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Data Communication Summary Project/Chapter8

1. The Air Link

  • 고객과 네트워크의 마지막 연결이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에어 링크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 에어 링크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수신기가 필요한데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하는게 MSU(핸드폰) 운영자에 의해서 동작하는게 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다.

1.1. Subscriber Unit

  • 핸드폰을 말한다. (MS mobile station)

1.2. Base Stations

  • Base Transceiver Stations (BTS)
  • 모든 셀의 가운데에 있는 거한 수신기 이다.
  • 지면에 장애물에 방해 받지 않기 위해서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 업링크를 위해서 fiberoptic을 많이 쓴다.
  • BTS가 혐오성을 일으키기 때문에 주변과 어울리게 꾸몄지만 너무 티가 안나면 사람들이 안전에 무심해져서 위험해질 수도 있다.

2. Voice Infrastructure

2.1. Station Controllers

  • 디지털 핸드폰의 첫번째 단계는 BTS를 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연결하는 것이다.
  • 아날로그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전파를 디지털 전파로 바꾸기 위해서 BTS에 BSC가 필요하다.
  • 여러개의 Base Station이 BSC를 같이 사용한다.
  • BSC가 연결되어 있는 BTS들에게 동적으로 스펙트럼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셀에 더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2.2. Switching Centers

  • moblie voice 네트워크에서 가장 복잡한 구성요소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이다.
  • 전화기의 교환기 처럼, MSC는 사용자들을 기억하고 있다가 필요할때 부른다.
  • 네트워크는 많은 MSC를 가지고 있고, 하나의 MSC는 여러 무리의 셀들을 맡고 있다.
  • 모든 고객은 특정한 MSC에 등록되어 있다.
  • 사용자와 연결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서 중요하다
  • 각각의 MSC는 아래와 같은 여러개의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다.(사용자의 위치 추적과, 요금 지불 정보등을 위해서)

2.2.1. The Home Location Register(HLR)

  • MSC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핸드폰의 위치를 가지고 있다.
  • 자신이 포괄하는 범위내의 사용자에 해서만 정확한 지리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 만약 사용자가 범위 밖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한 곳의 MSC 분별 번호를 신 저장한다.

2.2.2. The Visitors' Location Register(VLR)

  • MSC가 포괄하는 범위내의 모든 핸드폰의 지리적인 위치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 MSC가 포괄하는 위치안에 있는 사용자에게 call 요청이 오면 사용자의 home HLR가 새로운 셀의 VLR에 접촉하고, 사용자에 연결되게 해준다.
  • 이 시스템의 문제는 모든 call이 사용자의 home HLR을 통해서 연결된다는 것이다. 국제적으로 연결되면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 그래서 많은 네트워크들은 현재 MAP(Mobile Application Part)라고, HLR과 VLR을 오직 한번만 찾아봐서 가능하면 지역안에서 연결되게 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2.2.3. The Equipment Identity Register(EIR)

  • 전화 번호랑 연계하여서 핸드폰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 전화요금이 정확하게 매겨지게 하고, 도난당한 핸드폰의 정보등을 가지고 있어서 도난당한건 사용못하게 하도록 한다.

2.2.4. The Authentication Center(AuC)

  • 디지털 네트워크에서만 존재한다.
  • 이것은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폰에 해서 그 핸드폰에도 있는 보안 인증 코드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
  • 더 빠른 처리를 위해서 HLR과 VLR에도 인증 코드가 때때로 복사되기도 하지만 그것들은 결코 공중을 통해서 전달 되지는 않는다.
  • 2G 핸드폰은 핸드폰만 검증 하지만 3G 폰과 PMR(Private Mobile Radio)는 네트워크도 검증한다.

2.2.5. The Messaging Center

  • SMS 메시지를 다루고, 핸드폰으로 들어오가 나가는 메시지를 라우팅해준다.

2.3. Trunking

  • 초기 핸드폰 네트워크에서 MSC가 그물망처럼 되었는데, 이건 곧 제어하기 힘들게 되었다. 그래서 TSCs(Trunking Switching Centers)가 씌여지게 되었다.
  • TSCs는 단지 여러 MSC들로부터 오는 연결들의 집합을 매우 높은 용량의 케이블들 합친것일 뿐이다.
  • TSC는 네트워크에서 보통 매우 적거나 때때로는 하나만 사용되지기도 한다.

2.4. GateWays

  • The 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 (GMSC)는 스위칭 체계의 최 상위에 있다.
  • 그것은 모바일 네트워크를 전화 네트워크(PSTN)나 다른 roaming 협약을 맵은 운영자와 연결한다.
  • 이것은 가장큰 역할은 핸드폰 시스템 자체의 신호 프로토콜을 보통 전화선에서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를 나르는데 사용하는 Signaling System 7(SS7)로 변환하는 것이다.

3. Data Infrastructure

  • 모바일 데이터도 BST나 BSC와 같이 음성 데이터와 비슷한 조직 체계를 사용한다.
  • 전화기 스타일의 지속적인 circuit 스위치 신에 작은 패킷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인터넷 스타일의 라우터가 필요하다.

3.1. Packet Control

  • GPRS 네트워크에서 가장 비싼 부분이 Packet Control Unit(PCU)이다. base station은 패킷 데이터를 위해서 이게 있어야 한다.
  • PCU는 데이터가 음성 네트워크로부터 출발하는 지점이다. 그래서 그 지점은 기 시간이나 용량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3.2. Serving Support

  •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은 data infrastructure 에서 MSC와 비슷한 것이다.
  • MSC처럼 이것은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위치를 찾고, 인증 하는거..)에 연결되어 있다.
  • MSC와는 다르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셀에 직접 연결될 필요는 없다.
  • PCU와는 다르게 SGSN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는데 명확한 기준이 정의 되어 있어서 운영자가 제조업자를 마음로 고를 수 있다.
  • SGSN의 유형은 운영자가 타겟으로 삼는 고객이 어떤 종류인지에 따라서 채택될것이다.

3.3. The GPRS Backbone

  • 부분의 운영자들은 그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안에 SGSN들을 설치하여, 점차 거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만들 계획을 한다. 이것이 GPRS Backbone 이라고 알려져 있다.
  • GPRS Backbone이 MSC와 가장 다른 점은 데이터에 더 적합한 패킷 스위칭 방식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IP와 비슷한 GTP(GPRS Tunneling Protocol)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3.4. The Gateway Node

  • GPRS는 데이터 네트워크 밖에 접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장치가 필요하다.
  • Gateway GPRS Support Node(GGSN)는 GTP 데이터 패킷을 TCP/IP로 교환 하거나 그 역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인터넷에 한 인터페이스가 되는 것이다.
  • GGSN은 인터넷에게 GPRS의 복잡합을 감춘다.
  • X.25도 지원한다.
  • ATM에 한 연결은 지원하지 않는다.

3.5. Optional GPRS Infrastructure

  • The Point-to-Multipoint Service Center(PTM SC), Qos 문제를 다루는 서버이다. 돈을 더 많이 낸 고객에게 통신에서 우선권을 준다. 그리고 소리와 그림과 같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우선권을 달리 준다.(소리가 더 속도에 민감하다.)
  • The Border Gateway(BG), roaming을 다룬다. 이것은 주로 필터링을 통해서 원하지 않는 연결을 막는 방화벽에 연결되어 있다.
  • The GPRS Charging Gateway(GCG), 요금 지불 옵션을 전문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 The Lawful Interception Gateway(LIG), 당국이 GPRS 네트워크에 있는 이동 데이터를 중간에서 엿보는것을 허락한다.

3.6. GPRS Roaming

  • 다른 운영자의 GPRS 네트워크에서 roaming 하는 GPRS 가입자가는 여전히 인터넷에는 접근할 수 있을지라도, 그들이 의존하고 있는 다른 서비스는 못받는다.
  • 사용자가 이러한 특화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운영자가 특별한 형태의 GPRS roaming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 Internet Roaming :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서 특화된 서비스를 위한 연결을 보낸다. 이것은 싸고, 간단한 해결책이지만, 느리고 보안 문제가 있다.
    • GRX Roaming : GPRS Roaming Exchange(GRX) 라고 불리우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한다. 이것은 다양한 GPRS 네트워크에서 GTP 트래픽을 운반한다. 더 비싸다

3.7. Wired Access Points

  • Richchet에 의해 사용된 MCDN 시스템은 전통적인 cellular 네트워크 구조와는 다소 다른 구조에 기초해 있다. 그것의 크기는 매우 작고, 그것들은 릴레이 형식으로 거한 BTS에 신호들을 보낸다.
  • 한 BTS는 WAP(wired access points , 혼란 스럽게도..)라고 불린다.
  • 망했지만, 이 구조는 4세 시스템에서 많이 제안된 것과 비슷한다.

4. Server-Side Equipment

  • 돈벌려고 네트워크 운영자들이 처음에는 자신들의 사이트로만 고객들이 접근하도록 인터넷에 한 접근을 제한 했지만 나중에 가서는 자기들끼리 경쟁하더니만 인터넷에 한 접근 제한을 풀었다.

4.1. Wap Gateways and Servers

  • 운영자 자신의 WAP 서비스에 접속하는 신에, 사용자가 WAP gateway를 호출해서 거기에 직접 접근한다. 이것의 문제는 요청에 한 요금이다. 운영자의 WAP 서비스가 싼데 비해서 WAP gateway에 접속하는데에는 음성전화와 같은 비용이 든다.
  • WAP gateways는 WAP servers(모든 형태의 WAP 장비를 커버하는 단어)와 혼돈되기 쉬운데 WAP 서버는 단순히 인터넷 주소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로 WAP 데이터가 제공하는 것이다.

4.2. Unbundling and Virtual Networks

  • 자신의 네트워크를 경쟁사와 같이 공유하라는 법이 유럽에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것은 괜찮은거 같다.

4.3. Mobile E-Mail Gateways

  • 부분의 이메일은 짧기 때문에 보내고 받기가 편하다.
  •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 메일 읽어도 서버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 POP(Post Office Protocol) : 한번 본 이메일은 서버에서 지워진다.
  • 내부적인 컴퓨터 이메일 시스템은 POP나 IMAP을 통한 원격 접근을 지원하지 않는다. 신 이와 같은 것에 한 이동 통신의 접근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이메일만 담당하는 gateway server(허용된 시스템과 이동 통신과 접속하게 하는)을 통해서 접근 하는 것이다.
  • Gateway 소프트웨어가 이메일 서버에서만 돌아야 한다는 법은 없다. 개별 PC에서도 돌아 가게 할 수 있고, 그경우 장점은 ISP나 법인 서버를 사용하여 어떤 이메일 시스템과도 같이 동작하게 만들 수 있다. 단점은 항상 컴퓨터를 켜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5. The Internet

5.1. Internet Protocol Version 4

  • 32 bit ( 4 개의 byte)

5.2. The IP Address Shortage

  • IP 주소의 사용량을 위협하는 것은 GSM폰에 부착되어 있는 항상 접속되어 있는 GPRS 기술이다.
  • 하여튼 그래서 주소가 부족하다

5.3. Mobile IP

  • 집에만 있을때는 고정된 IP를 쓰면 되지만 이동하고 밖에 있고 그럴때는 그렇게 하지 못한다. 그래서 Mobile IP standard가 발표되었다.
  • 이것는 시스템 tunneling이라는 것을 이용하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IP주소가 속한 지역이 아닌 네트워크에 접속할때마다 임시적인 IP 주소를 가지는것을 필요로 한다.
  • 홈 네트워크가 그 임시 주소로 패킷을 라우팅 한다.
  •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료가 지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역폭을 낭비하고, 지연시간이 늘어나고, IP 주소를 낭비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5.4. Internet Protocol Version 6

  • 16 byte의 주소 (128비트)
  • 아직 실용화는 안되었다.

5.5. Voice Over IP

  • 데이터와 음성의 기본 조직을 나눠서 운영하기보다는 운영자는 오직 하나의 통합된 네트워크를 필요로 할 것이다.
  • IP 패킷의 복잡의 구조때문에 이러한 통합이 방해되었다.
  • 음성과 비디오는 더 짧은 패킷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버 헤드가 너무 크다.
  • 그래서 나온것이 헤더를 Robust Header Compression(ROHC)라고 불리우는 기준으로 압축하는 것이다. - 헤더를 여러번 보내는 신에 3세 폰은 헤더는 한번만 보내고 나서 짧은 메시지를 보낸다.

6. Summary

  • 모바일 네트워크는 복잡하고 고정된 토가 필요하다. 전화망과 인터넷이 비슷한...(해석잘안됨)
  • 보이스 네트워크는 MSC들 - 전화 교환기와 비슷한 - 로부터 만들어진다. GPRS 네트워크는 SGSN들 - 인터넷 라우터와 비슷한 - 로부터 만들어진다.
  • WAP 게이트웨이는 고객들로 하여금 그들의 전화기로부터 다이얼로써 네트워크에 들어갈수 있게 해준다. WAP 서버는 웹 서버랑 비슷하다.
  • 오픈 WAP 네트워크는 어느 사이트의 접근도 허용한다. 클로즈드 WAP 네트워크는 오퍼레이트와 그의 파트너들에게만 접근을 허용한다.
  • 인터넷 전화기는 IP주소 - 현재 공급이 잘 안된다? - 가 필요하다.
  • 3G로 하여금 그것의 잠재력을 최고로 끌어올리려면, 인터넷은 IPv4로부터 IPv6 라우터로 옮겨가야 한다.
  • 3G 네트워크는 궁극적으로 데이터를 위해 하는 것처럼, 보이스를 위해 같은 토를 사용할 것이다. 인터넷 프로토 위에 보이스를 달리게 해서.(?)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2-07 05:23:05
Processing time 0.0404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