.-끝-
  • 새페이지만들기 . . . . 1 match
          페이지를 만들기 전에 페이지의 양식이 만한 템플릿들이 제시된다.
         '''방법2''' 의 방식은 일종의 TopDown 방식이 된다. 해당 주제를 Parent로 하여 계속 주제와 연관된 글들을 뻗어나가는 방식이다. 반면 '''방법 1'''전자의 방법은 BottomUp의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새 주제들을 모아서 나중에 페이지분류 & 조정작업을 통해 Parent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서버재조립토론 . . . . 1 match
          저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버의 핵심은 안정성인데, 지금의 서버는 안타깝게도 그 역활을 제대로 수행해주지 못하고 있기때문입니다. 서버 업그레이드 시도를 하게되면, 이전의 컴퓨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 경우 새서버의 보조 역활과 리눅스 테스트용 서버로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속도 측면에서는 현재의 서버도 전혀 문제가 없지만, 안정성이 낮은점은 이용자의 입장에서 불편하다고 느낄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실제로 많이 불편했답니다.ㅠ.ㅜ 꼭 필요할때만 죽어있어요..) - [조현태]
  • 수학의정석/방정식 . . . . 1 match
         = 처리조건 =
  • 시간관리하기 . . . . 1 match
          * 핸드폰 알람 밑에 다이어리 놓기 - 보통 아침은 핸드폰 알람소리로 깬다. 그 밑에 그날의 할일을 놓는 것이다. 핸드폰 찾으러 돌아다니고, 그러다가 스탠드를 켜고, 핸드폰 알람 끄고, 그리고 어쩔수 없이!; 그날의 To Do List 를 보게 된다.
         비록 책을 쓴 저자인 스티븐 코비는 자신의 글을 스스로 실천하지 못했는지도 모르겠지만, 책 내용으로 보면 자기혁신,관리책의 기본 바탕이 되는 내용이라 생각된다. (단,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프랭클린 플래너는 안써도 것 같다. 사람 스타일마다 다르겠지만)
         ==== Getting Things Done (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해치우기) ====
         의외로 '간단해보이는', 하지만 인간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TDD 를 하는 사람들이라면 'To Do List 에 등록해놓기' 생각날지도.
  • 여섯색깔모자 . . . . 1 match
         [http://docs.google.com/present/view?id=0AdizJ9JvxbR6ZGNrY25oMmpfM2Q5djhkOGNq&hl=ko&authkey=CKTc9ZoI 2010/7월의세미나/여섯색깔모자]
  • 위시리스트 . . . . 1 match
          * 3: 이건 무조건 꼭 사야됨!
  • 이민석 . . . . 1 match
          * 하스켈 위키북 번역: https://wikidocs.net/book/204
  • 이병윤 . . . . 1 match
          1 위 작업은 모든 과목을 신청할때까지 반복된다.
  • 자리수알아내기/나휘동 . . . . 1 match
         절차형 프로그래밍을 많이 하다보면 1번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반복적으로 작업하는 흐름이 머리 속에 떠오르지 않나요?ㅋㅋ
  • 장용운 . . . . 1 match
         Windows API
  • 정렬/강희경 . . . . 1 match
          fout<<endl;
  • 정렬/장창재 . . . . 1 match
          fout << array[ar] << endl;
  • 정모/2005.12.15 . . . . 1 match
          - [나를만든책장] 을 채워보기 좋은 기회일 것 같아요. 묻어 버리기는 아까운 아이디어죠! (게다가 책장 대용으로 제로페이지 사물함도 마련되어 있답니다.) - [Leonardong]
  • 정모/2007.1.6 . . . . 1 match
         Q.지금은 모든 일이 회장에게 집중되어 있는데, 일이 안때 해결할 방법이 있는가?
  • 정모/2011.11.9 . . . . 1 match
          * 이번 OMS를 하면 좀 오래 걸릴 거라 생각했는데 역시 오래 걸렸네요. (시간 보신 분은 아실 듯.) 그래도 해야 말을 다 못한 거 같아 아쉬웠습니다. (뭘 더 이야기 하려고 -_-) 빨리 이번 신작 주문한게 왔으면 하네요.;; 여하튼. 10월 한달 동안은 시험기간이었지만 뭔가 이것 저것 많이 한 것 같았습니다. - [권순의]
  • 정모/2011.4.4/CodeRace/서지혜 . . . . 1 match
          * 근데 언제가 지 알수없지..
  • 정모/2011.5.23 . . . . 1 match
          * 먼저 자바스크립트 스터디에 관심이 생겼어요(진경이도 어제 뭐더라.. 어떤 언어가 알고리듬이 아주 달라서 배울만한 가치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같은 맥락이지 싶어요). 내일 몇시인지 알아낸 다음에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적합하다 판단되면 저도 동참해야겠어요. 또 세미나를 보면서, 와.. 저런걸 여기서도 구현하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TrustModel과 비슷한걸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을 아는데, 저런식으로 아예 수치화 시키는게 역시 효율적인가.. 라는 생각도 들었구요, 후에 연구실(다른데인가?)에 들어간다면 저런걸 하는걸 보게/혹은 후에는 직접 하게 수 있다는 사실에 나름 다시 감탄(?)했어요. ..아니면 빨리 이 길을 뜨는게 답인가요?ㅋㅋㅋㅋ 아, 또 성현이형이 동아리에서 프로젝트같은거 하신다고 하셨는데, 어떤걸 누구와 어떻게하였는지(그러니까 그 전반)도 한번 들어볼 기회가 있으면 좋겠어요. 여기서 잘 복붙해서 세미나 글에도 후기를 올려야겠네요...ㅎㅎ -[김태진]
  • 정모/2011.7.11 . . . . 1 match
          * DP 세미나 참여 때문에 일찍 끝나서 뭔가 약간 아쉬웠습니다. 데블스캠프도 마치고 새로운 스터디/프로젝트도 시작되어서 사실 공유할 수 있는 것들이 많았을텐데 (저 같은 경우 DB2 Certi Program에 대해 좀 공유하고 싶었고..) 다음주를 기약 해야겠어요. 태진이의 OMS는 MacBook의 디스플레이가 원활했다면 keynote로 더 좋은 presentation이 수 있었을텐데 아쉬웠을 것 같아요. 본의 아니게 (주제가 Apple이다 보니) 선배님들이 많이 (농담조로) 디스했는데 발표는 좋았답니다. 역시 태진이는 기대치를 높여주는 친구에요. - [지원]
  • 제로Wiki . . . . 1 match
          * 자신이 페이지 만드는 데에 참여하고 싶은 페이지는 그 페이지가 있는 카페에 가서 그 페이지를 저장할때 카페에 자신의 개인위키를 지정함으로써 자신의 개인 위키에 그 페이지를 등록 시킨다. 그러면 그 페이지와 자신의 개인 위키가 공유 관계를 가지게 한다.(공유 관계 : 공유 중인 페이지가 업데이트(수정) 경우 공유 관계에 있는 모든 위키에 그것이 반영된다.)
  • 제로페이지는 . . . . 1 match
          * ["제로페이지는"] 같이 공부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서로 가르쳐주고 배우면서 학과 공부로 모자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문화가 전해 내려온다. --[Leonardong]
  • 제안 . . . . 1 match
          2004년 7월 25일 ["ZeroWiki/제안"]으로 ["페이지이름바꾸기"]하였습니다. --[Leonardong]
  • 조재화 . . . . 1 match
          *WIndows Program(API,MFC)
  • 조현태/프로젝트 . . . . 1 match
          * php블로그 만들기 - 완성 수 있을까??ㅎㅎ
  • 중위수구하기/김태훈zyint . . . . 1 match
          씨랑 잘 보면 비슷해 +ㅁ+ switch 나 while, if, for 다 똑같어 -태훈
  • 지금그때 . . . . 1 match
          * 신입생 여러분에겐 "1학년"이 지금입니다. 여러분의 지금이 우리의 그때보다 낫기를 바랍니다. 곧 여러분의 지금은 그때가 것입니다. 그러면 여러분이 후배의 지금을 위해 자신의 그때 이야기를 나눌 수 있길 바랍니다. 그렇게 해서 우리의 그때보다는 뒤에 오는 사람들의 그때가 늘 좀 더 낫기를 바랍니다. 이것이 지금 우리의 작은 바람입니다.
  • 지금그때2005/연락 . . . . 1 match
         [Leonardong] - 김창준, 박영창..xxx
  • 지금그때2005/회의20050308 . . . . 1 match
         참가자 : [이승한] [강희경] [Leonardong]
  • 지도분류 . . . . 1 match
         ||["ExtremeProgramming"]|| Agile Methodology 인 ExtremeProgramming 에 대한 전반적 설명||
  • 책분류Template . . . . 1 match
          * B) * 5 : [나를만든책]이다. 탁월하다. 이미 고전이거나, 혹은 앞으로 고전이 것이다.
  • 최소정수의합/김유정 . . . . 1 match
          while (sum<=3000) {
  • 컴퓨터고전스터디 . . . . 1 match
         요즘 전산학과 대학생들이 모여서 리눅스 해킹법이니, MFC API니 하는 걸 같이 스터디하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겠지만 컴퓨터계의 고전 하나를 제대로 스터디하는 것은 어떨까 합니다.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군자는 근본에 힘을 쓰니, 근본이 서야 길이 생기기 때문이다.''라는 말이 논어에 나오죠. 나이가 아직 어리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때에는 어떤 구체적인 "기술"보다 좀더 일반적이고 보편적이며 이론적인 사유를 훈련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구체적 기술은 거기에 갖혀버리는(Lock-In) 경향이 있습니다. 2-3년 뒤에는 쓸모없어진다든가 하는 것이죠. 하지만 고전은 대부분 앞으로도 10년은 족히 유효한 것들입니다. 꾸준히 재해석 가능성이 있는 것들이고, 무엇보다 문제의식과 함께 치밀한 사유를 배우는 겁니다. 생각하는 법 말이죠.
         Dijkstra, David Parnas, C.A.R. Hoare, Donald Knuth, John von Neumann을 읽어본 대학생이 얼마나 있을까요.
  • 토이/메일주소셀렉터/김정현 . . . . 1 match
          while(br.ready()) {
  • 튜터링/2013/Assembly . . . . 1 match
          * Virtual, 2진수, 메모리 공간, ALU연산, Pipeline, Multitasking, 보호모드, Little-endian, RISC&CISC
  • 파스칼삼각형/김남훈 . . . . 1 match
         문제는 내가 scheme 시스템에서 stdin stdout 을 어떻게 다루는지 몰라서 그냥 함수만 만들었다는 점.
  • 파스칼삼각형/문원명 . . . . 1 match
          cout << res << endl;
  • 파스칼삼각형/조현태 . . . . 1 match
          while (hang<yol)
  • 파이썬->exe . . . . 1 match
         sys.argv.extend(['--packages', 'win32com'])
  • 프로그래머가알아야할97가지/ActWithPrudence . . . . 1 match
         다음 이터레이션에서 그 부채의 상환을 계획한다면, 비용은 최소화 것이다. 부채를 상환하지 않고 놔두면 이자가 누적되며, 그 이자는 가시적인 비용으로 추적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프로젝트의 기술적 부채가 사업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상환에 적절한 우선 순위를 줄 수 있게 된다. 이자를 어떻게 산정하고 추적할 것인가는 각각의 프로젝트에 달려있지만, 반드시 그것들을 추적해야 한다.
  • 프로그래밍십계명 . . . . 1 match
         4. 무슨 일을 반복시킬 때에는 처음과 끝에 유의할지어다.
  • 피보나치/SSS . . . . 1 match
          while(1)
  • 허아영 . . . . 1 match
         [http://blog.naver.com/ourilove.do?Redirect=Log&logNo=100003444965 포인터공부]
  • 허아영/MBTI . . . . 1 match
          내가 뻔한 ENTJ는 '지도자'가 가장 많다고 했다. - 2007. 2. 10. 아영.
  • 현재 위키에 어떤 습관이 생기고 있는걸까? . . . . 1 match
          * URL이나 dos, unix 디렉토리 구조 같아서 친숙한 것 같다. 프로그래머나 컴퓨터 파워유저는 익숙한것 같지만, 한국말에는 어울리지 않는 것 같다. --NeoCoin
  • 황재선 . . . . 1 match
          * E-Mail : aekae229 @ gmail DOT com
          * MSN : aekae @ hotmail DOT com
          * [http://blog.naver.com/wizard1202.do?Redirect=Log&logNo=140000679350 MFC Tip]
Found 689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114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Processing time 0.4878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