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FCStudy_2001/진행상황 . . . . 12 matches
*1월 6일 - 현재까지 2인용, 33처리는 완성, 1인용 인공지능 방어는 완성, 공격은 일부 완성
*1월 8일 - 인공지능 오목 기초 완성, 앞으로 보강할일들
*1월 10일 - 인공지능 또 다시 보강 - 3을 막을경우에 3,4가 되지 않게 막기(띈 경우 붙은 경우 모두) 앞으로 할일
*1월 12일 - 인공지능 보강한것들
*1월 14일 - 13일 일요일에 석천이형의 조언에 따라 코드 전체적으로 대대적인 Refactoring(이 용어가 맞는지는 모르겠네여..^^;;)을 해서 할수 있는 한 많은 코드들을 함수로 만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라인수가 아주 많이 줄어들게 되었고, 공격과 방어 인공지능을 같은 함수로 동작하게 하여 방어 할 수 있는 패턴은 모두 컴퓨터 공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덕분에 코드를 체계적으로 만들때는 상당히 힘들었지만, 한번 그렇게 하니 작업이 훨씬 쉬어 졌습니다. 참으로 중용한 사실을 몸소 체험 한거 같습니다) 3,4 방어 및 공격 인공 지능을 추가 했습니다. 이제 사람을 이길 확률이 좀더 높아 졌지만, 아직도 부족한것 같고 띈 3,3 방어 및 공격과 효율적인 3 만들기를 추가할 예정입니다.
* 띈 3,3 방어 및 공격(인공지능중 마지막 최후의 지능...강력한 기능...)
* 1월 21일 - 제가 짠 오목 인공지능이 사람을 이길때 느끼는 희열은 정말 말로 표현할 수 없을정도. 너무 기쁘져.. 특히 요사이 인공지능이 좀 좋아져서 이기는 경우가 많아져서 기쁨을 느끼는 경우도 더 많아져서 살맛남.
* 1월 29일 - 이제는 그냥 가끔 심심하면 오목 손대는데, 한번 다른 사람이 짠 오목 인공지능은 과연 어떨까 하는 궁금증이 생겨서 데브피아에서 인공지능 되는 오목이 하나 있길래 다운 받아서 해보니..인공지능이 상당히 좋던데여..은근히 제가 짠 오목보다 못하기를 바랬는데.. (막는 기능은 제것과 비슷하게 작동하는거 같은데.. 흠.. 더 컴이 승리할 확률이 이상하게 높더라구여..ㅡㅡ;)그거 보고 조금 기죽었음.. ㅡㅡ;; 그 소스 보고 더 기죽었음....소스가 상당히 짧고..깨끗하고.. 아무래도 나중에 제가 짠 오목 소스 손질좀 해야 할듯...
* 1월 21일 새벽 1시 현재 - 정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을 끝내고 육목 막았습니다. 3 * 3 만 막으면 이제 인공지능으로 들어가야겠습니다. AI 설계는 뼈대만 잡은 상태입니다.
- ArtificialIntelligenceClass . . . . 4 matches
인공지능 수업
[http://www.wowbook.com/generic/book/info/book_detail.asp?isbn=ISBN89-88397-88-6 인공지능 개념및 응용]
지금 인공지능 수업이 피곤하고 졸린 이유는 뭘까. 교수님은 학생들의 feedback 을 끌어내려고 하지만, 끌어내기 위한 방법 자체를 잘 모르신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수업 내용의 경우도 책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 (시간상 조명상 더 졸립기까지 하다. 또는 교수님이 책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시지 못한다는 느낌을 많이 받게 되었다.) 차라리 좀 더 구체적인 예제를 만들고, 이에 대한 해결법의 진행 과정에 대해 설명해주신다면 어떨까.
* Logical Language(Lisp) 와 Procedure Language(C, C++) 의 차이점 및 인공지능 분야에서 Logical Language가 유리한 이유
- MFCStudy_2001 . . . . 4 matches
* 오목 - 1인용 인공지능 오목을 만들기
* ["MFCStudy_2001/오목인공지능알고리즘"] : 상협 + 창섭의 문서화
[창섭]:아무것도 몰랐던 MFC 라는 것에 발을 들여놓고 조금 알았다는 것에 만족해야져...^__^;; 그래도 꼭 인공지능은 구현해보고 싶습니다. -_-;;[[BR]]
[상협]:인공지능 오목을 짜면서 여러번 벽에 부딪혔는데, 그 벽을 넘어서면서 예전에 비해서 조금더 성장한거 같습니다. 그리고 제 오목이랑 사람이랑 두어서 이길때나 저 자신과 둬서 컴퓨터가 이길때(? 내가 바보인지..ㅡㅡ) 의 기쁨은, 그 수많은 삽질(버그사냥..ㅡㅡ;)의 스트레스를 잊게 해줬습니다. [[BR]]
- 정모/2013.4.1 . . . . 4 matches
* 간단한 인공지능의 정의에 대한 소개.
* 진짜 인공지능 수업 한학기 분량 강의 요약정리.
* 더 알고 싶다? -> 개인적으로 물어봐 -> 인공지능을 들어라 -> 인공지능 연구실 -> 대학원!
- 중위수구하기/정수민 . . . . 4 matches
꿈이 인공지능연구니까 이상한쪽으로 많이 생각이나더라고 ㅎㅎ 능률은 상당히 저조하지만 그런대로 만족하는 소스라는 ㅋ
인공지능 !! 나나.. 쵸비츠만들어주...ㅠ.ㅜ ㅋ 인공지능이면 나처럼 마인파인더라던지.. 문제푸는 알고리즘을 많이 만들어보는게 어때?ㅎ 그리고 꼭 쵸비츠 만들어줘야해~!!! - [조현태]
마인파인더같은건 내실력이 너정도 돼면 만들어보마 ㅋㅋ 지금은 인공지능 위치만 구상하고있어 ㅎㅎ 어떻게 해야 어떤행동을 할까 하고 ; 생각보다 기능이 많아야 하더군 ;;;
- 2005MFC이동현님의명강의 . . . . 3 matches
* [조현태]의 틱택토.. 안이뻐도 애교로..;;ㅁ;; 사람이 이길수 있다는걸 깨닫고 인공지능 긴급수정 버전.
* 2차 수정. 화면이 가렸다가 나타나면 복구 안되는 버그 수정. 인공지능 강화!!!
* 3차 수정. 버전을 제목표시줄에 출력하고, 미스틱아츠에 적용되었던 고도의(?)기술을 이용하여 깜빡임 현상을 없앰. 인공지능 약간 보완.
- ProjectVirush/Idea . . . . 3 matches
또한 실시간이라는 점은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아도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하루, 이틀 쉬었다가 접속하였을때 플레이어의 바이러스들이 전부 죽어있는 광경을 연출해서는 안된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러스들은 플레이어가 없어도 꿋꿋하게 살아나갈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의 게임도 이런 길을 걷지 않도록 노력은 해보아야 할것이다. 실시간이라고 해서 강한 인공지능을 부여했더니 몇년동안 자리를 비워도 꿋꿋하게 성장해서도 안된다. 또 규칙이 단순해서 오늘은 '성장' 내일은 '정지' 이런식으로 반복하면 수학적으로 최적화된 성장 알고리즘이 나온다. 와 같이 되면 재미가 없어질 것이다.
그냥 세균녀석 인공지능부분을 제외한 외관(?)의견이였슴미다. -_-;;
- 데블스캠프2011/둘째날/후기 . . . . 3 matches
* Classification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한글자나 특수문자가 포함된 단어들을 제외시켰는데 오히려 정확도가 떨어져서 아쉬웠습니다. 인공지능 수업때도 느꼈던 것이지만 사람의 생각(아이디어)가 반영된다고 해서 더 성능이 좋아진다고 보장할 수는 없는것 같아요
* 재작년에 인공지능 과목을 들었던 기억이 다시 떠오르네요. 인공지능을 아직 듣지 않은 학우들은 좀 더 어려웠을 것 같아요. 이번 시간에 짠 코드를 다른 여러 카테고리와 실제 웹문서에 적용해보면 어느 정도로 문서를 분류할 수 있을지, 실제 웹문서에 적용시킬 때 정확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지 더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대책없이 급하게 짜다보니 코드가 너무 지저분해진 것이 아쉽네요. RubyLanguage로 다시 짜봐야지...
- 상협/프로젝트관련 . . . . 2 matches
* 나중에 추후에 인공지능 대폭 업그레이드 해 볼 생각이다.
* 만약 짜본다면 내가 제일 좋아 하는 AI 오목을 Java로 TDD를 사용해서 한번 다시 짜볼까 한다. 인공지능을 사람이 못이기게 무진장 향상 시켜서.. +_+
- 조현태/프로젝트 . . . . 2 matches
* 땅콩이 만들기 - 의외의 인공지능으로 높은 개그수준을....;;;;;;;;
* 오목 만들기 - 후후후.. 낮은 인공지능..ㅠ.ㅜ 왜 주인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거니? 바빠서 좀 뒷전.;;
- 2005Fall수업 . . . . 1 match
== 인공지능 ==
- AI세미나 . . . . 1 match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에 대한 세미나.
- CPPStudy_2005_1 . . . . 1 match
* 2팀 오목 -> 인공지능
- InterMap . . . . 1 match
Acup http://zeropage.org/~gochi/cgi-bin/wiki/moin.cgi/ # 자판기(객체모델링)프로젝트, 인공지능 오델로 프로젝트 위키
- LispLanguage . . . . 1 match
* Functional Language. [:인공지능 AI] 등에 많이 쓰인다. [Scheme] 은 LispLanguage 의 방언.
- TravelSalesmanProblem . . . . 1 match
AI 분야의 고전적 문제다. 인공지능 수업의 중간 프로젝트 이기도 했다.
- ZeroPageSeminar . . . . 1 match
|| 01 || 신재동 || 인공지능 || 전화 또는 메일 ||
- ZeroPage_200_OK . . . . 1 match
* [정진경] - c9.io는 필요할 때 먹통이 되네요... 실습 테마가 웹 게임 제작이면 Challengers의 콘텐츠를 보강하기 위해 인공지능으로 플레이가 용이한 게임을 기획해야겠습니다...ㅋㅋ
- 김태진 . . . . 1 match
* 인공지능 연구실 학부 연구생 - 2013.1월~2월
- 데블스캠프2013/셋째날/후기 . . . . 1 match
* 제 바램대로 '데캠에 참석한 모두가' '열심히 코딩을 하며' '모두가 멘붕을 겪는다' 가 이뤄졌네요. 1학년때 상협선배님이 해주신 머신러닝이 가장 기억에 남았는데, 제 방식대로 그런걸 새로 풀어낼 수 있었네요. 새내기들이 이 분야에 감이라도 잡고(추상적인 인공지능에서 논리적인 기계학습으로..-) 선배들도 충분히 집중해야하는, 잘 조화된 세션이 될 수 있었던거 같아 다행이네요. -[김태진]
- 땅콩이보육프로젝트2005 . . . . 1 match
* [http://www.alicebot.org/ ALICE] 뢰브너 라는 인공지능 대화 로봇 대회에서 우승한 ALICE 라는 프로그램, 사이트 가면 실제로 대화해 볼수 있음
- 땅콩이보육프로젝트2005/개발일지 . . . . 1 match
* DB와 연계한 인공지능을 생성하여 모의 실험 가능하게 만듬.
- 상협 . . . . 1 match
* ["MFCStudy_2001/오목인공지능알고리즘"]
- 상협/인공지능/오목 . . . . 1 match
* 2003.2.3 : 여전히 중복이 좀 있긴 하지만 일년동안 더 공부한 짠밥이 있어서인지 잘 작동하지 않았던 기능들도 다 작동하게 함으로서 인공지능도 상당히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소스 라인수는 대폭 줄임. 4200 -> 2300..
- 임민수 . . . . 1 match
* [인공지능]
- 정모 . . . . 1 match
||||2023.08.21||[정현승]||||||||인공지능 논리 입문 - 명제논리||
- 정모/2012.11.19 . . . . 1 match
* [장혁수]: 나도 과자 먹으며 인공지능 플젝을 할테다.
- 정의정 . . . . 1 match
* 인공지능 연구실 학부연구생(12')
- 조현태/놀이/미스틱아츠 . . . . 1 match
적 인공지능 생성
Found 29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50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