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비의스프링3/오브젝트와의존관계 . . . . 16 matches
= 제어의 역전(IoC) =
* 스프링은 IoC를 극한까지 적용한 프레임워크다.
= 스프링의 IoC =
5.1 오브젝트 팩토리를 이용한 스프링 IoC
* 빈 팩토리(bean factory) : 빈의 생성과 관계설정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IoC오브젝트. 스프링의 IoC를 담당하는 핵심 컨테이너. 일반적으로 직접 사용하지 않고 이를 확장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사용한다.
*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application context) : IoC방식을 따라 만들어진 일종의 빈팩토리. 별도의 정보를 참고해서 빈의 생성, 관계설정 등의 제어 작업을 총괄한다. 설정 정보를 따로 받아와서 이를 활용하는 IoC엔진이라고 볼 수 있다. 주로 설정에는 xml을 사용한다.
* 설정정보 :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나 빈 팩토리가 IoC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 주로 IoC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구성할 때 사용된다.
* 컨테이너/IoC컨테이너 : IoC방식으로 빈을 관리한다는 의미에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나 빈 팩토리를 컨테이너/IoC컨테이너라고도 한다.
ApplicatioContext 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DaoFactory.class);
ApplicatioContext 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DaoFactory.class);
* @Configuration이 붙은 클래스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활용하는 IoC 설정정보가 된다. 내부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Configuration클래스의 @Bean메소드를 호출해서 오브젝트를 가져온 것을 클라이언트가 getBean() 메소드로 요청할 때 전달해준다.
2.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는 종합 IoC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 의존관계 주입(DI)? : 의존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란 스프링에 사용된 제어의 역전(IoC) 방식을 조금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 용어이다.
- ComputerNetworkClass/Report2006/PacketAnalyzer . . . . 1 match
= WSAIoctl =
WSAIoctl 은 소켓이나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 관련된 사항을 설정하거나 설정값을 가져오기위해서 만들어졌다.
WSA prefix 를 가진 함수의 경우 대부분 Winsock 2에서 제공 되기 시작한 것이며, 이 WSAIoctl 역시도 윈속 2에서 지원된다.
#define SIO_RCVALL _WSAIOW(IOC_VENDOR,1)
// This socket MUST be bound before calling the ioctl
// Set the SIO_RCVALLxxx ioctl
if (WSAIoctl(s, SIO_RCVALL, &optval, sizeof(optval),
printf("WSAIotcl(%d) failed; %d\n", dwIoControlCode,
상기와 같이 기존의 서버 프로그램과 다른 점은 별로 없다. (Listen과 accept가 없네요. WSAIoctrl에서 다 처리하는건지...) 단지 소켓을 ioctrl 로 조정해서 ip 수준에서 올라오는 패킷을 기존과 다르게 처리할 뿐이다.
Found 2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50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