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ml5
- html5/VA
- html5/canvas
- html5/drag-and-drop
- html5/form
- html5/geolocation
- html5/offline-web-application
- html5/others-api
- html5/outline
- html5/overview
- html5/richtext-edit
- html5/video&audio
- html5/web-storage
- html5/web-workers
- html5/webSqlDatabase
- html5/websocket
- html5/문제점
- html5practice/roundRect
- html5practice/즐겨찾기목록만들기
1. 아웃라인을 의식한 마크업 ¶
-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논리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기본 요소
 
- 문서 내 특정 내용을 의미론적으로 구분 짓는 새로운 element들
 
- section, article
 
- outline
 - 섹션의 중첩관계
 
 
- 섹션의 중첩관계
1.1. 참고 사항 ¶
- 섹션 요소를 사용할 때는 항상 아웃라인을 염두해 둘 것
 
- 아웃라인과 상관 없는 범위를 지정하 ㄹ때는 div를 사용할 것
 
- article 요소를 사용할 것인가 말 것인가는 콘텐츠를 해당 페이지에서 분리해서 사용 가능한가에 따라 결정
 
- aside는 없어도 문제 없을 섹션에 사용
 
2.1.1. section 제목 ¶
- 하나만 지정 가능
 
- 여러 제목을 묶어 하나로 만들기 위한 <hgroup>태그 사용가능
 
- 섹션에 두개 이상의 제목을 지정하면 암묵적으로 섹션이 생성된다. 그런데 어떤 규칙으로 생성될지 모른다.
 
2.1.2. section root ¶
- 하나의 독립된 요소로 인정되는 태그들
 
- body, fieldset(입력 필드 그룹), td, figure, blockquote
 - body가 section root임. HTML5의 컨텐츠는 모두 section에 포함된다는 것을 유추 가능
 
 
- body가 section root임. HTML5의 컨텐츠는 모두 section에 포함된다는 것을 유추 가능
- 밖의 아웃라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2.1.3. section additional info ¶
- address
 - 바로 위 부모 article이나 body 요소에 관한 연락처 정보
 <article> contents <address> <a href="mailto:smaple@example.com">name</a> </address> </article> 
 
- 바로 위 부모 article이나 body 요소에 관한 연락처 정보
- time
 
<article> ...contents... <time datetime="2009-10-05" pubdate>10월 5일</time> </article>
2.2. article ¶
- 블로그 본문등 다른 부분으로 부터 독립된 섹션
 
- article 요소만 뽑아내어 이용할 수 있는가가 판단 기준
 
- 중첩이 가능. 안쪽 article은 밖의 article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2.5. FIGURE ¶
- figure 요소를 사용하면 콘텐츠 흐름에서 요소를 분리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캡션을 붙일 수도 있다.
 
<figure>
   <img src="./figure.jpg" alt="figure image" />
    <figcaption> This is a figure</figcaption>
</figure>
3.1. section§ion ¶
~HTML
    <article>
      본문.
      <section>
        <article>
          댓글.
        </article>
        <article>
          댓글2.
        </article>
      </section>
    </article>
3.2. css check ¶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beonit</title>
  </head>
  <body>
    <h1> body header </h1>
    <section>
      <h2> section header </h2>
      <blockquote>
        <h3>block section</h3>
        <section>
          section content
        </section>
      </blockquote>
      <section>
        second section
      </section>
    </section>
    <footer>
      beonit
    </footer>
    <aside>
      test aside
    </aside>
  </body>
</htm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