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정모/2022.03.02

Difference between r1.1 and the current

@@ -1,58 +1,51 @@
[[TableOfContents]]

= OMS =
* [김동영] 학우님 : 'Qiskit 해커톤 참가 후기'
* [정우현] 학우님 
 
 
== Qiskit Hackathon 이란? ==
풀-스택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Qiskit을 활용하는 해커톤
 
== 일정 ==
특강 2일 (양자 컴퓨팅에 관한 이론 수업),
메인 해커톤 2일
* [김동욱] 학우님 : 'Nextjs Blog template가져와서 github page로 static build하기'
* 다음 주자: [이민욱] 학우님

== 본인 주제 ==
How can CNN efficiently utilize quantum layers (어려워서 주제를 바꿈)
-> Comparion of classic NN and QNN
== template 찾기 ==
* github에서 react blog template 발견
* README에 친절하게 Guide가 나옴 (단 문서를 꼼꼼히 읽어야 정상적으로 진행가능)

== 본인 해커톤 내용 ==
5개의 class로 진행 -> accuracy:15% (무작위로 찍는 확률보다 낮음)
== customizing ==
* meta 다른 옵션들을 자신의 blog에 맞게수정

== 오류 ==
1. 모델링 오류
2. 너무 느린 속도
3. api, tutorial 제대로 이해못함
4. 데이터 전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음
5. 멘토와의 소통 부재 (언어장벽)
6. 스트레스
== 빌드 전 세팅 ==
* npm 설치
* `npm install --save ph-pages`
* GitHub에 __사용자이름.github.io__ 이름으로 repo 생성
* project commit 및 push
* script 태그 안에 아래 코드 입력 (vercel이나 netlify를 이용할 경우 수정 X)
`"deploy": "next build && next export -o docs && touch docs/CNAME && touch docs/.nojekyll && gh-pages -t true -d docs"`
* deploy 옵션 설정 (Setting -> Pages -> Source branch를 gh-pages로 변경)
* image 태그 수정 (https://d.pr/n/RKxldy)

== 결론 == 
1. qnn에서의 모델링 오류를 바로 잡고 유의미한 결과 도출을 목표로 새움.
2. 영어를 공부하자
3. 큐빗은 확률로 구성된 2차원 벡터, gate는 행렬 연산일뿐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 않다. 다만 과학적 관점엥서 접근하면 어려울 같음.
== 글쓰기 ==
* 원래 적혀있던 포스트에 따라 적으면

== Q&A ==
Q. qiskit을 지원해주는 jupyter를 통해 하신건지, api만 제공을 해준건지 (이민욱님)
A.  
 
Q. 시뮬레이터 이용? (이민욱님)
A.
Q: GitHub Pages의 장점?
A: 다른 tool로 배포하는 것과는 달리 GitHub로 배포하면 기술 블로그다라는 것을 보다 쉽게 명시할 수 있음.
+ url 포워딩도 가능함. (CNAME 파일만 만들면 됨)

Q. (운천님도 뭐라뭐라 하셨는데 1도 못알아들었습니다..
A.
Q: 블로그에 대체로 어떤 내용을 쓰시나요?
A: 직접 하면서 배운 내용들을 적으려고 함. 최근에는 React, Nextjs 위주로 쓰고 있음.

Q. 어라.. 질문이 너무 어려워요.. (이민욱님)
A.

= 참가자 =
최민준, 정우현, 양운천, 김도엽, 김동영, 김동욱, 영석, 정동원, 이민욱, 홍혁준
[정우현], [김도엽], [김동영], [김동욱], [김은솔], [김휘경], [김희민], [방석현], [이민욱], [최민준]

= 스터디 진행상황 공유 =
- 야 너두 리액트 할 수 있어 : [https://wiki.zeropage.org/wiki.php/%EC%95%BC%20%EB%84%88%EB%91%90%20%EB%A6%AC%EC%95%A1%ED%8A%B8%20%ED%95%A0%20%EC%88%98%20%EC%9E%88%EC%96%B4 야 너두 리액트 할 수 있어] 9주차 진행
- 야 너두 리액트 할 수 있어 : [https://wiki.zeropage.org/wiki.php/%EC%95%BC%20%EB%84%88%EB%91%90%20%EB%A6%AC%EC%95%A1%ED%8A%B8%20%ED%95%A0%20%EC%88%98%20%EC%9E%88%EC%96%B4 야 너두 리액트 할 수 있어] 11주차 진행 
- [koco]
- [이민욱] 학우님이 추가로 스터디 개설

= 공지사항 =
* 새싹교실 현황 공유
* 강사 7명 모집
* 3/3 오후 8시 강사교육 진행
* 3/5 오후 4시 새싹교실 설명회
* 3/9 새싹교실 시작

= 댓글 =




1. OMS

  • 김동욱 학우님 : 'Nextjs Blog template가져와서 github page로 static build하기'

1.1. template 찾기

  • github에서 react blog template 발견
  • README에 친절하게 Guide가 나옴 (단 문서를 꼼꼼히 읽어야 정상적으로 진행가능)

1.2. customizing

  • meta 및 다른 옵션들을 자신의 blog에 맞게수정

1.3. 빌드 전 세팅

  • npm 설치
  • npm install --save ph-pages
  • GitHub사용자이름.github.io 이름으로 repo 생성
  • project commit 및 push
  • script 태그 안에 아래 코드 입력 (vercel이나 netlify를 이용할 경우 수정 X)
    "deploy": "next build && next export -o docs && touch docs/CNAME && touch docs/.nojekyll && gh-pages -t true -d docs"
  • deploy 옵션 설정 (Setting -> Pages -> Source branch를 gh-pages로 변경)
  • image 태그 수정 (https://d.pr/n/RKxldy)

1.4. 글쓰기

  • 원래 적혀있던 포스트에 따라 적으면 됨

1.5. Q&A

Q: GitHub Pages의 장점?
A: 다른 tool로 배포하는 것과는 달리 GitHub로 배포하면 기술 블로그다라는 것을 보다 쉽게 명시할 수 있음.
+ url 포워딩도 가능함. (CNAME 파일만 만들면 됨)

Q: 블로그에 대체로 어떤 내용을 쓰시나요?
A: 직접 하면서 배운 내용들을 적으려고 함. 최근에는 React, Nextjs 위주로 쓰고 있음.


3. 스터디 진행상황 공유

- 야 너두 리액트 할 수 있어 : 야 너두 리액트 할 수 있어 11주차 진행
- koco
- 이민욱 학우님이 추가로 스터디 개설

4. 공지사항

  • 새싹교실 현황 공유
    • 강사 7명 모집
    • 3/3 오후 8시 강사교육 진행
    • 3/5 오후 4시 새싹교실 설명회
    • 3/9 새싹교실 시작

5. 댓글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2-03-02 10:48:09
Processing time 0.0401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