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D R , A S I H C RSS

Full text search for "django"

django


Search BackLinks only
Display context of search results
Case-sensitive searching
  • django . . . . 19 matches
         = django 는 ? =
          * [http://www.djangoproject.com/]
          * [http://www.djangoproject.com/documentation/modpython/] 이 페이지를 참고.
          PythonHandler django.core.handlers.modpython
          SetEnv DJANGO_SETTINGS_MODULE <프로젝트 이름>.settings
          PythonHandler django.core.handlers.modpython
          SetEnv DJANGO_SETTINGS_MODULE mysite.settings
         http://www.djangoproject.com/documentation/modpython/
         http://blog.timc3.com/2006/07/26/django-with-apache2/
         http://thinkhole.org/wp/2006/04/03/django-on-windows-howto/
          * [http://altlang.org/fest/EnglishStudyWithDjango 대안언어축제에서실습한장고] : 실제로 웹 개발을 따라서 해본다.
          * 그리고 C:\Python24\Lib\site-packages\Django-0.95-py2.4.egg\django\contrib\admin\media 에 있는 css 폴더를 docuemntRoot(www 이나 htdoc) 폴더에 복사하면 해결됨.
          *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70449010942275062 구글에서Django세미나]
          * [http://blog.go4teams.com/?p=56 django로블로그에비디오넣기]
          * [http://www.mercurytide.com/knowledge/white-papers/django-full-text-search] : Model 의 Object 에 대한 함수들 사용방법
          * [http://www2.jeffcroft.com/2006/feb/25/django-templates-the-power-of-inheritance/] : Template HTML 파일 사용법
          * [http://www.b-list.org/weblog/2006/06/13/how-django-processes-request] : Template 에서의 변수 참조에 대한 설명. 필수!!, 리스트나, 맵, 함수등에 접근하는 방법
          * [django/Example] - django를 이용해 만들어본 예제 시스템
          * [django/Model]
          * [django/ModifyingObject]
  • 졸업논문/본론 . . . . 11 matches
         = Django =
         Django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code.djangoproject.com/browser/django 에서 전체 소스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문서에 따르면 django 데이터베이스 API는 "SQL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필요할 때는 알아서 join연산을 수행하는 강력한 구문을 가졌으며,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직접 SQL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5]한다. 추상화된 구문을 사용하더라도 데이터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는데, MS SQL, MySQL, Oracle, PostgreSQL, SQLite3와 같은 DBMS를 사용할 수 있다.
         Django는 도메인 언어인 python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Python은 "동적인 객체지향"[10] 언어로 많은 소프트웨어르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django와 같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프레임워크로도 널리 쓰인다. 이미 NASA에서 python을 사용하고 있으며, Google에서는 python을 java와 더불어 주류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Django가 데이터베이스를 추상화하고, 개발 도중에 변경 사항을 자동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까닭도 python에 있다.
         Django의 설계 철학은 한 마디로 DRY(Don't Repeat Yourself)이다. 확연히 구분할 수있는 데이터는 분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중복을 줄이고 일반화한다. 데이터 뿐 아니라 개발에 있어서도 웹 프로그래밍 전반부와 후반부를 두 번 작업하지 않는다. 즉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SQL을 사용하는 방식이 도메인 언어에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에 숨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동적으로 쉽게 바뀔 수록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또한 후반부 데이터 모델이 바뀌면 프레임워크에서 전반부에 사용자에게 보이는 부분을 자동으로 바꾸어준다. 이러한 설계 철학을 바탕으로 기민하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 Django로 구현해본 안전관리시스템 =
         [django/Example]
         [django/Model]
         [django/ModifyingObject]
         [django/RetrievingObject]
         [django/AggregateFunction]
         = Django의 데이터베이스 추상화 평가 =
         레코드를 검색할 때는 기본적으로 간단한 질의를 처리할 수 있는 함수들을 제공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직접 관계를 가지는 테이블 사이에 조인 연산은 Model클래스의 메소드를 이용해서 추상화되어 있다. 하지만 그 밖인 경우에는 직접 SQL문을 작성하여 데이터를 얻어와야 하기 때문에 django를 사용하더라도 큰 이점이 없다. 또한 추상화된 Model클래스의 메소드는 기본적으로 모든 레코드 속성을 읽어오기 때문에 시간, 공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SQL의 aggregate function등을 대부분 추상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역시 SQL문을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다행히 django에서는 CLI와 마찬가지로 직접 SQL문장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도메인 언어인 python을 이용하면 CLI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도 있다. 종합적으로 기능적으로 지원이 불가능한 면은 없지만, 검색 측면에서 좀더 많은 추상화가 필요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 졸업논문/참고문헌 . . . . 8 matches
         [4] "Writing your first Django app, part 1", http://www.djangoproject.com/documentation/tutorial1
         [5] "Design philosophies", http://www.djangoproject.com/documentation/design_philosophies/
         [6] "Model reference", http://www.djangoproject.com/documentation/model_api/
         [7] "Database API reference", http://www.djangoproject.com/documentation/db_api/#retrieving-objects
         [8] http://code.djangoproject.com/browser/django/trunk/django/db/models/query.py
         [9] "Or lookups", http://www.djangoproject.com/documentation/models/or_lookups/
  • django/Example . . . . 5 matches
         본 논문에서는 Django를 사용하여 실생활에서 쓰일 만한 시스템을 만들면서 질의처리 능력과 데이터베이스 추상화를 실험해본다. 안전관리시스템은 안전관리가 필요한 위험을 파악하고,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대처방안을 설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실제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정책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대처하여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돕는다.
         [django/Model]
         [django/ModifyingObject]
         [django/RetrievingObject]
         [django/AggregateFunction]
         [django]
  • 졸업논문/서론 . . . . 5 matches
         이러한 맥락에서 python언어로 만든 django라는 프레임워크가 존재한다. RoR과 마찬가지로 django를 이용하면 기민하게 동적으로 웹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4] Django에서는 모델, 뷰, 템플릿, 세팅 등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제공해주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모델과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동기화 해주고, 데이터를 삽입, 변경, 삭제할 때 웹 개발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에 질의를 던지지 않아도 되도록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추상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django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민한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가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추상화했는지 살펴본다. 또한 django가 어떻게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도록 API를 지원하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django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기능을 살펴보고, 미비한 부분을 개선할 방안을 제시한다.
  • django/ModifyingObject . . . . 4 matches
         SQL문에서는 insert into values 구문을 이용해 레코드를 삽입하고, update set where 구문을 이용해 레코드를 수정한다. 하지만 django는 이 둘을 하나로 보고 데이터베이스에 레코드를 삽입하고 갱신하는 작업을, 모델로 만든 객체를 저장(save)하는 것으로 추상화했다. 기본적으로 모델클래스는 save메소드를 가진다. 따라서 개발자가 작성한 모델도 save메소드를 가지며, 이는 오버라이딩 할 수 있다. 아래 예에서 보듯이 save 메소드는 새로만든 레코드 필드의 속성에 따라서 적당히 삽입과 갱신 작업을 수행한다.
         e= Employee(name='John', email='John@django.com')
         Upload:django_delete.jpg
         [django/Example]
  • Django스터디2006 . . . . 2 matches
         || 9/21 || Django 환경 구축 + POST, GET , SESSION, COOKIE 에 대한 설명, Django로 만들고 싶은것에 대한 논의(과제 확인, 웹서버 부분 못들은 사람 물어봐서 했는지 체크) || 상협, 지훈, 우용, 준석, 지원 ||
         || 9/26 || Django 실전 프로젝트 설명, 블로그 포스팅 보여주는 방법 설명, 이것을 바탕으로 간단한 블로그를 만들어 볼 예정 || 상협, 지훈, 우용, 준석 ||
          * [django]
         상협오빠 손에 넘어가면서 아예 프로젝트 이름 자체가 Django스터디 가 되어버렸군요..=_=;;
          * [http://altlang.org/fest/EnglishStudyWithDjango 대안언어축제에서실습한장고] 이것 참고~. 오 지훈이 열심히 하네 ㅎㅎ, 또 하다가 모르는것 있으면 메신저 namsangboy골뱅이hotmail.com 으로 물어 봐도 돼 ㅎ
          * [http://biohackers.net/wiki/DjangoOnFramework2.1 블러그만드는참고자료]
         Upload:djangoStart.JPG
  • django/Model . . . . 2 matches
         모델은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명세한 python소스코드이다.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며, 간단한 경우 모델 하나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하나로 매핑된다. 따라서 웹 개발자는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손대지 않고 소스코드인 모델을 변경해가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모델을 변경할 때마다 django에서 제공하는 manage.py syncdb를 이용하면 변경된 모델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반영된다.
         다 대 다 관계에서는 어느 한 쪽 모델에 다 대 다 관계임을 표현한다. 하지만 양쪽 모두에 다 대 다 필드를 설치하면 안된다. Django는 다 대 다 관계인 경우 이를 표현하는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다음은 Employee와 Deparment모델 사이에 다 대 다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Django는 정의한 모델에 Admin클래스를 재정의해서 이를 삽입, 삭제, 갱신할 수 있는 기본적인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 항목을 원하는대로 배치할 수 있으며, 원하는 디자인도 적용할 수 있다. 이것으로 기본적인 입력 시스템은 만들어졌다.
         Upload:Screenshot-Django-site-admin.png
         [django/Example]
  • django/RetrievingObject . . . . 2 matches
         Django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조인 연산은 없다. SQL문을 직접 수행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JDBC의 인터페이스와 비슷하며, 커서를 이용하여 질의를 수행한 결과를 하나씩 얻어오는 방식을 사용한다. 다음은 특정 부서 에서 시행한 위험 관리 대책을 얻어오는 함수이다.
          from django.db import connection
         [django/Example]
  • 졸업논문/결론 . . . . 2 matches
         이때까지 살펴본 바, django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패턴을 대부분 추상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델과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여, 주언어인 python으로 모델만 수정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를 객체로 생각하고, 삽입과 갱신은 객체를 저장하는 것으로, 조회를 객체의 인스턴스를 얻어오는 것으로, 삭제를 인스턴스를 삭제하는 것으로 추상화하였다. 이러한 추상화로 모자란 부분은 사용자가 직접 SQL을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RoR와 django 같은 경량 프로그래밍 기법이 힘을 얻는 또 다은 이유는, 강력한 표현력을 가진 주언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Ruby와 python은 스크립트 언어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객체 지향 개념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패러다임을 포함한다. 비록 느려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지만, 동적으로 빠르게 변하는 웹 환경에서는 ruby와 python같은 언어가 변화를 손쉽게 따라갈 수 있어 적당하다.
         웹2.0은 웹을 플랫폼으로 생각한다. 플랫폼이 바뀌면 언어도 바뀐다. 웹 2.0이후에는 변화가 더욱 빨라질 것이고, 변화에 알맞는 새로운 개념과 기술과 언어가 생겨날 것이다. 하지만 기존에 널리 사용하던 기술은 변화를 맞더라도 쉽게 자리를 내주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변화를 만들어가는 입장에서는 기존 플랫폼, 기술, 언어와 연동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만들어서 기존의 것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더 나은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Django의 사례는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추상화된 데이터 저장고를 제공하는 변화의 연결고리를 보여주고 있다.
  • django/AggregateFunction . . . . 1 match
         Django에서 기본적으로 count 함수를 통해 레코드 개수를 셀 수 있다.
         Django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는 없다. 대신 order_by를 이용해서 최상위 레코드만 뽑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Django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는 없다. 원하는 레코드 집합을 얻어온 다음, python을 이용해서 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Django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SQL문을 직접 수행하여 결과를 얻을 수는 있다.
         [django/Example]
  • 졸업논문 . . . . 1 match
          * 기민한 웹 개발 프레임 워크의 데이터베이스 추상화 : [django]의 사례
  • 졸업논문/요약본 . . . . 1 match
         웹 환경은 이제 하나의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빠르게 변하는 웹 환경에는 python같은 객체지향 언어가 적당하다. Django는 python으로 만들어진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데이터베이스를 추상화하여 개발자가 기민하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도록 돕는다. Django에서는 기존에 ODBC등을 이용하는 CLI 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언어 python에 클래스를 정의하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며, 클래스가 변경되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도 자동으로 수정해준다. 그 밖에 삽입, 삭제, 수정, 조회 기능을 클래스가 가진 메소드로 추상화하여 주언어 수준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웹 애플리캐이션 개발자는 기민하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Web environment has became a standalone platform. Object-oriented languages, such as python, are suitable for web. Django is a web application framework written by python, and helps web developers writting web application more agile by abstracting database. Django provides high level abstraction on database, higher than CLI which uses ODBC. Django, for instance, creates database tables when developer writes classes in python, and modifies tables when developer modifies classes in python. In addition, django helps developers using database on host-language(python) level by abstracting insertion, deletion, update, retrieving of recodes to class method. Therefore, web developers make programs more agile.
Found 13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50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2-07 05:31:39
Processing time 0.0100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