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D R , A S I H C RSS

Full text search for "호출 규약 (calling convetion)"

호출 규약 (calling convetion)


Search BackLinks only
Display context of search results
Case-sensitive searching
  • MoreEffectiveC++/Exception . . . . 20 matches
         파괴자 호출은 두가지의 경우가 있다. 첫번째가 'normal'상태로 객체가 파괴되어 질때로 그것은 보통 명시적으로 delete가 불린다. 두번째는 예외가 전달되면서 스택이 풀릴때 예외 처리시(exception-handling) 객체가 파괴되어 지는 경우가 있다.
         자 이건 괜찮아 보인다. 하지만 저 logDestruction상에서 예외가 발생한다면 어쩌게 할것인가? 해당 소스는 Session의 파괴자 안에서는 예외를 잡지 못한다. 그래서 해당 파괴자를 호출한 자에게 예외를 던진(전달한)다. 그렇지만 다른 에러들이 던져진 상황에서 파괴자가 스스로 자신을 부른거라면 함수의 종료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기를 원할 것이다. 그리고 당신의 프로그램은 이쯤에서 머추어 버릴 것이다. -해석이 이상하군, 암튼 다른 예외 처리시에 세션 파괴자 로그시 예외가 발생한다면 프로그램이 멈춘다는 소리다.
         == Item 12: Understand how throwing an exception differs from passing a parameter or calling a virtual function ==
         그래서 아마 함수호출에서 인자 전달과 과 예외가 전달되는 것이 기본적으로 같은것이라고 생각 할지도 모른다. 분명 둘은 비슷한 면이 있다. 하지만 중요한 차이점 역시 존재 한다.
         자, 비슷한 면은 언급해보면, 함수 예외 모두 에 인자를 전달할때 세가지로 전달할수 있다. 값(by value)이냐 참조(by reference)냐, 혹은 포인터(by pointer)냐 바로 이것이다. 하지만 이 함수와 예외에서의 인자의 전달 방식은 구동 방법에서 결정적인 차이점을 보인다. 이런 차이점은 당신이 함수를 호출할때 최종적으로 반환되는 값(returns)이 해당 함수를 부르는 위치로 가지만, 예외의 경우에 throw의 위치와 return의 위치가 다르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localWidget이 operator>> 로 전달될때는 복사의 과정이 일어나지 않는다. 대신 operator>> 안의 참조 w가 localWidget과 묶여서 어떠한 과정을 처리하게 된다. 하지만 예외의 처리에서 localWidget은 좀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 나간다. 예외가 값이나, 참조를 잡든 잡지(pointer는 잡지 못한다.) 않든 상관 없이 localWidget의 사본이 만들어지고, 그 사본은 catch로 저낟ㄹ 된다. 왜냐하면 passAndThrowWidget의 영역을 벗어나면 localWidget의 파괴자의 호출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이렇게 되어야 한다. 이것은 C++ 에서 예외는 항상 사본으로 전달된다는 이유가 된다.
         주석에 되어 있는데로, 생각해 보라. throw가 복사생성자를 호출하지 않아서 효율적이다. 그리고 throw는 어떠한 형이든 예외를 전달한는데 상관하지 않는다. 하지만, 사실 예외자체가 그 형에 맞게 던져지므로 걱정이 없다. 하지만 catch문에서 예외를 던지는 객체의 형태를 바꿀 필요성이 있을때 후자를 사용해야 겠다.
         반대로 가상함수를 부를때 일어나는일이 있다. 당신이 가상함수를 호출하면 함수는 해당 객체의 가장 합당한 함수를 dynamic으로 찾아낸다. 이것은 '''최고로 적합한 것(best fit)'''을 의미하지 '''가장 처음에 찾아 지는 것(first fit)'''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위의 소스를 반대로 한다면
         unexpected에 관련한 기본적인 행동은 terminate를 호출해서 terminate내에서 abort를 호출로 강제로 프그램을 멈추게 한다. 이 의미는 바로 abort는 프로그램을 종료할때 깨끗이 지우는 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활성화된 스택 프레임내의 지역 변수는 파괴되지 않는다.(즉, 프로그램이 멈추고 디버그시 그 상황에 현재의 자료 값을 조사할수 있다는 의미). 그래서 예외 처리의 명세을 어긴 문제는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나, 거의 발생하지 않은 상황이다. 불행히도 그런 심각한 상황을 이르게 하는 함수 작성이 용이하다는게 문제이다. 컴파일러는 오직 예외 명세에 입각한대로 부분적으로 예외 사용에 관한 검사를 한다. 예외가 잡을수 없는것-언어 표준 상에서 거부하는(비록 주의(wanning)일지라도) ''금지하는'' 것- 은 함수를 호출할때 예외 명세에서 벗어나는 함수일것이다.
         당신의 컴파일러가 예외 처리규정에 만족하지 않은 루틴을 가진 함수의 코드를 호출하는데 별 무리없다고, 그러한 호출이 아마 당신의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중지를 유도하기 때문에 당신은 소프트웨어를 만들때 최대한 그런 만족되지 않은 호출을 최소화 하도록 결과를 유도해야 할것이다. 시작시 가장 좋은 방향은 템플릿상에서의 예외 스펙를 최대한 피하는 것이다. 자 다음의 어떠한 예외도 던지지 않은 템플릿을 생각해 보자.
          * 두번째로 당신은 unexpected호출을 막기위하여 부족한 예외 명세의 규정으로 인하여 불리는 함수상에서 예외 명세를 생략할수 있다.
         이 코드에서 makeCallBack에서 func을 호출하는것은 func이 던지는 예외에 것을 알길이 없어서 예외 명세에 위반하는 위험한 상황으로 갈수 있다.
          * 세번째로 당신은 "the system"이 아마 던지는 예외를 핸들링해서 unexcepted의 호출을 피할수 있다. 이러한 예외는 많은 부분이 new와 new[]시 메모리 할당 예외에서 bad_alloc이 발생하여 발생한다. 만약 당신이 new를 어떤 함수에서 쓴다면 우연이라도 bad_alloc 예외를 만날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는 셈이다.
         이렇게 하면 unexpected예외는 convertUnexpected를 호출한다. 즉, 새로운 UnexpectedException 객체로 예외가 교체되었다. 하지만 제공되는 예외 명세에서 unexpected를 방지할려면 UnexpectedException 예외를 포함해야 한다. 예외를 객체로 던졌기에.. (만약 예외 명세에 UnexpectedException을 넣지 않았다면 unexpected가 교체되지 않은 것처럼 terminate가 불릴것이다.)
         이제 당신은 예외 명세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을수 있음을 이해 할것이다. 컴파일러는 그들의 부분적인 쓰임새를 검사해서 템플릿에서 문제를 발생할 소지를 않으며, 컴파일러는 의외로 규칙위반을 하기 쉽고, 컴파일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을 불시에 멈추어 지도록 유도할것이다. 예외 명세 역시 또다른 문제를 안고 있는데, 예외명세는 높은 수준의 호출자가 예외 발생을 대비할때도 unexpected로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Session의 파괴자는 logDestruction을 호출한다. 하지만 명시작은 어떠한 예외도 해당 logDestruction에서 던지지 못하도록 막아놓았다. 한번 logDestuction이 실패할때 불리는 함수들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이것은 아마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생각한대로이건 상당히 예외 명세의 규정 위반으로 인도하는 코드이다. 이런 예측할수 없는 예외가 logDestruction으로 부터 퍼질때 unexpected가 풀릴 것이다. 기본적으로 그것은 프로그램을 멈춘다. 이 예제는 그것의 수정 버전이지만, 그런 수행을 Session 파괴자의 제작자가 원할까? 작성자는 ''모든 가능한 예외'' 를 잡으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그건 Session 파괴자의 catch블럭에서수행되는 것이 다다면 그건 불공평한 처사라고 보인다. 만약 logDestruction이 아무런 예외 명세를 하지 않는다면, ''I'm-willing-to-catch-it-if-you'll-just-give-me-a-chance'' 시나리오는 결코 일어나지 않을것이다. (이런 문제의 예방으로 unexpected의 교체에 대한 설명을 위해 언급해 두었다.)
  • 코바용어정리 . . . . 15 matches
         클라이언트의 반대쪽에는 구현 객체라고 알려진 실제 객체가 있다. '구현 객체(Object Implementation)'는 실제 상태(state)와 객체의 반응 양상(behavior)을 규정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현 객체는 객체의 메소드와 객체에 대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 프로시저를 정의한다. 구현 객체는 객체 어댑터의 도움을 받아 ORB와 상호 작용한다. 객체 어댑터는 구현 객체를 특정하게 사용하는 데에 편리하도록 ORB 서비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구현 객체는 ORB와 상호 작용하여 그 정체를 확립하고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며 ORB에 따르는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되면 ORB에게 통보되고 이 객체의 구현이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알게 된다. 호출이 발생하면 ORB, 객체 어댑터, 스켈레톤은 구현의 적절한 메소드에 대한 호출이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의 인터페이스 타입에 대해 스텁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보통 스텁은 OMG-IDL로 정의되어 있는 객체 오퍼레이션에 대한 액세를 하게 해주는데, 일단 프로그래머가 OMG-IDL 및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언어 매핑에 친숙해지면 손쉽게 예상이 가능한 방식으로 액세르를 하게 해준다. 해당 스텁은 ORB 코어에 전용이며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나머지 ORB들을 호출하게 될 것이다. 만약 여러 개의 ORB를 사용하게 된다면 각각의 스텁은 제 각기 해당하는 ORB를 호출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ORB와 언어 맵핑은 공조하여 각각의 스텁이 특정 객체 레퍼런스와 제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동적 호출 인터페이스(DII : Dynamic Invocation Interface) ==
         클라이언트가 호출될 객체와 수행할 오퍼레이션을 지정하고자 할 때, 특정 객체 A의 특정 오퍼레이션을 지정하는 대신 객체 호출을 동적으로 생성하도록 허용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 코드에서는 수행되는 오퍼레이션과 전달되는 파라미터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정보는 대개 인터페이스 저장소와 같은 런타입 소스에서 얻어진다. 실행 시간 중에 해당 정보를 얻은 후, 클라이언트 코드는 이른바 동적 호출 인터페이스(DII)를 이용해서 동적으로 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언어 매핑에 대해(아마도 객체 어댑터에의 의존하게 되겠지만) 각각의 타입의 객체를 구현하도록 해주는 메소드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것이다. 이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업콜(up-call) 인터페이스일 것이다. 구현 객체의 개발자는 그 인터페이스에 따라 루틴을 작성하게 되고 ORB는 스켈레톤을 통해서 그 루틴을 호출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스켈레톤의 존재가 그에 사응하는 클라이언트 스텁의 조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말은 클라이언트가 DII를 통해서 리퀘스트를 만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어떤 언어 맵핑은 스켈레톤을 사용하지 않는데, 이것은 Smalltalk에시는 대체적으로 맞는 말이다.
         동적 스켈레톤 인터페이스는 IDL에 기초하지 않는 스켈레톤/스텁을 가진 객체의 메소드 호출을 처리해야 하는 서버에 대해 런타임 바인딩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동적 스켈레톤은 수신된 메시지의 파라미터값을 참조하여 어떤 객체가 호출되었는지 어떤 메소드가 호출되었는지를 알게 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컴파일된 스켈레톤을 사용하는 것과는 비교되는데 이러한 스켈레톤에서는 메소드의 구현이 IDL로 정의된다. 구현 코드는 모든 오퍼레이션 파라미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ORB에 제공해야 하며, ORB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입력 파라미터값을 제공한다. 오퍼레이션이 수행된 후, 구현 코드는 출력 파라미터 또는 익셉션을 ORB에게 넘겨준다. 동적 스켈레톤 인터페이스의 특성은 프로그래밍 언어 맵핑에 따라 또는 객체 어댑터에 따라 실질적으로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업콜 인터페이스이다. 동적 스켈레톤은 클라이언트 스텁 또는 DII를 통해서 호출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방식의 클라이너트 리퀘스트 생성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결과를 제공한다.
         ORB 인터페이스는 애플리케이션에 중요한 지역 서비스에 대한 API들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곧바로 ORB로 가는 인터페이스이고 모든 ORB들에 대해 동일하다.ORB 인터페이스는 객체 어댑터 또는 객체 인터페이스에 의존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ORB의 기능이 객체 어댑터, 스텁, 스켈레톤 또는 동적 호출 등을 통해서 제공되므로 몇몇 오퍼레이션만이 모든 객체들에 대해 공통이다. 공통 오퍼레이션에는 get_interface와 get_implementation 같은 함수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임의의 객체 레퍼런스에 작용하며 각각 인터페이스 저장소 객체와 구현 저장소 객체를 얻는 데 사용된다.
  • JavaNetworkProgramming . . . . 14 matches
          execution = null; //쓰레드가 크리티컬 섹션을 수행하는 도중 이 메소드가 호출되는 경우,중요한 데이터에 다른 쓰레드가 영영 접근할수 없는
          *Thread 통지(notification)메소드 : 주의해야 할 점은, 이 메소드들 호출하는 쓰레들이 반드시 synchronized 블록으로 동기화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wait() : notify() 메소드를 호출할 때까지 블록킹된다.
          *notifyAll() : 메소드가 호출된 객체에서 대기하고 있는 모든 쓰레드들을 깨운다.
          out.close(); //close가 호출되지 않으면 FileOutputStream에 가비지 콜렉션이 일어날 때에 파일과 하부의 FileDescriptor가 자동으로 닫힌다.
          this(file.getPath()); //역시 자신의 생성자를 호출
          *FilterWriter : 모든 문자 스트림 필터의 스퍼클래스로 다른 Writer 객체에 연결되어서 모든 호출 연결된 스트림으로 전달한다.
          *FilterReader : 모든 Reader 문자 스트림 필터의 수퍼클래스로, 다른 Reader객체와 연결하여 모든 메소드의 호출을 연결된 스트림으로 전돨한다.
          *BufferedWriter : 연결된 스트림에 출력 버퍼링 기능을 제공한다. 모든데이터는 버퍼가 가득 찾거나 flush() 메소드가 호출되거나 close() 메소드가 호출될 때까지 내부 버퍼에 저장되었다가 여러 문자를 한꺼번에 출력하는 write()메소드의 호출을 통해 연결된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enableReplaceObject(true); //이메소드를 호출해야만 replaceObject를 호출할수있음 보안문제
          enableResolveObject(true); //resolveObject()호출 가능하게한다.
  • Java Study2003/첫번째과제/장창재 . . . . 13 matches
         C와 같이 다른 언어로 작성된 함수를 직접 호출합니다.
         C언어를 이용하여 C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면 반드시 main이라는 시작 함수를 정의해 주어야 하고,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한다고 하면 WinMain이라는 함수를 꼭 작성해 주어야 하지요. 이러한 것을 규약(protocol)이라 합니다. 마찬가지로,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데, 이 때 각 자바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해당 규약이 서로 다릅니다. 이렇듯 자바를 이용하여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는 것은 각 자바 프로그램에서 제시하고 있는 규약을 지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는 것입니다.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는 자바 프로그램의 종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PPLET>~</APPLET> 태그를 이용하여 HTML 페이지 내에 포함되어,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의 홈 페이지 내에 삽입되어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에 의해 실행되도록 규약에 맞추어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입니다. 다음에 나오는 그림은 자바 애플릿의 실행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자바 프로그램에 의해 삽입(import)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자바 패키지는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던 라이브러리 또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해 주는 API 등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바 패키지 역시 해당 규약을 갖겠지요.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압축 파일의 형태로 'casses.zip"이라는 자바 패키지가 제공되고 있고, 압축 파일 내에는 디렉토리 단위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그림은 JDK 1.2.2 에서 제공되는 패키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은 하나의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위에 나열된 하나의 규약에 맞게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자바 프로그램이 위의 규약들을 두 개 이상 만족하도록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두 개 이상의 자바 프로그램 규약을 만족시키는 자바 프로그램은 여러 자바 프로그램에 속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했는데, 이 자바 프로그램은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규약을 만족시켜 주고 자바 애플릿을 위한 규약도 만족시켜 준다면, 이 자바 프로그램은 JDK와 함께 제공되는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고,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에 내장된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자바 애플릿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여러 규약에 맞는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지만, 하나의 자바 프로그램이 굳이 두 개 이상의 규약을 모두 만족시켜주도록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경우는 자바 애플리케이션과 자바 애플릿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습니다.
  • MoreEffectiveC++/Operator . . . . 12 matches
         컴파일러 단에서 a생성자인 Array( ArraySize size) 에서 ArraySize 로의 single-argument constructor를 호출하기 때문에 선언이 가능하지만
         string 객체가 필요로 하는 메모리 만큼이 할당된다. 하지만 위의 의미처럼 malloc, operator new는 생성자를 호출하지는 앖는다. 생성자의 호출은 new operator 몫이다.
         해당 코드 두번째 부분의 생성자 호출을 눈여겨 봐라.
         당신은 생성자를 직접 호출하기를 원할때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생성자는 객체(object)를 초기화 시키고, 객제(object)는 오직 처음 주어지는 단 한번의 값으로 초기화 되어 질수있기 때문에 (예-const 인수들 초기화에 초기화 리스트를 쓰는 경우) 생성자를 이미 존재하고 있는 객체에 호출한다는건 생각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해당 함수(construcWidgetInBuffer())는 버퍼에 만들어진 Widget 객체의 포인터를 반환하여 준다. 이렇게 호출할 경우 객체를 임의 위치에 할당할수 있는 능력 때문에 shared memory나 memory-mapped I/O 구현에 용이하다 constructorWidget에 보이는건 바로
         이 문인데 , 아마 처음 보기에 생소할 것이다. 자세히 뜯어 보면, (buffer)에 의해서 암시적으로 new는 operator new로 호출되어 진다. 덧붙여, 아래의 void*는 메모리 상의 위치를 size_t는 메모리상 객체가 차지하는 영역이다. 자, 위와 비교해 보라 이 operator는 new를 overload한 버전이다.
         이거 간단히 보이지만 placement new의 전부이다. operator new의 역할은 해당 객체를 위한 메모리를 찾고(할당), 해당 포인터의 반환이고 placement new의 경우에는 호출자가 이미 메모리를 확보하였고, 단순히 포인터 반환만 해준다. 모든 placement new가 반드시 이런 pointer의 전달 역할을 한다. 그리고 size_t 인자가 아무런 이름이 없어도 반항 안한다. 자세한건 Item 6을 보면 이해가 갈것이다.
         the '''new''' operator : heap 메모리 확보와 생성자 호출 동시에[[BR]]
         위의 코드는 C++상에서 malloc 과 free 를 호출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pw->~Widget(); // 먼저 임의로 파괴자를 호출한다. 이렇게 하면 pw과 관련된 자원을 반환할것이고.
  • TermProject/재니 . . . . 11 matches
          if (select == 1) menu1(); // 각 선택에 맞게 함수를 호출
          else error(); //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함수 호출
          sub_menu(); // 서브메뉴 호출
          if (select >= 1 && select <= 3) // 서브메뉴의 선택에 따라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를 호출
          sub_menu(); // 서브메뉴 호출
          sort(i, j); // 정렬 함수를 호출
          prt_select(); // 선택된 서브메뉴에 따라 출력하는 함수를 호출
          avr(); // 평균 산출 함수를 호출
          avr(); // 평균 산출 함수를 호출
          for (int j = 0 ; j < i ; j++) // 정렬 함수를 호출하여 정렬함
          error(); //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함수 호출
  • JavaStudy2003/두번째과제/노수민 . . . . 9 matches
         객체 생성자는 new 연산자를 이용하여 객체를 생성할 때도 호출된다.
          *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호출, 객체의 변수초기화, 메모리 할당들의 작업을 함
          * new 연산자로 객체를 생성할때 호출, 메모리를 할당하고 객체 생성자 호출
         다른 객체 생성자 호출; ß 반드시 첫번째 줄에서
         * 객체생성자 내에서 다른 생성자 호출
          * this : 클래스 내의 객체 생성자에서 다른 객체 생성자를 호출
          * super : 하위클래스의 객체 생성자에서 상위클래스의 객체 생성자를 호출
          * 상위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
  • AcceleratedC++/Chapter9 . . . . 7 matches
          * s:Student_info 라면 멤버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s.read(cin), s.grade() 와 같이 함수를 사용하면서 그 함수가 속해있는 객체를 지정해야함. 암묵적으로 특정객체가 그 함수의 인자로 전달되어 그 객체의 데이터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를 사용함으로써 호출되는 grade를 객체의 멤버함수가 아니라 전역 grade의 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const 객체에 대해서는 const 멤버함수가 아닌 함수는 호출 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통해서 grade를 호출하기 전에 객체의 유효성을 검사한다면 에러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헤더파일은 단지 컴파일러가 컴파일을 할때 이런 함수가 존재한다고 가정만 하고, 실제로 그 함수의 코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잇는 것은 모든 관련 오브젝트 파일을 링크한뒤에 호출할때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밖엔 없다.'''
          객체가 어떤게 초기화되는지를 정의하는 특별한 멤버 함수이다. 명시적인 호출을 지원하지 않으며, 오로지 객체가 생성될 때에만 실행된다.
         Student_info::Student_info():midterm(0). final(0) {} // n, homework 의 경우 STL에서 제공되는 디폴트 생성자가 재귀적으로 호출
  • ProgrammingWithInterface . . . . 7 matches
         상위 클래스가 가지는 메소드가 적다면 모두 [오버라이딩]하는 방법이 있지만 만약 귀찮을 정도로 많은 메소드가 있다면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그리고 만약 상위 클래스가 수정된다면 다시 그 여파가 하위 클래스에게 전달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함수를 오버라이딩하여 예외를 던지도록 만들어 원치않는 호출을 막을 수 있지다. 하지만 이는 컴파일 타임 에러를 런타임 에러로 바꾸는 것이다. 그리고 LSP (Liskov Sustitution Principle : "기반 클래스는 파생클래스로 대체 가능해야 한다") 원칙을 어기게 된다. 당연히 ArrayList를 상속받은 Stack은 clear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예외를 던지다니 말이 되는가?
         자.. Stack과 ArrayList간의 결합도가 많이 낮아 졌다. 구현하지 않은 clear 따위 호출 되지도 않는다. 왠지 합성을 사용하는 방법이 더 나은 것 같다. 이런 말도 있다. 상속 보다는 합성을 사용하라고... 자 다시 본론으로 들어와 저 Stack을 상속하는 클래스를 만들어 보자. MonitorableStack은 Stack의 최소, 최대 크기를 기억하는 Stack이다.
         깔끔한 코드가 나왔다. 하지만 MonitorableStack은 pushMany 함수를 상속한다. MonitorableStack을 사용해 pushMany 함수를 호출하면 MonitorableStack의 입력 받은 articles의 articles.length 만큼 push가 호출된다. 하지만 지금 호출된 push 메소드는 MonitorableStack의 것이라는 점! 매번 size() 함수를 호출해 최대 크기를 갱신한다.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다. 그리고 만약 누군가 Stack의 코드를 보고 pushMany 함수의 비 효율성 때문에 Stack을 밑의 코드와 같이 수정했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와!~ 예전의 Stack보다 성능은 확실히 좋아 졌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가 발생했다. 더이상 pushMany 메소드에서 push 메소드를 호출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MonitorableStack은 더이상 Stack의 최대 크기를 추적하지 못하게 된다. 예기치 않은 결과이다. 상속을 사용한 구현으로 발생한 문제이다. 여기까지 글을 (책의 내용) 읽었다면, 아마 '상속을 사용하기 전에 한번 더 생각하는게 좋겠다' 라는 생각을 가슴 깊이 느꼈을 것이다. 아니면 별수 없는 일이다... :(
  • AcceleratedC++/Chapter11 . . . . 5 matches
          만약 멤버 함수로 연산자가 정의 되어 있다면 좌측 피연산자는 함수를 호출한 객체로 간주되고 오버로드 연산자는 인자로 우측의 피연산자만을 인자로 취한다.
          모든 멤버함수는 암묵적으로 한가지의 인자를 더 받는다. 그것은 그 함수를 호출한 객체인데, 이경우 그 객체가 const이거나 const 가 아닌 버전 2가지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parameter specification 이 동일하지만 오버로딩이 가능하다.
          복사 생성자는 생성자의 이름은 기타 생성자와 같으나 인자로 자신이 호출된 객체의 타입을 갖는 생성자를 의미한다.
          this는 멤버함수 안에서 유효하다. this는 멤버함수를 호출시킨 객체의 포인터를 리턴한다.
          grow 함수는 한번 호출할때 이미 워래 공간의 2배를 할당시키기 때문에 계속된 push_back로 인한 메모리 할당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Gof/Mediator . . . . 5 matches
         DialogDirect는 다이얼로그의 전체 행위를 정의한 추상 클래스이다. client들은 화면에 다이얼로그를 나타내기 위해서 ShowDialog 연산자를 호출한다. CreateWidgets는 다이얼로그 도구들을 만들기 위한 추상 연산자이다. WidgetChanged는 또 다른 추상 연산자이며, 도구들은 director에게 그들이 변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서 이를 호출한다. DialogDirector subclass들은 CreateWidgets을 적절한 도구들을 만들기 위해서 override하고 그리고 그들은 WidgetChanged를 변화를 다루기 위해서 override한다.
         changed 는 director의 WidgetChanged 연산을 호출한다. Widget들은 자신의 director의 WidgetChanged 호출을 의미있는 이벤트를 알져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Button은 그것이 눌러졌을 때, Changed를 호출하는 단순한 widget이다. 이는 HandleMouse를 구현함으로써 되어진다.
  • WinampPluginProgramming/DSP . . . . 5 matches
         // 실제로 DSP 관련 처리시 호출되는 함수들.
          config, // config 시 호출 함수.
          init, // init 시 호출 함수
          modify_samples1, // DSP 처리시 호출 함수
          quit // quit 시 호출 함수
  • 데블스캠프2005/RUR-PLE/정수민 . . . . 5 matches
          재귀호출이 되면 이렇게 해보려 했으나, 재귀호출이 안되길래 (정확히는 되는데 시작지점이 바뀐다는..) 재귀호출이 지원이 안되는줄 알았다오.
          //추신: 러플이녀석 재귀호출이 이상한 방식으로 이루어 지는것 같다오. C를 써온 사람의 입장에서 볼때 불편하다는..
         나도 이녀석 제귀호출이 C랑 똑같았어도 이렇게 오래걸리진않았다고 ;ㅡ;
  • CppStudy_2002_1/과제1/Yggdrasil . . . . 4 matches
         int count=0;//함수가 호출된 횟수를 셈
          int input;//원하는 횟수만큼 호출하기 위해 입력을 받음
          cout<<"함수를 몇번 호출 합니까?";
          cout<<"당신은 지금까지 "<<n<<"번 함수를 호출 하셨습니다.\n";
  • Gof/Singleton . . . . 4 matches
         클래스를 사용하는 Client는 singleton을 Instance operation을 통해 접근한다. _instance 는 0로 초기화되고, static member function 인 Instance는 단일 인스턴스 _Instance를 리턴한다. 만일 _instance가 0인 경우 unique instance로 초기화시키면서 리턴한다. Instance는 lazy-initalization을 이용한다. (Instance operation이 최초로 호출되어전까지는 리턴할 unique instance는 생성되지 않는다.)
          * (c) C++ 은 global 객체의 생성자가 translation unit를 통하면서 호출될때의 순서를 정의하지 않는다[ES90]. 이러한 사실은 singleton 들 간에는 어떠한 의존성도 존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만일 그럴 수 있다면, 에러를 피할 수 없다.
         물론, 코드 어디에선가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하지 않으면 생성자는 호출되지 않을 것이다. C++에서는 MySingleton의 static instance를 정의함으로서 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ySingleton 클래스의 구현부를 포함하는 화일에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된다.
         이 소스를 컴파일하면, outer class의 생성자를 호출하는 부분, 즉 Init()과 Destroy()에서
  • Linux/필수명령어/용법 . . . . 4 matches
         이것은 리눅스의 Boume 셸이다. sh를 사용하면 sh가 bash를 호출하여 실행한다. bash를 직접 사용하지 말고 sh를 사용하도록 하라.
         이것은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자동으로 호출된다. 이름은 file system check를 줄인 것으로, 파일 시스템을 스캔(scan)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가를 검사한다.
         시스템을 다운시키기 전에 버퍼에 있는 이미지를 반드시 디스크로 기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디스크는 기록된 정보의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는 이미지를 가지게 될지도 모른다. 사실, 이것을 사용할 경우는 극히 드물다. 왜냐하면 shutdown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그들이 자동적으로 sync를 호출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compress의 -d 옵션을 사용하면 압축을 풀 수 있기 때문에 이 명령은 불필요하다. 하지만 옵션을 사용하는 것보다 의미있는 단어를 사용함으로 좀더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uncompress는 자신이 압축 풀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d 옵션을 주어 compress를 호출한다. uncompress 자신의 파일 크기는 아주 적다.
  • 2학기파이선스터디/서버 . . . . 3 matches
          # 접속 요구가 들어오면 호출된다.
          # 접속 요구가 들어오면 호출된다.
          # 접속 요구가 들어오면 호출된다.
  • Chapter I - Sample Code . . . . 3 matches
          // PUSHF는 CPU레지스터를 하나씩 일일이 스택에 넣는 작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호출 하는 ASM명령으로 정해진 순서에
          수행시간 측정은 한 task 의 수행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다. (당연한거 아냐?). 이 측정은 PC의 82C52 타이머 2번을 통해 수행된다. 수행시간 측정을 위한 함수로는 PC_ElapsedStart()와 PC_ElapsedStop()이 있다. 하지만 이 두 함수를 사용하기 전에 PC_ElapsedInit()를 호출해야한다. 이 함수는 두 함수와 관련된 오버헤드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하면 PC_ElapsedStop 함수에 의해 수행시간이 리턴된다(마이크로세컨드). 이 두 함수는 모두 리엔터런트(주 : 몇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하나의 task나 subroutine을 공유하여 쓰는 것에 대해 말함, from 한컴사전) 하지 않아야한다. 다음은 PC_DispChar()함수의 측정시간을 구하는 예이다.
          '''uCOS-II를 끝내기 전에 PC_DOSSaveReturn 함수를 호출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DOS가 curruped mode 가 되어버리고 이것은 당신의 windows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 EightQueenProblemDiscussion . . . . 3 matches
         직접 다시 새로 시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비교계산을 내리기 힘들것 같네요. (더 좋은 디자인을 얻어내는 것과 훈련라는 점에서는 물론 저도 추천) 제가 잘못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퀸을 배열하는 방법 알고리즘 부분에 대해 TestDrivenDevelopment 를 지키지 못했다는 점이죠. (머릿속에 먼저 재귀함수 호출 등의 특정 알고리즘들이 먼저 떠오른지라. )
         즉, 실제 Queen의 위치들을 정의하는 재귀호출 코드인데요. 이 부분에 대한 TestCase 는 최종적으로 얻어낸 판에 대해 올바른 Queen의 배열인지 확인하는 부분이 되어야 겠죠. 연습장에 계속 의사코드를 적어놓긴 했었는데, 적어놓고 맞을것이다라는 확신을 계속 못했죠. 확신을 위해서는 테스트코드로 뽑아낼 수 있어야 할텐데, 그때당시 이 부분에 대해서 테스트코드를 못만들었죠.
         사고의 도구로써는 연습장과 TFP 둘 다 이용했지만, 순수하게 적용하지는 않았습니다. (위의 Queen을 놓는 부분에 대한 재귀호출부분에서는 적용못함) 테스트작성시간/코드작성시간 등에 대한 관리는 하지 않았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반성을. ^^;) 흠.. 그리고 'The Simplest Thing'을 찾아나갔다기 보다도, 이미 해당 문제에 대해서 의사코드를 생각하고, 해당 코드에 대해 Top-Down 형태로 모듈을 나눈뒤에 모듈에 대해 테스트를 만들어갔다는 생각이 드네요. --석천
  • Gof/Command . . . . 3 matches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구체적인 Command 의 subclass들로 각가각MenuItem 객체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MenuItem을 선택했을때 MenuItem은 메뉴아이템의 해당 명령으로서 Execute oeration을 호출하고, Execute는 실제의 명령을 수행한다. MenuItem객체들은 자신들이 사용할 Command의 subclass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Command subclass는 해당 request에 대한 receiver를 저장하고, receiver의 하나나 그 이상의 명령어들을 invoke한다.
          * invoker는 command에서 Execute를 호출함으로서 request를 issue한다. 명령어가 undo가능할때, ConcreteCommand는 명령어를 undo하기 위한 state를 저장한다.
         MyClass의 instance로 있는 Action을 호출할 command를 만들기 위해서, 클라이언트는 단순히 이렇게 코딩한다.
  • Gof/Facade . . . . 3 matches
         Parser는 점진적으로 parse tree를 만들기 위해 ProgramNodeBuilder 를 호출한다. 이 클래스들은 Builder pattern에 따라 상호작용한다.
         ProgramNode의 각 subclass들은 ProgramNode의 child인 ProgramNode 객체를 호출하기 위해 Traverse operation을 구현한다. 매번 각 child는 children에게 같은 일을 재귀적으로 수행한다. 예를 들어, ExpressionNode는 Travers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RepairFault 명령은 page fault 인터럽트가 일어날때 호출된다. Domain은 fault 를 야기시킨 주소의 메모리객체를 찾은뒤 RepairFault에 메모리객체과 관계된 캐쉬를 위임한다. Domain들은 컴포넌트를 교체함으로서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다.
  • Ruby/2011년스터디/세미나 . . . . 3 matches
          * 아.. 세미나가 끝나니까 할말이 생각나네요..ㅠㅠ 루비의 블록 넘기기는 사실 블록이 yield구문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yield를 만나면 함수의 호출부로 컨트롤이 이동해 블록이 있는지 확인하고 실행합니다. 책에서는 co-routine 이라고 이해하면 된다는 설명이 있어요~ 블록이 전달되는게 아니라 컨트롤 플로우가 왔다갔다!! 스위치 태스킹처럼요. 세미나때 설명을 잘 해드렸어야 했는데 죄송천만번입니다 - [서지혜]
         }}} 윗줄 아랫줄 모두 문제 없이 실행되지. 이 경우는 의도가 명확한 경우야. 그런데 이 add 메서드를 호출해서 3, 4, 7을 더한 값을 알고 싶다면
         }}} 이렇게 메서드를 중첩해서 호출해야겠지? 이 때 괄호를 사용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어.
  • TestFirstProgramming . . . . 3 matches
         후자의 경우는 해당 코드의 구조를 테스트해나가는 방법으로, 해당 코드의 진행이 의도한 상황에 맞게 진행되어가는지를 체크해나가는 방법이다. 이는 MockObjects 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즉, 해당 테스트하려는 모듈을 MockObject로 구현하고, 호출되기 원하는 함수들이 제대로 호출되었는지를 (MockObjects 의 mockobject.py 에 있는 ExpectationCounter 등의 이용) 확인하거나 해당 데이터의 추가 & 삭제관련 함수들이 제대로 호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ExpectationList, Set, Map 등의 이용) 등으로서 접근해 나갈 수 있다.
  • 새싹교실/2011/AmazingC/6일차 . . . . 3 matches
          * 함수의 선언부: 반드시 함수 호출하기 전에 선언을 해놓아야 한다!!
          * sum2의 경우 호출시 메인함수 위에 선언이 되어있나 확인한 다음 sum2의 정의부를 실행한다!!
          * 함수의 recursive호출
  • 토비의스프링3/오브젝트와의존관계 . . . . 3 matches
          *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때 자바빈 규약을 따르는 오브젝트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getBean()메소드 : ApplicationContext가 관리하는 오브젝트를 요청하는 메소드. ""안에 들어가는 것은 ApplicationContext에 등록된 빈의 이름. 빈을 가져온다는 것은 메소드를 호출해서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위에서는 userDao()라는 메소드에 붙였기 때문에 ""안에 userDao가 들어갔다. 메소드의 이름이 myUserDao()라면 "myUserDao"가 된다. 기본적으로 Object타입으로 리턴하게 되어있어서 다시 캐스팅을 해줘야 하지만 자바 5 이상의 제네릭 메소드 방식을 사용해 두 번째 파라미터에 리턴 타입을 주면 캐스팅을 하지 않아도 된다.
          * @Configuration이 붙은 클래스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활용하는 IoC 설정정보가 된다. 내부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Configuration클래스의 @Bean메소드를 호출해서 오브젝트를 가져온 것을 클라이언트가 getBean() 메소드로 요청할 때 전달해준다.
  • 05학번만의C++Study/숙제제출/2 . . . . 2 matches
          * 평상시에는 문자열의 주소를 하나의 전달인자로 취하여, 그 문자열을 한 번 출력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그러다가 0이아닌 int형 값을 두 번째 전달인자로 제공하면, 그 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그 함수가 호출되었던 횟수만큼 그 문자열을 반복해서 출력한다. (문자열이 출력되는 횟수는 두 번째 전달인자의 값이 아니라 그 함수가 호출되었던 횟수와 같다.)물론 이 함수는 거의 쓸모가 없다. 하지만 이것은 이 장에서 설명한 몇 가지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할 것을 요구한다. 이들 함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작동을 보여 주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 DPSCChapter3 . . . . 2 matches
          하지만, 두 경우에 자동차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와 그것의 컴포넌트 하위 부분은 여전히 같다. 즉, 모든 CarPartFactory 클래스들은 동일한 메시지 프로토콜을(다형성)을 구현하기 때문에, 팩토리 클라이언트는 팩토리 타입이 무엇인지 상관하지 않고 호출을 할 수 있다. 그것은 단지 팩토리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CarAssmebler를 만들기 위한 자동차 종류가 무엇이고 그 하위 부분들이 무엇을 해야하고, 그것의 실제 부분의 인스턴스가 무엇을 수행해야 할지를 결정한다. ABSTRACT FACTORY 해결은 우리가 CarAssembler 객체 밖의 모든 행동들을 추상화시킨다. 그리고 팩토리로 분리한다. 특별한 자동차 팩토리로 CarAssembler 확인을 한 후에, CarAssembler는 간단하게 구체적인 자동차와 하위 부분을 만들기 위한 팩토리를 호출한다.
  • DebuggingSeminar_2005/DebugCRT . . . . 2 matches
         || _CRTDBG_CHECK_ALWAYS_DF || _CrtCheckMemory() 함수를 모든 new, delete 함수에 대해서 자동 호출 되도록 지정한다.[[BR]] 이 함수는 할당된 공간의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즉 domainerror나 기타 메모리 access에 관한 부분을 검사한다. 대신 오버헤드가 상당하다. 그러나 그만큼 디버깅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 ||
         || _CRTDBG_LEAK_CHECK_DF ||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_CrtDumpMemoryLeaks()를 호출. 메모리 해제에 실패한 경우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HanoiProblem . . . . 2 matches
         재귀함수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 몇가지를 보여줍니다. 재귀함수 사용에도 그 종류가 다른데, 대표적인 종류들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 재귀함수라는 것이 이렇게도 사용될 수 있구나!" 퍼뮤테이션/콤비네이션, 피보나치수열, 트리검색, 팩토리알, 조건문과 재귀호출로 반복문(while) 만들기 등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재귀함수를 만들 때 유의점과 사고보조물을 가르쳐 줍니다. 유의점이라면 재귀함수는 리턴되는 값의 종류(타입)가 모두 동일해야 한다는 것, 재귀호출을 벗어나는 지점 근방에서 유의해야 한다는 점 등이고, 사고보조물로는 스택의 상태를 그림으로 그리는 방법이나, 수식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겠죠.
  • HardcoreCppStudy/첫숙제/Overloading/변준원 . . . . 2 matches
         C++의 새로운 특징 중 하나인 디폴트 전달인자를 살펴보자. 디폴트 전달인자는 함수의 호출에서 대응되는 실제 매개변수를 빠뜨렸을 때 자동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다음은 함수의 다형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디폴트 전달인자는 개수를 변화시켜 가면서 같은 함수를 호출하게 했다. 함수의 다형성은 함수의 재정의라고도 하는데, 이는 여러 개의 함수가 같은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다형성’이라는 표현은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 Java Study2003/첫번째과제/곽세환 . . . . 2 matches
         <APPLET>~</APPLET> 태그를 이용하여 HTML 페이지 내에 포함되어,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의 홈 페이지 내에 삽입되어 자바 호환 웹 브라우저에 의해 실행되도록 규약에 맞추어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입니다. 다음에 나오는 그림은 자바 애플릿의 실행 과정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른 자바 프로그램에 의해 삽입(import)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작성된 자바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자바 패키지는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던 라이브러리 또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해 주는 API 등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바 패키지 역시 해당 규약을 갖겠지요.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압축 파일의 형태로 'casses.zip"이라는 자바 패키지가 제공되고 있고, 압축 파일 내에는 디렉토리 단위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음에 나오는 그림은 JDK 1.2.2 에서 제공되는 패키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JavaScript/2011년스터디/CanvasPaint . . . . 2 matches
          //마우스를 이동할때마다 호출.
          //마우스를 이동할때마다 호출.
  • JavaStudy2004/클래스상속 . . . . 2 matches
          메소드도 비슷하게 작동한다.새로운 객체는 상위클래스의 모든 메소드 이름을 액세스한다. 그러나 메소드가 호출될 때마다 동적으로 메소드 정의가 선택된다. 특정 객체에 대한 메소드를 호출하면 자바는 제일 먼저 그객체 클래스의 메소드 정의를 살펴본다. 그 객체 클래스에 정의되지 않았다면 그 메소드 정의를 발견할 때까지 상위클래스를 찾게될 것이다.
  • MFC/DynamicLinkLibrary . . . . 2 matches
          프로그램이 먼저실행되데 DLL은 프로그램의 요청이 발생한 시점에서 메모리에 로드된다. 그때가 되서야 프로그램은 DLL로부터 함수의 어드레스를 얻고 그것을 사용해서 함수를 호출한다.
          독립적 실행은 불가능하지만 main함수의 변형된 형태를 포함한다. 이 곳에서는 dll이 사용되기 전에 초기화되는 내용들이 포함되게 된다. DLL초기 로드시 운영체제가 호출한다.
  • PairProgramming . . . . 2 matches
         나는 .NET의 System.Data의 구조를 보고 즉시 PHP에 적용시키고 싶어졌다. ASP.NET에는 SqlConnection , OdbcConnection , OleDbConnection을 제공해 준다. 이 클래스들을 잘 사용하면 DataTier의 종류가 바뀌어도 코드의 수정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PHP는 여러가지 종류의 데이타베이스 관련함수를 제공해준다. 어떠한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른 이름의 함수를 호출해야만 한다.
         하나의 클래스를 구현하고 구현된 하나의 클래스에서 switch로 호출되어야 하는 함수를 결정하면 된다는 것이었다.
  • STL/vector/CookBook . . . . 2 matches
          // 순회하면서 showMember 메소드 호출하고
          * 노파심에서 말하는 건데.. 함수로 객체를 넘길때는 꼭 참조! 참조! 입니다. 값이 안 바뀌면 꼭 const 써주시구여. 참조 안 쓰고 값 쓰면 어떻게 되는지 이펙티브 C++에 잘 나와 있습니다.(책 선전 절대 아님) 복사 생성자를 10번 넘게 호출한다는 걸로 기억함.
  • html5/communicationAPI . . . . 2 matches
          * start() : 포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채널 메세징 수행시 각각의 포트에 대해 start()를 호출
          * onmessage : 메세지 도착시 이벤트 핸들러가 호출
  • 새싹교실/2011/데미안반 . . . . 2 matches
          * [강소현] - 함수의 형태를 반환형이 있는 지의 여부와 매개변수가 있는 지의 여부에 따른 4 가지를 실습하여 차이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재귀함수에 대한 진도도 나갔으나, 아무래도 그냥 함수 한번 호출하고 끝낼 때보다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듯 합니다. 다음 시간에 한번 더 복습할 예정입니다. 재귀함수로 만드는 factorial이나 gcd 같은 것을 점화식을 설명하고 보여주면 좀 더 이해가 쉽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 함수 호출 시, stack에 돌아올 주소를 넣어두고 함수가 종료되면 stack에서 빼와서 돌아간다. LIFO(Last In First Out)의 순으로..
  • 새싹교실/2011/무전취식/레벨6 . . . . 2 matches
          * Factorial 짤때 중요한건 Stack Call!! 함수 호출시. 스택에 돌아올 주소를 넣어두고 함수가 종료되면 스택에서 빼와서 돌아간다. 너무 많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면 스택에 너무 많이 쌓여 오버 플로우(Over Flow)로 에러가 나게 된다. 항상!! 종료조건을 정하고 함수를 설계하자.
  • 새싹교실/2012/해보자 . . . . 2 matches
          2. swap(int num1, int num2)함수를 구현하시오. 함수 호출을 배우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고 포인터를 아직 배우지 않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코드를 제공합니다.
          * 함수의 호출: 함수에게 매개변수 등을 넘겨주어 결과값을 기다리는 것.
  • 05학번만의C++Study/숙제제출/1 . . . . 1 match
         섭씨 온도를 전달인자로 전달받아 화씨 온도로 환산하여 리턴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를 main() 함수가 호출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프로그램은 섭씨 온도로 입력할 것을 요구해야 하고, 다음과 같은 실행 결과를 출력해야 한다. 참고로, 섭씨 온도를 화씨 온도로 변환하는 공식은 Fahrenheit = 1.8 X Celsius + 32.0 이다.
  • 5인용C++스터디/멀티미디어 . . . . 1 match
          SND_LOOP 플래그를 지정하면 반복적인 효과음이나 배경음악을 연주하는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주를 중지시키려면 PlaySound 함수의 첫 번째 인수를 NULL로 하여 다시 호출해 주면 된다. 따라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연주가 중지될 것이다. 주의할 것은 SND_LOOP 플래그는 반드시 SND_ASYNC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만약 동기화 연주방식으로 반복연주를 하면 무한 루프로 빠져버릴 위험이 있다.
  • COM/IUnknown . . . . 1 match
         COM 객체를 다른 포인터에 할당하거나 NULL 로 초기화 할 때 호출하여 참조카운터를 올바르게 유지해야만 객체의 정상적인 소멸을 보장할 수 있다.
  • ComposedMethod . . . . 1 match
         메세지를 보내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즉 함수 호출에는 오버헤드가 뒤따른다. 그러므로 최고의 속도를 내려면 하나의 메소드에 모든걸 때려넣을 수도 있다. 하지만? 댓가는 클것이다.(인력낭비, 비구조적 프로그램 양산)
  • EightQueenProblem/nextream . . . . 1 match
         처음엔 2차원 배열 메모리 공간을 두고 메모리 상에 체크해 가며 루프를 돌릴까 하다가 생각을 바꿔서 재귀호출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첫 문제에서 일단 제일 첫 퀸은 무조건 (0,0) 이라고 고정하고 재귀를 두번째 퀸부터 돌렸는데, 오히려 나중에 이 생각이 두번째 문제 풀때 딱 한글자만 바꿔서 적응이 되는 것을 가능케 한것 같습니다.
  • HelpOnConfiguration . . . . 1 match
         모니위키의 몇몇 플러그인중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환경변수 PATH를 참조하여 외부 프로그램을 호출하게 된다. 이때 PATH의 설정이 제대로 맞지 않아 외부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config.php에서 `$path`를 고쳐보라.
  • Java Study2003/첫번째과제/방선희 . . . . 1 match
          프로그래밍을 할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이라든가 또는 다른 시스템에 대한 참조를 할때 굳이 그 시스템에 대해서 세세하게 알필요 없이 그저 외부에 주어진 인터페이스만을 이용해서 접근하면 됩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기능을 이용할때는 이런 메소드를 호출하면 된다.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런 메소드로 접근하면 된다 정도). 빈즈에 대한 내용은
  • JavaStudy2003/두번째과제/곽세환 . . . . 1 match
         다른 객체 생성자 호출; // 반드시 첫번째 줄에서 이루어져야 함.
  • LawOfDemeter . . . . 1 match
         the code, you can do so with confidence if you know the queries you are calling will not cause anything
  • OurMajorLangIsCAndCPlusPlus/locale.h . . . . 1 match
          /* setlocale()의 재호출 의해 변경될 것을 대비해 로케일 이름을 미리 복사해 둔다. */
  • Postech/QualityEntranceExam06 . . . . 1 match
          3. Machine Language Like 한 프로그램 만들기. 코드 주고. 스앞 함수 호출하는 부분 있고 파라미터 패싱을 설명해야함.
  • ProjectPrometheus/CookBook . . . . 1 match
         getParameter 가 호출되기 전에 request의 인코딩이 세팅되어야 한다. 현재 Prometheus의 Controller의 경우 service 의 명을 보고 각각의 서비스에게 실행 권한을 넘기는데, 가장 처음에 request의 characterEncoding 을 세팅해야 한다. 차후 JSP/Servlet 컨테이너들의 업그레이드 되어야 할 내용으로 생각됨 자세한 내용은 http://javaservice.net/~java/bbs/read.cgi?m=appserver&b=engine&c=r_p&n=957572615 참고
  • RubyLanguage/InputOutput . . . . 1 match
          * 단 예외 발생시 File.close는 호출되지 않는다. ensure 구문에서 처리할 수 있다.
  • Self-describingSequence/1002 . . . . 1 match
         binary search 로 바꾸고 나서도 역시 오래걸림. 다른 검색법에 대해서 생각하던 중, findGroupIdx 함수 호출을 할때를 생각.
  • SimpleDelegation . . . . 1 match
         // 채팅방에서 나가기 위해 호출되어야 할 메소드
  • VendingMachine/재니 . . . . 1 match
          ''클래스 수가 많아서 복잡해진건 아닌듯(모 VendingMachine 의 경우 Requirement 변경에 따라 클래스갯수가 10개 이상이 되기도 함; 클래스 수가 중요하다기보다도 최종 완료된 소스가 얼마나 명료해졌느냐가 복잡도를 결정하리라 생각). 단, 역할 분담할때 각 클래스별 역할이 명료한지 신경을 쓰는것이 좋겠다. CoinCounter 의 경우 VendingMachine 안에 멤버로 있어도 좋을듯. CRC 세션을 할때 클래스들이 각각 따로 존재하는 것 같지만, 실제론 그 클래스들이 서로를 포함하고 있기도 하거든. 또는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클래스들과 협동하기도 하고 (Collaboration. 실제 구현시엔 다른 클래스의 메소드들을 호출해서 구현한다던지 식임). 역할분담을 하고 난 다음 모의 시나리오를 만든뒤 코딩해나갔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이 경우에는 UnitTest 를 작성하는게 좋겠지. UnitTest 작성 & 진행에 대해선 ["ScheduledWalk/석천"] 의 중반부분이랑 UnitTest 참조.--["1002"]''
  • VisualBasicClass/2006/Exam1 . . . . 1 match
         ③ 함수는 수행한 결과를 호출한 프로그램에게 반한하는데 입력 인수는 여러 개일 수 있으나 출력 인수는 오직 하나이다.
  • 그림으로설명하기 . . . . 1 match
         = 재귀호출 =
  • 김영록/연구중/지뢰찾기 . . . . 1 match
          마인없으면 찾는거.. 재귀호출 써먹으면 편하다우..ㅎㅎㅎ
  • 데블스캠프2003/둘째날/후기 . . . . 1 match
          * TDD와 페어프로그래밍으로 상욱이랑 미로찾기를 만들면서 많은걸 깨달았다. 가장 중요한건 네이밍의 중요성! 이름을 이상하게 지어놓고 이상한걸 호출하다가 자꾸 이상하게 나와서, 나중에는 '미로를 무시하고 이동한다.' 라는 말까지 나왔었다.--; 그러면서 중간에 TDD를 잘못했구나 아직 멀었구나 덜 테스트했구나하면서 좌절을 했지만 이름을 고치고 나니 바로 해결이 되는걸 보면서.. 아.. 더불어 CSP는 아직도 이해가 잘 안간다. --인수
  • 문제풀이/1회 . . . . 1 match
          이런 경우를 개선하기 위해서 map 함수가 있는것입니다. 이를 Haskell에서 차용해와 문법에 내장시키고 있는 것이 List Comprehension 이고 차후 [http://www.python.org/peps/pep-0289.html Genrator Expression]으로 확장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print 와 ,혼용은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print를 여러번 호출하는것과 동일한 효과라서, 좋은 컴퓨터에서도 눈에 뜨일만큼 처리 속도가 늦습니다. --NeoCoin
  • 새싹교실/2012/startLine . . . . 1 match
          * 함수의 호출과 값 복사(call-by-value).
  • 새싹교실/2012/세싹 . . . . 1 match
          * 자세한 해결 방법입니다. 소켓을 생성하고나서 바로 setsockopt(mySocket, SOL_SOCKET, SO_REUSEADDR, &anyIntegerVariableThatContainsNonZero, sizeof(anyIntegerVariableThatContainsNonZero)); 함수를 호출하면 이 소켓의 생명이 다하는 순간 해당 포트에 자리가 나게 됩니다. - [황현]
  • 새싹교실/2012/아우토반/앞반/5.10 . . . . 1 match
          * 함수의 선언, 정의 호출의 의미
  • 새싹교실/2013/양반/3회차 . . . . 1 match
         함수호출
  • 수학의정석/집합의연산/이영호 . . . . 1 match
         가만히 보니 재귀호출을 생각해볼 수도 있었겠다.
  • 영호의해킹공부페이지 . . . . 1 match
         which are pushed when calling a function in code and popped when returning it.
  • 지금그때2006/여섯색깔모자20060324 . . . . 1 match
         장점 - 시간절약, 분위기 전환, 혼란이 없다, 호출이 용이, 강의실 백업 기능
  • 파스칼삼각형/김영록 . . . . 1 match
         int num_ret(int X, int Y) //재귀호출 1인경우(X=1,X=Y)엔 1을 리턴하는방식
  • 피보나치/김민경 . . . . 1 match
         //재귀호출- 피보나치
  • 현종이 . . . . 1 match
          int GetTotal(); //점수합계를 호출하는 매써드입니다.
Found 71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15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Processing time 0.4854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