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OfContents]]
== 일시 ==

 * 오후 12시 5분 ~ 1시 45분
== 참가자 ==
|| 유재범 || 참석 ||
|| 최다인 || 반참 ||
|| 이지수 || 참석 ||
|| 김용준 || 참석 ||
|| 김정민 || 참석 ||
== 진행 상황 ==
 * 김용준 학우의 발표
  * Java의 정석 - Chapter 7-1~4
=== 발표 내용 ===
 * '''상속(Inheritance)''' : 상속을 받은 자손 클래스는 상속을 해준 조상 클래스의 메서드나 변수를 쓸 수 있다.
  * 재사용(재활용)을 통해서 코드가 간결해지는 장점이 있다.
  * 상속 시 생성자의 순서는 부모 클래스 -> 자손 클래스이다.(super()에서 자세한 설명)
  * '''JAVA'''는 '''단일 상속'''만 지원한다.(C++는 다중 상속을 지원한다.)
    *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일 상속을 보완할 수 있다.
    * 다중 상속의 문제점은 자손 클래스에서 어느 한 메서드나 변수를 가져 올 때 서로 다른 조상 클래스에서 같은 이름을 가진 메서드나 변수가 있다면 이것들이 어디서 오는건지 몰라서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class 상속받는 클래스 extends 상속하는 클래스
Ex)
class Car{ }
class Taxi extends Car{ } }}}


  * '''Object class''' : '''최상위 클래스'''이다. 상속 받는 클래스가 없다면 그 클래스는 Object class에게 상속을 받는다.
   * 위의 예시의 Car 클래스도 이미 Object class에게 상속받고 있다. 따로 입력을 해주지 않아도 컴파일러 단계에서 붙여준다.
     class Car extends Object{ }
   * 11가지의 메서드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toString(),equals() 등등)


 * '''오버 라이딩'''
  * 조상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서드를 자손 클래스에 '''재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 오버 라이딩은 이름, 매개변수, return 타입이 같아야한다.
  * 오버로딩과 비교하자면 오버로딩은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라면 오버 라이딩은 내용을 수정하는 것이다.
  * 자손 클래스에서 오버 라이딩을 하면 조상 클래스의 메서드를 '''은닉'''을 할 수 있다.('''은닉화''')
{{{오버라이딩의 규칙
1. 오버라이딩 할 때에는 접근 제한자의 범위가 조상 클래스의 메서드보다 같거나 커야한다.
   (private < package < protected < public)
   즉 조상 클래스 메서드가 private 메서드이면 오버라이딩을 할 수 없다.
2. 오버라이딩 된 하위 클래스의 메서드는 throws 구문이 있으면 상위 클래스의 오버라이딩을 준 메서드도 반드시 해
   당 예외 클래스를 준하는 throws 구문이 있어야 한다.
3. 예외 처리는 자손 클래스가 조상 클래스보다 더 많이 할 수 없다.
4. static 메서드를 조상 클래스에서 인스턴스 메서드로 오버라이딩이 불가능하다.}}}


 * '''super''' : 조상 클래스를 따라가는 this와 같은 것.('''명시적''')
  * this는 자신 클래스 안의 것을 가리키다면 super()는 조상 클래스의 변수나 메소드를 가리 킬 때 쓰는 것이다.
  * 만일 조상 클래스에만 있는 변수 x가 있다면 자손 클래스에서 this.x로 참조가 가능하지만 super.x로 함으로 명시적으로 표현하자.
  * private가 걸린 변수나 메소드는 참조 불가(private는 깡패! get,set메서드를 사용하자) 
  * super()는 상위 클래스의 생성자를 가리 킬때도 쓰인다.
{{{
class Car{
Car(){ }
}
class Taxi extends Car{ 
      Taxi(){
            super();
      }
}

super() = Car()
쉽게 super()를 Car 생성자 메서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주의! : 자손 클래스의 생성자안에서 맨 앞에 super();가 있어야한다.
        왜냐하면 부모 클래스가 미리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자손클래스가 적재할수 있기 때문이다.
}}}


 * '''Package''' : 클래스가 .class 확장자의 파일인 것 처럼 패키지는 사실 물리적으로 '''디렉토리'''이다.
  * 이클립스에서 패키지를 만들고 그 안에 클래스를 만들면 그 클래스 제일 위에 폴더 이름이 나타난다.
  * import 패키지명.클래스. *
   * *(Asterisk, 와일드 카드) : 패키지 안, 클래스 안 모든 메서드를 다 쓰겠다는 것.
{{{
class 파일 구조
   package 패키지명;
   import 패키지명.클래스. *
   public class 클래스명 { 생 략...}
}}}


 * '''제어자''' :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것.
   ||접근 제어자||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e ||
   ||  그   외  || static, final, abstract, native, transient, synchronized, volatile, strictfp etc... ||
  * final은 C에서 const와 같은 것이다.
   * final 변수를 선언만 한 후 생성자에서 final 변수를 초기화해서 객체마다 다른 상수를 만들 수 있다.
  * static은 instant하지 않고도 쓸 수 있는 것. static이 붙은 변수와 메서드를 클래스 변수, 메서드라고 한다.
  * static final은 static과 final의 합쳐진 형태로 인스턴스하지 않고 쉽게 참조하는 상수가 필요한 같은 경우에 쓰인다. (Ex : Math.PI())
  * abstract는 내용 여부를 정확히 모를 때 일단 형태(몸통)만 만들어 놓고 나중에 가져다 쓰는것.
   * class를 추상화 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 메서드에 쓰는 것이다. class 앞에 붙은 이유는 그 클래스 안에 abstract method가 있다고 나타내는 것이다.
   * abstract는 같은 클래스 내에서 설정을 하지 못하며 다른 클래스에서 무조건 오버 라이딩을 해줘야한다.
    * 그래서 abstract는 private로 설정 할 수 없다.
 ||       || 같은 클래스 || 같은 패키지 || 자손 클래스|| 전체 ||
 ||public || â—‹ || â—‹ || â—‹ || â—‹ ||
 ||protected || â—‹ || â—‹ || â—‹ ||  ||
 ||package || â—‹ || â—‹ ||  ||  ||
 ||private || â—‹ ||  ||  ||  ||


 * 캡슐화 : privated 또는 protected(대부분 privated)로 변수나 메서드를 모두 씌워서 접근 제한을 두는 것. 그리고 이를 get~이나 set~로 접근을 하는 것이다.
  * 그렇기에 get, set은 public으로 한다.
  * 생성자도 특수한 메서드이기 때문에 캡슐화에 포함된다.
   * 그렇기에 메서드를 이용해 생성자를 선언 할수도 있다.
    {{{
       class Car{
       private static Car A = new Car();
       private car(){}
       public static Car new Car(){
              return A
       }

       main class>>
              Car A;
              A = Car.newCar();
}}}
   *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메서드를 이용해 생성자를 선언한다.

  * static과 abstract는 같이 쓸 수 없다. static은 내용이 있어야 하는 것이고 abstract는 형태만 잡는 것이기 때문이다.
  * abstract와 final도 같이 쓸 수 없다. abstract는 상속을 통해 기능을 완성시키지만 final은 처음에 설정한 것을 나중에 수정을 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 private와 abstract 또한 같이 쓸 수 없다. abstract는 상속을 통해 기능을 완성시켜야 하지만 private로 접근을 막아버리는 것은 모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마지막으로 private와 final을 같이 쓸 수 필요가 없다. 조상 클래스에서 final private로 메소드를 만들면 애초에 private에 의해 오버라이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할 필요가 없다.
== 다음 진행 ==
 * Chapter 7-5~7 다형성,추상,인터페이스
 * 발표 : 유재범

== 과제 ==
 
=== 유재범 ===

=== 최다인 ===

=== 이지수 ===

=== 김용준 ===
 
=== 김정민 ===


== 후기 ==


-----
[한자공/시즌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