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p find = [n+1|n <- [1..], (n*(n+1)/2) <= 3000 <= ((n+1)*(n+2)/2)]
=> n 범를 무대 로 고, n까 과 n+1까 3000 들가는
-> 러, 구문 러가 나는 드다. (<=) 함수가 어떤 전달인자를 받는지 알아보세요.
while 문 는 것 보는데 haskell while문 는 법 나?
-> 그러고 보 while 를 만들 되겠다는 각..
----
Haskell 굳 반복란 개념 되?ㅋㅋ /2 보.
----
~cpp
#include <iostream>
using std::cout;
using std::endl;
int main()
{
int sum = 0, integer = 1;
while(sum <= 3000)
{
sum = sum + integer;
integer++;
}
cout << "The smallest 'n' for making the number what we want" << endl;
cout << "-->" << integer << endl;
cout << "Total sum is " << sum << endl;
return 0;
}
가드 (|)를 문 로 다 다.
~cpp little_sum (x:xs) y |y <= 0 = 0 |otherwise = x + little_sum xs (y-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