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django/Example

본 논문에서는 Django를 사용하여 실생활에서 쓰일 만한 시스템을 만들면서 질의처리 능력과 데터베스 추상화를 실험해본다. 안전관리시스템은 안전관리가 필요한 위험을 파악하고, 위험 발생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대처방안을 설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위험한 상황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실제로 위험한 상황 발생했을 때 정책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대처하여 큰 사고로 어지지 않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너구리" 제조회사에서 안전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화재"라는 위험을 관리한다고 생각하자. "화재"가 발생하면 가연성 물질인 "너구리 꼬리"에 불 옮겨 붙어 대형 사고로 어질 수 있다. 따라서 "너구리" 사는 "물뿌리개"를 직원들에게 지급하여 "너구리 꼬리"에 불 옮겨 붙기 전에 "화재"를 진압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너구리" 사는 "화재"가 5분 안에 진압되지 않는 경우 "일일구" 서비스를 용하기로 결정했다. 따라서 "너구리"사 직원들은 불 났을 경우 "물뿌리개"로 일단 불을 끄고, 5분 지나면 "일일구" 서비스를 부를 것다.
또한 "너구리" 사는 "도난"라는 위험도 관리한다. "너구리 꼬리"가 "도난"을 당하면 "너구리" 사는 많은 손해를 입는다. 하지만 "다잡아"라는 무인 경비시스템을 설치하기에는 너무 많은 돈 필요해서, "너구리" 사는 "종잇장" 보험만 용하여 "도난"을 관리한다. "종잇장" 보험은 "도난" 뿐 아니라 "화재"에 대해서도 보험금을 지급하기 때문다. 또한 "도난" 발생하지 않도록 직원들에게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화재"가 발생한 뒤에는 위험 발생하고 에 대처한 기록을 남긴다. "도난" 발생한 뒤에는 원인을 분석하고 에 대처한 기록을 남긴다. 러한 위험 발생 기록에 대하여 "너구리"사는 유효적절한 대책을 시행했는지 확인한다. 만일 유효 적절한 대책을 시행했다면 를 확인한다.
다음 ERD를 바탕으로 데터베스 스키마를 생성한다.
Screenshot-SMS_ERD.pdf.png

django/Model
django/ModifyingObject
django/RetrievingObject
django/AggregateFunction
----
django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2-07 05:31:39
Processing time 0.0117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