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D R , A S I H C RSS

Full text search for "Debian"

Debian


Search BackLinks only
Display context of search results
Case-sensitive searching
  • Linux/배포판 . . . . 5 matches
         == Debian ==
         GNU에 정신에 입각해서 만들어지는 배포판이다. 공식명식 GNU/Debian Linux 이다. 데비안의 이름은 배포자인 이안, 그의 부인 데보라 이름을 땃다고한다. 패키징은 과거 dselect를 이용하였고, 현재는 aptitude 라는 툴을 기반으로 한다. ''(관리정보를 보관하기 때문에 서로 호환성을 갖지는 않는다고 한다.)'' 데비안의 안정판은 대단히 배포사이의 공백기가 긴 것으로 유명하다. 혹자들은 메인테이너들이 굉장히 신중한 사람들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01년도 Woody를 시작으로 05년 Sarge 사이에 딱 하나의 안정판이 있을뿐이다. 대략 2년에 한번꼴이다.)'' 대신에 Stable, Testing, Unstable, Experimental 이라는 단계적 개념으로 패키지를 제공해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제공한다. 그렇지만 Unstable 이라고해도 페도라만큼 최신의 패키지들로 묶이지는 않고 어느정도 성숙이 되면 패키지로 포함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안정적 서버운영을 위해서는 안정판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고, 일반용도로는 Testing, Unstable을 설치한다. (www.kldp.org 가 현재 데비안 Sarge-stable 로 운영중이다.) 패키지방식은 의존성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특징이다. 데비안이 유명한 것은 바로 이 패키지 관리의 엄격함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최신의 기술로 만들어진 소프트를 원하는 이들에겐 그다지 좋은 덕목은 아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인스톨하기 때문에 base-system 이상의 것들은 네트웍이 연결된 상태에서 설치가 가능하다. 대신에 모든 배포판은 CD1장으로 구성된다. (net-install의 경우 대략 100MB 정도) 현재는 데비안의 엄격한 패키징 방식에서 좀더 유연한 자식격 배포판인 우분투이 나오면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 우분투는 데스크탑용 OS를 표방하고 발표되어으며, 실제로 CD로 엔터만 누르면서 완전설치가 가능하다.
         [http://debianusers.org/DebianWiki/wiki.php/DebianRedhat RedhatVSDebain]
         리눅스를 처음 시작하면서 어떤 배포판을 선택하는 지는 중요하다. 같은 리눅스이기는 하지만 사실 대부분의 리눅서들은 패키지 매니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편이지, 자신이 원하는 버전이 패키지 트리에 없다던가 버그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직접 제작사 홈페이지에서 바이너리를 설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럴때 동일한 패키지를 쓰는 사람한테 묻기가 편하고 이해하기가 편하기 대문이다. 2005년 현재 리눅스를 시작한다면 현시점에서는 [http://www.ubuntulinux.org/ Ubuntu]를 가지고 시작해서 [http://www.debian.org Debian] 으로 옮겨가길 권한다. 동일한 패키징 방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우분투는 데스크탑 리눅스를 표방하고 있는 만큼 다루기가 쉽기 때문이다. 우분투에서 기본을 익히고 직접 서버를 운영하는 수준으로 올라가면 데비안으로 옮겨가면 배포판을 바꾸는데에 대한 부담을 전혀 느낄 필요가 없다. 나의 경우 대략 2주일 정도를 밤새면서 이런 저런 문제를 해결하면서 왠만한 문제는 이제 스스로 해결할 정도가 되었는데... 한번쯤은 해볼 만한 도전이라고 생각한다. 쓰다보면 윈도우 없이도 살 수 있는 세상도 있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실제로 리눅스를 쓰는 사람들은 가장 게으른 배포판으로 데비안, 젠투정도를 꼽는다. 그만큼 잘 안변하고 한번 설치하면 거의 새로 설치해야할 일이 없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 SystemEngineeringTeam/TrainingCourse . . . . 3 matches
         ||계열||RedHat||Debian||UNIX||RedHat||
          * 서민관 - trello 쪽에 있는 서버 운영체제 요건을 봤을 때 대부분이 큰 차이가 없는 것 같고 안정성 면에서 CentOS, 업데이트 속도 면에서 Fedora/Ubuntu 라는 느낌이라서 둘 중에 어느 쪽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결정이 갈리는 것 같습니다. 이런저런 생각의 결과 Ubuntu 계열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유는 여럿 있는데, 첫째는 지금까지 Ubuntu를 좀 써 본 만큼 익숙한 환경에서 하는 것이 그 외의 문제에 시간을 덜 쓰고 문제 자체만을 다루기에 좋을 것 같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이번에 Raspberry pi를 구매했는데, 이쪽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운영체제가 Debian 계열이라서 Ubuntu에서 작업을 해 보면 Raspberry pi에서도 좀 더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Ubuntu 계열을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 이유 : Ubuntu는 데스크탑으로 사용중이기에 Debian계열의 apt-get패키지는 사용한 적이 있다. 반면 CentOS의 yum패키지는 사용해 본 적도 별로 없고 사용하였을때 의존성문제로 많은 애러를 보았기에 이를 공부해 보고자 선택. 또한CentOS가 서버로 많이 사용된다는 점을 들어 문재해결시 도움이 될 자료가 많을 것 같아서 선택
  • ZeroPageServer/UpdateUpgrade . . . . 3 matches
         ZeroPageServer 는 데비안 (SeeAlso [http://debianusers.org/ 한국데비안 사용자 모임] , 위키의 DebianKr:대문 )을 사용하고 있다.
         SeeAlso DebianKr:APT {{{~cpp apt-get --help}}}
         SeeAlso {{{~cpp /etc/apt/sources.list}}} , DebianKr:소스리스트
  • ZeroPageServer/set2002_815 . . . . 3 matches
          * 이번 세팅의 목적은 '''좀더 편한 패키지 관리, 안정된 환경'''을 위해서이다. 그래서 상민이의 물망에 오른 것이 Zentoo Linux와 Debian, FreeBSD 정도 인데, 기본적으로 Linux를 택해서, FreeBSD와 Zentoo Linux와 Debian 비교에서 사용자 층과 편이성면에서 Debian이 더 우수하게 느껴져 선택하였다.
  • InterMap . . . . 2 matches
         DebianKr http://debianusers.org/DebianWiki/
  • C/Assembly . . . . 1 match
         Compiler : GNU/GCC (gcc version 4.0.1 (Debian 4.0.1-2))
  • Erlang/설치 . . . . 1 match
          === Linux(Debian) ===
  • ExploringWorld/20040315-새출발 . . . . 1 match
          * 최악의 상황 경우 Debian 설치를 해야 되기 때문에 미니 CD준비하기
  • Linux/필수명령어 . . . . 1 match
         || update-rc.d || rc.* 에 시작 프로그램을 등록한다. defaults 옵션을 줄경우 모든 running level 에 등록된다. (Debian) ||
  • NeoCoin/Server . . . . 1 match
         == Debian 설치 중 기억에 남는것 ==
          * apt 주소 세팅시에, ftp://ftp.nuri.net/pub/debian woody main contrib non-free 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너무 난감했다.
          * 파일시스템을 reiserfs로 모두 바꾸기 http://debianusers.org/stories.php?story=01/03/01/9830027
          * 데비안에서 자바 사용하기 http://debianusers.org/stories.php?story=02/08/02/1679110
          * 의존성 패키지 몽땅 지우기 http://debianusers.org/stories.php?story=02/05/19/0340504
         4. 다음과 같이 /etc/kernel-pkg.conf 파일을 편집한다. debian은 커널 패키지의
         debian := 2.4.7+crypto+jfs+xfs
         /wnc debian
         /wnc debian-devel
  • PC실관리/2013 . . . . 1 match
          * Clonezilla가 Debian-based이며, alternative 버전으로 Ubuntu-based가 있습니다.
  • ProjectPrometheus/EngineeringTask . . . . 1 match
         || Debian Server Setting; || ○ ||
  • ProjectPrometheus/Iteration1 . . . . 1 match
         || Debian Server Setting; || 0.2 || ○ (20분) ||
  • ZeroPageHistory . . . . 1 match
         ||여름방학 ||데블스캠프, 청평 MT, 서버 세팅(RedHat -> Debian), 프로그래밍잔치 개최 ||
  • ZeroPageServer/old . . . . 1 match
          - 몇차례의 업그레이드를 거치면서 터미널의 로케일이 기본값이 바뀌어 있었다. DebianKr:한글설정문서
  • ZeroPage성년식/거의모든ZP의역사 . . . . 1 match
         ||여름방학 ||데블스캠프, 청평 MT, 서버 세팅(RedHat -> Debian), 프로그래밍잔치 개최 ||
Found 16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50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Processing time 0.0363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