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Py Ide/Sketch Book

툴 Idea 관련 여러 생각들.

  • 몇몇 생각 - 소스코드에 대해 flat text 관점으로 보지 못하도록 강요한다면, 구조적으로만 볼 수 있게끔 강요한다면 어떤 일 일어날까. 어떠한 장점 생기고 어떠한 단점 생길까.
    스몰토크 비슷한 환경 되지 않을까. 소스 코드의 구조적 뷰로는 LEO라는 훌륭한 도구가 있다. 크누스교수의 Literate Programming을 가능케 해주지. 나는 SignatureSurvey를 지원해 주면 어떨까 한다. --JuNe
    계속 생각했던것 '코드를 일반 Editor 의 문서로 보는 관점은 구조적지 못하고 는 필요없는 정보를 시야에 더 들어오게끔 강요한다. 그래서 구조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였는데, SignatureSurvey를 생각하면 정말 발상의 전환같다는 생각 든다는. (코드를 Flat Text 문서를 보는 관점에서 특정정보를 삭제함으로서 새로운 정보를 얻어낸다는 점에서.) --1002


Eclipse 쓰던중 내 코드 네비게팅 습관을 관찰해보니.. code 를 page up/down 으로 보는 일 거의 없었다. 전에 VIM 을 쓰면서 'VIM 으로 프로그래밍하면 빠르다' 라고 느꼈던 유를 생각해보면
  • 짧은 손가락 동선 - I,J,K,L - 손가락 멀리 갈 일 없다.
  • Source Folding - 화일 하나가 긴 경우라도 짧게 줄여놓고 쓰므로.
  • search - Function 동시 편리. 게다가 일반 텍스트 에디터에 비해 search 기능을 수행하는 비용 작다. / 한번, 그리고 바로 키워드 입력. (다른 녀석은? Ctrl+F , 키워드 입력, enter & enter. incremental search가 아닌 경우는 한단계가 더 있게 된다.)

하지만, 손가락 동선의 경우 - ctrl + O 를 누르고 바로 메소드 동을 한다. 일반 동도 메소드 중간 동은 CTRL +커서키. (는 VIM 에서의 W, B) 위/아래는 커서키. 클래스로의 동은 CTRL+SHIFT+T. Source Folding 도 주로 Outliner 에 의한 네비게팅을 용한다면 별로 쓸 일 없다. 보통 의미를 두고 하는 행동들은 클래스나 메소드들 단위의 므로, 그 밑의 구현 코드들에 대해 깊게 보지 않는다. (구현코드들에 대해 깊게 보는 경우가 생긴다면 십중팔구 Long Method 상황일것다.)

코드 에디터 사즈는 큰게 좋을까? 또는, 코드 에디터 사즈가 컸으면 하던 때는? 그 유는 무엇였을까?

Python 으로 HTML Code Generator 를 작성하던중. 좀 무식한 방법으로 진행했는데, 원하는 HTML 을 expected 에 고스란히 박아놓은 것다. 는 결과적으로 test code 를 네비게팅 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해당 Generating 되는 HTML 의 추상도도 상당히 낮게 된다. 한화면에 보여야 할 HTML 데터도 많아야 한다. 는 결국 내가 에디터 창을 최대로 놓게 만들더니, 더 나아가 에디터 창의 폰트 사즈을 11에서 8정도로 줄고 모니터를 앞당겨 보게끔 만들었다. (15인치 LCD 모니터여서 해상도가 최대 1024*768 임.) 해당 상황에 대해 사람 맞추는 것 좋을까, 또는 툴의 Viewing 도움을 줄 방법 있을까, 또는 사람 를 문제상황으로 인식하고 프로그램 디자인을 바꾸게끔 하는것 좋을까.

또는... 그냥 사람 툴을 바꿀것인가. -_-; (상황에 대한 인식, 그리고 툴에 대한 선택을 하는 주체는 결국 사람다.)


Wiki:FitNesse의 맨 앞 문구 'Beyond Literate Programming' 라는 말 참 인상적으로 보인다.

현재의 UML Case Tool들은 Beyond Literate Programming 일까?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2-07 05:24:08
Processing time 0.0530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