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키설명회2005/PPT준비 . . . . 62 matches
= [위키설명회2005]/PPT준비 =
[위키설명회2005]페이지가 너무 커지는 것 같아서 조금 쪼개 보았습니다.
== 위키설명회 PPT 자료 ==
넓어진다. 위키를 보면 알겠지만, 항상 활발하게 움직이는 살아있는 학회다. 늘 변화한다.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
2001년 : 전시회를 통해 위키 탄생 다음해 도입
위키 설명회, 신입생 모집및 환영회, 복날, 지금 그때, 각종 세미나, 스터디, 데블스 캠프, 구피 관리
시간과 장소를 과게시판, 과방, 위키, 엘레베이터에 미리 공지하고, 당일에 늦게 오는 사람을 위해 구피에 모이는 장소를 공지한다.
==== 위키위키 ====
==== 위키위키란 ====
위키위키는 하이퍼텍스트(HTML)의 일종
위키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무엇이든, 수정할 수 있는 공통체 웹사이트 시스템이다.
- 세계에서 가장 큰 위키위키는 위키백과사전인데. 많은 사람들이 한 글자씩 더하여 완벽한 백과사전을 만들고자 하는 위키 백과사전입니다.
- 한국에서는 노스모크가 최초로 실용적인 위키를 도입하였고, 한국에서 가장크고 세계에서 10번째 내외의 큰 위키입니다.
==== 위키의 도입 ====
- 노스모크 위키 소개 페이지 펌
신제용의 위키도입경험
위키를 이용하여 대립이 아닌 상생이 가능하다.
==== 위키의 단점 ====
많은 사람이 참여하지 않아서 위키가 널리 퍼지지 못하고 있지는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지금의 위키는 가장 기본적인 디자인이다. 이런(http://hellocity.net/~iolo/moniwiki/wiki.php) 저런(http://whitejames.com/wiki.cgi?대문) 위키들도 있따.
- ZeroWiki에서 언어습관 . . . . 50 matches
NeoCoin은 ZeroWiki 항해를 하면서 ZeroPage 가 [노스모크]와 다른 방향으로 위키의 언어 습관이 관습화 되어 가는 것을 관찰할수 있었습니다. ([노스모크]는 일상어보다 좀더 공개 석상에서 쓰이는 분위기, 어휘로 언어 습관이 형성되어 온것 같습니다.)
최근에 이모티콘 관련표현들이 많은건, 이전에 위키를 써온 사람들의 방식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익숙하던 방식으로 쓰는 중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지적이 아주 심하진 않았고요. --[1002]
한편으로 다르게 생각해보면,기존의 위키를 쓰던 사람들이 예전만큼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많아보이는' 것이 아닐까요. :) 하지만, 또한 현재 새로운 회원들이 이전 회원들이 기존에 만들어진 위키 페이지들을 얼마만큼 읽어보았는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해당 위키에 대해서는 그동안 그 위키가 자라온 방식이 있습니다. 물론 그로 인해 자기 표현의 제한을 받는건 좋은 현상이 아니지만, 한편으로는 기존의 위키가 자라온 방식을 관찰함으로서 배울 수 있는 점들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1002]
처음에 이모티콘 관련 글을 보면, '일단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위키라는 툴에 익숙해지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떠한 형태로건 대화가 편하게 이루어지면 좋으니까요. 하지만, 그러한 표현이 기존의 회원들과의 거리를 를 벌일것이란 걱정도 듭니다.--[1002]
요즘 제로위키 글을 읽다보면, 전자라서 읽다가 그만두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심하게, '글쓴이가 글이 남에게 읽힐때의 고민이 전무하다' 라고 표현할까요? 읽다 보면, 기존에 쓰여진 글들이 매우 딱딱한 문장이 아님에도 채팅과 같은 글들이 밑에 있어서, 딱딱하게 보입니다. 기말고사 시험지에 써있는 낙서, 생각의 흔적들이랄까요? 묘하게 배치된 글들을 보면서, 시간과 공간의 경험이 서로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글들이 융화되기가 참 힘들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NeoCoin
[제로위키]에서 쓰는 어떠한 언어습관이 관습화되고 있는건가요? 아니면 [제로페이지]에 새로 들어온 회원들이 원래 쓰던 언어습관과 '''다르게''' 자꾸 글을 써서 아직 관습화되진 않았는데 '''관습화 처럼''' 느껴지는 건가요?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지만, [제로위키]에는 어떠한 법이 있나요? --[Leonardong]
[제로위키]에는 말씀처럼 특별한 법이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어떠한 위키에도 어법에 관한 법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타 위키들은 언어습관의 진행 방향이 서술 형식의 표준어 분위기로 진행하는 것에 비하여 [제로위키]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어 가는 것 같아서 주목할만한 점이 아닐까요?
아시다 시피 위키는 과거글이 꾸준히 읽히고, 타인이 고칠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모두가 읽는데 의미 전달의 변이가 적은 표준어, 서술 형식으로 수렴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습니다. (반대로, 게시판은 한번 쓰면 타인이 못고치고 다시는 읽지 않으니 분위기가 수렴되거나 하는 것이 적겠지요.) 그런데, [제로위키]는 최근 2년간의 모습이 재미있거든요?
특히 NoSmok:단락나누기 와 같은 위키 쓰기에 관련한 교육이나 고민을 공유하는 시간이 적은 상태에서 진행방향은 점차 더 달라 지는 것 같습니다. 몇년후 [제로위키]는 상당히 특별한 색깔을 가지게 되지 않을까요? --NeoCoin
[제로위키]가 다른 위키나 커뮤니티의 글처럼, 의미 전달의 변이가 적은 표준어나 서술 형식으로 수렴하지 않는다는 말씀이시군요. 요새만 그런 것이 아니라 최근 2년동안 죽 그래온 것으로 보아, 앞으로 이모티콘이 가득가득한 위키라는 특별한 색깔을 [제로위키]가 가지리라는 의견이시고요.
문단의 내용이 확인을 부탁하는 것 같아서 답변 답니다.(그렇지 않다면, 중복 문단의 존재 이유가 없겠지요?) 전자의 문장은 잘 정리하셨습니다. 허나, ''앞으로 이모티콘이 가득한 위키라는 특별한 색깔을 [제로위키]가 가지리라는 의견이시고요.'' 에는 전체 긍정을 할수 없습니다. 아직 예단할수는 없지요. '가득가득'이라니요. 내년 신입 회원이 기대되기는 하지만요. --NeoCoin
왜 그럴까 그 이유를 생각해보았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한 가지 이유는 [제로위키]에서는 과거 글이 꾸준히 읽히지 않는다는 것이고, 다른 이유는 과거 글을 타인이 고치지 않는 것이라고 봅니다.
'' ...전략...위키는 과거글이 꾸준히 읽히고, 타인이 고칠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모두가 읽는데 의미 전달의 변이가 적은 표준어, 서술 형식으로 수렴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습니다. (반대로, 게시판은 한번 쓰면 타인이 못고치고 다시는 읽지 않으니 분위기가 수렴되거나 하는 것이 적겠지요.) 그런데, [제로위키]는 최근 2년간의 모습이 재미있거든요? ...후략...'' --NeoCoin 윗글 인용
이것이 지켜진다면, 당연히 [제로위키]의 글도 표준어, 서술형식으로 수렴할 것입니다. 두 가지 이유 가운데서도 과거 글을 - 오래되면 오래 될 수록(?) - 타인이 잘 안 고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건드릴 엄두가 나지 않지요. 따라서 새로 만드는 페이지에 주로 글을 쓰고, 새로 만드는 페이지가 주로 생기기 때문에 새로운 언어습관이 관습화된 것 처럼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Leonardong]
* 예, 꾸준히 제기되는 문제입니다. 과거 글이 읽히는 것까지 위키라는 시스템이 책임지지는 않지요. 이제 [제로위키]도 2000페이지가 넘었고, 각 페이지당 A4 한장이라고 생각해도, 1000장의 두꺼운 사전이니까요. 휴~, 그 중 우리가 읽고 키울것은 많게 잡아도 20% 내외 일것입니다. (200~300 페이지) 당장 사용하는 것은 10% 정도? 그러나 위키 시스템의 철학적인 면에 대한 학습과 토론의 장이 전무한 상황에서 당연한 결과 같네요. [위키요정]과 NoSmok:문서구조조정 NoSmok:WikiGardening 등의 노력이 적은게 아쉽습니다.
* [제로위키]는 활동하는 [위키요정]이 적습니다. 예를들어 '''데블스캠프2003/ToyProblems/파일입출력''' 제목의 페이지를 발견해서 '''[파일입출력]'''으로 변경하는 이런 활동입니다. 이런 활동의 가치 인식이 중요합니다.
* [제로위키]가 태어나고 1년즈음에 이르로 이러한 문제가 본격 제기되었습니다. 새로운 회원들에게 진입 장벽을 낮추기위해 위키의 계층을 도입해 개인화 페이지를 권장하면서 문제가 제기되었지요. 새로 만드는 것은 좋습니다. 허나 이를 지식으로 가공하는 것은 [위키요정]들의 몫입니다. 위키철학을 공유하고 모두 함께 진행하는 해결책이 필요 하겠지요.
* 이러한 [위키요정]의 사례로, [STL]관련 새로 만든 개인 페이지가 넘쳐나서, 내용이 중복되고 어수선했는데, 전부 정리한 적이 있습니다.
위의 [위키요정], 위키철학 공유에 대한 문제를 감안해도 앞으로는 새로운 ZeroWikian과 [위키요정]들이 활동하면서 이들이 공유하는 언어습관이 변화할 것을 기대합니다. 99, 00..년의 사용자들의 개인 페이지나 프로젝트 페이지, 게시판에 작성하는 글의 언어습관은 다릅니다.
이를 주목해 보니, 타 위키가 새로운 사용자 계층 유입이 한꺼번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보이군요. 그래서 타 위키는 언어습관이나 문화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은 없습니다. 새사용자 들도 기존 위키에 분위기에 따르니까요. 마치 메일링 리스트 사용하는 것 처럼 말이죠.
- ZeroWiki . . . . 43 matches
["이름짓기토론"]에서 ["0'Wiki"]라는 이름으로 광식(["woodpage"])군이 별뜻없이 쓰고 ["상민"]군이 흥분하는 통에 우리 위키의 이름이 되었으며 NoSmok:WikiName 으로 만들기 위해 ZeroWiki로 ["페이지이름바꾸기"]했다.
현재(2021.11) 한국어 위키위키 위키페이지수 27위에 있다.[http://ko.wikipedia.org/wiki/한국어_위키위키 참조]
jereneal: 왜 제로위키에 노스모크라는 말이 많나 했더니 그게 한국어 최초 위키에 김창준선배님이 관리자였구나.......
kesarr: 노스모크는 한국어 최초의 위키위키이고, 김창준 선배님은 한국에 위키위키를 소개한 사람. 제로페이지에도 소개했지
kesarr: 노스모크는 흡연을 안 하는 사람들의 폐쇄적인 모임 같은 건데 처음에는 파이썬으로 구현된 유명 위키 플랫폼인 모인모인을 사용했는데 제로페이지 위키도 김창준 선배와 교류하면서 노스모크 활동을 하시던 제로페이지 선배님들이 모인모인을 적용했었고 노스모크 내부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해서 노스모크의 한 회원이 모인모인을 개조하기 시작 이걸 모인모인 노스모크 에디션이라 부르고 그 회원이 아예 위키 플랫폼을 새로 만들자고 선언하고 PHP로 새로운 한국형 위키 플랫폼을 개발했는데 그것의 이름이 모니위키
bluemir: 모니위키가 모인모인의 포크이군요
kesarr: 그리고서 노스모크는 모니위키로 건너갔고 제로위키는 제로페이지 선배님들이 모인모인과 호환되는 새로운 위키를 공부도 할겸 제로페이지 내 프로젝트로 진행하셨는데, 이게 제로위키. 제로페이지 위키는 여기서 제로위키로 갈아탐 제로위키는... 일단 심각한 버그가 있었고 특정 행동(콘텐츠 편집)에서 행이 걸려서 엄청나게 늦게 반응하는 문제가 있었음...그런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선배님들이 계속 제로위키를 유지보수하기 힘들게 되면서... 그런데 그 시점에...!!
kesarr: 학교에 있던 제로페이지 서버가 폭파되는 재난이 발생... 06~07년에 사용하던 제로위키에 저장된 콘텐츠는 모두 증발하고 모인모인에서 제로위키로 옮겨타던 무렵 백업해둔 자료를 가지고... 새로운 서버에 모인모인과 문법이 호환되는 모니위키를 설치해서 운영 재개... 11-12년 도쿠위키 또는 미디어위키로 위키 플랫폼을 옮기려는 제로페이지 내부 프로젝트를 개설했으나... 다들 바쁜데 진행할 게 많고 이미 모니위키가 모인모인과 많이 달라져서... 모인모인-타위키 컨버터를 쓸 수 없다는게 함정 모니위키는 한국의 일부 위키만 쓰므로... 다른 위키와의 컨버터 따위 없다.. 게다가 제로페이지 위키는 모인모인 문법과 모니위키 문법이 혼재하기 때문에 컨버터를 만드는 것 자체가 까다로운...
see also ["ZeroWiki/제안"], ["위키로프로젝트하기"], ["제로위키이용의어려움"], ["학술터위키와제로페이지위키링크문제"]
- 위키설명회2005 . . . . 43 matches
= [위키설명회]2005 =
[신입회원모집]과 [부드러운위키만들기]의 한가지 방법으로 행해지는 행사.
제로페이지의 활동에 큰 축이 되지만 첫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위키를 설명하고 사용해보며 자연스러운 진입을 유도하는 자리.
2. 위키소개 - [이승한]
3. ZP와 zero위키의 관계 - [이승한]
[롤링페이핑위키]
위키를 이용한 보물찾기
[노스모크] 를 이용하는 이유는 ZP위키는 프로젝트 중심이기 때문에 흥미로운 페이지가 적고, [좋은위키페이지] 에대한 분별력이 떨어질 것이라는우려.
== 위키설명회에서 반드시 이야기 해야할 내용 ==
위키의 역사와 위키의 장점.
잘만들어진 위키 프로젝트 페이지
ZP가 아니어도 위키 zero위키 활동이 가능하다.
위키는 이런 장점이 있고 ZP도 XX년도부터 위키를 도입하였다.
<b>위키에 대한 간단한 소개.</b>
위키는 누구나 관련한 내용을 계속 수정해 나가고 필요한 내용은 덧붙여 놓기 때문에 본문 글이 점점 다듬어져 나갑니다.텍스트가 진화한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위키는 간단합니다.
위키도 누구나 고칠 수 있고, 링크의 연결이 간단하고, 동일공간에서 텍스트가 진화할수 있다는 간단한 룰에서 출발합니다.
위키위키 소개.
<p href = "http://blog.naver.com/20oak.do?Redirect=Log&logNo=120003237424">과학동아의 위키소개</p>
<p href = "http://no-smok.net/nsmk/위키위키">노스모크위키의 위키 소개 페이지</p>
- 부드러운위키만들기 . . . . 37 matches
=== 위키의 진입장벽낮추기 ===
[임인택]은 후배들에게 위키위키를 권해줄때마다 그들이 위키에 대해 어려워하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고는 합니다. 백문이 불여일행 이겠지만 스스로 재미를 느끼며 위키를 자연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전 한글과 컴퓨터 이찬진 사장께서 컴퓨터에 쉽게 친숙해지기 위해 게임을 하는것도 좋다고 하셨던게 생각나네요.
저같은 경우 위키에 친숙해지게 된 계기가 1학년때 상민이형, 석천이형이 이끌어준 프로젝트를 위키상에서 하다가 친숙해졌습니다. 분명 친해지는데는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한 3~4달 정도) 한번 친해지니깐, 휴가 나와서도 맨날 가봅니다. -_- 1학년 2학기때쯤에 윗 학번이 프로젝트를 하나 저렇게 이끌어 주면서 자연스럽게 위키를 사용하게 하는것도 괜찮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보면 제로위키 페이지중에 공개/비공개 설정을 하게 만든다면 구지 개인위키를 따로 돌리지 않고 제로위키안에 자신만의 개인위키를 만들 수 있고 그렇게 하면 자신의 개인 위키에 자주 오다 보면 접근성도 높아 지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남상협
새로운것을 직접 찾아서 써보기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위키 자체에 대해 '익숙해질 필요가 있는가' 라는 질문이 먼저나오리라 봅니다. 이러한 필요성을 눈으로 보여주는 것이 선배의 역할이겠죠. 이는 단순히 '위키'라는 툴 자체의 문제가 아닙니다. 현재의 제로페이지 웹 사이트가 과연 '사람들이 이 위키를 필요할 정도로 매력적인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가?' 라는 질문이 될 수도 있고요. 이에 대해서는 활동하는 사람들 모두가 고민해볼 문제일겁니다.
툴에 대한 익숙도 문제에 대해서는 1. 간단한 위키 시연 세미나 2. 1학년을 포함한 공동 스터디 & 공동 문서화(혹은 Pair 문서화) 정도의 답이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것을 생각해야 한다고 봅니다. 필요가 절실하면 그에 따른 행동들은 자연스레 따라오리라 봅니다. (함 시험 족보라도 모아볼까요.; 아주 농담은 아닙니다.) --[1002]
=== 부드러운 위키 만들기 ===
제친구가 처음으로 위키를 접하게 되었을때 첫 느낌으로 딱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하더군요. 어떤사람들은 이곳 위키에서 사람들이 이야기 하는것을 보면 무서워 보인다는 이야기도 하고요. 문제는 이런 사람들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하게 느낀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키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도 이런게 아닐까요?? 좀더 부드럽고 사용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위키의 방향은 없건가요? - [이승한]
도구로서의 위키에 대해 익숙하지 않아서일겁니다.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위키위키라는 매체는 문화라기보다는 단지 사용하기 어려운 도구에 가깝게 느껴질 것입니다(실제로는 무척 사용하기 쉬운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딱딱한 느낌을 받는 것은 이곳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이 컴퓨터 공학과 관련된 전공지식 위주가 아니어서일까 생각합니다. [임인택]은 이번위키설명회때 [짝위키]를 해보는 것을 제안합니다. 한 사람이 위키를 자유자재로 항해하며 페이지를 수정하면(PairProgramming으로 치면 드라이버가 되겠죠), 나머지 한사람은 드라이버가 위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고 드라이버가 행하는 행위에 대해서 질문(일종의 옵저버)하며 위키에 대한 감을 익혀갑니다. PairProgramming 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드라이버와 옵저버의 역할을 바꿉니다. - [임인택]
[이승한]은 4-5명이 한개의 페이지를 만들어가는 방식을 생각했었습니다. 짝위키라 다음 [위키설명회] 회의에서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 보고 싶네요~^^
쉽게 위키에 익숙해 지게 하려는 여러가지 시도들.
[MiningZeroWiki] [롤링페이핑위키] [위키설명회] [Thread의우리말]
[부드러운위키만들기]와 '위키의진입장벽낮추기'의 내용이 비슷하여 페이지를 합쳤습니다. - [임인택]
- ZeroWiki/제안 . . . . 34 matches
=== 위키 엔진의 변경 ===
안건: from 모니위키 to 미디어위키 - by [황현]
* 미디어위키의 장점
* 현존하는 무료 위키 엔진 중 가장 강력함. (다른 PHP 기반의 데이터베이스형 위키 엔진과의 간단한 비교: http://bit.ly/fdI51M )
* 모니위키에서 미디어위키로 자료를 이전하는 툴이 이미 존재함.
* 문법이 모니위키에 비해 직관적이다.
* 모든 것을 돈을 처발라 해결하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작품답게, 최적화가 *거의* 안 되어있음. 내부 메모리 10~20MB 사용은 예삿일. 소스 좀 뜯어보면 이리 저리 얽히고 섥혀 정신이 하나도 없음.
* 초대형 위키 사이트를 위한 것이라, 중소 위키라면 절대 쓸 일 없는 데이터베이스 분산이라던가 하는 걸 막 집어넣은 탓에 별로 쓸 일 없어보이는 소스도 엄청 많다.
* 위키 엔진 선택은 안 그래도 논의하려고 했던 주제입니다. [http://www.dokuwiki.org DokuWiki]나 [http://www.mediawiki.org MediaWiki]를 후보군으로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다만 무겁고 복잡한 MediaWiki보다는 깔끔한 DokuWiki를 더 비중있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 엔진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nForge MoniWiki와 혼용으로 인한 문법 이중화의 어려움이라서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 [변형진]
* DokuWiki는 저도 직접 써 본 경험이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깔끔해서, 개인 위키로 쓰기에는 정말 딱이더군요. 다만, 파일입출력 기반이라 조금은 걱정되는 면이 있어서요. 그리고 문법 문제는...... 답이 없네요....... 이럴 때마다 Wiki Creole이 절실하다는 생각이....... - [황현]
* 도메인 네임이 명확하면서 정적 파일이 위키 페이지로 오인되지도 않음 - [변형진]
* 외부에서 읽어가는 정적 파일들(favicon.ico, robots.txt, crossdomain.xml 등)을 모두 미리 처리해두지 않으면 위키 페이지로 오인될 염려가 있음 - [변형진]
지금 이 페이지처럼 오래된 내용이 남아있는 페이지를 어떻게 해야할지 논의해보고 싶습니다. 대부분의 페이지에서는 오래된 내용이 쌓여 좋을 때가 많지만 이 페이지 같은 경우 위키에 대한 제안과 논의가 이루어지는 페이지인데 이미 과거에 해결된 제안과 그에 대한 논의를 기록을 남겨놓는 것이 좋은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그대로 놔두면 현재 제안과 구분하기 쉽지 않으니까요. 제가 생각하는 선택지는 네가지 입니다.
* 이 제안은 ThreadMode와 DocumentMode에 관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애초에 ThreadMode를 목적으로 작성됐고 그렇게 의견이 쌓여왔습니다. 2번 선택지는 ThreadMode의 유지를, 3번 선택지는 ThreadMode를 DocumentMode로 전환하여 정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1번 선택지는 DocumentMode에 더 적합한 방식이고, 4번 선택지는 경험의 전달이라는 위키의 목적에 따라 고려 대상에 올리기도 어려울 것 같아 제외합니다. 사실 이런 제안과 논의가 나열되는 페이지에서는 결론을 정리하는 것보다는 그 결론을 도출하기 까지의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DocumentMode로의 요약보다는 ThreadMode를 유지하는게 좀더 낫다고 생각하며, 다만 필요하다면 오래된 내용을 하위 페이지로 분류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 [변형진]
제로위키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제로위키가 ZeroWikian 의 위키 인지, 아니면 ZeroWikian 의 프로젝트와 스터디를 위한 위키인지. --["zennith"]
ZeroWiki 에 보면 ''ZeroWiki는 ZeroWikian, ZeroPagers들의 프로젝트 & 스터디 공간으로 쓰이며, 공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ZeroWiki가 ZeroWikian 의 범용 위키인지, 아니면 특화된 목적의 위키인지, 확실히 했으면 좋겠습니다. --["zennith"]
내가 ZeroWiki 글을 처음 썼었을때가 좀 예전이긴 하지. 그때는 주로 페이지를 생산해내는 중심체들이 프로젝트 그룹이였고 (지금도 그렇지만, 예전에 비해 개개인들의 독립된 활동들이 많아졌지.) 일단 사람들 스스로가 학습용도나 개인훈련기록용으로 잘 이용하는 것 같고. 그래서 특별히 그에 대해 구분하고 싶은 생각은 없는중임. (단, 개인페이지내에서의 진행기록들이 너무 많아지는 것 같아서. 계층 위키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조금 경계하는중.) 의견있으면 계속.~ --["1002"]
전 살아가는 것 자체가 크게 보자면 배우고, 발전(어떤 의미에서든)해가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제 마음대로 위키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아무래도 하나의 사회에는 규약이란건 없더라도 지향하는 바는 있을거란 생각이 들어서 제안을 남겨 봤습니다. 전, ZeroWiki 가 nosmok 처럼 general purpose 해졌으면 합니다. --["zennith"]
초기의 지향점이라고 한다면, 일종의 '학회 재산 저장소'랄까. Repository 라고 쓰면 결국 동어반복이 되겠군. 학회가 거의 10년이 지나도, 그때의 한 일들이 제대로 안쌓이는 모습에 대한 불만이랄까. 그러한 점에서 99년도 처음 ZP 서버가 만들어질때, 96,97 형들이 언급했던 것이 'ZP 서버를 학회 지식의 저장소가 되게 하자' 라는 것이였지. 처음에는 게시판 활동이 주업이었고. 그러다가 위키를 알게 되고 난 다음, 처음엔 동문서버에서 좀 돌려보고, 그 다음은 ZP 에서 돌리게 했지. 그리고, 동문서버에서 위키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고, '위키 처음 열릴때의 분위기가 중요하겠구나' 하는 생각에 '스터디 & 프로젝트' 목적을 강조하는 뜻에서 초기에 그렇게 적은것임.
그냥, 위키는 공동의 재산이잖아요. 제 재산에 저를 투영하고 싶은데, 아무래도 저 자신은, 지식 만으로는 표현 할 수 없어서요. --["zennith"]
- HelpOnLinking . . . . 33 matches
외부 링크는 {{{http://kldp.org}}}같이 그대로 적어놓으면 '''자동'''으로 http://moniwiki.kldp.org 라고 링크가 걸립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링크를 적을때 한글 토씨를 그냥 붙여 적을 경우에 한글까지 링크가 걸리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http://moniwiki.kldp.org]}}}라고 적으면 [http://moniwiki.kldp.org]와 같이 '''강제'''로 링크될 URL을 지정해줘서 자동으로 링크가 걸리지 않게 합니다. 강제로 링크를 걸러줄 경우는 모니위키에서는 그 링크 앞에 작은 지구 아이콘이 생깁니다.
모니위키에서는 기본적으로 외부링크라고 해도 새창으로 열리지 않습니다. 강제로 새창으로 열리게 하고 싶은 경우는 {{{[^http://kldp.org]}}}와 같이 맨 앞에 {{{^}}} 기호를 넣어주면 (모니위키 확장) [^http://kldp.org]처럼 링크가 걸리게 됩니다.
모니위키는 페이지 이름을 넣는 여러가지 링크방식을 제공합니다.
{{{[모니위키]}}}이라고 적으면 [모니위키]처럼 링크가 됩니다. 이 문법은 모니위키 확장문법으로 제공되었으며 이중 대괄호문법을 대신 쓸것을 권장합니다.
{{{[[모니위키]]}}}라고 적으면 [[모니위키]]처럼 링크가 됩니다. 이것은 MoinMoin 최신이나 MediaWiki에서 쓰이는 페이지 이름 연결 문법으로, 모니위키에서도 호환성 측면에서 지원합니다.
모니위키 1.1.5부터는 [["임의의 페이지 이름"]]과 같은 문법도 지원합니다.
== 인터위키 연결 ==
위키위키에서는 외부의 위키 혹은 위키위에 준하는 다른 사이트를 좀 더 쉽게 연결하는 문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http://moniwiki.kldp.org/wiki/FrontPage}}}라고 링크를 거는 대신에 {{{MoniWiki:FrontPage}}}라고 링크를 걸면 MoniWiki:FrontPage 처럼 표시가 됩니다. 이를 인터위키 연결이라고 합니다.
=== 인터위키 확장 ===
`{{{MoniWiki:FrontPage}}}` 와 `{{{wiki:MoniWiki:FrontPage}}}`는 똑같습니다. 여기서 인터위키를 뺀 {{{wiki:FrontPage}}}는 {{{FrontPage}}}와 똑같습니다. (모인모인 1.0.x에서 지원)
일반 위키페이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wiki:FrontPage 대문]}}}이라고 쓰면 `FrontPage`로 연결되고 `대문`으로 표시됩니다.
특별히 이 경우 {{{[wiki:FrontPage 대문]}}}은 {{{[:FrontPage 대문]}}}과 똑같습니다. (모니위키 1.1.4 확장)
이와같은 기본 형식과 함께, 모인모인/모니위키에서 지원: `wiki:`, `attachment:`. "`wiki:`" 는 내부링크 혹은 인터위키 링크를 뜻합니다. 따라서 `MoniWiki:FrontPage` 와 `wiki:MoniWiki:FrontPage`는 똑같습니다. 주의할 점은 "`wiki:`" 형식은 괄호로 연결되는 링크의 경우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attachment:`는 파일 첨부를 위해 사용됩니다.
/!\ {{{?}}}를 쓰는 강제로 링크를 걸리게 하는 문법은 모니위키 확장 문법입니다.
그밖에 위키 문법은 HelpOnEditing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wiki:InterWiki/Page}}} 와 같은 링크는 모니위키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모인모인에서는 {{{wiki:MeatBall/InterWiki}}}와 같은 링크가 {{{wiki:MeatBall:InterWiki}}}로 인식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wiki:WikiPage/SubPage}}} 문법과 일관성이 떨어져 혼란을 주므로 이와같은 모인모인 방식의 인터위키 링크는 모니위키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 모니위키 확장 ==
미디어위키식 링크도 역시 지원합니다. (버전 v1.1.1 이후)
=== 인터위키 아이콘 ===
- 프로그래밍잔치/첫째날후기 . . . . 31 matches
일단 간단하게 ["프로그래밍잔치"] 소개를 하고 위키에서 ~~ 한 부분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 제로위키 또다른 대화의 방법 ===
["상민"] 과 ["1002"] 는 위키에서의 대화에 대해 간단한 시연을 보여주었다. [1002/MP3공유프로그램] 에서 가상의 인물 1002, 상민, 쩡직 등이 대화를 하면서 페이지내용을 조금씩 정리하고, 점차 [음악공유프로그램], [소리바다와그누텔라] 페이지로 나누어져가는 모습을 중간중간 버벅이는 설명과 함께 시연을 했다.
시연뒤, 사람들끼리 위키에 대해 두 팀으로 나누어서 토론을 했다.
==== 위키 관련 토론 ====
위키 관련와 토론을 했다.
한쪽은 상욱, 세연, 은지, 창섭, 기웅, 상민은 위키의 좋은점, 불편한점, 어떻게 위키를 써야 할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했다.
* 위키에서의 자유로운 링크가 오히려 위키를 읽는데 어려움을 가져오기도 한다. (링크를 따라가다보면 내가 처음에 읽었던 글로 다시 돌아오지 못하고 방황함)
* 계층위키에 대해서 - 개인 페이지 내에 계층위키로 페이지를 열고 시작한다면, 처음 쓰는 입장에선 특별히 편집에 대해 구애받지 않아서 좋을 것 같다.
한쪽에서는 진균, 덕준, 상협, 재동, 상규, 인수, 석천은 주로 위키 활성화와 위키글쓰기 스타일에 대해 이야기했다.
* 오늘 위키의 간단한 룰로서 들고 나온 개인페이지 내 '/' 구분자를 이용하는 계층위키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
* 계층위키에 대해서는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NoSmok:HierarchicalWiki)
* 위키의 룰은 사용하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의 룰은 '규칙'처럼 선언을 해버린 모습같다. 위키의 룰은 결국 위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것 아닌가?
* 만일 사람들이 Courage 를 내어서, 다른 사람들 페이지에 대해서 구조조정을 빈번하게 해준다면, 계층위키가 많이 필요하지 않을것이다.
* 위키의 활성화에 대한 이야기
* ZeroPagers 의 위키에 자신의 공부내용을 정리하는 것은 '의무'인가? 자신을 위한 행동이 아닌가? 강요되는것은 아닌지. (실제로 자신의 공부내용을 글로 정리하기에 대한 어려움)
* 위키가 책을 대신하는가? - 위키가 모든 내용을 다 이야기해주지 않으며, 그럴 필요도 없다.
* 사람들마다 글쓰기 스타일이 다르며, 정리하는 스타일도 다르다. - 위키 스타일의 글쓰기는 사람들이 글쓰기 페이지를 만드는데 주저하게 만든다. 글을 쓰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다.
* 위키를 쓸때 이미 도큐먼트모드화 되어버린 글들이나, 시작부터 도큐먼트모드식으로 잘 정리된글들은 뭐라고 더 스레드 자체를 붙이기가 어렵다. 이미 도큐먼트모드화 된 글에 대해서 굳이 더 스레드를 붙일 이유도 없다.
* 위키에 다른 사람 참여를 원한다면, 처음부터 조금씩 점차적으로 글을 쓰는건 어떨까?
- HelpForBeginners . . . . 29 matches
#keywords help,wiki,위키위키
== [위키위키] ==
위키위키웹는 여러 사람이 공동작업을 할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환경을 말하며, 보다 쉽고 직관적인 정보의 수정에 초첨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곳 위키는 전체 위키위키웹의 일부분이며 각각의 개별 위키를 인터위키라고 말합니다.
누구나 어떠한 페이지라도 고칠 수 있으며, 페이지간의 보다 손 쉬운 연결, 쉬운 서치환경, 그리고 현 위키에 있지 않는 페이지에 대해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기 쉬운 어포던스를 제공합니다.
처음 위키위키를 방문하신다면 무작정 다른 페이지를 고치려 하지 마시고 [위키모래상자]같은 곳에서 위키위키에 사용되는 간단한 문법을 테스트해보시기 바랍니다.
위키위키의 문법을 지금 당장 알고싶으신 분은 HelpOnEditing 페이지로 가시기 바랍니다.
위키위키에 대하여 좀 더 배우고 싶으신 분은 Wiki:WhyWikiWorks 와 Wiki:WikiNature 를 읽어보시기 바라며, Wiki:WikiWikiWebFaq 와 Wiki:OneMinuteWiki 도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위키위키 여행을 위한 좋은 출발점으로는
* TitleIndex: 이 위키위키에 있는 모든 쪽 목록
* WordIndex: 위키위키 페이지 이름을 구성하고 있는 단어들의 목록(따라서 이 위키위키의 주된 콘셉트를 보여줍니다.)
- MoniWikiTutorial . . . . 29 matches
== 위키위키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
위키위키에 첫발을 들여놓으신 것을 환영합니다!!
== 위키가 뭐니? ==
위키위키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무엇이나 고칠 수 있는 편집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러한 위키의 기본 특성은 위키위키를 매우 강력하게 만들었고, 여러가지 안전장치가 더해져서 오늘날의 위키위키가 되었습니다.
* 사용자 ID: 영문으로 사용자 ID를 만들 경우 보통 소문자 구성된 사용자 ID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위키위키에서는 FooBar같은 낙타식 사용자 ID를 종종 사용합니다. 한글로 만드셔도 됩니다.
== 둘째고개: 위키의 기본 페이지들 ==
* RecentChanges: 위키위키의 모든 변경된 기록이 RecentChanges에 보여집니다.
* FindPage: 상단의 검색 폼 혹은 FindPage를 통해서 위키위키의 내용을 검색합니다.
* TitleIndex: 위키위키의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위키위키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다음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 [wiki:NoSmoke:FrontPage 노스모크] : 국내 최고의 위키 커뮤니티
* [wiki:KLDPWiki:FrontPage KLDP 위키] : 국내 오픈소스 개발자들을 위한 위키 사이트
* [wiki:MoniWiki:FrontPage 모니위키] : 모니위키 사이트
모니위키에 관련된 문제점은 MoniWiki:MoniWiki 혹은 http://kldp.net/projects/moniwiki 를 통해서 질문하시기 바랍니다.
- 새싹스터디2006/의견 . . . . 26 matches
제로페이지 위키에 [새싹스터디2006]에서 소그룹으로 진행한 기록이 재학생에게 필요할까요? [제로페이지의문제점]에서도 ''스터디가 신입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라는 점을 지적합니다. [2004년활동지도]의 1학기 스터디, [새싹C스터디2005]의 Class페이지들이 대표적입니다. 반면 [새싹C스터디2005/선생님페이지], [새싹배움터05/첫번째배움터], [새싹C스터디2005/pointer]와 같은 페이지는 현재 [새싹스터디2006]을 진행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조금만 가다듬으면 [STL]페이지처럼 주제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위키 구조를 잘 이용해 필요한 정보는 제로페이지 위키에, 각 소그룹으로 진행하는 내용은 개인 위키에 정리하면 좋겠습니다. 나중에 정리할 필요 없는 시간 약속, 출석 체크, 메시지 전달 들을 개인 위키에서 진행하면 되겠죠. 단 숙제를 내면 반 이름의 하위페이지를 만들기보다, [EightQueenProblem]처럼 정보를 모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로써 현재 미약한 개인 위키 사용이 늘어날 것이고, 덤으로 사용자가 위키 카페 구조에 익숙해지는 효과도 얻을 것 같습니다. -- [Leonardong]
여기 페이지도 나름대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각 팀마다 06학번 신입생의 실력이 다른 것 처럼 각 팀은 각 나름대로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하위 페이지에서 기록이 단순히 '재학생을 위해서' 가 아닌 무슨 문제를 풀었고, 언제 만날건지, 어떤 문제를 풀건지 등 위키에 내용으로 남겨두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후에 또 참고할 수 있도 있고. 지금 많은 class의 진척도도 볼 수 있고요.
위키에 기록을 남기되 개인위키를 활용하자는 말입니다. [stuck]같은 페이지에서 언제 만날지, 오늘은 누가 나왔는지까지 후에 참고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 [빵페이지/구구단], [복/숙제제출] 같이 페이지 아래 실습한 내용이 분산되지 않고, 각 반의 숙제 페이지는 되도록 문제에 따라 한자리에 정리하면 좋겠습니다. 진행 상황은 페이지를 만들지 않아도 링크를 걸면 되겠죠. -- [Leonardong]
제 말도 그거에요 ㅋ 링크 걸자는 거에요.. 그런데, 개인위키에 적는건 더 분산 아닌가요? 우리가 프로젝트 진행할 때 프로젝트 한 페이지에 여러 링크, 내용을 적잖아요? 새싹스터디2006/날아라병아리 이런식으로 만들어서 그 페이지 안에,우리가 풀었던 문제를 링크거는건 어떨까요?, 뭐 방법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번처럼 새싹스터디 단체로 숙제를 내 주게 될 때는 달라지겠지만요.. -- [허아영]
위키의 [분류분류]나 [지도분류]가 잘 정리될 수 있다면 아무래도 상관없습니다. 이미 여러 프로젝트, 스터디 페이지가 제로페이지 위키에 존재하고 [프로젝트지도]나 [2004년활동지도]같은 곳에 링크가 걸려 있습니다. 개별 스터디 그룹의 메인페이지를 개인 위키에서 유지하고, 숙제등은 제로페이지 위키에 올리고 메인페이지에서 링크를 걸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너구리]라는 스터디 팀이 있고, 팀원이 너굴아빠, 너굴엄마라고 합시다. 너굴엄마가 자신의 개인 위키에 [너구리]라는 메인 페이지를 엽니다. 너굴아빠는 [너구리]페이지를 자기 카페에 가져오기만 하면 되죠. 그래서 스터디 공지나 이런저런 이야기는 [너구리]페이지에서 해결합니다. 그리고 [나무기어오르기]라는 숙제가 있다면, 제로페이지 위키에 [나무기어오르기/너굴아빠], [나무기어오르기/너굴엄마] 페이지를 만들어서 해답을 올립니다. 자신이 만든 페이지이므로 [나무기어오르기/너굴아빠]페이지는 자동으로 너굴아빠의 개인위키에, [나무기어오르기/너굴엄마]페이지는 자동으로 너굴엄마의 개인위키에 생깁니다.
사실 [너구리]페이지는 제로페이지 위키에 있어도 그만입니다. 현재 진행중인 스터디를 모두 링크하는데 [너구리]페이지가 너굴아빠 개인위키에 있든 어디 있든 상관없지요. 다만 최근바뀐글을 생각하면 일장일단이 있습니다. [너구리]페이지가 제로페이지 위키에 있으면 현재 진행중인 스터디를 모든 사람이 한 곳에서 볼 수 있을 것이고, 따라서 다른 스터디도 돌아볼 기회가 많아지겠죠. 반대로 [너구리]페이지가 개인 위키에 있으면 자신의 위키홈에 가야지 볼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위키 사용을 활발히 만들 겁니다.
어느쪽이 되었든 하위페이지는 신중히 만들어야 합니다. 하위페이지는 순간 만들기 쉽지만 갈수록 구조를 바꾸기가 어려워집니다. '''숙제'''로 제로페이지 위키에 있는 페이지를 검색해 보세요.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는 페이지가 있지만, 손보려면 드는 시간이 적지 않을 겁니다. 일일이 페이지를 열어보기 전까지는 그 안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알 수도 없고요. 또 하위페이지는 링크를 걸기가 더 어렵습니다. 상위 페이지 외에는 그 하위 페이지의 역링크 개수는 0에 가깝습니다. 이를테면 [5인용C++스터디/멀티쓰레드]는 [5인용C++스터디]에서만 링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하위의 하위 페이지로 들어가면 더 심해질 것입니다. -- [Leonardong]
- 위키를새로시작하자 . . . . 26 matches
2000 페이지에 가까워 지면서, ZeroWiki의 접근성이 점차 감소하고, 기존의 모든 예절과 규칙이 벽으로 작용하는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위키의 철학과 개념을 교육하는 기회는 없었던것 같구요.
그래서 ZeroWiki 를 막아버리고, Wiki를 새로 시작하면서, 함께 예절과 규칙을 만들어 나가면서 위갭?다시 시작하는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현 ZeroWiki는 읽기만 가능하고, 새로운 위키는 읽기, 쓰기, 삭제(로그인 한 사용자만) 모두를 열어둘 생각입니다. 현 ZeroWiki 상의 예절이나, 규칙은 필요에 따라 재사용, 새롭게 정의 하려고 합니다.
=== 새로운 위키를 시작하자 ===
NeoCoin : 방법은, 현재 위키를 읽기 전용으로, 새로운 위키를 읽기, 쓰기, 지우기 다 열고 새로운 문화, 예절이 만들어 지는 모습을 경험하고 싶습니다. 읽기 전용의 위키의 내용은 전이되거나, 그대로 남거나, NoSmoke:SisterWiki (차후 연결) 하거나 하고 싶습니다. 더 나아가, 모든것에 대한 재정의와 다시금 생각해 보기를 해보았으면 합니다.
snowflower : 제로위키를 시작하고나서 쓰는 중간에 결정된 것들이 많고, 제대로 적용된것도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룰 밑에서 모두가 멋지게 쓸 수 있는 위키가 탄생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모두가 멋지게 쓸수 있는 위키보다. 현재의 위키가 존재함으로서, 새로운 신입회원들이나 02 학번 정도의 사람들은 위키의 페이지가 처음 생기고, 예절과 규칙이 생기는 그러한 경험들을 본의아니게 박탈 당해 버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 경험을 돌려주고 싶습니다. --NeoCoin
성사 된다면, 현 위키 데이터는 읽기 전용으로만 접근 가능하도록 할 생각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삭제 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NeoCoin
위키 자체가 읽기 전용인것이기 보다는, 별도의 위키로 두는 것은 어떨까요? (물론.. 지금도 기존의 페이지가 별로 수정되고 있지 않아서 read-only 나 마찬가지인 상황이긴 하지만.) --[1002]
[1002] : 사람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고민할지 걱정이긴 하지만.. 뭔가 더 나은 방향이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른 위키들을 보면서 어떤점이 장점이고, 어떤점이 단점인지, 어떻게 해결해나가야 할지에 대해 판단을 하시기를. 뭔가 잘 만들어진 것들은 공짜로 이루어지지 않기에.
좋고 나쁜것은 모두에게 달려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겠지요. 일단, 새로운 위키를 열겠습니다. --NeoCoin
저의 경험으로 볼 때, 단지 새로 시작하는 것이 "새로운 것"을 가져다 주지는 않습니다. 동시에 두개의 위키를 돌리든가 하고, 새 위키에는 새로움의 어포던스(예컨대 비쥬얼 등)를 제공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새 위키에는 대다수는 읽을 수 있고, 몇 명만 쓸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규칙을 만들어 나갑니다. 우선은 규칙에 대한 규칙(메타규칙)을 만듭니다. 예컨대 "전체 규칙 수는 9개를 넘지 않는다"든지... 그리고 가능하면 생성적인(generative) 환경을 만들려고 합니다 -- 야구선수가 공을 받는 방법을 미적분학으로 풀어내기보다, 공이 보이는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한다든지 하는 휴리스틱적인 규칙으로 접근합니다. 필요없는 것은 제거하고 꼭 필요한 것만 남깁니다. 제거해보고 해보고, 붙여보고 해봅니다. 예를 들어, 현 위키에서 들여쓰기가 불가능하다면 어떤 세계가 펼쳐질까요?
이 작업을 할 때에는 "이번 기회를 통해 새 제로위키를 만들어야지"하는 마음보다, "이번 기회에 여러가지 모델을 실험해 봐야지"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좋겠습니다.
새로 만든 위키를 보니 지금 위키와 아무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나가면 똑같은 위키를 만드는 수고를 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왜 새로 시작합니까? 여러분의 대답은 무엇입니까? --JuNe
음.. 저도 1'WIKI에 프로젝트 페이지를 옮기긴 했지만 좀 그랬습니다. 새로운 규약과 규칙이 만들어지자는 의견이 있는걸로 아는데요. 지금 0'WIKI의 내용을 옮겨 놓으면 그냥 예전의 위키가 되어버릴것 같습니다. 차라리 1'WIKI사용을 아직 하지 말로 나중에 시작하는건 어떨런지요? -[상욱]
기존의 정보들을 옮겨놓자는 의미가 아니었습니다. 새로 만들어 지는 페이지들이 그쪽으로 가고 있는 것이지요. 지금 그렇게 되고 있고, 어쩌면 프로젝트를 위한 특화된 위키가 될지도 모를것 같군요.--NeoCoin
- HelpOnFormatting . . . . 22 matches
위키위키는 좀 더 직관적이면서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세트의 문법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HTML 문서를 만들기 위해서 HTML문법을 알아야 하는 것 처럼 위키위키 페이지를 만들거나 고치기 위해서 위키위키 문법을 알아야 합니다. HTML문법은 직관적이지 않고 복잡한 측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HTML문서는 매우 간단한 문법을 알기만 하면 만들 수 있습니다. 위키위키는 이러한 문법을 좀 더 단순화 시키고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규칙으로 구성되도록 고안되었으며 조금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위키위키의 문법을 쉽게 이해하고 배우실 수 있습니다.
한 단락 내에서 강제로 줄 바꿈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BR]]}}}를 씁니다.[[BR]]이것은 위키위키의 고급 기능에 속하는 [매크로문법] 입니다.
위키위키 문법을 무시하게 하기 위해서 중괄호 세개를 {{{ {{{이렇게}}} }}} 사용하게 되면 글꼴이 고정폭 글꼴로 보여지게 되며 ({{{monospace font}}}) 만약에 이 문법을 여러 줄에 걸쳐 사용하게 되면, 중괄호 블럭의 모든 공백이 보호되어 프로그램 코드를 직접 삽입하여 보여 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모든 위키 문법은 무시되고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게 됩니다.
보여지게 됩니다. 모니위키는 php와 같은 기본적은 소스 코드 컬러링을 지원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소스 코드 컬러링은 모니위키의 ProcessorPlugin이라 불리 고급기능중의 한가지 입니다.
== 모니위키 확장 ==
/!\ 모인모인은 {{{^MoinMoin 윗첨자^}}} 라고 하면 윗첨자가 되지만 모니위키는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 공백이 있는 경우에는 {{{^^모니위키는 이렇게^^}}} ^^모니위키는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 모인모인의 경우에는 여러줄에 걸쳐있는 경우에도 이러한 기본 문법이 적용되지만, 모니위키의 경우 기본 문법은 반드시 한줄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 위키의특징 . . . . 21 matches
= 위키의특징 =
* 참고로 노스모크에서 위키에 대한 설명들을 참고 하였다.
'''위키와 게시판(블러그) 비교'''
|| 요소 || 게시판(혹은 블러그) || 위키 ||
|| 페이지온도의 변화 || 작성시간이후 계속 낮아짐.(이러한 이유로 질&답 게시판을 보면 같은 내용의 질답이 많다 사람들이 작성날짜를 기준으로 글을 보고 쓰기 때문)|| 참여에 따라 언제든지(위키에서는 생성날짜보다 그글의 수정(혹은 생성-최근바뀐글)되었는지가 기준이 된다. 글에 대한 접근이 각글을 읽다가 링크를 따라서 여러가지 글에 대한 접근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사람들의 관심을 가지는 글들은 재조명 받을수 있다.||
* 개인위키 와 블로그의 비교 (위키는 커뮤니티, 혹인 개인 위키로 사용함)
* 개인위키 : 스쳐지나가는 아이디어들을 쌓아서 결국 체계적인 정보 자료집을 만들어나가고자 할 때에 유용, 종국에 있어서는 체계적으로 정리된 지식의 형태가 된다. 개인위키는 블로그처럼 타인에게 보여주기 윈한 목적보다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인 경우가 더 많다. 어느 누구에게 공개하지 않고 홀로 써도 많은 가치를 얻는다. 반면 블로그는 비공개 일기장으로 쓰는 경우는 별로 없다. 객관화된 양질의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위키가 훌륭함.
'''MindMap [위키위키]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비교'''
|| '''구분''' || '''MindMap''' || '''[위키위키]''' || '''KMS''' || '''[블로그]''' ||
* MBTI유형중 N(직관)형이 위키를 많이 사용. N형은 개별 사실보다 사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지가 선행된다. 처음 본 사람이 어떤 머리형을 하고, 어떤 셔츠, 어떤 바지, 어떤 구두를 신었는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전체적으로 풍기는 느낌을 먼저 catch 하게 되며, 이것은 개별 사실들의 전체적인 연관성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 위키가 이런 N형에게 그러한 수단을 풍부하게 제공함. 수평적으로 나열된 사실들에 대해서 적절한 링크(혹은 지도패턴)을 사용하여 관련을 맺어줌으로써 개별사실이 가지는 합 이상의 정보를 창조.
== 위키의 장점 ==
*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많은 지식을 머리속에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는 유용한 지식이 어디 어디에 있는지 알면서 쉽게 찾아내는 사람이 지식인이다. 그런 의미에서 위키는 자신의 개인적 지식이나 특정 커뮤니티에서의 지식등을 체계적으로(사람의 두뇌 구조와 유사한 방식.. 링크 - 유사연상) 관리한다. 사람의 두뇌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에 일종의 외부 두뇌(external brain)로 볼수도 있다. 위키위키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객관화된 사실이나 진실을 찾아가는데는 탁월하다.
- 제로Wiki . . . . 20 matches
* 제로페이지 위키 서비스 개시와 함께 다시 재개
* 게이트웨이 서버에 추가 서버를 등록만 시키면 유기적으로 다른 서버들과 연결이 된다.(마치 하나의 컴퓨터 처럼 보인다), 각 개인 위키 혹은 카페 위키를 생성할때에 자신의 원하는 서버를 지정하면 그곳에 그 위키가 생성된다. 그 위키에 대한 페이지 데이터들은 모두 그 서버에 저장이 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았을때에는 하나의 웹사이트처럼 보인다.
== 위키 분양 ==
* 개인 위키 및 카페 위키를 개설하게 해준다.
* 개략적 설명 : 각 페이지는 자신의 뇌의 일부분으로 생각 할 수 있다. 각 페이지는 다른 페이지들과 종속 및 포함 관계를 가질 수 있다.(페이지 링크를 통해서 가능함) 그리고 이 페이지를 다른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기존 위키 처럼 하나의 커뮤니티에서의 공유가 아니라 다양한 커뮤니티 사이트들이 서로 서로 페이지를 공유 할 수 있게 되고, 그 공유 페이지가 업데이트 되었을 경우 현재 공유중인 모든 커뮤니티에 그것이 반영된다.(수정된글 목록에 떠서 사람들에게 환기 시킨다)
* 하는 방법 : 예를 들어서 제로페이지 카페에 자신의 위키에 있는 페이지를 올리고 싶을 경우 먼저 제로페이지 카페에서 화면 오른쪽 상단의 가입하기 버튼을 눌러서 가입한후, 올리기를 원하는 페이지를 고칠때 카페 선택을 제로페이지로 하고 나서 저장하면 그후로 계속 공유 관계가 유지된다.
* 자신이 어떤 카페에서든지 새로 만든 페이지는 자신의 개인 위키에 그글이 자동으로 등록 된다. 그글에 대한 반응을 자신의 위키에서 볼 수 있고, 자신이 어떤 카페에 글을 썼는지 기억 못하는 문제도 해결해 준다.
* 자신이 페이지 만드는 데에 참여하고 싶은 페이지는 그 페이지가 있는 카페에 가서 그 페이지를 저장할때 카페에 자신의 개인위키를 지정함으로써 자신의 개인 위키에 그 페이지를 등록 시킨다. 그러면 그 페이지와 자신의 개인 위키가 공유 관계를 가지게 한다.(공유 관계 : 공유 중인 페이지가 업데이트(수정) 될 경우 공유 관계에 있는 모든 위키에 그것이 반영된다.)
* 예를 들어서 여러 명이서 특정 책을 중심으로 스터디를 진행할때 스터디 페이지를 각 개인 위키와 공유 페이지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 현재는 다른 위키 엔진으로 만들어진 위키들의 바뀐글들을 볼 수 있다.
* 같은 제로 위키 내의 다른 카페의 바뀐글도 오른쪽 같은 문법으로 본다. (이런 식의 문법으로[refer 카페url])
- 일반적인사용패턴 . . . . 19 matches
위키위키를 처음 방문하시면 FrontPage에 들어오실겁니다. FrontPage는 말 그대로 대문이 되는 첫 페이지로, 현 이 위키공간 항해의 시작점이 됩니다. 처음 방문하실때에는 FrontPage부터 시작하셔서 각 페이지 링크를 클릭하셔서 항해하시면 됩니다.
위키의 페이지들은 빨리 읽고 지나갈 글들이 아닙니다. 하나의 페이지가 현재의 모습을 띄기 위해서 수많은 손들에 거쳐가며 수정되고 추가되고 삭제되었습니다. 해당페이지에 대해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읽어나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다가 해당 페이지를 수정하고 싶으실때가 있으실 겁니다.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싶을때, 내용을 덧붙이시고 싶을때, 토론중인 내용에 참여하시고 싶을때, 또는 토론중인 내용을 정리하여 하나의 문서로 만들고 싶을 때 등등.. 그럴때에는 거침없이 왼쪽 최하단의 'Edit Text'를 클릭하신뒤, 해당 페이지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위키위키의 공간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으며, 누구나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해당 주제에 대해 새로운 위키 페이지를 열어보세요. Edit Text 하신 뒤 [[ "열고싶은주제" ]] 식으로 입력하시면 새 페이지가 열 수 있도록 붉은색의 링크가 생깁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신 뒤, 새로 열린 페이지에 Create This Page를 클릭하시고 글을 입력하시면, 그 페이지는 그 다음부터 새로운 위키 페이지가 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단의 'Go' 에 새 페이지 이름을 적어주세요. 'Go' 는 기존에 열린 페이지 이름을 입력하면 바로 가게 되고요.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새 페이지가 열리게 된답니다.
어느정도 위키에 익숙하시다면 보통 최근 바뀐 글 또는 RecentChanges 를 링크로 걸어놓으십시오. 가장 최근에 수정된 페이지들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키의 특성상 한 페이지가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크롤을 위해 휠만 사용하는 것보다는 Page Up, Page Down을 적절하게 사용하시는 것이 편합니다. 한쪽손은 키보드, 한쪽손은 마우스.~
위키위키의 장점중 하나로 자유로운 링크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auto link를 지원하므로 해당 위키 페이지 링크 뿐만 아니라 다른 웹 페이지의 링크도 자유롭습니다. (쓰다가 보면 가끔 위키 내에서 다른 페이지로 날라가기 허다해진다는. --;) 위키페이지 링크는 [[ "해당페이지이름" ]] 을 하시면 되고, 일반 웹 페이지는 URL을 그냥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 하단을 보면 LocalSiteMap 이 있습니다. 위키의 링크구조를 Tree 화 하여 보여줍니다.
* 페이지를 삭제하지 않은 경우 - 한쪽 창에서 상단 오른쪽의 파란아이와 짝짝이 안경(?)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의 히스토리와 페이지의 수정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파란아이를 눌러서 복구하고 싶은 버전을 View 하십시오. 그 다음, URL 입력창에서 action=recall 을 action=raw로 바꾼 후 해당 내용을 다시 복사하시면 됩니다. (이때는 Frame 안에서 작업하지마시고, 위키 페이지를 직접 전체화면으로 하여 해당 URL이 보이는 상태에서 작업하십시오.)
기본적으로 이 위키(모인모인)에서는 페이지 이름 수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페이지 이름 수정시에는 할 일이 많습니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도록 하세요.
["위키분류"]
- 네이버지식in . . . . 17 matches
요새 잡생각이 많아져서 일기에다만 쓰고 있었는데 위키가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다.ㅡㅡ;
네이버 지식in은 폐인까지 생겨나면서 비슷한 위키는 이렇게 참여가 저조할까.
지식in이란 서비스는 질문에 답변을 해주는 게시판 형식이긴 하지만, 참여가 자유롭고 한 주제에 대해 글을 쓴다는 점에서 위키랑 비슷하다는 생각이다. '''오픈 백과사전'''이라는 게 있기도 하던데 이게 위키랑은 더 비슷한 형태이지만 지식in에 대면 별로 인기가 없어보인다.
가장 먼저 떠오른 건, 이용자 수였다. 이용자 수가 엄청나게 많다는 점이 지식in서비스를 활발하게 해 주었다. 이용자 수가 많아진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텔레비전 광고까지 낼 정도로 홍보를 해서 그렇지 않을까? 반면 위키 홍보는 몇 번인가 하고는 그 뒤로는 사람들이 알아서 쓰기를 바랬던 것으로 보인다. 알려지지 않은 서비스가 아무리 많은 장점이 있다 한들 사람들이 알아야 쓸테니까, 위키 사용이 활발하지 않은 건 일단 덜 알려져서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는 익숙하지 않은 형식이었다. 아예 인터넷을 처음 만나는 사람이라면 익숙한 형식이 있지도 않겠다만,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쓸 때는 게시판에 제목과 이름과 내용정도가 달린 게 글 형식이고, 글 제목이 목록으로 한 페이지에 나오는 형식이 익숙한 형식일 것이다. 때문에 전부 '''내용'''처럼 생긴 위키를 보고는 일단 다르게 생긱 형식에 바로 적응하지는 못할 것이다. 쓰기 어렵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때문에 위키가 엄청난 장점을 가져서 적응하는 노력을 들이고 싶을 만 하지 않다면 굳이 사용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Leonardong]
그 차이는 의외로 아주 간단합니다. 네이버지식인과 같은 시스템은 개인의 명성(reputation)에 대한 욕구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습니다. 개인을 더 드러내는 것이죠. 반대로 위키는 개인이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명성 시스템이 아닙니다. see also ForgiveAndForget 이는 XP 철학과도 상통합니다. XP에서는 너희 팀에 영웅이 누구냐는 질문에 답이 바로 나올 수 있는 팀을 좋지 않게 봅니다. 영웅이 있는 팀은 위험한 팀입니다. XP는 보상도 팀단위로 받고 책임도 팀단위로 지는 것을 이상적으로 봅니다.
이와 관련하여, 제가 국내에서 최초로 위키위키를 대중매체에 소개할 때에 "대부분의 집단에서 파워라는 것은 제한과 배제에서 오지만, 이곳의 파워는 자유와 참여에서 온다."는 말을 했습니다.
우선 '위키'라는 개념과 형식은 사람들에게 생소하고 낯설게 다가오게 마련입니다. 기존 '게시판' 에 익숙해져있던 사람들에게 위키의 사용은 하나의 모험으로 작용하겠죠. 사람들에게 있어서 낯설음,생소함등은 곧 거부감으로 직결되기 쉽습니다. 이러한 거부감을 없애려면 굉장한 노력과 시간과 자본이 투자되어야 하겠죠. MS 사의 윈도우즈가 성공한 요인이 뛰어난 기능과 능력이 아닌 '익숙함'이라는 것은 왠만큼 소프트웨어를 알고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상식이죠.
또하나 '보상과 동기부여' 라는 차원의 면에서 생각해 본다면, 네이버는 이미 매체를 통해 어느정도 인지도를 쌓은 후에 그 인지도를 십분 활용하여 '보상과 동기부여'를 제공합니다. 네이버와 위키의 공통점은 참여의 제한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집단에서 파워라는것이 '제한과 배제'에서 나온다고 하셨지만, 네이버의 지식인 '제한과 배제'라기 보다는 '노력(실력)에 따른 보상'이라는 자본주의 정신과 일맥상통한다고 봅니다. '보상과 동기부여' 이것이 네이버와 위키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생각합니다.
야후에서 위키서비스를 한다는군요. 서비스업체로서의 '위키'라는 이름을 걸고 서비스를 시도하는 건 처음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1002]
- 동문서버위키 . . . . 17 matches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동문 간의 소통을 위해 최초로 연 위키.
동문서버위키가 현 상황에서 제로페이지의 위키나 다른 성공적 위키 사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이 저조하고 NoSmok:DegreeOfWikiness 가 낮고 무엇보다도 사람들이 해당 위키를 통해 얻는 "삶 속에서의 가치"(혹은 효용)가 없어서 한마디로 실패한 커뮤니티 사이트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데에 실패했다고 본다. 일단 사람들이 위키를 현재 (익명) 게시판의 연장 혹은 (조금 저열한) 보조물 정도로 여기는 인식이 굳어졌다고 본다. 특히 최근 동문서버위키를 살리려고 감성사전 페이지를 만드는 등 구제 노력이 있었으나 그것은 오히려 상황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고 본다. 한번 여러가지로 생각해 보고 분석하고 함께 논의해 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김창준
* 테스트 기간때의 개인페이지의 영향 - 동문서버팀에서 '좋은 선례' 를 만들어보기 위해 동문서버 프로젝트 자체가 돌아가는 모습 (ex - [http://dongmun.cse.cau.ac.kr/phpwiki/index.php?PPGroup_Board 동문서버게시판프로젝트]) 을 일부러 위키에 남겨보고, 몇몇 사람들이 공동번역페이지나 스터디 페이지 같은 것들을 열어봤었지만. 이미 그때 사람들의 주 관심사들은 자신들의 페이지들에 일기를 남기는 것이였었죠. 그 이후, 인식을 바꿀만한 사건들이 나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
* 위키 스타일의 이해차이 - 이미 잘 정립된 위키스타일을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 있던가 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도 있었죠. 이미 잘 정립된 위키스타일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바로 위키초심자에게 해당 룰을 적용하는 일은 위험한 것이라는 것을 그때 느꼈죠. (일부 사람들은 자신들이 작성하던 페이지를 도로 삭제하기도 했었죠. 위키의 룰이 강제성이 없으며, 반론을 제기할 수도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시간낭비하기 싫었던 것일까요.. 쩝) 위키의 룰은 결국 위키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용해나가면서 서로 암묵적으로 인정해나가는 것들이 룰로서 올라가지, TopDown 식으로 명령하달식으로 내려 올 수 없는것이겠죠.
* 주제의식의 부족 - 이것은 앞의 이야기와 이어지는데요. 인식을 바꾸지 못했던 점과 이어지죠. 주제에 대해서 [http://dongmun.cse.cau.ac.kr/phpwiki/index.php?%B5%BF%B9%AE%C0%A7%C5%B0 동문위키] 페이지에서 언급을 했었으면서도 실제로 열려있는 페이지들이 그러하지 못했죠. 이는 시험서비스였다는 점도 작용하겠지만, 시험서비스가 기간이 너무 길었죠. (기약없는 시험서비스기간) --석천
* 할말이 없네요. 다 옳은 말이니. 생각해 보면 동문위키를 프로젝트의 구심점으로 삼은 사람이 없다는게 이상할 정도 입니다. 더구나, 현재의 감정사전과, 개인의 신변 잡기식 글들이 늘어나면서 해당 툴의 접근 폭력성이 더 늘어나 사태가 더 심해지는 것 같네요. 현재 ZeroWiki 도 침체의 길을 가느냐, 아니면 꾸준히 활성화냐 이렇게 될것 같은데 약간 걱정입니다. --상민
- 위키에대한생각 . . . . 17 matches
위키에 대한 솔직한 생각을 적어 주세요.
* 처음 위키를 접했을때 '뭐 이딴게 다있어' 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있다. 접한지 6개월정도 지났지만, 아직도 그다지 위키가 강력하다거나 혹은 일반 게시판보다 뛰어난점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아직 위키를 제대로 모르는걸까.......암튼 뭐 그렇다.--[아무개]
== 자신이 생각하는 위키의 장점 ==
== 자신이 생각하는 위키의 단점 ==
* SeeAlso NoSmok:일반게시판 NoSmok:위키게시판 NoSmok:WikiIsNotABulletinBoard
*위키는 최근바뀐글을 보고 그 페이지의 참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조회수를 보고 참여하는 것에 익숙한 사람들은 다소 어색한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를테면, 내가 어느 위키페이지에 글을 남겼는데 그 페이지를 보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생겨 그 페이지에 대한 참여를 더디게 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이 그 페이지를 보기만 하고 글을 남기지 않는다면 최근바뀐글에 그 페이지가 업데이트 되지 않으므로, 참여 의욕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해당 페이지에 조회수를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나타낼수는 없을까? (물론, 조회수를 나타내면 참여가 적은 페이지를 두번 죽이는 경우가 될수도 있다 ㅡ.ㅡ;;)--[문원명]
=== 위키를 안 쓰는 사람과 교류가 거의 없다. ===
다른 위키를 쓰는 사람과도 마찬가지인듯. 모르는 사람이 여기에 글을 쓸까. 아니 쓰기는 커녕 읽기나 할까.
* 소스 단위 기능 재 디자인 - 예) http://openlook.org/ 위키와 블로그를 섞어 놓으셨다.
* 웹게시판과 위키와 구조적 차이에서 오는 덜 예쁘다 측면?
* 글쓰기(EditText) 같은 버튼이 눈에 잘 안 들어올지도 모른다. 아이콘에 익숙해져버린 사람들 탓일까. 하지만 오른쪽 위에 아이콘이 있지만, 처음 위키를 쓰는 사람이 아이콘만 보고 무슨 의미인지 파악하기란 힘들 것이다.
'''제로(혹은 원)''' 위키라는 말도 생략하고 쓰는 듯 합니다.--Leonardong
'''위키에 첨으로 글을 남깁니다....신기해라...^^; 위키에 들어오는 사람들은 모두 착하다...라는 전제하에..흠흠..--'''Dokody
- 학술터위키와제로페이지위키링크문제 . . . . 15 matches
-상협- 이번에 학술터를 위키로 만들어서 활성화 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동문서버팀과 정통부가 연계되어서 추진하고자 합니다. 동문서버팀이 위키를 만들어 주면 정통부에서 그 위키에 필요한 기본적인것들을 채우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위키가 처음 열릴때 기본적으로 사람들을 끌어모을만한 아이템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서 제로페이지에서 완료된 페이지들을 링크걸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이에 대해서 제로페이지인들의 허용 여부를 알고 보고 싶어서 이렇게 페이지를 개설 하였습니다.
* 학술터 위키 초기 발전 용이 - 학술터 위키로서는 처음에 아무것도 없이 시작하는 것 보다는 몇몇 흥미를 끌만한 내용들을 토대로 시작하는 것이 편할 것이다.
* 검색엔진으로부터의 검색문제 - 이 또한 학술터 위키쪽에서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내용이다. 동문서버 관리자 또한 검색엔진 IP를 막아야 하지만, www.caucse.net 전부가 검색엔진를 거부해서는 안되는 일이다. 이는 동문서버 관리자들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 동문서버 학술터 위키에서 자유롭게 이용하되, 출처를 명시하기.
=== 정통부에서 채우는 위키의 내용이란? ===
Q : "정통부에서 그 위키에 필요한 기본적인것들을 채우기로 했습니다." 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 제가 시험해본 결과 엠파스를 통해서 동문서버 위키에 접근할 수 없었습니다. 그건 아마도 동문서버 위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위키 로그인이 아니라 동문서버 로그인)이 필요해서 검색할 수 없었던거 같습니다.
DeleteMe) 제로페이지의 위키 자체를 링크하지 않고 저쪽 위키에 페이지를 열어 필요한 내용만 가져간다면 괜찮을것 같지만.(저작권이 관련 있을까요..?) 이렇게 된다면 제로페이지의 주소는 남지 않겠죠. -- 선호 (정식 답변이 아니라 제 의견입니다^^;)
- HelpOnEditing . . . . 14 matches
#keywords help,문법,위키,위키 포매팅,포매팅
위키위키는 기본적으로, 위키위키 내의 모든 페이지를 모든 사용자가 고칠 수 있습니다. 위키위키는 좀 더 편리하고 직관적인 페이지 편집을 지원하며 편집에 앞서 몇가지 포매팅 규칙을 배우셔야 합니다.
다음 페이지들은 위키위키를 고치는데 필수적인 규칙/문법을 설명합니다:
모니위키는 다음의 특별 기능을 제공하며 참고적으로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위키 포매팅 문법 (위키 마크업)을 테스트하고 싶으시면 WikiSandBox로 가셔서 [[GetText(EditText)]]를 누르시거나 [[Icon(edit)]] 아이콘을 누르시면 WikiSandBox에서 테스트 해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장하지 않더라도 미리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위키 포매팅 결과를 그때 그때 확인하면서 연습하실 수 있습니다.
- AliasPageNames . . . . 13 matches
WikiName,위키네임,위키이름
MoniWiki,Moni위키,모니위키
ExtendedWikiName,확장위키네임,확장위키이름
# 위키위키 관련
WikiSandBox,위키모래상자,모래상자
WikiWikiWeb,위키위키웹
# 존재하는 페이지에는 인터위키(자매 페이지) 혹은 URL도 가능합니다.
모니위키>MoniWiki:MoniWiki
- HelpOnInstallation . . . . 13 matches
* 최신 모니위키는 PHP로 만들어진 RcsLite를 제공하며, rcs 대신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즈에서 모니위키를 설치하는 방법은 ApacheMoniwikiInstaller을 참고 하십시오.
/!\ 윈도우즈 환경에서는 곧바로 monisetup.php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구버전의 모니위키에서는 monisetup.bat를 실행해야 합니다).
설치가 끝났습니다. 이제 위키위키를 즐기세요 !!
모니위키 설치가 끝났지만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설정하고자 한다면 다음을 참고하세요.
* MoniWikiOptions 모니위키의 다양한 옵션을 조정한다.
* 그밖의 질문은 http://kldp.net/projects/moniwiki/forum (모니위키 프로젝트 홈페이지의 게시판)
2. {{{$rcs_user}}}의 기본 값은 "root"이나, 위키를 처음 설치할 경우는 이 값을 조절할 수 있다. 한번 결정한 후에는 이 값을 계속해서 써야한다.
모니위키 1.1.3 이후 최신 버전부터는 UpgradeScript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게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 모니위키 1.1.3.1부터는 MicroApache와 함께 배포되고 있다. MicroApache는 아파치를 작게 줄인 윈도우즈용 배포판이며, 모니위키를 보다 손쉽게 맛볼 수 있게 해준다.
* 위의 링크 설명으로 가보니 모니위키 1.1.2의 문제점은 이미 해결되었고, vim관련 옵션은 VimProcessor를 살펴보세요.
- 위키요정 . . . . 13 matches
[위키요정], [위키정원사]는 위키를 관리하고 가꾸어 나간다.
위키는 마치 정원같다. 그래서 꾸준히 잡초는 뽑고, 큰돌은 치우고 물을 주고 자라는대 방해하는 가지는 제거해 나아 가야 한다.
공개된 [위키위키]들은 누구나 [위키요정] 될수있고, 누구나 되기를 권장한다.
하지만 위키는 일전에 창준이형 말씀대로 NoSmok:WikiGardening 처럼 구두를 수선하는 것보다 정원을 다듬는 은유법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망가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관리하는 것, 정원일이란 그대로 두면 인간에게 불편한 자연을 좀더 편하게 즐길수 있게 만드는 작업이라서 그러한 것일까?
[강희경]은 위키를 처음 접하고 글을 쓰던 그 때, 내가 쓴 글이 form이 일정하지 않다는 이유로 위키요정이 형태를 바꾸어놨을 때 자존심이 상하면서 글 쓰는 것이 꺼려졌었다. --[강희경]
위키를 옳은 방향으로 이끌어 나간다는건 힘든일 같습니다. 수십페이지를 올바른 방향으로 수정하면서 드는 생각은 이렇게 했을때 이 글을 쓴사람이 기분나빠서 위키를 쓰는것을 꺼려하지 않을지 걱정되기도 합니다. 내가 올바른 방향으로 생각하는 것이 다른사람에게는 옳지 않은 방향일지를 항상 고민합니다. 하지만 가끔은 리누즈 토발즈 같은 좋은 독재자가 필요한것도 같습니다. - [안혁준]
[위키분류]
- 프로젝트전용위키 . . . . 13 matches
해당 프로젝트의 산출물이 많은 경우 프로젝트 팀만의 [프로젝트전용위키]를 만들어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공공의 위키보다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집중력있게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ex: http://acup.wo.to)
[프로젝트전용위키]는 일반적으로 해당 프로젝트와 그 생명주기를 같이한다. [프로젝트전용위키]는 해당 프로젝트의 형상관리 툴로 사용될것이며, 구성원들간의 커뮤니케이션용 도구의 역할도 할 것이다.
ZeroPage의 모든 프로젝트들이 ZeroWiki에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거꾸로 ZeroPage의 모든 프로젝트들이 [프로젝트전용위키]를 따로 사용할 필요도 없다.
ZeroPage에서 [프로젝트전용위키] 생성에 편리한 인프라를 구축해준다면 좀 더 효율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ZeroWiki와 ZeroPage에서 만든 [프로젝트전용위키]들은 HierarchicalWikiWiki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프로젝트로 위키가 생긴다고 한다면, 각 프로젝트 팀들의 위키에 대한 자유도는 높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매 프로젝트 때마다 위키를 열 필요가 생긴다. 그리고 해당 프로젝트가 끝난뒤의 프로젝트 위키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하지만, 쓸만한 사람들은 알아서 개인위키 돌리고 있는게 현실이다. 왜 그럴까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긴 해야겠다.) --[1002]
각 프로젝트위키들이 SisterWiki 로 연결되어 있다면 어떨까. --[1002]
- ZeroWikiVsOneWiki . . . . 12 matches
요 몇달간 한가지 목적(위키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과 함께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가며 위키 사용에 익숙해지자는 것)을 위해서 제로위키와 원위키를 나눠서 썼는데, 그 결과나 앞으로 이대로 좋은지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그리고 다시 원위키와 제로위키를 합칠지 그대로 둘지도 생각해봅시다.
제 생각에 결과는 조금 부정적이었던 것 같네요. 우선 원위키에 새로운 페이지가 많이 안 올라오는 데다가, 페이지가 만들어져도 참여를 잘 안 하게 된달까... 그래서 일단 본래 목적대로 새로운 규칙을 만들며 익숙해지자는 취지는 이루지 못 한거 같네요. 그래서 다시 제로위키 하나만으로 돌아가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여기서 갑자기 참여가 많아지리라고는 기대할 수가 없을 것 같네요. -[영동]
위에 보이는대로 한 가지 목적으로 원위키를 나눴는데, 그 목적을 '''처음'''사용하는 분들이 잘 모르고 있지는 않았나? 아니면 많은 다른 사용하는 분들도 모르고 있지는 않았나? 나는 '''처음'''쪽인지 '''함께'''하는 쪽인지 알지는 못하겠지만, 처음에는 생각하고 있었으나 언제부터인가 '''목적'''을 잊고 있었다. 항상 들어가는 페이지(주로 [실시간멀티플레이어게임프로젝트])만 들어가다보니 생긴 현상일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목적'''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목적을 잘 알리고 더 시험해볼 거라면 원위키를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다면야 원위키가 필요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한다. 이 페이지도 영동이형 말대로 참여가 없다면, 토론이 이루어지기는 힘들겠지만 말이다. -[Leonardong]
새로운 스터디 그룹들이 많지 않았던 것과 그나마 생겼던 스터디 그룹들의 활동이 저조한것도 원위키위 목적을 이루지 못한 큰 이유중 하나인것 같습니다.. --민수
- 위키QnA . . . . 12 matches
=== 위키 메뉴의 순서 문제 ===
A : InterWiki 라고 합니다. InterWiki 에 등록된 다른 위키의 페이지를 링크 걸때 사용합니다. 위키간 이름공간을 연결해주는 유용한 매크로. ^^; InterWiki 에 가보시면 현재 등록된 다른 위키페이지들을 알 수 있습니다.~
Q: 현재 Ant 페이지를 작성하고 있는데 Glossary 부분을 만들었고 같은 페이지 내에서 내부링크를 통해 Glossary 내용을 볼 수 있었으면 하는데 이것은 위키에서 할 수 없는지... 답변 바랍니다. ^^
Q: Bioinformatics에 관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소개와 내용의 재정리를 위해서는 많은 이미지 파일들을 위키에 올려야 될지도 모르겠는데, 위키에서의 이미지 사용은 그렇게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A: 임의의 웹사이트(예컨대 자신의 홈페이지, 혹은 제로페이지 FTP서버 등)에 화일을 올리고 위키에는 링크만 남기면 자동으로 이미지가 표시됩니다.[[BR]]
A: 다음 위키의 업그레이드시에 해당 문제의 해결 방법이 제시 됩니다. 지금 올리시면 차후에는 권력을 이용해서 특정인에게 노가다 시키시면 됩니다.
Q: 어디에 글을 올려야 될지 고민하던 중 이곳에 글을 올립니다. 위키를 쓰다가 얼마전부터 느끼기 시작한 점인데요. 이것이 문제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위키의 Recent Changes를 통해 바뀐 글중 관심있는 글들을 봅니다. 변경되었다고 해서 글을 읽어보지만 쉽게 무엇이 변경되었는지 알아볼 수 없었습니다. 시간이 많이 흐른 뒤에나 읽어보게 되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무튼 제가 느끼기에 제가 읽지 않은 부분을 쉽게 알 수 있으면 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미 안다고 생각한 글을 다시 읽어도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 세세한 변화는 눈치채기 힘든듯 합니다.--["Benghun"]
["위키분류"]
- 페이지제목띄어쓰기토론 . . . . 12 matches
우선, 한국어는 영어와 달리 띄어쓰기를 하지 않아도 크게 불편하지 않습니다. 문자와 말의 특성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띄어쓰기를 한 경우보다 정보 손실이 있다는 점은 사실입니다. 현재 모인모인에서는 {{{~cpp ["..."]}}}를 이용해서 확장위키이름을 사용하는 한, 띄어쓰기를 하든 안하든 상관이 없습니다.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을 한다면 그렇게 해보세요. 그리고 나서 토론해 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현재 노스모크는 규칙 변경을 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높습니다.
저는 만약 한글 띄어쓰기를 허용하면 분명 어리버리 영문도 띄어쓰기를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될 것이고, 이는 곧 위키네임이라는 엄청나게 편리한 기능을 사장시킬지도 모르겠다는 우려를 했었습니다(어떤 규칙을 허용하면 그 규칙은 다른 규칙을 점진적으로 파괴하기도 합니다). 노스모크 초기 때에 페이지이름에 대해 엄격한 룰이 없었는데 제가 우려한 현상이 나타났었죠. 한글이건 영문이건, 띄어쓰기를 하는 사람도 있었고, 안하는 사람도 있었고.
DeleteMe) 위키네임이 주는 편리한 기능이란, 손쉽게 같은 내용의 중복을 방지하고 하나의 집약된 문서를 만드는 것인가요? 초기에 노스모크에서 일어난 한글 띄어쓰기 문제가 곧 영문의 경우에도 임의로 띄어쓰게 한 결과를 낳았고, 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중복된' 페이지의 양산,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없는데에서 기인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전, 순수하게 띄어쓰기 자체가 사람이 문자나 내용을 인지하는데 나쁜 영향을 준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현재 자연스러운 글쓰기 형태는 지금 쓰는 문서처럼 띄어쓰기를 허용하니까요. 물론, 제목의 경우에도 예외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정리해서, 띄어쓰기 자체가 띄어쓰지 않는것보다 좋지 않다고 생각하시는건지, 아니면 위키와 결부된 기능상의 문제인지 알고 싶습니다. -- 이선우
거듭 말씀드리지만, 기능상으로는 제한이 없습니다. 그리고 띄어쓰기 자체가 붙여쓰기보다 나쁘다는 어처구니 없는 일반진술도 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구체적인 컨텍스트 속에서 이야기를 해야죠. 위키네임이 주는 편리한 기능이란 단어를 붙여쓰면 자동으로 링크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들이 FrontPage라고 하면 될 것을 {{{~cpp ["front page"]}}}나 {{{~cpp ["Front Page"]}}}, 혹은 {{{~cpp ["Frontpage"]}}} 등으로 링크를 걸었다는 것이죠. 또, 사실 사용자가 띄어쓰기를 하건 말건, 혹은 대소문자를 어떻게 섞어쓰건 일종의 분리층(separation layer)을 둬서 모두 동일한 페이지이름으로 매핑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새로운 규칙 집합(제가 말하는 규칙이란 사람들간의 규칙을 일컫습니다)이 필요할 것입니다. 국문 경우는 몰라도 영문 경우는 띄어쓰기를 하냐 안하냐가 아주 차이가 큽니다. 노스모크는 초기부터 영어 페이지이름을 많이 사용했고 현재도 그러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는 꽤 중요했죠. 또 (영문 경우) 기존의 위키표준을 지킨다는 생각도 있었고요. 하지만 여기는 아직 출발단계이고 하니까 다른 실험을 해볼 수 있겠죠. 아, 그리고 생각이 난건데, 페이지이름을 띄어쓰기를 하게 되면, 사람들이 이걸 위키에서 말하는 어떤 고유한 "단어"로서의 페이지이름(위키의 페이지이름은 "단어"입니다. 그게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단위이기 때문이죠.)이 아니고 게시판에서의 게시물 제목 수준으로 생각하게 되는 경향(affordance)이 있었습니다. 사실 위키에서의 페이지이름은 프로그래밍의 변수이름처럼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붙여쓰기를 하게 되면 사람들에게 기존 의식틀에서 벗어나서 페이지이름이 고유한 것이고, 기존의 게시물 제목과는 다르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른 원인도 있겠지만, 주변에서 페이지이름에 띄어쓰기 붙여쓰기 등 별 제한 없이 자유로운 곳일수록 페이지이름을 페이지이름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만약 띄어쓰기를 허용한다면 오히려 더욱 엄격한 규칙과 이의 전파가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아, 이제야 띄어쓰기에 대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알았습니다. 위키의 철학을 모른채 접근하다 보니, 단순히 띄어쓰기 자체에만 이야기를 한것 같습니다. 위에서 제가 한 이야기가 "띄어쓰기 자체가 붙여쓰기보다 나쁘다"라고 선배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느껴지셨다면 사과드립니다. 그런 의도는 아니었고, 단순히 띄어쓰기를 왜 조심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아 거듭 질문드렸던거였습니다. 전 본 논의를 더 개진하기 전에 위키의 철학을 더 살펴봐야 본 뜻을 살려서 이야기를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 -- 이선우
조금 다른 이야기인데, 특수문자를 페이지이름에 사용하는 문제입니다. 제가 특수문자를 사용하지 말자는 규칙을 만든 이유는, 그것이 발음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발음하기 힘든 단어를 한 사회의 언어에 사용하지 않는 것에는 언어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조직학적, 문화적 문제가 중층적으로 연계되어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한다면 해당 위키 커뮤니티가 더 발전하기 위한 겁니다. 이건 다음에 기회가 되면 자세히 설명을 하죠. 아주 작은 차이 같고, 별 이유가 없고 오히려 더 불편한 것 같지만 사실은 상당한 차이를 불러오는 것들이 많습니다. 페이지이름 띄어쓰기 문제도 직접 실험도 해보고 그 결과에 대해 여러가지 분석, 논의도 해보면서 신중한 결정을 하길 바랍니다. --김창준
- HelpOnUserPreferences . . . . 11 matches
위키위키를 여행하시는데에 사용자 등록을 하시면 편리합니다. 사용자 등록을 마친 후에는 우상단의 아이콘에 [[Icon(home)]]이 보이게 되며, 자신만의 [위키홈페이지]를 만들어 보실 수도 있습니다.
* '''[[GetText(Email)]]''': 자주 쓸 이메일 주소. 이메일 주소를 넣어주면 원하는 위키페이지에 대하여 그 변경점을 구독신청하거나 취소하실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잊으셨을 경우에도 이 이메일 주소를 사용해 새로운 비밀번호를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 '''[[GetText(Date format)]]''': 년-월-일 형식을 바꾸기 ( <!> 모니위키에서 미지원)
* '''[[GetText(Preferred language)]]''': 기본 언어 바꾸기 ( <!> 모니위키에서 미지원) 기본 값은 브라우져 세팅에서 가져오며, 이 설정을 바꾸면 위키위키의 여러 메시지가 언어 설정에 맞게 보여집니다. 이 설정을 바꾸면 메일로 날아오는 알림 메일의 언어도 언어설정에 맞게끔 날아오게 됩니다.
* '''[[GetText(Quick links)]]''': 최상단에 있는 메뉴에 자신이 원하는 링크를 추가하거나 원하는 위키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넣을 수 있습니다. QuickLinks 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 '''[[GetText(Subscribed wiki pages (one regex per line))]]''': 모든 페이지의 변경알림을 받아보고 싶은 경우에 '''`.*`''' 를 집어넣으시면 됩니다. (위키위키가 많은 변경이 있는 경우 권장하지 않습니다.) 각 페이지를 보고싶은 경우에는 각각의 페이지 이름을 줄 단위로 넣으시면 됩니다. 정규식에 익숙하신 사용자의 경우에 정규식을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설정에 따라서 상단의 아이콘 툴바에 [[Icon(email)]]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메일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페이지를 구독하는 폼이 뜨게 됩니다.
- joosama . . . . 11 matches
위키에 그동안 안들어온거 같아서 갑작스럽게 등장!!ㅎㅎ
3월16일엔 위키설명회 이후에 짬뽕을 먹었습니다.
그 유명한 주사마...나보다 더 위키를 잘 쓰는 것 같네. -[강희경]
거의다 텍스트로 이루어진 위키가 바뀌고있다 ..!! --[최경현]
대세를 리드하는..위키를 상당히 즐기는 것 같네.--[Leonardong]
└ㅎㅎㅎ 위키가 넘 재밌어요 ㅎㅎㅎㅎㅠ.ㅠ ㅎㅎㅎ
위키를 참 역동적으로 사용하네~ -[상협]
└고맙습니다. 칭찬으로 여기겠습니다.(저 좋을대로 해석ㅎ) "다이나믹 위키!ㅋㅋㅋ"
히야... 나보다 훠얼씬 위키잘써... ㅋㅋ 태그도 쓰고 멋졍 ㅋㅋ 조신한 05라 개그로 알겠엉 ㅋㅋ - [조동영]
페이지를 볼 때 폰트나 배경 색 같은 걸 정해진대로 보이게 하는 것? 지금 위키 기본 css는 미색 배경에 굴림체이려나. CssMarket--[Leonardong]
여태 본 위키 페이지 중에서 제일 화려해 ...-_- ;;; ㅋㅋ --[최경현]
- 위키설명회 . . . . 11 matches
[부드러운위키만들기]를 시도해 본 행사
SeeAlso [위키설명회2005]
SeeAlso [위키설명회2006]
== 위키와 제로페이지 ==
== 위키 설명과 실습 ==
* 위키 항해하기
* 위키 태그쓰기
* 현재 위키가 사용되는 곳들을 예시하고 (한국 Gnome 사용자 모임, 데비안 사용자 모임, kldp ) 일정 주제에 대한 자료 찾거나 서핑의 시간 (20~60분) 가진후 서로다른 쓰임새에 대하여 토의해 본다.
* 위키의 자유와 방임에 대한 문제에 대하여 토의해 본다. (각 이야기바다 경험자의 사례들이 나올 수 있다.)
* [위키설명회] 도중에 난감했던 한 가지는, 파란아이를 통해 이전 문서의 원문을 볼 수 없어서 페이지 내용을 복구하는 방법을 저조차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안 것입니다. 원래 파란아이로 원문을 볼 수 없었나요? --[Leonardong]
SeeAlso NoSmok:페이지복구하기 . 위키 설명회 전 해당 기능들을 실행시켜보았나요? --[1002]
- HelpOnActions . . . . 10 matches
모니위키는 액션이라는 확장기능을 제공합니다. 액션은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 혹은 전체 위키에 대한 특별한 확장 기능을 말합니다. 매크로와는 다르게 위키 페이지에 직접 매크로를 삽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페이지를 다른 방식으로 보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를 편집하는 기능를 `edit` 액션이라고 하며, 북마크를 하는 기능은 `bookmark`액션을 통해 이루어지고, 전체 검색, 제목 검색, 역링크 검색 등등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액션은 플러그인 방식으로 다른 기능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게 하여 위키의 풍부한 기능을 가능하게 만들어주고, 일부 액션은 페이지의 내용과 상관 없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페이지 지우기 기능은 DeletePage 혹은 페이지 이름을 바꿔주는 RenamePage 기능)
다음의 내용은 모니위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액션이며, 아래에 기술된 액션의 일부는 시스템에 따라서 비활성화 되어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 `!DeletePage`: 파일 지우기 - 하단에 파일 지우기 액션 메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액션을 누르면 페이지의 최종 백업본이 지워지지만 페이지의 역사는 계속 남아있으므로 (시스템 관리자가 이것을 지우지 않는 이상) 언제든지 복구할 수 있습니다. 일부 위키에서는 지우기가 활성화 되어 있지만, 모니위키에서는 기본적으로 관리자만이 페이지를 지울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 `revert`: 구 버전의 페이지로 되돌리기 위한 액션 (모니위키 1.1.3부터 지원)
* `raw`: 페이지의 소스(raw)를 텍스트로 그대로 보여주는 액션. 위키 문법을 볼 수 있게 해준다.
모니위키의 모든 액션은 MoniWikiActions 페이지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HelpOnPageCreation . . . . 10 matches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 위키에서 일반적으로 권고되는 방법으로는 먼저 원하는 페이지로 가서 편집을 해서, {{{FoobarPageName}}}이나 , {{{[[어쩌고페이지]]}}}식으로 위키링크를 본문에 집어넣고 저장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새롭게 갱신된 페이지에 새로운 링크가 생기게 되는데, {{{FoobarPageName}}} 혹은 {{{[[어쩌고페이지]]}}}라는 위키링크가 새로운 페이지를 가리키게 됩니다. 새로운 페이지는 아직 없기 때문에 새롭게 만들어진 위키링크는 색상이나 모양이 약간 다른 형태로 보이게 됩니다. 이것을 클릭하면 페이지를 새로 만들것이냐는 대화 메시지 혹은 비슷한 이름을 가진 페이지 목록을 보여주게 되며, 원한다면 새롭게 페이지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새롭게 페이지를 만드는 경우도 일반 페이지를 편집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고칠 수 있습니다. 편집 폼에 내용을 채운 후에 최초 저장을 하면 페이지가 진짜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한번 만들어진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지울 수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FootNote(페이지 지우기는 모니위키 설정을 통해 변경가능합니다. 또한 모니위키에서는 페이지를 지우더라도 변경 역사까지 지우게 되어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언제든지 복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위키 페이지를 처음 만들 때에 위키 페이지 이름을 잘 만드는 것이 낫겠지요.[[FootNote(모니위키에서는 페이지이름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페이지이름에 대한 별명을 만드는 방식도 지원합니다)]]
템플릿 페이지는 조금 특별하게 취급되는 페이지입니다. 페이지를 만들되 페이지 이름이 "'''Template'''"로 끝나는 페이지를 만들면 그것이 템플릿 페이지가 됩니다. [[FootNote(위키 관리자에 의해서 Template로 끝나는 이름이 아닌 다른 형태의 이름으로 그 설정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템플릿 페이지는 페이지를 새롭게 만드는 경우에 목록으로 제시되게 되며, 템플릿 페이지를 선택하면 그것이 처음으로 편집 폼에서 인용되어 처음 만드는 페이지를 보다 쉽게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 HelpOnProcessingInstructions . . . . 10 matches
모니위키 페이지를 처리할 때에 프로세싱 인스트럭션 (PI)에 의해 그 기능이 제어될 수 있습니다. 프로세싱 인스트럭션은 페이지의 맨 상단에 위치하며, "{{{#}}}" 문자로 시작하는 키워드(대소문자 구분없음)로 구성되며 인자가 선택적으로 붙을 수 있습니다. {{{##}}} 두개가 시작되는 줄은 주석줄로 처리됩니다.
* '''wiki''': 기본 위키 마크업
* '''html''': 일반 html (일부 위키에서는 지원되지 않을 수 있음)
* '''StructuredText''' ( <!> 모니위키에서 지원하지 않음)
* '''markdown''' : markdown 문법을 지원합니다. 모니위키 1.1.3 이후
* '''textile''' : textile 문법을 지원합니다. 모니위키 1.1.3 이후
== 모니위키 확장 ==
* {{{#redirect}}} ''url'' : 페이지를 보게되면 `url`이 가리키는 곳으로 이동한다. `url`은 페이지 이름이 될 수도 있고, 인터위키, url 등등이 될 수 있다.
* {{{#filter}}} ''filter1'' | ''filter2'': apply MoniWikiFilters supported by the 모니위키 '''1.1.0'''부터
* {{{#alias}}} ''alias1,alias2'' : 페이지의 별명을 설정한다. (모니위키 '''1.1.5''' 부터)
- HelpOnUpdating . . . . 10 matches
/!\ '''위키를 업그레이드 하기 전에 꼭 백업하세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기존의 데이타를 잃게 되거나 하지는 않으나, 아주 사소한 실수로 예전의 데이타를 잃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이 문서는 모니위키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다른 웹 호스팅 사이트로 이전하고자 할 때 필요한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MoniWiki는 기본적으로 backup과 restore 액션을 지원하므로 다른 사이트로 이전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으며, rcs를 설치하지 않은 위키에 대해서도 정기적은 backup만으로 자신의 위키 데이타를 비교적 안전하게 보존할 방법을 제공합니다.
모니위키 1.0.8 버전 이전에는 간단한 업그레이드를 위한 자동화 스크립트를 제공하지 않으며, 1.0.9버전 이후에는 간단한 업그레이드 스크립트(UpgradeScript)를 제공합니다 (upgrade.sh)
UpgradeScript가 하는 일은, 위키 엔진(*.php)을 업데이트하고, 기존의 위키엔진을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해서 사용하고 있던 *.php는 없는지 검사하고 사용자가 변경한 *.php파일이 있다면 백업해줍니다.
모니위키를 설치한 후에 `config/*` 및 `config.php`를 제외한 특별히 다른 아무 소스파일도 변경된 것이 없다면, 새로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단순히 덮어 쓰는 것 만으로도 업그레이드가 완료됩니다.
`wiki.php`, `wikilib.php`는 가장 중요한 위키엔진입니다.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변경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아마 이 두개의 파일일 것입니다.
위의 단계를 통해 기본적인 업그레이드가 완료됩니다. 그 다음에는 모니위키가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에 위치한 예전의 `config.php`는 새 버전의 `config.php.default`를 참고해서 바뀐 점이 없는지 혹은 새로운 기능이 첨가된 것은 없는지 점검합니다.
- WikiSandPage . . . . 10 matches
* 위키가 넓어 hi 져서 좋아요~~ >__<ㅋ
a. 위키위키
a. 이것도 위키위키
a. 저것도 위키위키
i. 위키
i. 키위키위
[위키분류]
- 문서구조조정토론 . . . . 10 matches
["neocoin"]: 그렇다면 저에게는 지금까지 페이지가 나온 이유 자체가 모호해 집니다. 그럼 말씀하시는 주제가 결국 "문서 구조 조정은 신중히 해야한다."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의견이라기 보다 문서 구조 조정시의 기본 명제라 생각하며, 이중에 말씀하신 "문서 구조 조정시에 위치 변경은 글쓴이의 의도의 방향을 바꾼다."라는 것도 문서 구조 조정을 신중히 겠지요. 이런 것은 당연히 동의 합니다. [[BR]] 이것에 반대한다는 말이 없고, 이는 해당 의견의 암묵적 동의라고 생각하고, 잘못된 부분에 대하여 다시 구조조정을 해 주십사 원한 것인데, 다시 대화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어서 "문서 구조 조정자"와 "문서 작성자"로 나뉘어서 접근하시는 말씀인것으로 받아 들였습니다.[[BR]]해당 글처럼 잘못 된 부분의 지적 이후, 고치지 않는다면 다른 이가 해당 문서를 더 고치지 못하는 위화감 이랄까요. 그런것이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위키에 00들와 01들이 이러한 "조심스러움의 유발 요인" 때문에 활발히 글을 날리는데 방해가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글을 장려하는 입장에서 글을 계속 올리다 보니, 대화의 주제가 어긋난 것 같습니다. --상민
["혀뉘"] : 위키 사용에 있어서 , 기존의 게시판과 같은 '글' 편집의 독자성,일관성 을 보장받지 못하다보니 이런 토의가 필요하게 된것 같군요. 사실 위키는 이러한 편집의 권리를 많은부분 '공유' 한다는 개념에서 나온것이기 때문에, 이를 너무 의식하면 위키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이런 일이 생기는 이유가, 그동안 ZP 의 움직임에 대해서 토론할 주제들이 많았기 때문에, 위키를 토론의 목적에 사용해서 그렇지 않았나 싶군요. 누구든지 글을 수정 할 수 있다는 위키의 장점이, '토론' 분야에 적용하면서 단점으로 바뀌게 되었다고 봅니다. '토론' 분야 만큼은 편집의 독자성을 보장 하는것이 어떨까요? 문서의 종류에 따라, 사실에 기초한 문서는 여러사람이 손을 대서 '완전에 가까운 문서' 를 만들어낼 수 있겠지만, '의견' 에 기초한 문서는 여러사람이 손을 대면 댈 수록 본래 의견제시를 했던 사람의 '의견' 은 훼손됩니다. 편집의 독자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망치로 대패질 할 수는 없는게 아닐까 합니다. 망치를 쓸 곳에 대패를 사용하려면, 대패 몸이 조금 상하겠지만, 휘둘르는 방법으로 못을 박아야지요 :)
위키에서 편집의 권리를 '공유'하고 고쳐나가는 개념이 제대로 적용되는 것은, 위키를 쓰는 사람들이 점점 익혀나가야 할 부분입니다. 토론과 관련된 부분에서 위키의 방식이 단점으로 작용한다고 보지 않습니다. 예를 든다면, KLDP의 토론란을 보면 더더욱. 스레드가 길어질수록 주제와 맞지 않는 글들이나 중간에 일어나는 감정싸움들은 걸러져야 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스레드가 길어질수록 결국은 논제를 벗어납니다. 위키스타일이라면, 문서구조조정을 통해서 그러한 것을 어느정도 줄여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 새싹교실/2011 . . . . 10 matches
=== 위키 ===
위키는 새내기들에게 낯선 환경이지만 사용하기 전혀 어렵지 않고, 내용이 쌓이면 게시판에 비해 내용들을 찾아보기 훨씬 좋답니다.
* 위키를 사용하기 어렵게 느낀다면 그건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예요. 함께 써보는 시간을 마련해주세요.
* 새내기들이 위키 문법을 처음부터 익히기는 어렵습니다. 선생님이 먼저 위키에 내용을 작성하여 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위키를 더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 지켜야할 것들이 있습니다. 각 반 페이지를 만드실때 페이지 이름은 '''새싹교실/2011/반이름''' 으로 만들어주세요.
* 위키 페이지를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다면 위키의 다른 스터디 페이지를 참고하시거나 [김수경]에게 물어보세요.
* 위키 문법 연습은 WikiSandBox에 해주세요.
* 위키 가꾸기 : 가장 쉬운 기여 방법
- 제로페이지의문제점 . . . . 10 matches
다루는 분야가 넓었던 이유는, 주로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정보가 위키이고, 이 위키의 컨텐츠를 채워나갔던 사람들이 주로 Generalist 스타일이여서 그렇게 보인 것이였을것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깊이있는 정보는 부족하며, 사람들끼리의 스터디그룹 or 프로젝트 또한 그 수가 많지 않은 형편이다. 또한 컨텐츠를 스스로 만들고 정리하려는 사람들은 여전히 부족하다.
[임인택]은 어떤 스터디 또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했을때(위키에 페이지를 만들었을때) 같이 참여할 사람이 없어 접은 경우가 몇번 있었다. (물론 충분히 혼자 진행할 수도 있었지만 사람들과 같이 진행해보고 싶었다) 이유를 물어보면 '''공통적으로''' ''공부좀 해야 그걸 할 수 있을것 같아요'', ''제가 그걸 하기엔 실력이 조금 부족한것 같네요'' 라고들 말한다. 이러한 친구들은 스스로 제약을 많이 거는 것 같다.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해 스터디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인데, 자신이 발전되어 있지 않아서 스터디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없다는 뜻으로 받아들여도 되는걸까?
제로위키내의 지식이 어느 레벨 이상 오르지 않는 느낌을 받게 된다. 사람들은 다시 새로 유입되고, 다시 Java & C++ 스터디는 열린다. 하지만, 기존의 회원들은 졸업을 한 뒤에 그 활동이 종료된다. (Home Coming Day 나 기타 행사 외)
* 졸업선배들중에 제로위키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없을까? 물론 회사 차원에서의 보안상 공개할 수 없는 정보도 많고, 일과 피로때문에 글을 정리하실 시간이 많지 않다는 등 어려움이 많다. 그리고 위키 인터페이스 자체를 불편해하는 사람들 또한 많다.
=== 토론이 위키에 열려도 의견을 내는 사람이 적다. 위키의 진입 장벽일까? ===
* 예전에 상민이 형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위키에 문서를 많이 남기라고 그랬었다. 그 이유인즉 다음번에 다른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할때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위키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가 끝나면 2가지가 남는거 같다. 한가지는 진행과정이 담겨있는 페이지들이고 다른 하나는 프로젝트를 통해서 얻은 지식, 노하우, 팁등, 그 프로젝트의 detail한 면이 아닌 그 프로젝트를 통해서 뽑아낸 좀더 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비슷한 주제의 프로젝트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페이지라고 생각한다. 진행 과정 페이지는 어떤식으로 진행하면 프로젝트가 망하고, 어떤식으로 진행해서 프로젝트가 끝까지 갔는지를 파악할때 도움이 되고, 프로젝트를 통해서 뽑아낸 지식 페이지들은 비슷한 주제의 프로젝트를 하는데 수고를 덜어준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추후에도 도움이 될만한 것들을 자주 문서화 해야 좀 전수가 될거 같다. -[상협]
- HelpForDevelopers . . . . 9 matches
== 모니위키 개발 ==
모니위키는 완전한 자유 소프트웨어이며 http://kldp.net/projects/moniwiki 사이트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모니위키 사용중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체없이 http://kldp.net/projects/moniwiki/bugs 사이트에서 문제점을 보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혹은 사용중에 불편한 점이 있다고 생각하셔도 보고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개발자는 사용자가 불편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용자의 피드백은 모니위키를 좀 더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들어 줄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모니위키의 일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조금만 더 관심을 가진다면 모니위키의 기능을 확장하고 모니위키에 소스코드를 기여하실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기여가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모니위키는 GPL이라는 공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준수하고 있으므로, GPL에 준하는 어떠한 기여도 환영합니다.
모니위키에 여러분이 직접 만드신 소스코드를 기여해 보시기 바랍니다!
- HelpMiscellaneous . . . . 9 matches
== 그밖에 모니위키 관련 정보 ==
== 기타 모니위키 관리 및 기능 ==
BackupScripts는 모니위키의 이전을 도와주는 스크립트 입니다. `php`로 만들어져 있고 `GNU tar`을 쓸 수 있어야 합니다.
위키위키는 영어권에서 먼저 개발이 되었기 때문에 다국어나 한글의 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모니위키 1.1.5부터는 !HongGilDong이라는 페이지를 만들어 {{{#title 홍길동}}}이라고 하면 제목이 별명으로 등록되게 됩니다. 또한 다른 별명을 등록하려면 {{{#alias 홍 길 동,홍 길동}}} 등등을 등록하여 띄어쓰기에 상관없이 만들 수도 있으며, 제목 검색도 별명과 함께 검색되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한글의 경우 그 띄어쓰기가 일관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모니위키 1.1.5부터는 띄어쓰기에 상관 없이 제목을 검색해주므로 띄어쓰기를 조금 잘못하더라도 손쉽게 페이지를 찾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키워드를 지원하게 해주는 플러그인 - 위키위키의 전통적은 분류방식을 대체하기 위해 지원하는 플러그인입니다.
- HelpOnMacros . . . . 9 matches
매크로는 위키 페이지에 특수한 기능을 집어넣는 확장입니다. 대부분의 위키페이지는 매크로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특수한 기능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centChanges 페이지에는 RecentChanges매크로를 사용하고 있고, SystemInfo 페이지에는 SystemInfo 매크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페이지를 편집하거나 [[Icon(info)]]를 눌러 이전 정보로부터 페이지 소스를 보시면 매크로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위키 문법이 궁금하시면 HelpOnEditing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모니위키 확장 주의사항
* 원래 모인모인 문법에서 매크로 이름은 반드시 대문자로 시작하는 이름이어야 했습니다. 모니위키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없습니다.
* 모니위키 1.1.5 부터는 매크로에 대한 별명을 지원합니다. {{{[[각주]]}}}라는 식으로 써서 {{{[[FootNote]]}}}의 별명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TitleSearch]]}}} || 페이지 제목/별명 찾기 [* 모니위키 1.1.5부터 페이지 별명도 찾아줍니다] || FindPage ||
||{{{[[InterWiki]]}}} || 등록된 [[인터위키]] 이름 || InterWiki ||
||{{{[[SystemInfo]]}}} || 현재 위키의 사양 || SystemInfo ||
- 정모/2002.5.2 . . . . 9 matches
* 컬럼 메뉴에 있는 글 위키로 올리기
* 위키 FrontPage 관련 - 학기중에는 Project 단위에 대해 일의 처리가 어렵습니다. 이에 따른 FrontPage 학기모드용으로 전환을 할까 합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위키 정리 관련. -- 석천
* 칼럼 게시판에 위키 칼럼 분류분류를 링크한다.
컬럼 게시판을 위키로 옮깁시다.
하지만 새로 사용하게된 위키가 기존의 컬럼 게시판이 하던 일을 더 멋지게 해내고 있습니다.
현재 위키 내의 다른 글과 연관성이 있는 글이라면 그 글과 같이 분류를 하되,
-> 컬럼게시판을 위키 내의 페이지들로 이동시킴. 처리 완료.
=== 위키 프론트 페이지 ===
- HelpContents . . . . 8 matches
* ["일반적인사용패턴"] - 일반적인, 위키위키를 사용하는 방법
* HelpForBeginners - 위키 초보자를 위한 페이지
* HelpOnUserPreferences - 위키 사용자로 등록하고, 설정가능한 기본값을 입맛에 맞게 고쳐보세요.
* HelpOnNavigation - 위키위키를 이리저리 돌아다녀보세요.
* HelpForDevelopers - 모니위키 코드 들여다보기
["위키분류"]
- Spring/탐험스터디/wiki만들기 . . . . 8 matches
* 위키 문법을 별도로 정의하고 파서를 구현하는 대신 Markdown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Markdown_implementations 위키피디아]를 참고하여 Java로 구현된 Markdown implementation 중 Pegdown을 선택했다.
* MarkdownJ, MarkdownPapers는 문서가 부실하고 남은 두 구현체 중 [https://github.com/sirthias/pegdown Pegdown]이 위키 제목을 통한 페이지 링크를 더 간편하게 지원해서.
* 오늘은 위키 문법을 구현하기로 하였다.
* 위키의 문법을 구현하기로 하였는데 직접 파서를 구현하기보다 Markdown의 파서를 사용하면(Markdown 문법을 사용해야 하지만) 편리할 것 같아(명백해서 증명할 필요가 없다!) Markdown 파서중 pegdown을 쓰기로 경정. Java 언어 기반의 파서중 그나마 문서화(GitHub의 소개페이지)가 잘되어있어서....
* 시간도 얼마 안걸렸다. 구현시간이 많이 단축되어서 위키쓰기질 하게됐음.
* 위키쓰려다 날아가서 놀람
* 입을 함부로 놀린 죄로 백링크에 대해 고민중. 생각보다 까다로운 주제여서 당황, 위키페이지의 [http://en.wikipedia.org/wiki/Backlink backlink] 설명은 너무 부족하구만..
- 새로운위키놀이 . . . . 8 matches
= 위키놀이 =
[부드러운위키만들기]의 한가지방법인 [위키설명회2005] 행사중에 실시하는 놀이의 종합페이지
== 롤링페이핑위키 ==
새터나 총MT 때 하는 롤링페이퍼를 위키에서 해본다.
=== 위키팀 ===
== 위키보물찾기 ==
* [위키놀이]와 중복됩니다. DeleteThisPage ? -- [황재선]
- 위키로프로젝트하기 . . . . 8 matches
== 위키로 프로젝트 하기의 장점 ==
일반게시판에 경우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될까? 하나의 프로젝트당 하나의 게시판이 열려있어야 한다. 프로젝트가 10개라고 한다면 게시판이 10개가 열려있어야 하고, 각각의 글들은 시간순서대로 저장이 된다. 위키에서의 page 10개의 의미와 게시판 10개의 의미중 어떤 것이 더 cost가 적게 들까? 그리고, 시간순서의 글 index 나열방식과 텍스트 내의 하이퍼링크중심 글 나열방식중 어느것이 더 의미있는 정보를 담을까?
기존의 게시판방식이 장점이 있다면 '시간의 역사' 라는 점이 있겠다. 매일 작업일지를 쓰는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진행상황이 처음부터 주욱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위키는 늘 현재성을 추구한다. 위키의 페이지는 늘 해당 주제를 중심으로 고쳐지는 글이다. 하지만, 시간의 역사 자체의 의미보다는 페이지 자체 내용, 즉 Content 중심의 사고라는 점에 더 무게중심을 두고 싶다. '시간의 역사' 자체가 Content 로서 중요하다면, 그것을 위한 페이지를 열어라.
*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원한다면, 해당 지식을 이해한 상태에서 정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만일 2~3명 이상 다른 사람들과 스터디를 하게 되는 경우, 해당 지식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의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여러 관점을 보는 것 또한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외국의 대학에서는 위키를 해당 강의에 대한 공동필기장으로 쓰기도 한다.)
* 온라인이라는 잇점이 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다. 하지만, 오프라인을 배제해서는 안된다. 각각의 대화수단들은 장단점들이 존재한다. 위키의 프로젝트는 가급적 Offline에서의 프로젝트, 스터디와 이어져야 그 효과가 클 것이다. ZeroPage 의 ["정모"] 때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상황을 발표하고,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겠다.
ZeroWiki 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자유의 제약을 느낀다면 ["프로젝트전용위키"]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도 있겠다. --["데기"]
["위키분류"]
- 정모/2003.1.15 . . . . 8 matches
* MT날짜는 위키상에서 투표로 정하기로 했음.
* 참석 인원은 기록하지 않나요? 예전에은 2번 이유없이 불참하면 탈퇴 시키기로 했는데, 그게 흐지 부지 된거 같군요. 지금 졸업을 하시는 선배님이나, 병특중인 선배님, 군대간 선배나, 동기들 빼고는 나머지 인원들중에서 참여 여부를 확실히 해야 좋을거 같군요. 정모 참여를 확실히 하고, 정모때 아무것도 하는 프로젝트나 스터디가 없으면(특히 널럴한 방학중에.) 정모에 나오는 의미가 없으니, 뭐 할거 생기기 전에는 나오지 말라고 해도 좋겠네요. 활동인원을 확실히 하는게 좋을거 같네요. 뭐 방학때 지방에 가있거나, 사정이 있거나 정모에 나오고 싶지 않아 하는 사람들은 정모에 나오지 않고 위키에서만 활동하도록 하는것도 괜찮구요.
* 위키가 어렵다 -> 위키는 처음 접근 장벽이 높은거 같습니다. 우리 01들이 02들에게 그걸 낮춰주지 못한게 실수인거 같습니다. 우리 01들도 처음에는 잘 사용안하다가, 위키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함으로써 위키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02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중 데블스 캠프 말고는 제대로 위키를 사용하게끔 도와준 프로젝트가 없었던거 같군요. 그나마 지금 활동하는 02들은 위키를 사용한다는 점이 위안이 됩니다. 03학번부턴 이걸 유의해야겠죠.
- 정모/2012.11.26 . . . . 8 matches
== 저번주 약속대로 위키를 모두 작성하여서 과자파티 함 ==
== 위키에 후기작성하기 ==
* 공학교육페스티벌에 대한 후기를 위키에 작성 또는 공유 했으면 함
* 우리가 했던 기록이 위키나 트렐로에 없다면 정리해서 올려줬으면 함.
* [김태진] - 드디어 과제를 끝냈네요.. 새벽 5시입니다.(는 쳐 놀다 시작해서 그럼) 저번과 이번 정모는 스터디.프로젝트 공유보다 초점이 약간 다른데 가있었죠. 임기가 2개월 남짓 남은 상황에서 이제서야 여러가지 좀 다른 시도들을 해보는 중입니다. 정모에 다른 활동들을 넣어본다던지.. 위키를 활성화 시켜본다던지.. 스터디 프로젝트는 작년부터 올해까지 계속 느껴온거지만 하는 사람/하지 않는 사람 차이가 심하고 하지 않는 사람은 하는 사람의 말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이 항상 아쉬웠습니다. 그 점을 보완해 다른 방향을 생각 중이네요. (가령 초등학생에게 이 프로젝트를 설명한다면? 코너, 내가 이 프로젝트를 하는데 이게 지금 부족한거 같다 코너. 등) 좋은 의견 환영합니다.
* [변형진]: 저는 경이로운 길이로 장황한 [http://zeropage.org/board/64074 후기](?)를 작성했습니다. 그러나 이 위키의 여백이 너무 좁아 여기 옮기지는 않겠습니다.
* [서민관] : 제가 후기의 마지막을 장식할 것 같군요. 좀 평소 정모와는 다르게 HOT한 주제가 있었지만 그래도 괜찮게 넘어간 것 같아서 다행이었네요. OMS는 알아듣기가 많이 힘들었습니다. 내년에 공수나 다른 관련 과목들을 들어야 할지 고민을 해야 할 레벨이네요 ㅠㅠㅠㅠㅠ 그리고 활동 내역 정리 관련으로 일을 할 생각인데, 태진이한테 민폐 안 끼치고 잘 처리 할 수 있으면 좋겠군요. 올 한 해 ZP의 활동이 왕성한 것 같아서 무슨무슨 활동들을 했는지 보는 보람은 꽤 있을 것 같습니다. 재밌겠죠. 여담이지만 종록이 위키 정리 속도는 정말 신이 들린 레벨이지 싶습니다 -_-;;
* [서지혜] : 정모 완전 오랜만. 위키 정모 페이지가 다시 흥해지네.
- 프로그래밍잔치/첫째날 . . . . 8 matches
* 위키의 장점과, 써야만 하는 이유에 대하여 이야기 해 보자.
* 언어를 이용하면서 문제 풀기. & 해당 언어에 대해서 위키에 Thread - Document 작성
=== 시간 - 제로위키 또 다른 대화의 방법 ===
< 위키 > - 1시간 30분
* 위키
* 1차 Feedback - 위키 활용도 - 5분
* 위키에 대해 아는가?
그룹별 진행자가 존재하고, 위키 좋은점, 나쁜점(불편한점) 으로 나누어 진행
- 회원자격 . . . . 8 matches
가입조건: 아래 1,2,3중에 하나를 만족하고 이 내용을 개인 위키페이지에 기록한 자
* 가입조건: 아래 1,2,3중에 '''하나'''를 만족하고 이 내용을 개인 위키페이지에 기록한 자
* 가입조건: 아래 1,2,3중에 '''하나'''를 만족하고 이 내용을 개인 위키페이지에 기록한 자
* 가입조건: 아래 1,2,3중에 하나를 만족하고 이 내용을 개인 위키페이지에 기록한 자
* 정회원 : 4회 이상의 정모를 참여하거나 스터디, 프로젝트를 참여하며, 이를 기록한 개인 위키페이지를 가지고 있어야 함.
* 3회 이상 행사(정모, 데블스 캠프 등)에 참가하고, 이를 기록한 개인 위키페이지를 가지고 있어야 함
1. 사전 연락 없거나(게시판 or 위키 공지), 현재 납득할 사정(학부생 아닌 경우,휴학)이 없이 2회 연속 정모에 불참시.본인 의사로 회원 자격을 상실한다.
* ["상협"]:위키에 출석표를 만들어서 정모때 사전, 사후 연락 없이 나오지 않을 경우 경고 몇번 하고, 본인의 의사에 따라 자퇴시키는게 어떨까요? 연락 없이 나오지 않는다는 말은 그 만큼 학회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예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되거든요.(이것은 유령 회원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01이나 앞으로의 02에 해당되는 내용일듯 하네요..) -상협
- FrontPage . . . . 7 matches
* '''[[ZeroWiki]] 사용이 처음이시거나 미숙하신 분'''은 [[ZeroWiki]]에서 사용하는 위키엔진인 모니위키의 튜토리얼을 읽어보세요!
* [[WikiSandBox]] : 위키 문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고, 자유롭게 위키 사용을 연습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지도분류]], [[분류분류]]를 이용해 위키를 탐험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누출을 주의해 주세요. 위키 페이지에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를 노출 시키면 웹에 돌아다니는 로봇에 수집될 수 있습니다.'''
* 위키문화의 변화에 따른 [[홈페이지토론]]이 개설되었습니다.
- HelpOnPageDeletion . . . . 7 matches
페이지 지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위키의 경우 {{{DeletePage}}} 액션을 통해 페이지를 지우실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지운다는 것은 가장 최근의 편집 복사본이 지워진다는 것이며, 페이지의 모든 변경내역은 여전히 남아있게 됩니다.
모니위키 1.1.2 이전에는 수동으로 복구하는 방법이 있었고 모니위키 1.1.3 이후에는 {{{revert}}}액션을 따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위키 관리자에 의해서 완전히 지워지지 않은 이상 변경 내역은 항상 남아있게 됩니다.
raw 혹은 [[GetText(source)]]라고 되어있는 링크를 누르면 텍스트 형식의 위키문법이 브라우져에 보여지게 되며, 이를 그대로 복사한 후에 해당 페이지에서 [[Icon(edit)]] 아이콘을 눌러 해당 페이지를 편집하여, 편집 폼에 복사했던 텍스트 내용을 붙여넣기 한 후에 저장합니다.
모니위키 1.1.3부터 지원하는 `revert`액션을 사용합니다. 단축키로 '''i'''를 누르면 변경내역을 보여주며 이때에 [[GetText(revert)]]라는 액션에 대한 링크가 나타납니다. `revert` 액션에 대한 링크가 나타나지 않으면 {{{?action=revert&rev=1.100}}}식으로 주소줄에 써넣은 후에 페이지를 불러오면 대화창이 뜨게 됩니다.
복구 액션은 남용이 가능하므로 비밀번호로 제한이 걸린 `protected`액션이므로 위키에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NoSmokMoinMoinVsMoinMoin . . . . 7 matches
|| 화일업로드 || 지원. 페이지별 개별 화일첨부. 화일첨부시 rename 가능 || 일종의 자료실. 하나의 공용 페이지로 화일공유|| 둘 다 위키와 함께 백업하기에 편리 ||
|| 계층 위키 || 지원 || 지원 (1차 레벨) || '/' 구분자 이용시 부모 페이지 이름 자동으로 붙여줌.(단, 계층 위키의 적절한 이용에 대해선 NoSmok:HierarchicalWiki 의 글 참조||
|| 부가기능 || Hot Draw Plugin 지원, 간단한 벡터 그래픽 첨부 가능. 페이지 미리보기 기능, RecentChanges 에 변경사항에 대한 Comment 기능 지원. go 입력창에 새 페이지 작성시 자동으로 이미 만들어진 비슷한 이름(Like Page) 페이지들 리스트 보여줌.(1.1 이상) || go 입력창에 새 페이지 작성시 자동으로 이미 만들어진 비슷한 이름(Like Page) 페이지들 리스트 보여줌. InterWiki 등록을 위키내에서 수정가능. || . ||
["노스모크모인모인"] 으로 위키를 바꿉니다. 그리고 추후 노스모크모인모인 버전업할때에 한차례 더 바꿀 예정입니다. --["1002"]
요새 경황이 없어서 Sorry; (솔직히 심볼릭 링크 가리키고 있는 위치만 바꿔주면 완료이긴 하지만.. -_-; 저번에 심볼릭 링크로 위키 선택 가능하게 해놨던 관계로.. 하루만 버텨; 그리고, 지금 노스모크모인모인에서 북마크 기능이 제대로 작동 안되는중인지라. 이 기능 쓰는 사람 많은지 봐서..~ --["1002"])
전 현재 배포판인 MoinMoin 1.0 을 커스터마이징해서 썼으면 합니다. ''(http://acup.wo.to 에 가보시면 MoinMoin 1.0 을 커스터마이징한 위키를 구경할 수 있습니다.)'' ["노스모크모인모인"]에도 현재 욕심나는 기능이 많긴 하지만 MoinMoin 1.0 의 AttachFile 기능이 참 유용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 Seminar:YoriJori 프로젝트가 다소 정체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 것이 이유가 될수 있겠습니다. MoinMoin 1.0 설치 및 커스터마이징은 2 ManDay 정도만 투자하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이덕준"]
- UploadFileMacro . . . . 7 matches
모니위키는 파일 업로드를 위한 3가지의 업로드 폼을 매크로로 지원하고 있다.
{{{[[SWFUpload]]}}} 혹은 {{{[[UploadFile(swf)]]}}}: 이 매크로는 모니위키 1.1.3CVS부터 지원하며 다중 파일 업로드를 지원한다. (Flash 10 지원)
모니위키의 {{{[[UploadFile]]}}} 매크로는 업로드 된 파일을 {{{$upload_dir}}}로 정의된 디렉토리에 각 페이지별 디렉토리를 생성시키고, 그 디렉토리에 업로드된 파일을 저장한다.
/!\ 모니위키 1.1.3CVS부터 지원
/!\ 모니위키 1.1.3CVS부터 지원
/!\ 모니위키 1.1.3CVS부터 지원
모니위키에서는 모든 업로드 된 파일이 {{{$upload_dir='pds'}}} 하위 디렉토리에 보존된다. 즉 {{{pds/*/}}}에 1단계 하위 디렉토리들이 생성된다. (2단계 이상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 Z&D토론백업 . . . . 7 matches
* 위키 스타일에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도움말을 약간만 시간내어서 읽어주세요. 이 페이지의 편집은 이 페이지 가장 최 하단에 있는 'EditText' 를 누르시면 됩니다. (다른 사람들의 글 지우지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그냥 중간부분에 글을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기존 내용에 대한 요약정리를 중간중간에 해주셔도 좋습니다.) 정 불편하시다면 (위키를 선택한 것 자체가 '툴의 익숙함정도에 대한 접근성의 폭력' 이라고까지 생각되신다면, 위키를 Only DocumentMode 로 두고, 다른 곳에서 ThreadMode 토론을 열 수도 있겠습니다.)
* 제가 이해하는 현상황 - 방금 ZP 위키 가서 몇 선배님들의 통합에 대한 글을 읽어 보았습니다.(어려운 위키를 거의 처음으로 제대로 사용한듯...-,-;;;) 그리고 여기 여러 글도 읽어 보았습니다.제가 이해하기로는 지금 상황은 (제 이해가 틀리다면 이야기해주세요) 고학번 선배님들 사이에서 의견차가 좀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이름 문제부터 시작해서 가장 기본적인 합치는 문제 까지... 서로에 대한 애착심이 강하다보니 의견차가 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정작 이야기의 주체가 되야할 00,01이 참여가 없어서 선배님들이 애 태우시는 듯 해 보입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제가 말씀드린 ''고학번이 주도적인 프로젝트 운영''이라는 것이 생각난건 99년에 과거 전시회 자료를 뒤져 볼때 였습니다. 전시회 참여 작품중에 무엇가 '대단한걸~' 하고 느끼는 많은 부분이 3학년과 4학년의 작품이고, 1,2학년의 작품이라면 3,4학년의 도움이 있는 작품들이 많았습니다. 위 글에도 잠깐 언급했지만, 인터넷과 함께 학생들이 접할수 있는 주제의 다양성 때문에 3,4학년 이라도 완전히 방향을 잡은 사람은 소수입니다. 하지만 분명 1,2학년에 비하여 그 질이 높아진 것은 분명하죠. 일단 고학번 혹은 고학년 주도적인 프로젝트의 의미는 단순히 고학년의 2명 이상의 프로젝트 활동이 좀더 활성화 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언급을 한것입니다. 군입대를 마치고 왔거나, 병특 이후에 복학한 회원들이 단체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것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zp의 정모 토론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이야기는 개인 스터디이고, 이중에 학회의 양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건 1학년의 관리 부실과 개인 스터디이고, 2학년의 개인 스터디는 학회의 양과 질에 둘다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 같고, 학회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건 3,4학년의 개인 스터디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의 용이성과, 개인 스터디에 해당하는 Semi project와 관심분야를 공개하는 개인 페이지로 다른 사람의 참여의 유도를 해서 Regular project로 만들어 나가려는 토양의 제공을 위해 현 zp에서는 위키를 통한 프로젝트 추진을 장려하고 있으며, 이제 저도 고학년에 고학번이니 쿨럭 열심히 해야죠. ^^;; '''주도적'''의 표현에서는 저학년이 고학년의 프로젝트 모습을 보면서 관심분야를 넓히고, 안목을 익히는데 있습니다. 물론 같이 하는것이 주도적의 마지막 종착점이고, 예를 들자면 현재 OS 만들기를 하고 게시는 선배님 위키에, 관심있는 00들이 접근하는것이라고 할수 있죠. -- 상민
- ZPHomePage . . . . 7 matches
레이아웃 아무도 안올리네...카운터만들기는 잘 되는건가...위키는 들어오긴 하는건가...일단 모임은 화요일로... --[곽세환]
깔끔하다! 위키가 홈페이지 속으로 들어갔는데 오른쪽 왼쪽 여백이 없어서 붙은 느낌이 좀 아쉽다.--[Leonardong]
공지,자유게시판처럼 위키의 최근 바뀐글도 메인에 약간 보여주는게 어떨까? --[강희경]
사진첩이나 자료실 열람이 안되던데, 저만 안되는 것인가요? 그리고, 위키와 로그인 연동하는 부분에도 버그가 있는 것 같네요. [임인택]
위키와 연동은 아직 불안정하긴 한데요. 위키아이디 메일로 보내주시면 해결해드리겠습니다.
건의사항입니다. 위의 모인모인 캐릭터를 Upload:ZeroWikiLogo.bmp 로 교체하고 기본 CSS를 clean.css로 바꿨으면 합니다. 모인모인 캐릭터의 경우 00학번 강지혜선배께서 그리신 거라는데(그래서 교체하더라도 원본은 삭제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로위키에 대한 표현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제가 새로 그려봤습니다. 그리고 clean.css가 기본 바탕이 흰색이고 가장 심플한 것으로 보아 기본 CSS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강희경]
- ZeroPageServer/BlockingUninvitedGuests . . . . 7 matches
제로페이지 위키의 RecentChanges 를 보면 가끔 쓰레기 페이지가 생성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매번 수작업으로 페이지를 삭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서버 또는 위키위키 자체가 막아주는 방법에 대해서 토의해 보는 페이지.
* '''위키위키단에서 페이지 생성 자체를 막는다'''
- 확실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위키철학에 어긋나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 [임인택]의 [http://purepond.cafe24.com/ 개인위키]도 ZeroPage 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그것도 더 심하게) 겪었는데 아파치의 보안기능 (.htaccess 파일 이용)을 적용해봐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누군가의 장난이거나 검색엔진(+사용자)의 무지에서 오는 문제인것이 확실하였는데. 결국 NoSmoke:노스모크모인모인 의 '''등록한 사용자만 글을 쓸수 있게 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여담으로.. 쓰레기 페이지를 손수 지우느라 엄청 고생함...-_-;;
- ZeroPage성년식/거의모든ZP의역사 . . . . 7 matches
* 현재 02년부터는 위키에 남아있는 문서를 폭풍 검색 및 참고하고 있습니다. 선배님들 도와주세요ㅠ_- - [지원]
||1학기 ||회장 나휘동, 14기 회원 모집, 지금 그때 진행, 위키 설명회 개최 ||
||1학기 ||회장 허아영, 16기 회원 모집, 위키 설명회 개최, 지금 그때 진행, 새싹스터디 진행, 여의도 소풍, 코드레이스 진행 ||
* 07년은 서버 날라갔던거 때문에 위키 및 홈피에 흔적이 없고 스터디들이 생각나지 않는다ㅠ 기억나시는 분들 채워주시길.. - [지원]
* 위키페이지에서 복붙할 예정
* 2011년은 현재년이고 위키에 정리된것도 많아서 책자에 좀 상세히 적으려고 합니다. - [지원]
* 충분한 시간이 지났다고 생각하여 위키에서 해당 내용 삭제합니다. 어떤 식으로든 문제의 소지가 있는 기록은 남기고 싶지 않습니다. 캡스톤 설계실의 사용과 ZeroPage의 관계에 대해서는 수차례 정모에서 말한 바 있기에 별도의 알림 없이 지웠습니다. - [김수경]
- 위키광부 . . . . 7 matches
[강희경]이 좋은 내용의 위키페이지가 사장되어가는 것을 보고 안타까워 만든 개념
위키광부는 위키에서 가치있는 페이지를 찾아낸다.
위키경험이 많은 광부는 도움이 되는 페이지를 찾아낸다.
위키경험이 적은 광부는 흥미로운 페이지를 찾아낸다.
* 둘러보니 위키에는 좋은 내용이 많은 것 같네요. 위키탐험2013이라도 해야하나. - [김민재]
- 위키놀이 . . . . 7 matches
= 위키놀이 =
[부드러운위키만들기]의 한가지방법인 [위키설명회2005] 행사중에 실시하는 놀이의 종합페이지
== 롤링페이핑위키 ==
새터나 총MT 때 하는 롤링페이퍼를 위키에서 해본다.
페어위키
== 위키보물찾기 ==
- 정모/2012.11.19 . . . . 7 matches
* 금주부터 다음주 OMS 진행자가 정모 위키 작성을 진행합니다.
== 위키에 후기를 안 쓰는 반역자들을 어떻게 할까 ==
* [권순의]: 위키를 살리려면 서민관이 어서 위키를 바꿔야 합니다.(?)
* [박정근] : 300년만에 위키쓰는거 같은데 지금 써도 되나 모르겠네여ㅜ 정모 열심히 하겠습니다.ㅜ
위키 사용
위키 후기 작성
- 제로위키이용의어려움 . . . . 7 matches
위키는 어렵다.
위키의 룰은 단순하다. '''새로쓰고, 수정하고, 삭제하고''' 이 세개 뿐입니다.
어렵다는 것은 위키의 사용이 어려운것이 아니라, 위키를 공동체가 사용할때의 생기는 예절과 규칙에 새로운 사용자가 적응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일 것입니다. 계속 이렇게 가면, 우리가 다른 나라의 말과 문화를 배우는 것에 비견될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현 ZeroWiki 쓰기를 막아 버리고, 기존 사용자들과 새로운 사용자들과 새로운 위키에서 작업하는 것도 좋을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NeoCoin은 그냥 삭제를 생각했는데, [1002]는 처음에는 그냥 모든 Contents 를 앞으로 한두달간 막아 버리고, 새로운 규칙들이 생기면 기존 contents 를 녹여가는 것을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야기 중에서 현 ZeroWiki 를 SisterWiki 로 연결한 새로운 위키도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재는 http://zeropage.org/one 에서 새 위키를 열고 실험하고 있는 중이다.
- HelpOnCvsInstallation . . . . 6 matches
CVS 최신 모니위키를 통해서 설치하기
CVS라고 하는 것은 모니위키가 개발중인 최신 버전을 말합니다. 모니위키를 최신 개발버전으로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CVS에서 최신 모니위키 소스를 가져옵니다.
모니위키 본체 프로그램에 대한 번역 메시지.
=== 모니위키 초기화 및 초기설정 변경 팁 ===
- HelpOnInstallation/MultipleUser . . . . 6 matches
모니위키 버전 1.0.9 이후부터 모니위키는 다중사용자를 위한 좀 더 편리한 설치환경을 제공합니다.
각 사용자는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관리자가 설치해놓은 모니위키를 단지 make install로 비교적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모니위키] 설치에 필요한 파일이 public_html 하위에 일부는 복사되고 일부는 설치 디렉토리에 남게됩니다.
이 경우 대부분의 php파일이 설치되지 않은채로 각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모니위키의 php취약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관리자가 설치된 [모니위키]만을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일부 카피된 파일 및 php 이외에 웹상에 직접 노출되는 지역 파일은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해야 하겠지요.
- HelpOnInstallation/SetGid . . . . 6 matches
보안상의 이유로 웹서버는 php 스크립트를 `nobody, www, apache` 혹은 `httpd`같은 특별히 제한된 계정으로 실행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모니위키] 스크립트가 생성하게 되는 여러 파일 혹은 디렉토리는 이러한 특별한 계정의 소유가 되며 진짜 사용자가 소유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고 어떤 경우는 이렇게 만들어진 파일을 읽을수도 지울 수도 없게 됩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니위키]가 특별한 파일을 생성하게 되는 몇몇 디렉토리에 대하여 그룹 아이디로 퍼미션을 가지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Setgid를 사용하도록 그룹 퍼미션을 주게되면 wiki.php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지는 모든 파일은 진짜 사용자의 그룹아이디와 같게 되며, 그룹 아이디가 가지는 퍼미션을 진짜 사용자도 누릴 수 있게되어 읽거나 고치거나 지울 수 있게 됩니다.
Setgid 퍼미션을 작동시키려면 간단히 "`chmod 2777 ''dir''` 명령을 내리면 되는데, 모니위키가 여러 파일들을 만들게되는 디렉토리에 대해 이 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모니위키를 최초 설치하는 과정에서 setgid를 사용하려면 우선 모니위키 최상위 디렉토리를 먼저 `chmod 2777`을 해 줍니다. 아마 wiki.php가 들어있는 디렉토리가 될것입니다.
/!\ 모니위키는 config.sh/monisetup.php 설치 스크립트를 통해 setgid를 최초 설치할 때 부터 지원하고 있습니다.
- InterMap . . . . 6 matches
Acup http://zeropage.org/~gochi/cgi-bin/wiki/moin.cgi/ # 자판기(객체모델링)프로젝트, 인공지능 오델로 프로젝트 위키
SmallGaia http://neocoin.nameip.net:8000/w / #NeoCoin 의 개인 위키로 주소가 확정되지 않음
PurePond http://purepond.cafe24.com/wiki/moin.cgi/ # 임인택의 개인위키
Wiz http://zeropage.org/~wiz/cgi-bin/MoinMoin/wiki-moinmoin/moin.cgi/ # Wiz(창섭) 의 개인 위키
PcixWiki http://pcix.net/pcixwiki/ #건국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소모임의 위키
NowThen2004 http://zeropage.org/wikis/nowthen2004/ #지금그때2004 후의 위키 정리 페이지
- WikiGardening . . . . 6 matches
''실제 위키의 View 구조를 조성하는 사람들이 드물기 때문에, 기존 게시판에서의 스타일과 똑같은 이용형태가 계속 진행되어버렸다는 생각이 든다. (이 경우 RecentChanges 가 Main View 가 된다.) (조만간 위키 전체에 대한 링크 구조 분석이나 해볼까 궁리중. 예상컨데, 현재의 ZeroWiki 는 Mind Map 스타일에 더 가까운 구조이리라 생각. (개념간 연결성이 적을것이란 뜻. 개인적으로는 볼땐, 처음의 의도한 바와 다르긴 하다.) --1002'' (DeleteMe ["1002"]의 글을 다른 페이지에서 옮겨왔습니다.)
실제 위키의 View 구조를 조성하는 사람을 WikiGardening을 하는 사람이라고 보면 될까요? see NoSmok:WikiGardening --["이덕준"]
방학동안 틈틈이 위키를 둘러보면서 가꾸어야 할 만한 페이지를 추려보았습니다.
SeeAlso [http://no-smok.net/nsmk/_b9_ae_bc_ad_b1_b8_c1_b6_c1_b6_c1_a4#line42 제로위키 가꾸기], [문서구조조정토론]
[위키분류]
- Yggdrasil/가속된씨플플 . . . . 6 matches
* [Refactoring]은 중간중간에 계속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 다르게 진행하면 소스를 통합하기가 매우 힘들어 지죠. NoSmok:문서구조조정 마찬가지 같습니다. [위키요정]에서 말하는 정원일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쓸말이 없다면, 지금 페이지들을 지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어차피 차후에 '내가 했다.'라는 것은 자신만이 알면 되지요. --NeoCoin
쓸데 없는 참견일지 모르지만, 한번 [위키위키]에 대하여 생각해 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위키위키]의 장점은 꾸준히 WikiGnome 들이 위키를 관리하면서 중복된 페이지를 없애고, 가치있는 페이지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 같은 페이지가 생기면 무슨 문제가 있을까? . . . . 6 matches
* 2년 정도 위키를 쓰면서 그런 고민은 크지 않았습니다. 현제 ZeroPage 에서 사용하는 위키는 정리하는 사람 수 자체가 적어서 경험하지 못했을수 있습니다. 사람 수가 많은 [노스모크]에서도 못느껴봤습니다. --NeoCoin
[현재 위키에 어떤 습관이 생기고 있는걸까?]의 공원 길의 예제와 같이 중복 페이지가 생기고, 발견자(위키 사용자-WikiGnome)가 중복 페이지를 한두장 고칠 필요가 느껴질때 한두장 해결해나가는 일종의 아래에서 위로(BottomUp)의 해결 방식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타 위키에서 비슷한 논의들을 보면서 이 방법이 적당하다는 생각합니다. [Leonardong]의 어떻게는 무엇인가요? ''페이지를 생성할때, 검색해서 찾아 중복 페이지를 만들지 않는다.'' 가 기본 전략인것 같은데 맞나요? --NeoCoin
저도 거의 NoSmok 에서 읽었고, 최근들어 http://doc.kldp.org 를 보면서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외 링크라면 그외 위키를 기억하기는 힘듭니다. ZeroWiki 에서도 초기에 비슷한 토의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NeoCoin
- 새싹교실/2011/쉬운것같지만쉬운반/2011.3.15 . . . . 6 matches
* 오늘 영어끝나고 새싹교실이 있어서 6피에 갔다. 6피에서 선생님을 만났다. 위키라는 것을 배웠다. 위키는 정말 어려워 보였다. 이제 글을 두껍게 만들수는 있을거 같았다. 아 이제부터 시작이니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했다. - [신형준]
* 오늘 2시에 6피에서 새싹교실을 처음했다. 박성현 선생님께서 위키 편집법을 가르쳐주셨다. 쫌만 더 해보면 금방 익숙해질것 같다. 앞으로 새싹교실에서 더 유용한걸 많이 배우게 되겠지??:) - [송치완]
* 오늘 새싹교실에서 6피에서 위키의 작성법에 대해서 배워보앗다. 생각한 것보다는 상당히 쉬운 편인 것 같았다. 위키를 작성하는 맛(?)을 알게 되었다. 나중엔 직접 위키 페이지를 작성해봐야겠다. - [장용운]
- 새싹교실/2013 . . . . 6 matches
* 여러분 새싹반이 되게 적어보이는데, 실제로는 이거보다 많이 돌아가고 있어요. 다만 위키를 쓰자는데 동의를 안한팀이 많은 것일뿐... - [고한종](13/03/22)
* 위키를 사용하지 않는 팀들은 그럼 새싹교실 스터디만 진행하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곳에 기록을 한다거나 정모에서 배운 내용을 공유한다거나 다른 활동을 하는 건가요? 위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링크 없이 반 이름 정도는 리스트에 올려두는 게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 [김수경]
* 아이고 지금 위키 발견!! ㅋㅋㅋㅋㅋ 제 이름 클릭해보니 추억이 그냥 돋네요 ㅎ_ㅎ-[김상호] (13/03/25)
* 오늘은 애들한테 대략적인 위키 쓰는 법을 가르쳐야 될듯.. -[김상호] (13/03/25)
* 저도 오늘 가르킬려고요. 위키에 저 혼자 정리하니 한계가 있네요.ㅠㅠ -[김해천] (13/03/25)
- 새싹배움터05 . . . . 6 matches
* 저도 동감합니다. 세미나 했던 자료는 자료실이나 위키 업로드를 통해 계속 축척해서 제로페이지의 자산으로 남겼으면 합니다. --재동
우선 처음 세미나는 신입생 대상으로 위키 세미나가 다시 이루어져야 할 것 같습니다. 예전 위키 세미나에 신입생이 많이 참여하지 못했다고 들었습니다. 전에 위키 세미나 했던 사람이나 아니면 새로운 사람을 정해서 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첫 세미나는 다음주 월요일부터 시작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급한 다음주 월요일 세미나 강사를 정하는 게 중요할 듯 합니다. --재동
지금 따로 메뉴얼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세미나 없이 메뉴얼만 있으면 쉽게 사용가능할 정도로 만들 예정이고요, 이번 [위키설명회2005]에서 다룬 내용도 담을 예정입니다. 그리고 첫 세미나(C프로그래밍)는 제가 할 의향이 있고 준비 중입니다. -[강희경]
DeleteMe) 4월 5일 ZP새싹배움터2005 를 이름을 바꾸어 구조정을 했습니다. 지금까지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위키정원사]가 생각나네요.
- 열린제로페이지 . . . . 6 matches
'숨쉬는독'군은 평소 관심이 많던 보안 관련 스터디를 하고 싶은데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잘 모르는 초보자이다. 앞서 공부했던 선배의 조언을 듣고 싶고, 또 같이 공부할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나중에 공부할 사람과 공유하며 같이 발전하길 원했다. 그래서 그는 과내 학회 '오픈페이지'에 보안 스터디 그룹 '까스'를 조직하고 사람을 모았다. 중앙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학생이라면 누구나 거리낌없이 참여할 수 있는 학회 '오픈페이지'에 보안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새로 모였다. 보안 스터디 '까스'는 '오픈페이지'의 위키위키에 보안에 대한 화두 정도를 던져놓고 해체되었다.
이전까지의 문제는 Service + Content 제공자가 ZeroPage 나 JStorm 밖에 없어서였지만, 지금은 동문서버가 있는 이상, 동문서버에게 해당 Service 를 요청할 수 있겠고요. (위키, 게시판 등등이요. 이미 만들어져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해서는 그다지 큰 문제는 아닐것 같고요.)
공부를 하는데에 대해서 꼭 '학회'화 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한달 단기프로젝트같은 모임이더라도 시작과 끝만 좋을 수 있다면 (대부분 그렇지 않고 '흐지부지', '어영부영'이여서 문제지만) 그것도 좋겠죠. 그러한 모임이 자주 생기는 모습을 구경했으면 좋겠습니다. ZeroPage 안에서건, ["동문서버위키"] 내에서건. --석천
이번 [위키설명회] 준비를 통해 '''누군가에게 가르쳐 주면서 자신도 배우게 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위키말고도 '''제로페이지는 알지만 다른 사람은 모르는 것들'''을 알리는 자리가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파이썬'''도 괜찮은 주제가 될 것 같습니다. -[강희경]
- 위키설명회2006 . . . . 6 matches
= 제로페이지 홍보 및 위키설명회 2006 =
== 위키설명회 행사 흐름도 ==
== 위키설명 ppt & 자료 ==
== 위키설명회 홍보 ==
== 위키설명회 도우미 ==
[위키설명회]
- 이영호/nProtect Reverse Engineering . . . . 6 matches
(개인적으로 이 ZeroWiki는 http://www.dasomnetwork.com/~leedw/ 개인 위키인 이곳보다 정보가 없다. 정말 아쉽다.)
좋은 생각이네요. ZeroWiki란 제로페이지 위키를 말하는 것이겠죠? 제로페이지 위키는 정보가 많은 곳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아놓은 정보를 가다듬는 작업이 따라야 정말로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위키에서는 이를 정원관리에 비유하죠. 그리고 아직까지는 사람이 손으로 일일이 페이지를 돌아다니며 가꾸어주어야 합니다.
제로페이지 위키에 글은 많은데 자료는 거의 없는 이유는 가다듬는 작업이 거의 안 일어나서라고 봅니다. 예를 들면 중복되는 내용을 담은 페이지, 관련된 내용인데도 서로 다른 이름과 분류 아래 저장된 페이지, 의미를 알 수 없는 이름을 가진 페이지, 너무 옛날 자료라서 이제는 의미없는 내용을 담고 있는 페이지 따위입니다. 자신이 만든 페이지는 누구보다도 글쓴이 자신이 잘 가다듬을 수 있을 것입니다. 때문에 자신이 만든 페이지부터 가다듬는 것이 좋은 정보를 많이 찾을 수 있는 위키를 만드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 [Leonardong]
- 정모/2003.3.5 . . . . 6 matches
* 제로 페이지 위키에 페이지를 만드는 즉시 준회원(ZeroWikian)이 된다.
* 차후 위키를 통해 전반적인 상황에 대하여 토의할 예정.
* 제로 페이지 위키에 페이지를 만드는 즉시 준회원(ZeroWikian)이 된다.
* 저는 신입생 모집을 따로 기간을 안두고 마음대로 위키에 페이지를 만들게끔 두고 싶습니다. 물론 정회원은 데블스 캠프가 끝난 후가 될꺼구요.. 신입생을 위한 시험대비 씨++ 세미나와 제로페이지 소개 등을 지속적으로 가지면서 준회원을 모으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상욱(["whiteblue"])
* 위키 페이지를 자유롭게 만들게끔 하고 싶다면, 많은 분들이 적극적으로 Wiki:WikiGnome 나, WikiGardener 가 되어서 NoSmok:WikiGardening 를 해야합니다. 기왕이면, WikiGarderner 에 몇명을 직접 등록해서 책임을 주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NeoCoin
* 상욱이의 의견에 찬성합니다. 그러나 학회 활동을 지나치게 위키에만 의존하는 것은 경계해야 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준회원과 정회원 구분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꼭 필요한 구분인지 궁금합니다. --["이덕준"]
- 정모/2004.5.7 . . . . 6 matches
- 위키 성명회 순서
- 위키를 자주 사용하자 (관심 부족)
<위키 설명 순서>(6:32-6:55)
* 위키 태그쓰기
* 위키 항해하기
* 위키 설명회에 대한 의견
- 정모/2012.4.9 . . . . 6 matches
* 위키
* 복구보다 다른 위키를 우선 만들어보고 이전하는 게 낫지 않을까.
* 이번 학기 전에는 위키를 옮기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중이심.
* 6개반 빼고는 위키 작성 중
* 안되겠다. 많은 사람들이 위키에 후기를 너무 안쓰니 후기 안쓰면 지원금으로 회식할때 돈내게 해야겠네요 ㅋㅋㅋㅋ -[김태진]
* 아니에요, 쓴다 안쓴다의 문제가 저한텐 컸을뿐이에요 =_=;;; 전 원래 위키에 쓸때 엔터 안쳐서 누나꺼 바로 밑에 있게된 우연일뿐이구요 ;; - [김태진]
- 제로페이지위키베타 . . . . 6 matches
= 제로페이지위키베타 =
* 회원 가입을 하면 개인 위키가 생성됩니다.
* 자신의 개인 위키 서버 선택할시에 제로페이지 회원은 제로페이지 서버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이미 가입한 회원은 그대로 사용..)
* 조만간 현 위키에 있는 데이터들도 매크로를 사용하여 옮길 예정입니다.
* [http://zeropage.org/zero/ 제로페이지위키베타] 왼쪽을 클릭하세요.
* 제로페이지 회원들은 zeropage 카페에 가입을 하시고, 추후에 자신의 위키에서 글을 쓰고 그 글을 zeropage에 올리고 싶을때는 편집창 카페 선택에서 제로제이지를 선택하면 그 글은 제로페이지에 올라가게 됩니다.
- 페이지이름 . . . . 6 matches
1. 위키위키에서 ["페이지이름"]은 너무나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로위키에서 사용되어야할 페이지이름 규칙도 생각을 해보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NoSmok:페이지이름 페이지에 참고하기 좋은 내용들이 있습니다.
* 최상위 링크인 ["분류분류"]의 예를 든다면 이 페이지 ["페이지이름"]은 부모는 없고, ["위키분류"] 로 분류되어 있다.
사랑방과 같은 시스템에서의 문서구조조정은 그 노력이 많이 듭니다. 일관된 주제로 얘기하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피해야할 구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페이지 이름에 제안임이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아도 위키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큼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다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조만간 이 부분은 ["페이지이름"] 페이지로 옮겨서 얘기해봐도 좋을듯 합니다. --["이덕준"]
["위키분류"]
- 1002/Journal . . . . 5 matches
추후 ["Refactoring"] & 다른 위키 페이지에 해당 지식 분양용.
공개 위키에서의 Journal.
재반론 : 위키 한곳에서 모든 작업을 할 수 없다는점이 마음에 안든다.
재반론 : 그럼 그 곳도 위키면 되지. -_a
* 아침시간을 잘 못 이용한다. 주로 밥먹고 신문을 보고 메일, 각 위키들 구경 이런식인데,
- Benghun/Diary . . . . 5 matches
평일엔 회사에서 놀아야 되니 위키에 글 올리기가 힘드네
위키에 글 올리고 글 읽고 위키를 다른 사람들에게 추천하기도 했다.
하루종일 위키하고 놀았다 다른 사람들이과 쉽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위키가 좋다고 생각했다
- HowToBlockEmpas . . . . 5 matches
ZeroWiki 는 ZP 내부작업을 위한 위키입니다. 아무래도 외부로 노출되었을 경우 여러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번과 같은 크래킹의 문제도 있을테고요..)
지금 empas 에서 zeropage 의 해당 위키페이지들이 전부 노출되어버린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위험하다 생각되어지는데 좋은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또는 대외적으로 이를 홍보방법으로 이용할까요? -_-a)
* 우리 모두 위키의 정신을 한 번 되세겨 보자. 위키는 자유공간인데 그걸 계정을 만든다느니 어짼다느니 한다는 건 위키의 정신에 위배되는 행위라고 본다. delete 하지 못하게만 한 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싶은데.... From X
- Trac . . . . 5 matches
Trac(트랙) 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위키 이자 이슈 트래킹 시스템이다. Trac은 웹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에 대해서 미니멀리스트적인 접근법을 취한다. 우리의 미션은 개발자들이 위대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것을 도우면서도, 그들의 방식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 것이다. Trac은 가능한한 팀에 이미 정착된 개발 프로세스와 정책에 대해서 덜 간섭해야 한다.
Trac 은 SubVersion 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위키와 통합되어있고 편리한 레포트 기능을 제공해준다.
Trac 은 이슈에 대한 서술과 커밋 메세지에 대해서 위키 태그를 지원하며, 버그,테스크,체인지셋,화일,그리고 위키 페이지들 간에 대해서 seamless 한 참조가 가능하게 해준다. timeline(타임라인)은 모든 프로젝트 이벤트를 순서에 맞게 보여주며, 프로젝트에 대한 오버뷰를 얻는 것과 트래킹 진행을 매우 쉽게 해준다.
* 흐흐. gforge 보다는 좀 더 작은 단위의 프로젝트 관리툴임. 위키와 통합되어 있음. (모인모인에 이와 유사한 플러그인을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 WikiSandBox . . . . 5 matches
* 예 : [새위키페이지] [페이지이름]
* [위키위키]에 따라 다른 방식을 쓰는 곳도 있습니다.
== 처음 위키에 접할 때 저지르기 쉬운 실수 ==
충분히 이해하셨다면, 이제 위키를 즐길 준비가 되셨습니다. 하지만 아직 막바로 페이지를 만들
- YouNeedToLogin . . . . 5 matches
''ZeroWiki는 아무나 어떠한 제한없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전 후자의 경우는 위키 초보자가 저지르는 실수라고 생각합니다. 로그인을 할수 있는 사용자는 그런 실수를 하지 않으리라 봅니다. 그리고 다시 말씀드리지만 그러한 작은 불편 때문에 YouNeedToLogin을 주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덕준"]''
저도 사실 로그인을 글쓰기 권한으로 하는 방안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는데 생각해보니 위키 사용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에겐 '로그인의 의무화'가 글을 쓰는데 또하나의 벽이 생길지도 모르겠습니다. 위키가 일반 게시판과 다르듯이 일반 싸이트 로그인하듯이 로그인하는 것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창섭"]
요새들어 제로페이지 위키에 검색엔진을 통해 생성된 쓰레기 페이지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볼때마다 매번 지워주기는 하는데, 노스모크처럼 로그인을 해야 글쓰기 권한이 생기게 바꾸어 보는것도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 페이지가 생긴게 꽤 오래전인것 같기는 하지만 YouNeedToLogin 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하지만 로그인을 해야하는 것은 방법은 위키의 철학에 위배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 굳이 로그인을 하지 않더라도 스팸성 글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수정을 할 때에 난수값을 하나 찍어두고 input 필드를 하나 더 두어 이 곳에 생성된 난수값을 그대로 입력하게 하여 초기에 생성된 난수값과 같을 시에만 글을 수정하게 하는 것입니다. 물론 똑똑한 로봇들은 이를 교묘히 피해가겠지만요. - [임인택]
- ZeroPageHistory . . . . 5 matches
||1학기 ||회장 나휘동, 14기 회원 모집, 지금 그때 진행, 위키 설명회 개최 ||
||1학기 ||회장 허아영, 16기 회원 모집, 위키 설명회 개최, 지금 그때 진행, 새싹스터디 진행, 여의도 소풍, 코드레이스 진행 ||
* 07년은 서버 날라갔던거 때문에 위키 및 홈피에 흔적이 없고 스터디들이 생각나지 않는다ㅠ 기억나시는 분들 채워주시길.. - [지원]
* 위키페이지에서 복붙할 예정
* 2011년은 현재년이고 위키에 정리된것도 많아서 책자에 좀 상세히 적으려고 합니다. - [지원]
- 개인페이지 . . . . 5 matches
ZeroPage 위키의자 이고, ZeroPagers 라면 누구나 가져야 하는 위키내의 자신의 소개 페이지 이다. 개인 페이지에 실리는 정보는 자신의 소개 이외의 사항은 자율적으로 작성하며, 어떻게 사용해도 상관 없다.
개인페이지를 만들지 않으신 분들이 보이는데요. 개인 페이지는 여러 의미와 용도가 있습니다. 기본은 위키를 이용한 자신의 계획과 일정 관리, 그리고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끼리 자연스럽게 생각을 공개해서 모이게 유도 합니다. 그리고 개인 공간을 가짐으로 해서 위키에 대한 좀더 높은 접근 횟수를 유도 합니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누가 누군지 확실히 알수도 있겠죠? 일단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분들은 개인 페이지를 만들고 관리 합시다. --상민
["위키분류"]
- 데블스캠프2012/둘째날/후기 . . . . 5 matches
* [김해천] - 가끔씩 뻘짓으로 웹호스팅에서 빌린 걸로 제로보드나 뭐 이상한 걸 많이 해 보기는 했습니다만, 이렇게 자기 컴퓨터로 이런 걸 재현할 수 있다는 것에 신기했습니다. 설정에 관련된 것을 알아가는 시간이여서 좋았습니다. 워드프레스는 글 포스팅 할 때 환경설정에 들어가서 뜯어고치는 것 같다는 생각을 지울수 없네요ㅠ_ㅠ. 위키는 꼭 나중에 따로 설치해서 구동을 해 봐야 겠습니다.
* [권영기] - 겁먹어서 시도하려 하지도 않았던 개인 위키가 이렇게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습니다. 오늘부터 당장 써먹어도 좋을 것 같아요. 개인용 서버를 만들어봐야겠네요.
* [이재형] - 정말 박진감 넘치는 세션이였습니당!!! 맨처음엔 따라하기만도 바빴는데 혼자 이것저것도 해보고 정말 재밌었습니다. 이게 가능하다니! 라고 감탄도 했구요. ㅎㅎ 그냥 느낌이라면... 워드프레스가 미디어위키보다 좀 더 세련된 느낌 같아서 좋았고 플러그인도 나름 편했고 등등이 있네요~
* [정종록] - 앞의 강의 내용 때문에 날로 먹는 강의... APM setup하는데 그것 까지는 했지만 점점 뒤로 갈수록 굳이 지금 제 노트북에 깔고 싶지 않아서....블로그 같은 것을 안하는지라. 그래도 재미있었습니다. 특히 위키를 하나 만들떄..
* [김수경] - APMSetup 정말 간편하네요. 미디어위키를 깔아보기만 하고 써보지 않아서 아쉬웠습니다.
- 새싹교실/2012/세싹 . . . . 5 matches
5) 어려운 점은 카톡이나 위키 댓글을 이용해 주세요.
* 주말간 바빠서 위키접속을 못하는 동안 엄청난 일이 벌어졌군.. 절대 저런 숙제를 내준 기억은 없는데.... - [정의정]
3) 위키의 늦은 업데이트로 인한 숙제 착오
-> 주말간 강사가 너무 바빠서 위키 업데이트를 못하는동안 참사가 발생
* 이번에도 위키 업데이트가 좀 늦었습니다. 새싹 시간도 깜빡해서 지각하고.. 점점 바빠지는 것 같네요. 시간을 좀 더 아껴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정해진 커리큘럼대로 하는 수업이 아니라서 그냥 손에 잡히는대로 필요한 지식을 전수하기로 했습니다. 물론 코딩은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숙제가 나갈 예정입니다. - [정의정]
- 위키를 써보고 싶고나처음화면 . . . . 5 matches
'''위키는 무엇일까?'''
== 위키를 알기 위해 할 일 ==
* 위키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한다
* 제로 위키에서 사용을 해본다.
=== 위키를 알고나서 할 일 ===
- 위키메뉴얼 . . . . 5 matches
위키메뉴얼제작에 필요한 그래픽을 캡쳐하기 위해 임의로 만든 페이지
지금 제작중인 위키메뉴얼은 위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을 위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위키페이지로 제작하지 않습니다.
위키에 대한 설명이 아직 많이 부족합니다. 지금 쓰다만 저런 형태말고 부드럽게 구어체로 정리할려고 합니다.
- 정모 . . . . 5 matches
-> 위키에서의 feedback 이 적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 자주들렸던 말중 하나가 [정모]로 사람들이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위키에서 처리하자'이다. 이는 잘못이다. 위키에서는 의견들이 모이고, 결정은 정모에서 신속하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위키는 해당 관련 정보를 모으고 토론이 격해질때 도큐먼트를 정리하는등 호흡이 긴 토론시에 유용하다. 모든 토론들이나 결정사항들이 위키에서 이루어질 이유가 없고, 또한 별로 유용하지도 않다. --[1002]
- 정모/2003.11.3 . . . . 5 matches
=== 위키 ===
* 원위키와 제로위키를 나눠서 쓰는 것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처음엔 원위키를 쓰면서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 가자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그런 의도가 흐지부지되고 있네요. 원위키에 토론 페이지 만들어보겠습니다.
- 정모/2004.04.27 . . . . 5 matches
== 위키설명회 세부사항 결정 ==
== 위키 기본 css 단장 ==
* 위키 투표로 결정하자 - [노수민]이 투표 페이지를 만들기로 결정
* 그날은 단순히 위키설명회와 멤버 영입인가요. 그 이후 무얼할 것인지 뚜렷한 계획을 세우지 않은 것 같습니다. -- [황재선]
* 위키설명회 목적은 위에 있지요. 그 이후에는 [정모]에서 회원들이 무엇을 할 지 정하겠지요. --[Leonardong]
- 정모/2005.3.7 . . . . 5 matches
위키설명회
=== 위키설명회&ZP소개 ===
SeeAlso [위키설명회2005]
=== [부드러운위키만들기] ===
위키가 딱딱해서 접근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페이지를 생성하여 어떻게 해야 부드러울지 토론 해보자.
- 정모/2011.3.14 . . . . 5 matches
* 위키에 올라오면 개선할 사항이나 추가할 부분에 대해 자유롭게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기본적인 권고사항은 위키에 피드백 남기기
* 위키에 피드백을 남기지 않더라도 어떤 방법으로든 새싹 교실을 열심히 진행했음을 증명하고 ZeroPage의 발전에 기여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 아래에 후기라는 소제목에 태진군이 일등으로 적은게 피드백입니다~ '''피드백은 어떤 활동에 참여하고, 거기서 배운 사실, 느낀점, 개선방안등을 위키에 글로 남기는 활동을 통칭합니다''':) - [서지혜]
* 대안언어축제에서의 경험을 공유하는 차원에서 1주일회고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봤는데 어땠을지 모르겠네요. 이게 대안언어축제에선 6~8명 정도 있을 때 했던 것인데요. ZeroPage 정모에 그대로 적용시키니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그 점을 개선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 OMS에서는 현이가 진행한 Objective-C 세미나를 들었는데 정말 유익했습니다. 사실 Objective-C에 대한 호의적인 의견은 전에도 들어본 적이 있는데 딱히 관심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정모에서 세미나를 들으니 ''오, 이거 재밌겠는데?'' 싶은 생각이 드네요!! 깊게는 아니더라도 한번 공부해서 써보고 싶어졌습니다. 마침 현이가 책장에 책도 가져다 놓았으니 틈틈이 읽어봐야겠어요. 아, 그리고 대안언어축제의 경험을 어떻게 공유해야할지 고민이 많았는데 지혜가 정말 중요한 내용들을 공유해준 덕분에 저는 자잘한 몇가지만 말하고 넘어갈 수 있었네요ㅋㅋ 위키에도 [wiki:PNA2011/서지혜 대안언어축제 내용]을 정리하고 있던데 다들 읽어보셨으면 좋겠어요~ - [김수경]
- 진법바꾸기/허아영 . . . . 5 matches
LittleAOI글은 답글을 거의다 다는데, 단지 네가 글을 많이 올려서 그렇잖아..;;ㅁ;; 이런 위키 폐인들..... - [조현태]
위키 너무 좋아>_< ㅋㅋ 개인위키도 만들고 싶은..ㅎㅎ -[허아영]
┗둘이 위키에서 아주 사는군 ㅋㅋ -[김영록]
└이런 위키 폐인들... (응 너는?) - [조현태]
- 학회간교류 . . . . 5 matches
처음 Netory:경태 의 제안을 시작으로 양 학회의 위키페이지를 통하여 이야기들이 오고갔으며, 11월 경에 첫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는 10월 말 중간고사와 Netory 에서의 공모전관련 일정 등으로 인해, 당분간 위키를 통한 의견 교환을 하도록 함.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있을 회의를 거친 후 결정할 생각이다.
* 위키사용법 : 네토리 회원은 위키에 약하다? 암튼. 아직 위키 문화에 친숙하지 않고, 에디트를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아서.. --Netory:경태
- AttachmentMacro . . . . 4 matches
/!\ 모니위키 1.0.9 혹은 그 이후에 지원되는 기능입니다.
/!\ 모니위키 1.1.3 CVS부터 지원하는 기능
/!\ 모니위키 1.1.3 CVS부터 지원하는 기능
모니위키 1.1.3부터 제대로 지원하게 된 WikiWyg GUI를 사용하면 좀 더 쉽게 파일을 업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 CPPStudy_2005_1 . . . . 4 matches
* [http://165.194.87.227 위키포탈]
* 위키에 책 내용 정리되어서 올라와서 공부하기 좋았다.
* 위키에서 해당 스터디 링크를 찾기 어려웠음
* 위키에 내용정리 계속 해나가야할 일
- CategoryCategory . . . . 4 matches
위키위키에서 분류를 지정하는데 Category를 보통 사용합니다. 위키위키의 분류는 [역링크]를 통해서 구현됩니다.
- Favorite . . . . 4 matches
[http://www.passioninside.com 구근이형 개인위키]
[http://jeppy.cafe24.com 종필이형 개인위키]
[http://xenbio.net/cgi/view/Xen/WebHome 승범이형 개인위키]
[http://www.dasomnetwork.com/~leedw/ 이동우님 개인위키]
- HelpOnConfiguration . . . . 4 matches
모니위키의 몇몇 플러그인중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환경변수 PATH를 참조하여 외부 프로그램을 호출하게 된다. 이때 PATH의 설정이 제대로 맞지 않아 외부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config.php에서 `$path`를 고쳐보라.
{{{RCS}}}는 모니위키에서 버전관리를 {{{RCS}}}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MoniWikiRCS]] 페이지 참조.
만약 시스템 차원에서 rcs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rcs를 컴파일해서 사용해보라. 예를 들어 모니위키가 설치된 디렉토리가 {{{moniwiki}}}이고
config.php에 `$security_class="needtologin";`를 추가하면 로그인 하지 않은 사람은 위키 페이지를 고칠 수 없게 된다. 로그인을 하지 않고 편집을 하려고 하면 경고 메시지와 함께, 가입을 종용하는 간단한 안내가 나온다.
- HelpOnHeadlines . . . . 4 matches
/!\ {{{= 레벨 1 =}}} 제목은 <h1>으로 랜더링되지만 다른 위키위키 마크업과 통일성을 위해 '''두개'''의 "==" 부터 제목줄을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MediaWiki에서도 비슷한 이유로 ``레벨1`` 제목 사용을 제한적 허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h1>은 ''페이지의 제목''에 할당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모니위키]] {{{확장}}} ==
모니위키의 경우 제목줄에 기본 문법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인모인 혹은 DokuWiki에서는 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 HelpOnTables . . . . 4 matches
그밖에 위키 문법은 HelpOnEditing를 참고하세요.
/!\ rowbgcolor는 모니위키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 기본 모니위키 확장 ===
모니위키는 PmWiki 혹은 DokuWiki식의 간단한 정렬 방식을 지원합니다.
- WikiStyle . . . . 4 matches
위키위키에 좋은문체에 대해 생각하고 제로위키(ZeroWiki)에 적용했으면 합니다.
["위키분류"]
- XpWeek/준비물 . . . . 4 matches
|| 위키위키 || 여기가 위키위키다. || (V) ||
- ZPHomePage/계획 . . . . 4 matches
* 메인에 공지, 한줄메모, 위키바뀐글, 진행중인스터디 표시
* 위키를 홈페이지 속으로
* 게시판과 위키 로그인 통합
* 볼만한 위키 페이지 1주일 단위로 소개
- ZeroWiki/Mobile . . . . 4 matches
* 서버의 위키 데이터 DB와 직접 연동하는 방법
* => DB 스키마 구조를 이해하고 있어야 함. 필요시 위키 페이지 소스에 대한 분석도 필요
* => 페이지를 불러와 이를 다시 바꿔야 하므로 직접 연동에 비해 느리며 서버에 부하를 줌. 하지만 위키 HTML 소스 분석만 하면 됨
* 올해 졸업하신 14기 [이승한] 선배님께서 모니위키 모바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 김태진 . . . . 4 matches
* ZeroPage 정모 100회째 참가(위키 정모페이지 14.06.05 기준)
== 필요한 위키 페이지 ==
== 내 이름이 포함된 위키 페이지 ==
* 위키에서 잘 정리되있는 개인 페이지 중 하나인듯? ㅋㅋㅋ - [권영기]
- 덜덜덜 . . . . 4 matches
아! 여기 위키에 남기시면 저 이외에 다른분도 답변해 주실 수 있으니 좋겠네요
||이름||MSN||위키 페이지||4/6일||4/8일||4/12일||
위키는 누구나 수정 가능합니다. 틀린 정보는 고치면 되겠죠~ :) - [톱아보다]
우씨 왜 자꾸 나 결석으로 바꿔놓냐!! 혼난다.... 누군지 모를거 같지만 위키는 기록 다남는다.. - [조동영]
- 데블스캠프2004/위키항해소감 . . . . 4 matches
* 2004년 데블스캠프 첫날에 위키를 항해하고 느낀 점을 토의한 것을 적은 페이집니다.
* 하욱주: 위키 양이 많았다.
* 황재선: 앞으로도 위키를 갖고 나갔으면 좋겠다.
* 임영동; 위키가 방대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
- 분류패턴 . . . . 4 matches
페이지 하단에 '''XXX분류''' 라는 링크를 남겨서 그 정보를 위키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키의 전체 페이지 내용검색 기능을 이용해서 같은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만 찾아낼 수 있다.
* ["분류분류"], ["위키분류"], ["제로페이지분류"], ["책분류"], ["토론분류"], ["패턴분류"], ["프로젝트분류"], ["학습방법분류"], ["홈페이지분류"] (현재 존재하는 분류들 기준)
["위키분류"]
- 서버재조립토론 . . . . 4 matches
네 충분히 그렇게 생각 하실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로서 서버가 하는일이 웹서버및 소스 Repository 로서의 역할이니깐요. 그리고 마지막에 프로젝트 때문에 필요할 경우에 나 새로 맞출 필요가 있다고 하신 말씀도 동감합니다. 현재 한 3주 동안 제로페이지 서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제로페이지 서버를 아주 자주 이용하는 입장에서는 많이 제로페이지 서버에 들어가니깐 서버가 죽어 있어서 여러가지로 불편했고, 현재 제로페이지 서버와 연계해서 돌아가는 위키 포탈을 운영 및 관리하는 입장에서는 치명적이었습니다. 제로페이지 회원들이야 안면이 있으니깐 이해해 주겠거나 좀 불편하고 말겠지 하고 생각하실수도 있지만, 위키 포탈 서비스가 우리 학회에서 제공을 해주는 서비스지만 외부에서 이용하는 사용자도 꽤 있었는데 왠만한 사용자들은 다 빠져 나간듯 하네요.. 그래서 지금은 급한게 다른 서버에서의 DB 지연을 기다리는 시간을 원래 1분에서 3초로 줄여서 그나마 임시 방편으로 수습을 했습니다. 또 프로젝트 진행을 하는데에도 제로페이지 서버가 자주 죽어서 진행을 제대로 할 수가 없었습니다.
제로페이지 서버가 현재 분명 문제가 있고, 이것을 해결해야 한다는데에는(즉 좀 가끔가다가 죽으면 뭐 어때 하는 분은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동감 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제로페이지 서버가 아주 자주 죽는 문제가 제로페이지 서버의 하드웨어 적인 문제인가, 소프트웨어 적인 문제인가, 인프라적인 문제인가 이 3가지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인프라적인 문제는 다른 학회나, 동문서버도 안 죽고 하니깐 제외 하겠습니다. 그러면 하드웨어 아니면 소프트웨어 적인 문제인데. 솔직히 저는 리눅스가 오래 사용해서 자주 뻗는다는 것은 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리눅스를 서버로 우리보다 훨씬 오래 사용하는 곳도 부지 기수일텐데 그런곳들이 모두 이런 문제를 겪고 있을까요.. 그렇다고 지금까지 관리가 안되서 그런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상민형, 석천이형, 영창이 모두 제가 생각하기에는 그 누구보다도 서버 관리를 잘 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테스트를 해봐야 알 문제입니다. 오늘 회장님이 테스트 해본다고 했는데 가끔씩 서버가 죽는 문제를 어떻게 테스트를 해야할지 전 감이 안 오네요. 한 일주일정도 제로페이지 서버를 죽이고 다른것(다른 하드에) 웹서버를 깔아서 아주 아주 수시로(몇분 단위로) 그 웹서버로 들어와서 죽었는지 확인을 해야 하는데(물론 테스트는 테스트를 진행하는 한두사람만 하겠죠. 현재의 제로페이지 위키만 해도 하루 방문자가 1000이 넘는것에 비해서...)그게 참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또 한 일주일동안 서버를 죽이는것도 현재 위키위주로 돌아가는 제로페이지에도 치명적이구요. 이렇게 테스트를 해서 만약 하드웨어 적인 것이 문제라면 또 다시 서버를 업그레이드 한다음에 다시 서버를 설치하는 작업을 해야겠죠.
- 스터디제안 . . . . 4 matches
각자 흥미로운 기사를 나눠 갖고 공부한 다음, 함께 모여서 발표하고, 토론하고, 제로페이지 위키에 그 내용을 요약해서 올린다. 기사를 번역할 필요는 없고 대충 어떤 내용인지, 그리고 소감 같은 것, 관련 정보를 함께 연결지어 올린다.
더구나 제로페이지 위키에 오는 사람들의 눈높이를 한 단계 높여줄 수 있다. 컴퓨터 기술을 바라보는 안목이 훨씬 넓어질 것이다.
많은 경우, 특정 주제에 대한 스터디를 만들 때에는 가능하면 독립적인 아이덴티티를 드러내는 이름을 짓기보다, 그냥 공부하는 구체적 주제로 이름을 짓는 것이 나은 것 같습니다(반대로 특별한 이름을 짓는 것이 주는 장점도 많습니다). 어차피 스터디 그룹은 한시적인 것이고, 공부하자고 모인 것이지 어떤 조직을 만들자고 모인 것은 아니며, 해당 그룹이 공부한 내용은 이런 위키에 축적이 될 것이므로. 그룹의 공동체적 성격이 초점이 되고, 공부보다 "관계"가 중심에 놓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공부하는 사람들이 피해야할 것입니다. 같은 주제를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끼리 모여서 정말 열심히, 성실히 공부한 다음, 그 자료를 위키에 남기고, 다음을 기약하며 소리없이 해산하면 그만인 것이죠. 이 때의 또 다른 장점은, 다음에 그 주제를 공부하는 다른 스터디 그룹이 있을 때 이전에 스터디를 했던 사람들의 작업에 접근할 확률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이죠. 관계중심적인 공동체를 이루면 장점도 많지만, 외부에서 절연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단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
- 스터디지원 . . . . 4 matches
* 해당 위키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한 달 안에 스터디와 프로젝트가 2회 이상 진행되어야 하고 그 진행 상황을 위키에 기록하여야 합니다.(다른 곳에 기록 후 링크로 대체 가능)~~
* ~~위키에 등록되어 있는 스터디와 프로젝트이어야 합니다.~~
* 회식지원에 위키에 해당 일자에 스터디를 진행한 기록도 있어야하지 않을까? -[김태진]
- 위키분류 . . . . 4 matches
위키위키 사용법, 위키위키 철학등에 관련한 페이지들.
- 이동현 . . . . 4 matches
위키를 배워서 이 페이지를 더 꾸며야지..
* 오 동현이 위키페이지 만들었네~ 위키의 세계에 온걸 환영해 - [상협]
- 땡큐~ 위키 첨엔 쫌 당황했었는데 알고보니 굉장히 재미있는듯 ^^
- 정모/2005.3.14 . . . . 4 matches
* [지금그때2005], [위키설명회] 두 행사의 리허설.
* 위키설명회와 지금그때 리허설.
* 위키설명회는 간단하게 상황보고를 하고 넘어갔습니다. (DeleteMe맞는지 모르겠네요;; 확실히 회의록은 바로올려야지 까먹네요;;- 이승한)
[지금그때2005/리허설] 뿐 아니라 [위키설명회2005] 도 월요일에 하네요. 월요일에 참석을 못 할 듯 싶어서, 글로나마 [지금그때]리허설을 하면서 다음 사항을 점검하길 바래요.
- 정모/2011.3.28 . . . . 4 matches
== 위키 제안 안내 ==
* 현재 ZeroPage 회원 중 작년도 합격자와 탈락자가 모두 있으니 관심 있는 사람은 위키/게시판에 질문하세요.
* 시작하기 전에 다들 모여 앉을 수 있도록 앞으로 나와달라고 했어야하는데 깜빡했네요. 그래서인지 이번 정모는 약간 산만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번 OMS는 게임 컨트롤러에 대한 내용이었는데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Wii 나왔을때도 신기하다 대단하다 싶었는데 이제 뭐 들고 있을 필요도 없다니… 기술 발전이 참 놀라워요. 느리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별로 느리지도 않은 것 같고 말이죠. 요새 플래시 보드(타는)게임을 자꾸 하는데 키넥트를 이용한 보드(타는)게임 해보고싶네요. 아파트에 살면서 그런거 하면 쫓겨나겠지만 난 아파트에 사는 게 아니니까;; 3월 회고를 진행했는데 OMS는 한결같이 호응이 좋습니다. 다시 시작하길 잘했네요~ 발표하는 사람에게도 듣는 사람에게도 즐거운 시간인 것 같아요. 그런데 다음주 OMS도 과연 그럴지………… 위키의 활성화도 긍정적인 반응이 많아 기뻤습니다. 안 쓰던 위키라 다들 불편하게 느끼시지 않을까했는데 역시 쓰다보면 또 익숙해지는 거니까요ㅎㅎ - [김수경]
- 정모/2013.3.25 . . . . 4 matches
* 튜티들도 위키를 사용할 수 있게 위키 사용법을 알려 주세요.
* 튜터들은 위키에 진행사항을 써 주세요.
위키도 작성
- 즐겨찾기 . . . . 4 matches
[http://www.passioninside.com 구근이형 개인위키]
[http://jeppy.cafe24.com 종필이형 개인위키]
[http://xenbio.net/cgi/view/Xen/WebHome 승범이형 개인위키]
[http://www.dasomnetwork.com/~leedw/ 이동우님 개인위키]
- 지금그때2003 . . . . 4 matches
[지금그때2003]때 큰 종이에 적었던 기록들을 위키로 옮기고, 늘 지속적인 질답, 정리작업이 되면 좋겠습니다. 새로운 질문이 올라와도 좋겠죠. --JuNe
전체 내용을 위키로 만들 계획입니다. --NeoCoin
흑흑.. 10년만에 돌아와 이 페이지를 보니, 열심히 전체를 정리해서 위키로 만들었는데 위키데이터 이식 과정에서 유실되었었네요. 아쉬워라.. --NeoCoin
- 지금그때2003/선전문 . . . . 4 matches
위키를 사용하시기 어려운 분들은, 이 글의 리플로 달아주세요.
2003년 지금그때에서 이루어졌던 이야기들은 조만간 위키로 정리해서
공개하겠습니다. 차후 후기 페이지도 전용 위키로 옮기겠습니다.
위키 정리할때 같이 올려놓겠습니다. 리플좀 달아주세요.
- 2006신입생/방명록 . . . . 3 matches
- 용욱이 ㅎㅎ 그래그래^^ 누나 위키페이지에도 놀러와~ - [허아영]
-나도 저주하겠다~ 위키에다가 볼록할 철자를 박아두다니..-_-...
어쨌든 가입!! ㅋ그런데 위키는 하나도 모르겠다.. ㅠ_ㅠ 선배들한테 배워야 될게 넘 많은거 같은 기분이.. ㅋ_ㅋ - 차형 -
- AdvertiseZeropage . . . . 3 matches
- 위키 페이지를 만들면 된다고 말은 해 두었지만 실제로 위키를 사용할줄 하는 새내기가 몇이나 있을지 의문스럽군요
* (대외적) 위키 개방 및 활성화
- AssemblyStudy . . . . 3 matches
* 위키가 뭔지 잘 모르겠다고 느껴진다고 말하기 전에 검색이라도 해보고 그런 소리 할것. 키워드:위키위키
- DueDateMacro . . . . 3 matches
일단 위를 보면 (어째선지 미리보기에선 글씨가 깨져보이는군요 ...) 오늘(12월1일)과 내일이 똑같이 0일 남았다고 되어있습니다. 제 위키에서는 이틀 다 '오늘입니다' 라고 표시되던데.. 버그인듯 하군요 ^_^;; - stania
리눅스 + 모니위키 버전 1.0.5 모두 잘 됩니다. 이곳의 DueDateMacro는 옛날 버전이라서 이렇습니다. --WkPark
다른분들 위키를 보니 잘하고 계시던데... 어떻게 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 [보로]
- HelpOnProcessors . . . . 3 matches
프로세서 혹은 프로세서 플러그인은 모니위키의 고급기능중의 하나로서, 중괄호 {{{{{{ }}} }}}로 감싼 코드 블럭 영역에 대해서 특별 처리를 해줍니다.
다음과 같이 코드 블럭 영역 최 상단에 {{{#!}}}로 시작하는 프로세서 이름을 써 넣으면, 예를 들어 {{{#!python}}}이라고 하면 그 코드블럭 영역은 {{{plugin/processor/python.php}}}에 정의된 processor_python()이라는 모니위키의 플러그인에 의해 처리되게 됩니다. {{{#!python}}}은 유닉스의 스크립트 해석기를 지정하는 이른바 ''bang path'' 지정자 형식과 같으며, 유닉스에서 사용하는 목적과 동일한 컨셉트로 작동됩니다. (즉, 스크립트의 최 상단에 지정된 스크립트 지정자에 의해 스크립트의 파일 나머지 부분이 해석되어 집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니위키는 여러가지 다양한 프로세서 플러그인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Memo . . . . 3 matches
[http://c2.com/cgi/wiki?TopTenWikiEngines 위키의 종류] 에는
이 밖에도 여러가지 언어로 만든 위키가 있다. 매크로를 하나 추가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다. 여러 위키에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만들 수 있을까?
- MoinMoin . . . . 3 matches
* 모인모인을 사용하는 위키 : [http://wikipedia.org], [http://no-smok.net]
* 모니위키로 개인위키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기능에 한계가 있어 모인모인으로 이사하는 중 입니다. - 이승한
- PageHitsMacro . . . . 3 matches
특정 사용자명, 가령 개인위키라면 그 위키 주인, 은 제외하고 incCounter()하는 게 어떨까요?
옵션으로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위키 주인'''은 여럿이 있을 수 있으니 배열로 하고 $owners=array("홍길동","철수");처럼 하면 되겠죠 ? --WkPark
- Ruby/2011년스터디 . . . . 3 matches
* 위키에 내용 정리하기
* 위키에 내용 정리하기
* 위키에 내용 정리하기
- ZPHomePage/20041228 . . . . 3 matches
* 메인에 공지, 한줄메모, 위키바뀐글, 진행중인스터디 표시
* 위키를 홈페이지 속으로
* 게시판과 위키 로그인 통합
- ZeroPage/임원/회의/2011-02-13 . . . . 3 matches
* 위키에 본인이 직접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형태에 제한은 없다.
* 다른 형태로 작성하였을 경우 위키에 옮기는 것을 권장한다.
* 위키에 옮기지 않더라도 ZeroPage에 수집되어야 함.
- ZeroPageMagazine . . . . 3 matches
AnswerMe ZeroPageMagazine은 앞으로도 계속 만들어나갈 것인가요? 일회성 행사에 그친다면 아쉬움도 많이 있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만들어나갈 것인지 아니면 한번 만들고 끝낼 것인지에 따라 발간형식이 달라질것 같아서요. 예를들어 직접 인쇄를 해서 ZeroPagers, ZeroWikian들에게 나누어줄 것인지, 혹은 위키위키형식으로 만들어나갈 것인지, 혹은 웹페이지, PDF, ... 등등 발간형태가 여러가지가 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 [임인택]
회의를 통해 웹페이지 형식으로 만들 것으로 의견 조종했고, 위키형식은 아닙니다. 발간 형태는 월간, 방학마다등 생각 중인데, 일단 초판을 만들어보고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강희경]
- ZeroPage정학회만들기 . . . . 3 matches
* ZeroWiki 와 학술터 위키의 통합 또는 학술터 위키 관리
* 학기중 위키에서 진행된 프로젝트(꼭 개인공부가 아니더라도, 학교 숙제 등)에 대한 사람들과의 토론모임 (이 역시 ZP + 과내 사람들 이득이 되리라 생각)
- Zeropage/Staff/회의_2006_03_04 . . . . 3 matches
Upload:2006제로페이지위키설명회.ppt
=== 제로위키 ===
* 뭐 보시는바.. 위키 포탈
- 꼬마혜성 . . . . 3 matches
제껀 제 개인 위키로 옮겨갑니다. ^^; [[BR]]
DeleteMe 그러고 보니 자네도 무지 재미있군. 위키 어렵다고 쓰기 힘들다고 하더니 개인 위키 만들어서 돌리고 있었나 보군. 다소 황당한 느낌이 든다. zp서버가 공짜 호스팅 업체로 생각되는 것은 당연한것 아닐까. --["상민"]
- 나를만든책장관리시스템 . . . . 3 matches
* 반가워요. 혹시 가능하시면 위키 어떻게 쓰는건지좀 알려주세요. 제 위키에......... 추신, 이거 하나 쓰느라 어지럽혀서 죄송.--[(furrybear)]
* 옷. 첨뵙는 분이네요. ^^ [사용설명서] 를 참고하세요. 위키는 자유공간이기 때문에 이것저것 시도하면서 배운답니다. [사용설명서] 에서 애매한 부분이 있거나 읽고나서도 사용에 어색하다면 다시 말씀해주세요. : ) --[창섭]
- 데블스캠프2004 . . . . 3 matches
* 위키를 항해해보고 느낀 점들
[데블스캠프2004/위키항해소감]
* 벌써 2004년도 DevilsCamp 를 시작할 때가 되었군요..^^; 하하.. 미안한 느낌만 드는건 왜일까요;; 뭐.. 그건 그렇다 치고 허접하지만 의견하나 내도 될련지... DevilsCamp는 참여하는 그 당시도 중요하지만 끝나고 나중에 "아. 그 때는 이렇게 했었지."라는 생각을 하면서 전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위해서 필요한게 다시 한번 돌아보는 일입니다. 그 주제가 끝났다고 그냥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는 거죠. 뭔가 부족한 것은 다시 한번 확인해서 고쳐도 보고 다르게도 만들어보고 또 다른 사람들과 비교도 하는 과정이 그대로 위키에 체계적으로 정리가 될 때 나중에 더 큰 재산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상 허접한 의견이었습니다. 많은 테클 부탁드립니다.(답변은 못올림;;) -[상욱]
- 데블스캠프2010/첫째날/후기 . . . . 3 matches
* 간단하게 위키라는 거랑 SVN이란 거를 실습해봤어요~ - [박성현]
* 비록 프로그래밍 완전 허접하게못하지만 위키나 SVN둘다 재밌네요 후훗..^^ - [양아석]
* 위키 구성이 적응이 안돼요 ㅋㅋㅋ 노력해 볼께요 ㅎ_ㅎ - [김상호]
- 데블스캠프2010/회의록 . . . . 3 matches
* 적극적으로 위키를 개선했으면 좋겠음.
* Obfuscation에 대해 위키 페이지를 만든다. -[박재홍] 학우
* 위키페이지를 만들어서 코딩을 잘하는 방법에 대해 쓴다. -[All Members]
- 말없이고치기 . . . . 3 matches
[위키위키]에선 누군가가 별 말을 남기지 않고 뭔가를 수정하거나 삭제를 한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그 사람이 경솔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의도적인 경우가 있다.
["위키분류"]
- 문서구조조정 . . . . 3 matches
위키는 ["DocumentMode"] 를 지향한다. 해당 페이지의 ["ThreadMode"]의 토론이 길어지거나, 이미 그 토론의 역할이 끝났을 경우, 페이지가 너무 길어진 경우, 페이지하나에 여러가지 주제들이 길게 늘여져있는 경우에는 문서구조조정이 필요한 때이다.
이 역할을 해야 할 사람은 특별하게 정해져있지 않다. 위키는 해당 페이지에 대해 누구나 접근하고 고칠 수 있다. 즉, 누구나 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새 페이지의 주제를 열고 글을 쓰는 것 처럼 중요한 일이다.
["위키분류"]
- 블로그2007/송지훈 . . . . 3 matches
책에 나온데로 한 후 위키에서 링크를 걸려고 했슴다.
말 그대로 localhost 라서 링크 걸어도 외부에서는 접근 못함. 위키에 링크를 걸면 외부(위키)를 통해서 접근하는거가 됨 - [(namsang)]
- 새싹교실/2011/데미안반 . . . . 3 matches
* [강소현] - 열성적으로 질문을 해주어서 좋았습니다. A언어도 있는지의 여부를 물었었는데 저는 몰랐었는데 실제로 존재하더라구요 ㅎㅎ 가벼운 내용이라도 의문이 드는 사항이라면 언제든지 위키나 문자로 질문해주면 최대한 답변을 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전에 실습했던 것의 복습과 scanf 이후로 나갈 예정입니다. PPT 준비에 디자인도 없이 급하게 만든 티가 났었는데, 다음 시간에는 조금 더 준비를 해가겠습니다:)
* 위키 정리가 매우 알차네요!! 그런데 한편으론 이렇게 정리하려면 위키에 적는 것이 새싹교실 선생님에게 너무 부담스럽지 않을까 싶은 걱정도 듭니다. 즐겁게 정리하고 있다면 정말 좋은 일이지만 혹시 너무 부담스럽다면 덜 꼼꼼히 적어도 괜찮을 것 같아요~ - [김수경]
- 새싹교실/2011/앞반뒷반그리고App반 . . . . 3 matches
=== 위키 ===
~~매 시간마다 위키에 나아간 곳의 지도를 작성합니다. 그냥 머리에서 나오는 대로 그리세요. (자동기술법)~~
~~여행의 연장으로, 위키에 작성한 글을 가지고 맞춤법 교정도 진행합니다.~~
- 새싹교실/2013/양반/1회차 . . . . 3 matches
* 제로페이지 위키 작성법을 가르칠 겁니다. -> Fail
* 제로페이지 위키 작성법을 가르칠 겁니다. -> Fail
* 사실 위키 쓰는 법을 알려주려고 했는데, 까먹어서 알려주지 못했어요 ㅠㅠ - [권영기]
- 새회원을받으면 . . . . 3 matches
AnswerMe 5월 10일 위키설명회를 하면서 새회원을 받기로 하였는데...여러가지 생각이 떠오릅니다. ZeroPagers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현재 위키 실험 중인가 보군요. 그런데 왜 이리 체계 없이 느껴지는지, 지금 일련의 행사에 대한 계획이나 기록 어디 없나요? --NeoCoin
[위키설명회]를 하였습니다. --[Leonardong]
- 서지혜 . . . . 3 matches
* 위키 보물 페이지 퍼올리기
* 위키 페이지 : [Bigtable/분석및설계]
* 위키 : [http://swmaestro.openflamingo.org]
- 안혁준 . . . . 3 matches
* [위키정원사]
* 개인용위키 - [http://github.com/HyeokJun/WikiNote wikinote]
* 위키정리
- 위시리스트/구상 . . . . 3 matches
* 그 동안에는 트렐로나 위키, 홈페이지 등 흩어져 있어서, 누구든 볼 수 있고 작성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위키에''' 필요한 물품을, '''명확한 용도'''와 함께 작성.
* 해당 위키 링크 [스터디지원]
- 정모/2003.2.12 . . . . 3 matches
*어쩌다가 위키위키에 대해 배우게 됐는데(아주쪼금)제로페이지홈피에 위키가 있다구해서...-희경
- 정모/2003.9.9 . . . . 3 matches
* 이것도 사람이 적어서 보류합니다. 급하면 위키에서 해결하겠습니다.
* 현재 위키의 이용율로는 위키에서 해결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극단적으로는 정모에 참석한 사람들에 한하여 발급하고 싶기도 합니다. 식정모 참석도 저조하고, 스터디 참석도 저조한 상태에서 계정을 할당 받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9월 달 내로 제한없이 발급하고, 결정에 따라서 이후에 정리하는 방향으로 했으면 좋겠습니다. --NeoCoin
- 정모/2004.9.24 . . . . 3 matches
방법론, 위키활용 - 지식관리, 다양한 것, 자유롭다, 회의, 숙제를 스스로, 새로운 것을 한다
나름대로 수시로 위키도 드나들엇다고 생각하는데 안나와잇는거 같네염..;; --[김동경]
시간은 대부분 매주 화요일로 하기로 정했습니다 정모공지 위키에도 올려야겟네요 이전에는 자유게시판? 에 올리기도 했던듯 --[iruril]
- 정모/2006.12.16 . . . . 3 matches
* 상섭 - 회의때 안건을 정하고 위키를 통해서 토론해 보는건 어떨까?
* 상욱 - 위키에 올려서 위키에 정보가 쌓일 수 있도록 하자.
- 정모/2011.3.7 . . . . 3 matches
* (정모에서 공유한 내용들이 위키 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 정모에서 세미나와 페챠쿠챠만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OMS할 때는 학교 컴퓨터를 이용했는데, BGM과 동영상이 재생이 안되더군요. 안타까웠습니다. 그리고 루비를 보면서 느낀게 참 신기하더군요. 가장 신기한게 'nil'이었습니다. 보면서 여러가지 질문이 생각나더라고요. ''왜 nil이 라고 용어를 붙여놨어. Null이랑 헷갈리게!'', ''실제로 가볍게 활용을 하려면 어떻게 이용해봐야 할까?'', ''루비의 가장 큰 특징이 뭐지? 왜 좋다고 이야기 할까?'' 블라블라~. 그리고 루비 위키페이지에 적어놓으셨던 문법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걸 깨달았습니다. '<'로 상속이 안돼! 이 깍쟁이 irb야~ 내가 너를 Some이라 불러줬으니 나에게로 와서 Some2가 되어달란 말이야 ㅜㅜ. 앞으로는 다음에 언어 세미나를 들을 때 ''왜 이 언어와 문법이 등장하였는지''를 좀 생각하면서 들어야겠습니다. 그냥 생각없이 들으니까 금방 까먹어 버리네요. - [박성현]
* 활동보고에서 책읽기 모임 보고를 하면서 간만에 정말 정식활동 시작!! 한번쯤 해보고 싶었던 루비 프로그래밍 실습도 하면서 알찬 정모가 되지 않았나 느꼈습니다. 아쉬웠던 점은 시간 안배인데, 정모의 시간에 대한 제한은 없으나 어느 정도 deadline은 잡아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늦어도 9시까지는 끝낸다 라던가..) 책읽기모임 활동보고의 소요시간이 약간 길었는데, 각자 읽은 책에 대해서 정모에서 나누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긴 하나 모임 때 나눴던 얘기의 단순 요약판이니 이제부터는 위키를 참조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루비 코드 레이스는 참여자를 봐서 다음주 정모 때 하는게 어떨까요 - [송지원]
- 정모/2011.4.11 . . . . 3 matches
== 위키 간단 교실 ==
* 위키엔 링크가 정말로 중요합니다. 가급적이면 페이지 작성하실 때 관련된 다른 페이지를 링크해주세요.
* 저는 횟수로 따지자면 이번이 두번째로 참여하게 되는건데, 좀 제대로 참여한건 오늘이 처음이라 어떨지 많이 개대됐어요. Ice Breaking도 좀 더 재밌게 쓸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남네요. 또, 중간에 스터디 소개같은거 하는데서는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지.... 라는 것도 좀 있었구요. OMS는 매트릭스가 제일 기억에 남...는 다고 하면 거짓말이겠고.. (배경이..) 사실 OMS하는게 상당히 많이 전문적인(저번에 현이형이 준비하는거 봤거든요.)걸 하는 줄 알았는데 꼭 그런건 아닌거 같아 좀 쉽게 다가온거 같아 좋았어요. 근데 갑자기 궁금한게.. 위키에 두명이 동시에 수정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앞에 저장한 사람의 내용이 씹히게 될까요;? - [김태진]
- 정모/2011.7.18 . . . . 3 matches
* 너님 위키 아이디가 이메일 주소인가요? 특이하네... - [지원]
* 전에도 있었는데 한동안 안 했을 뿐.. 돌아온 OMS지. 그리고 지난 몇년간 위키를 활발히 안 써서 했던 활동도 위키에 기록이 잘 안 남아있어 ㅋㅋ - [김수경]
- 정모/2012.4.30 . . . . 3 matches
* 위키
* 누가 위키 완성좀 해주세요....... -[김태진]
* 위키 나머지 부분도 일단 듣고 대충 기억 나는 정도까지는 수정함. 정모 내용 지워서 미안 -_-;;; - [서민관]
- 정모/2013.6.10 . . . . 3 matches
* 뭔가 받아 적은 게 많아서 위키가 너무 길어진 감이 있습니다. 다음부터는 잘 요약하도록 하겠습니다. - [김해천]
* 위키로 정모에서 어땠는지 잘 파악할 수 있어서 더 좋은거같은데요. -[김태진]
* 위키가 길어 보이는 건 실제로 한 내용이 많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거 아닐까. 오히려 많은 내용에 비해서는 잘 정리한 것 같음 - [서민관]
- 정모/2013.7.29 . . . . 3 matches
* 동아리 소개, 스터디/프로젝트, 운영 방식, 위키 시스템, 세미나 관련 이야기를 했습니다.
* 위키 등을 통해 스터디/프로젝트나 정모 등의 내용을 공유하고, 후기와 의견을 다는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 [김민재]
* 현재 ZeroPage에서 GDG를 소모임 형태로 만들 것인지, 아니면 ZeroPage 자체가 중앙대 GDG가 될 것인지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고자 합니다. (위키에 의견을 달아주세요.)
- 정모/2013.8.12 . . . . 3 matches
* 활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고자 합니다. 위키에 의견을 달아주세요.
* 그런데 이게 8월 12일에 있었던 정모 내용인데 활용 방안에 대한 의견을 위키로 듣고자 했으면 좀 더 일찍 정모 내용을 정리해서 올려야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12일 정모 내용이 19일에 올라오면 언제 기자재 활용과 관련된 의견을 위키에 적고, 해당 의견이 언제 정모 때 반영이나 언급이 될 수 있을까요... - [서민관]
- 좋은위키페이지 . . . . 3 matches
좋은 위키 페이지란 무엇일까? 에 대한 이야기
["상민"] 이도 ["데기"] 가 말하는 부분들이 아쉽다. 그러한 느낌을 기록하고, 그것을 공유하는 것이 위키의 순기능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모습이 ZeroWiki에 부족한 이유가 느낌을 기록하기 위해 글을 쓰는 '''용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ZeroWiki에서는 경험과 느낌이 표현되는 곳은 프로젝트 페이지의 '''여정'''이나 '''느낌''' 기록하는 부분이나 이벤트의 '''후기''' 같은 부분이 주가 되고 있다. --["상민"]
["위키분류"]
- 주요한/노트북선택... . . . . 3 matches
아니. 이거 위키 세미나를 어떻게 했길래..-_-;; [임인택]
게시판에 처럼 제목을 위키에서는 잘 안짓습니다; 자기이름/노트북선택 << 이런식으로 카테고리를 정확하게 해주세요.
위키에는 정말 많은 페이지가 있기 때문에, 이런 페이지는 쉽게 버리기 쉽답니다~^^ - [허아영]
- 쪽지:인수와상협 . . . . 3 matches
이 페이지는 네 위키홈과 내 위키홈이 공유하는 페이지로서,
서로 같이 가지고 있고, 서로 상대방이 수정하면 각 위키홈에 수정된글에 뜬다~ -상협
- 코코아 . . . . 3 matches
이거 위키 처음 해봐서;;
근데 이거 위키 되게 신기하면서도 재미있고 조금은 조심스러운...ㅋ
* 재니형 안녕하세요~저 형 얼굴 아는뎅ㅋ인사도 드리구...근데 이거 위키 명령법이라던가 그런거 어디서 봐요? 별표랑 = 이거 두개 랑 [] 등등..
- 현재 위키에 어떤 습관이 생기고 있는걸까? . . . . 3 matches
* 개인위키를 돌려본 결과... 한글제목 페이지는 좀... 안좋더군요. 일일히 Delete하기 귀찮아서 한번에 필요한것만 지울라 했더니, 한글 페이지 제목은 파일명이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알아볼수 없는 문자로 되어 있더군요. 역시 '영어제목만 만들자'가 저를 강력히 꼬시는군요.--; --[인수]
* 음.. 위키가 외국에서 개발되어서 어쩔 수 없는걸까, 한글에 대소문자가 없어서 어쩔수 없는걸까. -_- 어쨌든 영어이름으로만 지으면 이런 페이지는 안녕이겠네. 하지만 인수의 의견도 좋아보이는군 --[snowflower]
* 좀 이상한(...라기보다는 제로위키에서였다면 생소했을) 페이지(ex) [InterestingCartoon], [GoodMusic], [창섭이 환송회 사진])를 만들어봤다. --[인수]
- 황재선 . . . . 3 matches
* 개인위키에 기록하다보니 여기는 가끔 수정하게 되네요^^;
갑자기 위키 생각나서 달려왔어여 ㅋㅋㅋ -[이규완]
* 어제 만나서 반가웠어 ^^ 위키 재밌으니 자주 업데이트하고 놀자~~ -- [황재선]
- 02_C++세미나/0523 . . . . 2 matches
1. 위키위키에 개인 페이지 만들기.
- 05학번만의C++Study/숙제제출1/정서 . . . . 2 matches
정서군.. 소스는 {{{다음에 ~cpp를 붙여주세용.ㅎ 그리고 위키문서는 위키양식에 맞게..;;ㅁ;; - [조현태]
- ACM_ICPC/2012년스터디 . . . . 2 matches
* [koi_aio/김윤환] '''//이거랑 푼거 더 올리고싶은데... 영기처럼 올리는거 어떻게 함요? ㅠㅜ 위키 사용법을 모르것소 살려줍매!'''
위키를 꾸준히 작성해야 되겠습니다. 밀려서 당일에 한 활동이 기억이 안나요. ㅎㅎ - [권영기]
- EightQueenProblem2Discussion . . . . 2 matches
(위키 역시 머리털나고 처음인데... 이거 상당히 매력적이네요..^^;;
매번 위키나 블로그나.. 이야기만 들어봤지 실제 사용은 안해봤는데..
- Emacs . . . . 2 matches
[http://emacs.kldp.org/wiki/doku.php?id=#emacs-kr Emacs 한국 사용자 위키]
[http://wiki.kldp.org/wiki.php/EmacsGdbEtagsCscope 처음 할때 보면 좋을 튜토리얼 위키]
- History지도 . . . . 2 matches
* ["WikiBackupHistory"] - 위키페이지 발전 현황
* ["WikiProjectHistory"] - 위키에 열렸던 프로젝트에 대한 과거기록
- HowToEscapeFromMoniWiki . . . . 2 matches
이 문서는 사실상 업데이트나 커뮤니티 지원이 실종된 오픈소스 위키 엔진 MoniWiki를 탈출하고픈 모든 사람들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기술한 내용은 ZeroPage에서 사용하던 MoniWiki에서 다른 위키 엔진으로 이주(migration)하기 위해 고민하고 연구하고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 IsbnMap . . . . 2 matches
IsbnMap 에서 map 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 이 경우 출판년도에 따라서 옵션을 달리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ISBN 매크로를 고쳐서 (가능하다면 jpg가 없을 때 gif를 찾는 어떤 로직을 넣는 방법이 있을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coding에 능력이 전혀 없는지라, 이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논리적 차원에서는 이게 사용자 정신건강에 이로운 해결책이 아닐까합니다. (제 위키에서 책목록을 관리하는데 수작업으로 바꿔 줄 생각을 하니 조금 끔직합니다. - 스크립트를 돌려도 되기는 하지만 ... )
모니위키 1.1.3에서는 이와 관련된 버그가 고쳐졌고, 알라딘 같은 경우는 확장자가 jpg/gif인 경우를 자동으로 검출합니다. 이 경우 php.ini에 {{{'allow_url_fopen=1}}}같은 식으로 설정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또, config.php에 {{{$isbn_img_download=1;}}} 와 같이 옵션을 넣으면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게 하여, 일부 referer를 검사하여 이미지를 보이지 않게 하는 사이트에서도 활용하기쉽게 하였습니다. -- WkPark [[DateTime(2009-01-13T07:14:27)]]
- KIN . . . . 2 matches
어디 쓸데도 없고 답답해서 생각난게 위키... 하하
제로페이지를 나와서 회원도 아니지만 어쩌다 갖게된 위키,,,
- KeyNavigator . . . . 2 matches
위키에 설정해 놓은 몇가지 키에 대한 안내입니다.
[위키분류]
- Leonardong . . . . 2 matches
[http://zeropage.org/zero/?url=leonardong 개인위키]를 분양받아 쓰고 있습니다. 제로페이지 프로젝트에는 [http://zeropage.org/trac/leonardong/ Trac]을 쓰고 있지요.
위키는 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씁니다. 과거 기록은 [PersonalHistory]에 남아있습니다. 그 밖에는 [인상깊은영화]라든지 [BookShelf] 를 채워나갑니다. 가끔 [Memo]를 적기도 하는데, 이제는 [(zeropage)IdeaPool]에 적는 편이 낫겠네요.
- MFCStudy_2001/진행상황 . . . . 2 matches
* 위키 도입 관련 계획 정리, 현재 우려 사항
* 진행상황 체크는 하지 않지만 마지막 각자의 산출물을 30일에 링크 걸고 이 위키 페이지 최종 정리에 들어 갈것입니다. 30일 이후에 프로그램을 받겠습니다.
- MFCStudy_2002_2 . . . . 2 matches
* [07/18] - 위키 페이지가 열렸습니다! 모두 축하~
* 내가 누군가에게 위키에 배운것 올려달라고도 한거 같은데.. 모임날짜랑 숙제도 안알려주다니..좀..실망인데요.. 좀 챙겨줬음 좋았을텐데.. 안간것도 아니구 못간건데..투덜투덜...-_-(이라고 말하고는 있지만 매우 속쓰림......) -성재
- MoniWiki/Release1.0 . . . . 2 matches
자꾸 욕심이 많아지네요 :) MoniWiki는 [개인 위키]를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StandaloneWiki 혹은 DesktopWiki로 사용할 수 있는 쉬운 위키엔진이 목표입니다.
- MoniWikiACL . . . . 2 matches
모니위키의 SecurityPlugin의 한가지
<!> 모니위키 1.1.5부터는 network/ip 주소를 지원합니다.
- NeoZeropageWeb . . . . 2 matches
ZP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위키를 메인으로 옮기고 다른 것들은 죽인다는 설정.
위에꺼 어떤 것을 하든 위키에 내장할 수있도록, 뭐 매크로로 지원할수 있게 하면 좋을듯,, 예를들어서 특정 문법을 쓰면 게시판이 하나 생기는거다. -_-;, 특정 문법을 쓰면 트랙이 지원되고,, 태터툴즈가 오픈소스면 그 부분만 가져다가 매크로로 제작하는것도 좋을듯... 매크로로 넣는것은 소스 이해 안해도 상관 없으니깐 ~ - [(namsang)]
- NeoZeropageWeb/기획안 . . . . 2 matches
'''위키와 트랙의 유기적 통합을 추구한다'''
테마 : 서브 버전, TRAC, 제로위키의 통합적 기능을 제공하여 프로젝트 진행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만든다.
- OOD세미나 . . . . 2 matches
* 매우 유익한 세미나였어요. 사실 2학년 다니면서 이미 OOP라는 수업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_-;; 객체지향이 뭐야 ㅠㅠ 라고 생각했었는데, 세미나를 통해, 아 설계란 이렇게 하는 것이구나 라는것을 어느정도(?) 느꼈어요. 2학년때, 자바 프로젝트를 하면서 로직에서 gui를 어떻게 붙이나 때문에 꽤나 고생하던걸 생각하면 아 나의 고민은 참의미없었구나 라는것도 깨닳았지요. 또, 예제로 쓴 문제 덕분에 꽤나 막막하게 느껴졌던 SE프로젝트를 어느정도 구체화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너무 유익했어요. 이제 형진오빠의 세미나도 들었으니, 저도 객체 지향적 설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실천해볼 생각이에요. 머리가 뒤죽박죽.. 위키도 이상해서 피드백은 여기까지.. 위키 이상해요 ㅠㅠ - [이원정]
- OekakiMacro . . . . 2 matches
{{{[[OeKaki]]}}}라고만 쓰면 페이지 전체를 OeKaki게시판처럼 쓸 수 있다. 단, 코멘트는 위키위키식으로 단다.
- OurMajorLangIsCAndCPlusPlus/print/하기웅 . . . . 2 matches
내가 위키 사용법을 잘 몰라서 올리는 법좀 붙여쓰기해서 사용했더니..
- 위키의 메뉴중 '과거'를 누르면 과거의 상태를 보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제가 복구했습니다.^^ - [조현태]
- SystemPages . . . . 2 matches
(수정예정 - 위키가 통합되었으므로)
["위키분류"]
- UploadedFiles . . . . 2 matches
모니위키의 각 플러그인은 매크로 플러그인과 액션 플러그인이 포함되어있다.
모니위키는 업로드된 파일의 검색(이름 및 내용)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ZPBoardHistory . . . . 2 matches
*위키로 넘어가면서 사장되었던~~
*컬럼 게시판 : 컬럼의 내용이 모두 위키에 녹아 들었습니다.
- ZPHomePage/20050111 . . . . 2 matches
=> 회원가입하지않고도 쓸 수 있는 게시판을 만들어 둔다. 위키는 회원만??
* 볼만한 위키페이지를 1주일 단위로 소개
- ZPHomePage/레이아웃 . . . . 2 matches
* 구현하기 번거로운 기능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간단한게 좋아요. 굳이 필요하다면 위키에 통합하는건 어떨까요? [자유게시판]처럼 말이죠. SeeAlso [YAGNI] - [임인택]
자체 회의에서 위키에통합보다는 이런방식을 선호하더라구요. 일단 홈페이지 활성화를 목표로 삼아 기능이 많이 들어갔고요. 어떻게 쓰여질지는 지켜봐야겠지요... --[곽세환]
- ZP도서관/2013 . . . . 2 matches
* 책에 QR코드를 붙이고 위키 플러그인을 만들어서 그 QR코드를 찍으면 대출, 반납, 연장, 예약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한 뒤 원하는 작업을 클릭하면 위키에 자동으로 기록하게 해준다면 편하겠죠... - [김수경]
- Zero,One 위키 통합에 대한 토론 . . . . 2 matches
위키의 활성화를 위해 분리하였으나, 그리 효과는 크지 않은것 같습니다. 확인해본결과 중복된 페이지가 많지 않아, 적절히 통합가능 합니다. 어떻게 할까요?--NeoCoin
ZeroWiki에서 지금 로그인 해야 쓸 수 있는 기능을 말한 것입니다. 근데 써놓고 보니 로그인 안하고 쓰는 게 위키쓰기가 쉽겠네요. --[Leonardong]
- ZeroPageServer/old . . . . 2 matches
* 서버에서 한글 입력이 안됩니다. 위키를 통한 입력은 되지만, 직접 ssh로 로긴 해서 vim을 통한 한글입력은 안되는 군요. 대체 왜그런 걸 까요. -zennith
원하시면 저희 서버에서 돌아가고 있는 named.conf 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스터디 하시면서 위키에 페이지 만들어주세요. 저도 보고 공부좀 하게요 :) - [임인택]
- ZeroPage소개 . . . . 2 matches
* 위키 5000번째 페이지 기념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 현재 ZeroPage를 소개하는 글이 [ZeroPage]에 만들어진 옛날(2008년) 위키글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고쳐서 새롭게 만들었으면 좋겠네요.
- ZeroPage처음화면 . . . . 2 matches
이곳은 제로페이지 위키 처음 화면 입니다.
[http://zerowiki.com 제로위키 중앙 서버 구경하기]
- ZeroWikiHotKey . . . . 2 matches
1. [위키설명회2005]에서 [임인택] 형님이 알려준 ZeroWiki의 단축키들을 모아놓은 페이지.
[위키분류]
- jinahut . . . . 2 matches
== 위키 개설 ㅋㅋ ==
위키에도 그 흔적을 남겨볼까 하여 이렇게 페이지를 만들다.
- stuck!! . . . . 2 matches
|| 위키 || :) || :) || :) || :) || :) || :) || :) ||
아직 홍보와 위키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나 보네요. 다음에 좀더 확실히 끌어보겠습니다.
- teruteruboz . . . . 2 matches
에구..위키는 서툴러서요.. 인터넷도 되니..제 페이지를 만들기는 해야겠는데..
== 동기들 위키 ==
- 강석우 . . . . 2 matches
* 위키 탐험
* 모르는 것이 있으면 자유게시판이나 위키 어느 곳이든 질문을 하셔도 됩니다. -상욱(["whiteblue"])
- 강희경 . . . . 2 matches
글을 쓰는 노력이 좋습니다. 그런데, width가 정해지지 않은 위키나 여타 글쓰기에서 기존의 게시판 방식의 글쓰기에 고민하는 것 같습니다. 다음의 두문서를 추천합니다. NoSmok:단락개념 NoSmok:단락나누기
http://imgsrc2.search.daum.net/imgair2/00/01/00/00010002_1.jpg 안녕하세요~ 05학번 이연주라고 합니다~ 벌써 그렇게까지 유명해진건가요?ㅎㅎㅎㅎㅎ // 위키 잘쓰긴요 ㅋㅋ 아직 적응기인데요 ㅋㅋㅋ 일부러 와주셔서 감싸!!ㅋㅋ!!! 차마... 선배님한테 테러까지는 못하고.. ㅎㅎ 지현언니 쎄우고 갑니다 ㅋㅋㅋ [joosama]
- 강희경/그림판 . . . . 2 matches
제로위키 로고 제작 할 때 문득 떠오른 이미지.
=== 제로위키 로고 ===
- 건대컴공 . . . . 2 matches
위키 잘 보고 갑니다.. 다 못봐서 다음에 더 보죠..
저희도 이번에 위키를 열었거든요.. 아직 과내에서도 알려지지 않구 해서
- 경태 . . . . 2 matches
[http://NeoM7.ssm.samsung.co.kr 멤버십위키] (죽어있음..)
[http://netory.80port.org/wiki/wiki.php/경태 네토리위키소개글]
- 고한종/팩토리얼 . . . . 2 matches
* 위키를 열심히 사용하고 있네요~ 바람직합니다 ㅋㅋㅋ 그런데 ZeroWiki에서는 위키 페이지를 생성할때 상위페이지명/하위페이지명 이런 식으로 카테고리처럼 페이지 이름을 만든답니다. 예를 들어 이 페이지라면 고한종/팩토리얼 이렇게 써주는 것이 적절하겠죠. 그리고 각각의 페이지가 고립된 섬이 아니라 다른 페이지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위페이지 혹은 연관된 다른 페이지를 링크해주면 더더욱 좋답니다. :) 예를들어 이 페이지에는 [고한종] 페이지와 [새싹교실/2011/A+]을 링크할 수 있겠네요. - [김수경]
- 권영기 . . . . 2 matches
* 사실 개인 위키 페이지가 있었다는 사실을 까먹고 있었습니다. 이전에는 그래도 자주 보고 업데이트도 했었는데. 성적은 잘 받았고, 전공과 관련 없는 책도 많이 읽었네요. 작년에 몇 권 정도 책을 빌렸는지 보니까 전공 비전공 합쳐서 65권 빌렸네요. 그래도 39권 정도는 다 읽거나 어느정도 읽고 도움도 많이 받았어요. 읽은 것에 대한 내용 정리가 좀 더 되있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래도 나름 나쁘지 않네요. 10권 정도는 빌려놓고 안봤고, 16권은 빌린책을 다시 빌려서(...) 그리고 영어 점수랑 한자 급수는 2015년으로 넘어갔습니다. - [권영기] 2015/01/05
* 위키를 페이지 작성하는 건 처음입니다. 재밌네요.
- 데블스캠프2004/세미나주제 . . . . 2 matches
ps. 음하하 요즘 백수라 집에서 책,제로위키와 python을 오가며 노는데하는데 이런거 쓸시간 많아서 좋네요.
* [데블스캠프2004]에 전체에 대한 개인 ThreeFs - 시간이 안되면 개인이 제로 위키에 따로 적도록 한다.
- 데블스캠프2005/수요일후기 . . . . 2 matches
* 위키페이지를 만들어 나가면서 강의를 진행해 나갈려고 했었지만 생각대로 빠른 속도가 나오지 않았다.
* 위키페이지를 만들면서 세미나를 진행하기는 생각보다 힘들다. 많은 연습후에 진행하자.
- 땅콩이보육프로젝트2005/개발일지 . . . . 2 matches
* 입력 : 위키에 땅콩 페이지 개설 후 '입력'란에 입력받고 확인을 누르면 입력된다. 내용의 수정의 위해 '수정' 버튼도 존재한다. 그 아래에 같은 형식으로 '가르치기' 도 존재한다.
* 출력 : 각 위키의 페이지에 '땅콩이' 태그가 기록된 곳 아래에 차례대로 기록해 나간다.
- 복날 . . . . 2 matches
1. 사전 연락 없거나(게시판 or 위키 공지), 현재 납득할 사정(학부생 아닌 경우,휴학)이 없이 2회 연속 정모에 불참시.본인 의사로 회원 자격을 상실한다.
위키 설명회
- 상협 . . . . 2 matches
* 위키제작
= 개인 위키 =
- 새싹교실/2013/라이히스아우토반/1회차 . . . . 2 matches
* 제로페이지 위키 작성법을(~~사실 나도 아는것만 알지만~~) 가르칠 겁니다.
* 제로페이지 위키 작성법을(~~사실 나도 아는것만 알지만~~) 가르칠 겁니다.
- 오픈소스검색엔진Lucene활용 . . . . 2 matches
* 예 -> 위키의 내용 검색, 인트라넷, 데스크탑 검색, 그룹 웨어 등등
|| 3/24 || 이게 리눅스에서는 UTF-8 이어야만 제대로 돌아가기에 위키를 UTF-8로 컨버팅 중... ||
- 위키개발2006 . . . . 2 matches
= 위키개발 2006 =
[위키개발]
- 위키기본css단장 . . . . 2 matches
== 위키 기본 css 투표 ==
* FireFox 에서 기본스킨을 적용시킨 제로위키는 RecentChanges 에서 페이지 이름이 너무 작게 나와요. -ㅅ- 누가 CSS 좀 수정해주셨으면 하는데.. ZeroPagers 들 중에서 FireFix 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1002]형이나 [임인택]이나... - [임인택]
- 윤정훈 . . . . 2 matches
위키공부! C언어 정복!
위키연습
- 이름짓기토론 . . . . 2 matches
* ZeroPage 위키에 이름 지어줘주세요.~ ZWiki는 이미 있는 이름이여서 못쓰겠고. --; JStorm 은 JIKI인데 우리는 ZIKI로 할까.. -_-a
["위키분류"], ["토론분류"]
- 이학 . . . . 2 matches
정말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전국투어팀은 선배님들을 찾아가서 학문에 대한 내용에만 국한되지않은 훌륭한 ["이학"]을 하고 있겠죠? 대학 시절에 ["이학"]을 통해서 빨리 배울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전공에 관련한다면 위키위키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 장용운/곱셈왕 . . . . 2 matches
너무 개인 위키처럼 사용하는 게 아닌가 싶네요. 이 페이지는 그렇다쳐도 멀티게이라는 페이지를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어요… 외부 링크로 충분할 것 같아 페이지 지우고 구글 번역을 링크했습니다. - [김수경]
위키 열심히 쓰는 건 좋은 일이니까 미안할 건 없어요 ㅋㅋ 근데 같이 쓰는거니깐 개인적인 용도로 만든 페이지는 이름 아래에 넣어주거나 하면 좋을 것 같아요. ''멀티게이'' 페이지도 처음엔 하위 페이지로 만들까 했는데 그건 내용 자체가 링크 한 줄만 있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링크로 바꿨어요. 뻘한 내용이라도 이것저것 적을 게 있다면 페이지 만드는 걸 제한하진 않습니다 ㅎㅎ 다만 만들기 전에 진짜 필요한 페이지인지는 한번 생각해보고 만들어주세요~ - [김수경]
- 정모/2002.3.14 . . . . 2 matches
위키관리자 : 석천이
다음 안건 : 위키에서 논의
- 정모/2003.4.9 . . . . 2 matches
* 03 대상 세미나는 위키 설명을 재니, 성안당 C++책의 1,2,3장을 영동, 4장을 상욱이 하기로 하였습니다. 1,2,3장을 하는 영동은 C와 C++의 차이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도 끼워넣을 예정입니다.
* ["지금그때"]의 자료정리는 그때 참가했던 영동이 하기로 하였습니다. 필요한 것은 상민이 형께 위키에 있는 것 외에 오프라인 자료가 있나 없나를 듣는 것입니다. 시간 나는대로 빨리 정리하겠습니다.
- 정모/2005.1.3 . . . . 2 matches
* [신재동] 형의 위키사용 압박. ''위키 한 줄 이상 안쓰면 다음 정모때 자기 돈 내고 밥 먹어!!''
- 정모/2005.2.16 . . . . 2 matches
* java : 위키도 있었찌만 확실한 교재가 필요했었다. 아는 내용의 단순반복으로 분위기 조금 늘어졌음. 저조한 참여율. 닥달을 해서 높은 참여율을 이끌어 냈어야 했다. 조금 질질끌렸지만 그래도 얻은게 없는것은 아니었다.
위키설명회
- 정모/2005.2.2 . . . . 2 matches
위키 설명회는 회원모집날에 같이 하기로 하였고, 프로그램 배틀과 Joint 엠티는 일단 보류되었으므로 나중에 정해지면
검은 모자를 쓰고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시작이 30분 늦어서 제시간에 온 사람은 기다렸습니다. 반대의 반대가 나와서 한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길어지기도 했습니다. 토론 주제가 암시적으로 바뀌어서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지 모를 경우도 있습니다. ''위키에서 좀더 이야기하자''는 이야기는 정모에서 할 일을 미루기라고 봅니다.
- 정모/2006.12.20 . . . . 2 matches
* 위키개발 2007
위키 활성화.
- 정모/2007.4.3 . . . . 2 matches
제도를 한다는 것은 오버헤드가 발생해서 비 효율적이 될것같습니다. 차라리 위키를 통한
번 스스로 위키를 통해서 스터디 그룹을 형성하면 좋겠지만 과연 07들이 그렇게 할까?
- 정모/2011.4.4 . . . . 2 matches
1. 기존의 프로젝트/스터디 공유가 너무 보고하는 모양새가 되는 것 같아 서로 소통하듯 공유할 방법이 없을까 하다가 도와줘요 ZeroPage를 시도해봤습니다. 저는 세 명의 답변을 듣는 것이 매우 금방 끝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그렇지가 않네요. 만약 다음주에도 이 코너를 진행한다면 그 땐 한명의 답변만 듣고 나머지 답변은 위키로 듣는 식으로 진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참가자 모두의 질문을 세 명의 답변을 듣고 넘어간다면 정모가 아니라 소규모 지금그때가 될 듯ㅋㅋㅋ
1. 더 쓸 말이 있지만 숙제가 급해 마지막으로 한 가지만 더 적습니다. 저는 이것을 읽고 왜 이것이 후기인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ZeroPage 회장과 소통할 창구는 정모 후기 말고도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정모 후기란에는 정모 후기를 적어주셨으면 합니다. 개인적으로 말씀하시라는 뜻이 아닙니다. ZeroPage 회장의 태도에 대하여 공론화를 시키고 싶으셨다면 홈페이지 자유 게시판이나 위키에 별도의 페이지를 만들어 공론화를 시키시면 됩니다. 정모에서 있었던 일을 다루고 있다고는 해도 저의 태도에 대해 지적하신 부분은 표현 면에서 후기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김수경]
- 정모/2012.1.27 . . . . 2 matches
* ''LETS가 위키에 페이지가 없구나... 아 이래서 내가 위키옹호론자인거야ㅠㅠㅠㅠㅠㅠ'' 외부 링크를 걸어보려고 했는데 적절한 페이지를 못찾겠네요. 찾으면 LETS에 대한 설명을 링크걸겠습니다. 못찾으면 천천히 써볼게요... - [김수경]
- 정모/2012.5.14 . . . . 2 matches
* 지원 신청(책 등)은 해당하는 주 정모 페이지에서만 받습니다.!!(위키를 사용합시다.)
* 현재 진행되는 프로젝트나 스터디의 위키 페이지가 있고(활동 증거), 신청한 사람이 이번주 정모에 참여했다면 바로 신청해주세요!(다과비로는 지원이 안됩니다..ㅠㅠ)
- 정모/2012.8.1 . . . . 2 matches
* Spring - 하이버네이트로 심플위키 만들고 있음, 하이버네이트는 사용하기에 난이도가 높은 것 같음.
* Creative Club - 공모전 지원 외부 사업, Zeropage를 어떻게 유명하게 만들 수 있는가. 위키 변경에 대해 논의함.
- 정모/2013.1.29 . . . . 2 matches
* '''금액은 위키에 작성하지 맙시다/'''
* ACM study - 팀원들 각각 2문제 씩 풀었습니다. 그리고 벌금제도 도입. 자세한것은 ACM위키페이지참조.
- 정모/2013.2.26 . . . . 2 matches
* 학생회 일정을 보고 확정되는대로 위키와 공지사항에 올리겠습니다.
* 김태진이 위키 쓰라고 지적해서 내가 1빠요. 근데, 19일 정모는 왜 글이 없음 ?_? 누나 졸업식 때문에 못 갔는데... - [고한종]
- 정모/2013.3.18 . . . . 2 matches
* 위키로 관리하던게, 언제부턴가 자율처럼 바뀌더니 관리가 안되기 시작했다.
* 그래서 다시 위키로 관리하며, 담당자를 뽑을 것이다.
- 정모/2013.5.13 . . . . 2 matches
* 위키도 좋아여 위키도 좀 보세요.
- 지금그때2005 . . . . 2 matches
위키설명회에 이어 총엠티 자봉단 회의와 시일이 겹칩니다. 미리 22일에 한다고 했으니 자봉단이 그 날짜를 피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건 제 욕심이었나 봅니다. 오고 싶지만 못오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안타까움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강희경]
질문 레스토랑과 OST시간은 [http://zeropage.org/wikis/nowthen2004/%C1%F6%B1%DD%B1%D7%B6%A72005 지금그때위키]에 정리하여 [지금그때]가 누적될 수 있도록 하는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네요.--[Leonardong]
- 프로젝트분류 . . . . 2 matches
위키위키를 이용해서 진행하고 있는, 또는 완성된 프로젝트들.
- 허아영/C코딩연습 . . . . 2 matches
위키페이지 구조에 맞게 [페이지이름바꾸기] 하였습니다. - [임인택]
- 훗... 내 장학금 받아서 얻어먹을 생각을 하다니.. 그러다 굶어 죽으려면 어떻하려고..;; 그나저나 왠지 위키가 우리 낙서장인 듯한 느낌이..음... 좋은 현상인지 좋지않은 현상인지..;; 뭐.. 어쨋든 열심히 하라고.^^ - [조현태]
- 형노 . . . . 2 matches
위키가 바뀌어서 적응이 힘들다.
뭐 전에 위키도 많이 들어가지 않아 힘들었지만..;;
- 회비 . . . . 2 matches
|| 58,000 원 || - 40,000 원 || 2005/3/16 || [위키설명회2005] 뒤풀이 ||
급기야 회비 통장이 마이너스가 났군요. 저번에 위키설명회 2005에서 남은 만원을 넣어야 넣어야 한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요새 극심한 생활고에;; 내일은 채워 넣어야 겠네요. 휘동형한테 만원도 갚고요 ㅠ.ㅠ - 이승한
- 회원정리 . . . . 2 matches
어떤 기준에 의해서 정리가 되는 건가요? 그것이 회칙에 규정되어 있나요? 아니면 임의적으로 행해질 수 있나요? ["회원정리"]가 꼭 필요할까요? 회원정리를 당한 사람은 회원정리를 한 사람(혹은 남은 사람들)과의 실 관계에 서먹해지진 않을까요? 위키의 홈페이지를 꼭 삭제해야 할까요?
회원정리의 기준은 회칙에서 정해진 대로 '사전 연락없이 정모 연속 2회이상 불참' 에 근거하였습니다. 미처 게시판,위키에 연락하지 못하고 회장에게 연락한 경우도 감안을 하였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스터디 등을 하면서 ZeroWiki 상에서의 활동여부도 참작을 하였습니다. 활동사항이 전혀 없으면서 정모에 연속 2회이상 불참이 경우가 회원정리의 대상이었습니다.(공교롭게도 이렇게하여 나온 명단의 사람들은 정모에 2,3달 이상 불참하였습니다. 자진 탈퇴라고 보아도 될 정도로 말이죠. 아무런 연락도 없이 불참하였으니까요.) 분명히 정모를 하기 전에 '회원정리를 합니다' 라고 명시를 했었고 그에 대하여 아무런 의견도 없었습니다. 회칙을 정모에서 정했던 만큼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회원정리 당일 정모에 참여했던 회원들끼리 회칙 기준에 맞추어 회원정리를 단행하였습니다.
- 0 . . . . 2 matches
- 02_Python . . . . 1 match
* 이 위키페이지는 파이썬을 이용한 cgi 로 만들어졌다
- 05학번만의C++Study . . . . 1 match
*아영아 스터디 관련 페이지마다 링크가 안걸려있어.. 링크 통해서는 이동을 못하고 Recentpage 에서 새글 등록된거로만 들어갈수 있네.. 위키 문제인가? 페이지 이름이 조금씩 달라서 그런거가?..;; 나만 그런지도..;;
- 1thPCinCAUCSE . . . . 1 match
이 대회를 하고, 높은 점수를 받은 팀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몇 가지 "후속 작업"(예컨대 각 팀의 회고를 포함, 대회에 대한 다큐먼트 위키 문서라든가)을 해주면 아주 많은 것을 배우게 되리 라 생각합니다.
- 2008리눅스스터디 . . . . 1 match
* 위키 페이지 만들었습니다. 스케쥴 대충 홈페이지 참고하고 어쩌고 해서 정리했구요..
- 2010JavaScript . . . . 1 match
* 집에서 공부할 때 위키피디아를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http://en.wikipedia.org/wiki/JavaScript JavaScript] [http://en.wikipedia.org/wiki/JavaScript_syntax JavaScript Syntax]
- 2011년돌아보기 . . . . 1 match
회고에서는 세가지만 이야기했는데요, 뭔가 모자란 느낌이었다면 위키에 자유롭게 더 적어주세요~
- ACM_ICPC/2011년스터디 . . . . 1 match
* 풀다가 모르는 것 있으면 위키에 질문 남기고 자기가 아는 것 답해주기.
- APlusProject . . . . 1 match
SE Project 9조 입니다. 잠시 제로페이지 위키에 기생합니다.
- ActionMarket . . . . 1 match
["위키분류"]
- AirSpeedTemplateLibrary . . . . 1 match
소스는 subversion 을 이용해서 다운받으면 됨. (해당 위키 페이지 참조. [Trac] 으로 관리되고 있음)
- AnswerMe . . . . 1 match
["위키분류"]
- AstroAngel . . . . 1 match
언제쯤 위키에 적응할 수 있으려나......;;;
- BasicJAVA2005/실습2/허아영 . . . . 1 match
아영아..ㅠ.ㅜ 아직 위키어려..ㅠ.ㅜ 그림파일에 띄어쓰기하지마.. 파싱하기 힘들어..T.T
- Basic알고리즘 . . . . 1 match
위키에서만 하는 알고리즘 공부
- BeeMaja/조현태 . . . . 1 match
위키짜기전에.. 아침운동 삼아 간단히..
- BeingALinuxer . . . . 1 match
|| 오승혁 || 01 || ysbm@hotmail.com ||이제야 위키를 좀 쓰겠구만...ㅡ.ㅡ;; ||
- BuildingWikiParserUsingPlex . . . . 1 match
현재 PyKi라는, [1002]가 개인적으로 만들어서 사용중인 위키에서의 parser 클래스 중 일부 코드이다.
- C++Study_2003 . . . . 1 match
* 이거 보신 분들은 저에게 메신저질을 하시든, 위키에 답장을 하시든 글을 남겨주세요 ㅠ.ㅠ 죄송합니다. --[선호]
- CNight2011 . . . . 1 match
공부한 내용을 위키페이지에 추가해주세요.
- CSS . . . . 1 match
= 제로페이지 위키 CSS =
- ChangeYourCss . . . . 1 match
["위키분류"]
- CodeCoverage . . . . 1 match
=== 위키 패디아 에서 정의 ===
- CodingStandard . . . . 1 match
위키에서도 페이지이름에 대해서 표준을 두는것과 비슷하다. 이는 다른 사람들을 위한 배려가 된다.
- CppStudy_2002_2 . . . . 1 match
* 그냥 이멜로 쓰거나 위키에 작업중인 걸 올려놓는 게 편할 것 같은데욤..^^* - 재니
- CreativeClub . . . . 1 match
* 현재 위키를 교체 후 작업.
- D3D . . . . 1 match
쿠쿠.. 열심이구나.. ^^a.. DX 공부하면 나줌 갈켜다오.. 헤헤.. 나두 지금 하구 있는거.. 시간되면 여기다(위키..) 쓸께..
- DebuggingSeminar_2005 . . . . 1 match
= 관련페이지 (위키) =
- DeleteThisPage . . . . 1 match
[위키분류]
- DesignPatterns/2011년스터디/서지혜 . . . . 1 match
* 위키에서 발견하여 링크를 걸어놓는다.
- Django스터디2006 . . . . 1 match
|| 9/14 || 웹서버 동작 환경 만들기, APM 설치( PHP, MySQL 구동 환경 만들기), ZeroPage 계정에 간단한 홈페이지 띄우기, 위키 CSS 바꿔보기 || 모두 ||
- DocumentMode . . . . 1 match
["위키분류"]
- DontDeleteThisPage . . . . 1 match
["위키분류"]
- DuplicatedPage . . . . 1 match
[위키분류]
- EasyPhpStudy . . . . 1 match
* 3월 27일, PHP 스타디 위키 페이지만듬..시작..
- EffectiveC++ . . . . 1 match
[안혁준]형이 읽으라고 추천해 준 책.. 은 위키에 멋지게도 정리가 되어있군요. 전 빅뱅을 나가지 못하니 혼자서라도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 [권영기]
- EightQueenProblem/da_answer . . . . 1 match
위키는 머리털나고 처음이라.. -_-;; 제대로 쓰고 있는건지 잘 모르겠군요...
- FullSearchMacro . . . . 1 match
요즘은 모니위키에 신경을 못 쓰고 있습니다. ^^;; --WkPark
- GameProgrammingGems . . . . 1 match
솔직히 이렇게 장황하게 써 놨지만 언제 책을 다 볼 수 있을 지 미지수다(.... 너무 어렵다 T_T) 일단 6개월동안 책 2권 다 보기다 -_-; 그리고 이렇게라도 선언해 놓지 않으면 영영 책 사놓고 끝까지 안보게 될 듯 싶어서 ZP 위키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다. =_=; 간간히 요약하여 게임을 제작하려는 자들(.... 필자도 포함 -_-V)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GoodMusic . . . . 1 match
요즘엔 이런게 재미있네요.-_-a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들을 적어봅시다. 역시 InterestingCartoon 페이지처럼 스마일로 점수를 매겨봅시다. 위키 활성화 차원에서..^^;
- Hacking/20040930첫번째모임 . . . . 1 match
* [http://www.google.co.kr 구글]과 위키 검색을 생활화합시다
- Hacking/20041028두번째모임 . . . . 1 match
* [http://www.google.co.kr 구글]과 위키 검색을 생활화합시다
- HelpOnAdministration . . . . 1 match
열거된 페이지는 위키를 관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정보를 담고있습니다.~
- HelpOnInstalling . . . . 1 match
이 위키 사이트에 있다면 여기 한 군데에 모아 정리를 하고, tarball에도 같이 배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HelpOnSmileys . . . . 1 match
== 모니위키 확장 ==
- IdeaPool/PrivateIdea . . . . 1 match
|| 나휘동 || 위키 정원사의 도구상자 || 2007.3.13 || - || - || [WikiGardeningKit] ||
- InterestingCartoon . . . . 1 match
이 페이지 점점 무의미해 지는것 같네요. 각 애니별로 위키 페이지가 있어서 간단히 소감을 쓰면 모를까, 단순한 제목 나열에 불과하게 되어 버리는것 같네요. --NeoCoin
- JUnit . . . . 1 match
* http://huniv.hongik.ac.kr/~yong/moin.cgi/JunitSampleCode - 박응용씨의 위키페이지. JUnit 간단한 예제.
- JavaScript/2011년스터디 . . . . 1 match
* 드래그중일때는 마우스포인터를 따라 그려지다가 드래그를 떼었을때 그동안의 것들은 사라지고 마지막의 그림만 남도록 하는것을 구현중입니다. 아무리해도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네요,,, 늘어나는것은 입코딩뿐...ㅋ 정 안되면 다른 기능들 먼저 추가해 볼 생각입니다. p.s. 노트북 포멧을 하면서 백업파일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서 고쳐 작성중이던 파일이 날아갔어요ㅜ 위키작성의 중요성을 실감하는 중입니다. -[박정근]
- JavaScript/2011년스터디/3월이전 . . . . 1 match
* 분석한 내용은 위키에 정리하고 정모에서 세미나 하기로 함
- JavaScript/2011년스터디/7월이전 . . . . 1 match
* 그냥 읽는 것이 아니라 궁금한 점을 찾아오세요~ 따로 적어와도 되고 위키에 적으면 더 좋고ㅎㅎ
- JavaStudy2003/첫번째과제 . . . . 1 match
* 위 세개는 알아보기만 해도 되겠지만 마지막 프로그래밍은 힘들꺼라고 예상합니다^^; 자바라는 프로그램을 하기 위해선 어떤것을 설치해야 하고 그것을 또 컴파일하고 실행시키는데 있어서 애로사항이 많을꺼라고 봅니다. 스스로 찾아서 해 보세요. 과제 제출은 위키에 받겠습니다.
- JavaStudyInVacation/과제 . . . . 1 match
* 그 에플릿을 포함하고 있는 HTML 문서를 만들어 각자 자기 계정에 올리고 위키에 링크 걸기.
- JavaStudyInVacation/진행상황 . . . . 1 match
* 그 에플릿을 포함하고 있는 HTML 문서를 만들어 각자 자기 계정에 올리고 위키에 링크 걸기.
- Jython . . . . 1 match
* [http://huniv.hongik.ac.kr/~yong/MoinMoin/wiki-moinmoin/moin.cgi/JythonTestCode PyUnit 과 Java Class 와의 만남 from 박응용님 위키]
- LUA_1 . . . . 1 match
그리고 세번째는 많은 게임의 스크립트 언어로 검증이 되었다는 점입니다. 대표적으로 World of Warcraft(WOW)가 있겠죠. 많은 사람들이 루아를 WOW을 통해서 알게 되었죠. 간략하게 루아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좀 더 자세한 루아의 역사는 http://en.wikipedia.org/wiki/Lua_(programming_language)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위키 페이지가 내용이 좀 부족하네요.
- LinuxProgramming/SignalHandling . . . . 1 match
위키 페디아의 정의를 빌리자면 시그널은 '''한 프로세서와 기타 다른 프로세스 사이에 전송되는 비동기적 이벤트''' 라고 한다.
- LionsCommentaryOnUnix . . . . 1 match
노스모크세미나(Seminar:LionsCommentaryOnUnix) 위키에서 퍼왔습니다.
- LispLanguage . . . . 1 match
* 나무위키의 설명(덕질은 위대하다): https://namu.wiki/w/LISP
- LuaLanguage . . . . 1 match
http://www.redwiki.net/wiki/wiki.php/Lua - redpixel 님의 위키 페이지. Lua 에 관한 한 가장 정리가 잘된 페이지중 하나.
- MacroMarket . . . . 1 match
["위키분류"]
- MiningZeroWiki . . . . 1 match
2000페이지가 넘어가는 [제로위키]를 일부나마 탐험해 보는 놀이 SeeAlso [데블스캠프2004/월요일]
- MoniWikiOptions . . . . 1 match
* 모니위키 블로그에서 트랙백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MoniWikiPlugins . . . . 1 match
모니위키는 MoinMoin과 호환하는 Macro를 가지고 있으며, 그 매크로에 상응하는 action을 각각 가지고 있는 경우 혹은 액션만 있고 매크로는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 MoniWikiPo . . . . 1 match
msgstr "인터위키"
- MoniWikiTheme . . . . 1 match
MoniWiki는 기본적으로 header.php와 footer.php를 고쳐서 다양한 모습으로 자신의 개인위키를
- MoreEffectiveC++ . . . . 1 match
["MoreEffectiveC++/Appendix"] : 한글화의 필요성을 못느끼며, 위키화만 시켜놓음
- MythicalManMonth . . . . 1 match
오리지널 위키 (Wiki:MythicalManMonth) 에서 다음의 말이 재밌다;
- NotToolsButConcepts . . . . 1 match
[임인택]이 위키 항해를 하던중 xper seminar wiki에서 다음과 같은 글을 보았다.
- OOP/2012년스터디 . . . . 1 match
* 참고할만한 위키 페이지 : [More EffectiveC++/Efficiency]
- OneWikiBackupCondition . . . . 1 match
현재 이 위키는 하루 2회 백업합니다.
- OpenGL스터디 . . . . 1 match
이 페이지는 위키를 연습?할겸 제가 현제 공부중인 openGL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페이지입니다. 혹시 openGL을 공부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OpeningStatement . . . . 1 match
["위키분류"]
- PairProgramming . . . . 1 match
* Pair Refactoring - 꼭 소스 코드가 아니더라도 위키 페이지에 대한 ["문서구조조정"] 을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해당 토론이 벌어진뒤 양론으로 나누어졌을 경우, 각 의견 지지자들이 Pair 로 문서구조조정을 할때 이용할 수 있다.
- PairProgramming토론 . . . . 1 match
from 동문서버 위키.
- PcixWiki . . . . 1 match
[위키분류]
- PrivateHomepageMaking . . . . 1 match
워낙에 위키 클론이 많이 존재하고 다양한 언어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일일이 나열하기 힘들정도다.
- ProcrusteanBed . . . . 1 match
["이덕준"]은 자신에게 프로크루스테스 기질이 넘친다는 것을 위키를 쓰면서 자각했습니다.
- ProgrammingPartyAfterwords . . . . 1 match
금요일, 토요일, 토요일 밤 약간 깊숙히 - 이번 심사와 Mentor 역할을 맡은 김창준, 채희상, 강석천은 임시 위키를 열고 문제 만들기 작업 관련, Moderator 로서의 역할을 정했다.
- ProjectLegoMindstorm . . . . 1 match
* 빨리 위키 사용법을 익히고 페이지를 만들어 나갔으면 좋겠네요. - [이승한]
- ProjectPrometheus/Journey . . . . 1 match
* 한편으로 또 드는 생각은 아무리 우리가 공부를 하네 위키에 문서를 남기네 해도, 결국 저 사람에게는 '그저 저넘들 자기만족을 위한 행위' 그 이상이 아니라는 것. 피시실에서 게임을 하나 프로그램 개발을 하나 그저 '타인의 행동' 이상의 의미가 없다란 느낌이 들고 나니 서글퍼진다. 순간 울컥 하는 마음에 속으로 '차라리 자극 좀 받아보시고 거기 깔린 오락 좀 지워보시지. 젠장' 라고 읊어대었다. (갈수록 건방짐 높아져가는 ["1002"]. 솔직히 좀 화가 나서리..) 개인적으로 피시실이 사람들이 서로 개발이나 공부를 위해 시끌벅적한 작은 팀들이 많이 있고, 그 분위기에 다른 사람들이 조금이나마 휩쓸렸으면 하지만. 그러한 팀들은 늘 레포트가 나오던지 팀프로젝트가 나오던지 해야 만들어지려나.. 거참 엄청 재미도 나겠군. 역시 이상일 뿐이려나. (화이트보드 큼지막한 것이 있어도 우리가 알고리즘 구상하느냐고 써놓은 것들이 3-4일째 그대로이군.)
- ProjectSemiPhotoshop/Journey . . . . 1 match
* 이제야 위키를 본다. 시간은 많은데 뭐가 그리바쁜지...항상 바쁜 현민이다. 지금 열심히 푸쉬푸쉬를 하는 중인데 잘 되는 것도 없고...이제야 겨우 움직이고 블럭을 넣으면 이미지가 바뀌는거 까지 했다. 이제 스테이지 넘기는 거랑 점수 계신하기만 하면 될 거 같은데....아직 더 공부를 해야할 것 같다. 난 아직 마니 부족해...-.ㅜ
- ProjectSemiPhotoshop/SpikeSolution . . . . 1 match
지금 위키 참 맘에 안드네.. BR테그 쓰는 법이 뭐라구? ㅡ.ㅡ
- ProjectSemiPhotoshop/기록 . . . . 1 match
|| 10.17 || 첫미팅: 위키사용법, ''현민이를 고수로!'' 계획, 자료실 계획 ||
- Project메모장 . . . . 1 match
계획하고 나니 개인 위키와 비슷하다고 생각된다.
- RandomWalk2 . . . . 1 match
만약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위키에 올리고 싶다면 {{{RandomWalk2/아무개}}} 패턴의 페이지 이름을 만들고 거기에 코드를 넣으면 된다. 이 때, 변경사항을 하나씩 완료함에 따라, 코드의 어디를 어떻게 바꿨는지(예컨대, 새로 클래스를 하나 만들어 붙이고, 기존 클래스에서 어떤 메쏘드를 끌어온 뒤에 다른 클래스가 새 클래스를 상속하게 했다든지 등) 그 변천 과정과 자신의 사고 과정을 요약해서 함께 적어주면 자신은 물론 남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변경사항을 하나 완료하는 데 걸린 시간을 함께 리포팅하면 한가지 척도가 될 수 있겠다.
- RegressionTesting . . . . 1 match
=== 위키 페디아에서 정의 ===
- SOLDIERS/정진경 . . . . 1 match
8월 9일 ACM 스터디에 불참하게되어 위키에 내용만 올립니다. ㅜㅜ
- STLErrorDecryptor . . . . 1 match
이하 원 홈페이지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르 위키의 문법으로 재구성한 것 입니다.
- Self-describingSequence/조현태 . . . . 1 match
이제 그만짤랭~! 씽..위키나 짜야지..
- SeminarHowToProgramIt . . . . 1 match
["neocoin"]:위키에 특정 로그인이 존재 하지 않고,열어논 이유가 글을 쓰고 의견을 주십사 해서 입니다. 저번달 누군가 함부로 지우는 사태가 발생해서 일단 지우는 권한에 대하여 HGC(Human Garbage Collector- 아니라 KHGC인가.--a)체제로 바꾸었지만요. --상민
- ShowMeTheExample . . . . 1 match
["위키분류"]
- SoJu . . . . 1 match
||이름||MSN||위키 페이지||4/8일 첫 스터디||
- TAOCP . . . . 1 match
* 참고자료로 볼 수 있도록 위키페이지에 정리한다.
- TFP예제/WikiPageGather . . . . 1 match
위의 예에서는 해당 모듈에서 FrontPage 화일을 직접 open 했다. 위키에서 FrontPage가 바뀌었을 경우에는 해당 알고리즘이 올바르다 하더라도 테스트 코드에서 에러를 유발할 것이다. - 테스트를 위한 FrontPage 화일을 따로 빼두는 방법이 있겠군. -_-; (문제를 명확하게 해두면 해결방법이 도출되기 쉽다. ^^;)
- TheJavaMan/달력 . . . . 1 match
전에 C로 짠던걸 많이 이용했다(위키가 이럴땐 정말 좋다)
- TheTrip/이승한 . . . . 1 match
위키에 옮기니 탭정렬이 잘 안돼네요;;
- ThreadMode . . . . 1 match
["위키분류"]
- Thread의우리말 . . . . 1 match
[Thread]. 내가 처음으로 [ZeroWiki] 접근하게 되었을때 가장 궁금했던 것중 하나이다. 도대체 [Thread]가 무었인가?? 수다가 달리는장소?? 의미가 불분명 했고 사실 가벼운 수다는 DeleteMe라는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토론이 펼쳐지는 위치?? 어떤페이지의 Thread의 의미를 사전([http://endic.naver.com/endic.php?docid=121566 네이버사전])에서 찾아보라고 하길래 찾아보았더니 실에꿰다, 실을꿰다, 뒤섞어짜다 이런 의미가 있었다. 차라리 이런 말이었으면 내가 혼란스러워해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부드러운위키만들기]의 한가지 방법으로 좀더 직관적인 우리말 단어를 사용해 보는것은 어떨까?? - [이승한]
- TiddlyWiki . . . . 1 match
단일파일로 구성된 위키. html+javascript+css 로 제작.
- TitleIndex . . . . 1 match
현재 이 위키에 있는 모든 페이지들.
- UbuntuLinux . . . . 1 match
요놈 가볍다. 잘 쓰면 임시 위키 역할을 할 수 있겠다. :)
- WhyWikiWorks . . . . 1 match
[위키분류]
- WikiGardeningKit . . . . 1 match
[위키정원사] 노릇을 편하게 하기 위한 도구 상자
- WikiProjectHistory . . . . 1 match
|| ["제로Wiki"] || ["상협"] || 위키 포탈 || 종료 ||
- WikiSlide . . . . 1 match
== 위키가 뭐니? ==
- XPlanner . . . . 1 match
ExtremeProgramming 팀을 위한 웹-기반 프로젝트 관리도구, 위키 스타일의 포매팅도 지원한다고 한다.
- XpQuestion . . . . 1 match
- Story Card 는 Kent Beck 이 사용자와 더 빠른 피드백을 위해 생각한 덜 형식적인 방법이다. 어차피 Story Card 는 전부 AcceptanceTest 로 작성할 것이기에, 테스트가 작성되고 나면 AcceptanceTest 가 도큐먼트 역할을 할 것이다. Index Card 도구 자체가 보관용이 아니다. 보관이 필요하다면 위키를 쓰거나 디지털카메라 & 스캐너 등등 '보관용 도구', 'Repository' 를 이용하라.
- XperDotOrg . . . . 1 match
인터위키로는 '''{{{Xper:}}}''' 를 이용합니다.
- Z&D토론/통합반대의견 . . . . 1 match
그래서인지 위키처럼 글이 주루룩 나오면 그냥 닫아버리죠.. -_-;
- ZP&JARAM세미나 . . . . 1 match
오호라 후기네요~:) 이거 페이지를 어디다가 연결해야할지 갈피가 안잡히네요 여기다가 만들어도 문제가 없으려나?~?? 저는 좋은 게임과 나쁜 게임의 OST를 진행했던 한양대 03학번 배진호입니다. 뭐 제 계획대로 아주 많은 것을 뽑아(?) 내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적절하게 많은 분들이 동참하여 주셔서 흥미로운 대화가 되었던 것 같네요. 제가 미숙하여서 자르고 멈추고 이어나아가는 것이 능숙하지 못했는데, 어찌 되었든 OST를 주최해 주시고 좋은 세미나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시간이 많았더라면 서로 더 알아갈 수 있었을 텐데 그 부분이 조금 아쉽네요. 앞으로도 많은 교류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군대에서 이 위키를 썼었느데 다시보니 방갑네요 :)
- ZPBoard/AuthenticationBySession . . . . 1 match
'''HTTP 프로토콜'''은 stateless 프로토콜입니다. connectionless 프로토콜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로페이지에 접속한다고 봅시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자기 자신이 연속된 요청(게시물 보기나, 위키 사용등)을 보내는것을 알지만, 서버 입장에서는 매번 온 요청이 누구로부터 온 것인지를 알 방법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HTTP 프로토콜의 태생이 연결지향적이 아니고,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 ZPBoard/PHPStudy/쿠키 . . . . 1 match
* 쿠키(Cookie)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하드에 해당 컴퓨터의 여러가지 정보가 저장된 파일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현재 많은 사이트들이 이를 이용해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제로위키에서는 이를 이용해서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 ZeroPage . . . . 1 match
* 위키 데이터가 날아가서 많은 부분에 공백이 있습니다. 특히 최근 05-07년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지 않았습니다.
- ZeroPageServer/UpdateUpgrade . . . . 1 match
ZeroPageServer 는 데비안 (SeeAlso [http://debianusers.org/ 한국데비안 사용자 모임] , 위키의 DebianKr:대문 )을 사용하고 있다.
- ZeroPageServer/Wiki . . . . 1 match
위키의 변경 사항에 대한 공지 기록
- ZeroPage가입관련 . . . . 1 match
* 재학생들(편입,전과,복학생 포함) 가입시 위키 사용법을 몰라서, 그리고 복잡해 보여서 망설이는 분들이 있는것 같아서 여기로 가보라고 권합니다.["ZeroPagers"]
- ZeroWikian . . . . 1 match
["위키분류"]
- Zeropage/Staff/회의_2006_01_19 . . . . 1 match
* 위키에 도서목록을 작성한뒤, 빌리기 전에 요청한다.
- Zeropage/Staff/회의_2006_02_13 . . . . 1 match
신입생은 3월 초에 위키설명회 & Zeropage 설명회 통해서 받는다
- comein2 . . . . 1 match
* 개인 위키 : http://comein2.xhot.net/moin/moin.cgi
- eternalbleu . . . . 1 match
※ 정녕 위키의 버그는 나에게만 찾아오는 것인가 ㅡ.ㅡ;;; 진실을 밝혀라;;
- kairen . . . . 1 match
* 아.. 제로 페이지 내의 위키 페이지 였나부네.. 기억이 가물가물..
- lostship . . . . 1 match
|| ["위키에 코드컬러라이저 추가하기"] ||
- neocoin/Log . . . . 1 match
* 작년에 비하여 독서량을 대폭 늘였고, 더 늘여야 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에 반하여, 해당 정보의 정리 능력에 고민 중이다. 문자 해독 능력과 의미론적 정리를 위해서 좀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 있다. (위키의 정리는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
- pinple . . . . 1 match
pinple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어려웠던 점들과 그걸 해쳐 나갔던 전반적인 것들을 위키에 정리하려 합니다.
- sakurats . . . . 1 match
* 뒤늦은 공부에 제로위키는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언제쯤 저도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면 좋겠네요.
- vending machine . . . . 1 match
DeleteMe) rename or modify : 일단 ZeroPage 에서 작성했었던 VendingMachine 과는 다른 Spec 이여서 이 위키에서는 맞지 않은듯 합니다. 어떤 분이 작성하신건가요? --[1002]
- westy처음화면 . . . . 1 match
나도 인제 위키 열심히 써야겠다ㅋㅋㅋ
- woodpage/쓰레기 . . . . 1 match
심심할때 위키보자 --;[[BR]]
- wxPython . . . . 1 match
* http://byulii.net:8080/wiki/Document - '해맑은 일기장'을 만드신 홍성두씨의 위키페이지. 튜토리얼, 요약 등.
- ㄷㄷㄷ . . . . 1 match
구구단 짜기를 숙제로 내 줬는데 위키 페이지를 너무 늦게 만들어서 암쏴리 ㅠㅠ
- 갓헌내기C,C++스터디 . . . . 1 match
휴면신청을 하려고합니다. ㅠㅠ 위키에 쓴 스터디 계획을 지키지 못한것 송구스럽습니다'''
- 검색에이전시_temp . . . . 1 match
좀만 더 연구하면 싸이월드에 있는 기능들을 위키에서 모두 플러그인 식으로 사용가능하겠구나. -_-
- 겨울방학프로젝트/2005 . . . . 1 match
|| [ZeroWiki파워업그레이드2005] || 방학을 맞아 위키를 새롭게 업그레이드할 예정(물론 버그 수정도 같이 -_-) || 상협 현태 ||
- 고슴도치의 사진 마을 . . . . 1 match
[http://zerowiki.dnip.net/pds 위키 자료실]
- 구근 . . . . 1 match
* 홈페이지 & 개인위키 : http://www.passioninside.com/
- 권순의 . . . . 1 match
* 봤음 (사실 가끔 위키 들어오긴 하는데 내 페이지는 안 보지) - [권순의]
- 김민재 . . . . 1 match
* 관련 위키 : [CrackMe]
- 김영록 . . . . 1 match
후후후.. 위키쓰니까 좋지? ㅎㅎㅎ
- 김정욱 . . . . 1 match
* 20기 정욱 아저씨의 위키는 업데이트가 필요하군.. 내년에는 좀 쉬면서 형이 하고 싶었던 공부 차근차근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ㅎㅎ -[김태진]
- 김진아 . . . . 1 match
pda로 위키질중... 신기하군 -_-;; - [임인택]
- 노스모크모인모인 . . . . 1 match
["위키분류"]
- 다이어리효율적으로사용하는방법 . . . . 1 match
* 기사 내용중에서 목표를 구체적으로 다이어리에 적으라는 내용이 공감이 감. 개인적으로 놋북이 있는관계로 노트북에 있는 위키를 다이어리로 사용,,
- 데블스캠프2002 . . . . 1 match
* 데블스 캠프 중 만든 소스들은 각 문제 위키페이지에 올리세요. 페이지 제목 예> {{{~cpp BaseBallGameProblem/상협}}}
- 데블스캠프2002/진행상황 . . . . 1 match
* 준비 많이 한건 세미나 자료물 나누어준것만 봐도 이해한다. 본래의 위키페이지에선 각 Resource 별 이미지들까지 캡쳐했으니. ^^ 단, 아쉬운 점이라면
- 데블스캠프2003/첫째날 . . . . 1 match
* 위키 사용법
- 데블스캠프2005/월요일 . . . . 1 match
위키에 대한 소개 (새내기의 대부분이 사용법을 아는걸로 추측...)
- 데블스캠프2006/목요일/winapi . . . . 1 match
위키 에러나서 소스가 안올라가네요;;; - [ljh131]
- 데블스캠프2006/월요일/연습문제/웹서버작성/변형진 . . . . 1 match
* 내가 아무리 이렇게 말해도 귀에 안들어 올거라고 생각은 하고.. 다만 한번 경험을 해보길 바래. 내가 지금 와서 조금 후회되는것은 위키를 Jsp,Java 로 안짜고 PHP로 짠것이니 만큼.. 그리고 컴공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특정한 언어 하나를 잘하는 것도 좋긴 한데, 나는 어떠한 것이 눈앞에 와도 금방 적응하고 배워서 써먹을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다고 생각해. 그리고 검색 엔진에 관심이 있다면 오픈소스 검색엔진인 Lucene 을 한번 갖고 놀아봐. 그리고 실제로 간단한 것을 짜보고 싶으면 [MemeHarvester] 이 프로젝트 이어서 해도 되고. - [namsang]
- 데블스캠프2006/참가자 . . . . 1 match
* 으윽.... 위키 가입이 취소되어 있어서 다시 가입했다;; -[상욱]
- 데블스캠프2009/수요일후기 . . . . 1 match
* [송지원] - 사실 들으면서 이걸 컴구나 OS를 안들은 1,2학년 애들이 쉽게 받아들일까 생각했고 컴퓨터로 딴짓을 하며 놀고 있는 애들을 보며 살짝 걱정했는데 위의 1학년 애들 후기를 보니 그렇지도 않은거 같다=_=;; 다만 병윤이 수업 자체가 실습 없는 강의 수업이였는데 여기저기서 타자소리가 들리고 마우스클릭 소리가 들렸던건 아쉬웠다. 물론 위키페이지 고치느라 버벅댔던 나도 할말은 없다;;
- 데블스캠프2010 . . . . 1 match
* 우와~ 재밌었겠다~프로그래밍 하고 싶다~ 위키 오랜만^^ - [허아영]
- 데블스캠프2010/둘째날/후기 . . . . 1 match
* 서비스 센터에 갔다가 중간에 왔더니 뭔지 잘 알 수 없어서 아쉬웠다. 위키에 링크된 페이지를 보고 따라해보긴 했는데... - [김수경]
- 데블스캠프2010/첫째날/오프닝 . . . . 1 match
1. 위키 사용자 등록 후 로그인한다.
- 데블스캠프2011/셋째날/후기 . . . . 1 match
* 실제로는 보기만 해도 이해가 안 갈 독특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아서 설명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뭐, 유명한 Brainf**k이나 Befunde 등의 언어가 어떤 식으로 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직접 써보고. 더 괴상한 언어들도 보고. 보면서 느낀 것은 역시 세상은 넓고 Geek들은 많다는 점이었겠군요. 사실 Esolang 위키에 있는 언어들은 아무리 봐도 만든 사람들이 재미있어서 만든 것 같은 느낌이었으니까요. 그리고 다들 생각했을 평소에 쓰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고마움도 새삼 느꼈습니다. 그런데 이번 경험이 나중에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을까는...... 잘 모르겠군요 -_-;;; 앞으로는 어떤 언어를 봐도 무섭지 않게 되는 건가...
- 데블스캠프2011/첫째날/오프닝 . . . . 1 match
1. 위키 사용자 등록 후 로그인한다.
- 데블스캠프2011/첫째날/후기 . . . . 1 match
* 데블스캠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기록을 위해서 SVN과 위키의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하는 시간. 사실 세 번째니만큼 그렇게까지 어색한 느낌은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세 번째인데도 SVN의 사용법을 완벽하게 알고 있지 못 한 자신에 더 놀랐습니다 -_- 배웠다고 썩히지 말고 좀 더 자주자주 쓰도록 노력을 해 봅시다...
- 데블스캠프2013/첫째날/후기 . . . . 1 match
* 주제도 주제인 데다가 막상 실전에서 해보니깐 발표 준비가 좀 부족했던 점이 좀 많아서 많은 분들이 얼마나 알고 가셨는지 모르겠군요. 그만큼 위키에 보충 좀 많이 해둘께요. - [이봉규]
- 데블스캠프계획백업 . . . . 1 match
* 이런 걸 할 때 날마다 위키에 조별로 공동일기를 쓰고 ThreeFs를 공유하면 좋을 겁니다. 그리고, 매일 저녁에 조원들이 같이 모여 Daily Retrospective를 갖도록 합니다. 이런 건 좋았다, 나빴다, 내일은 이렇게 저렇게 해보자 등등. 그러고 나서, 선배들이 같이 모여 전체 Daily Retrospective를 합니다. 우리 조는 이랬고, 너희 조는 저랬구나, 그럼 우리는 이렇게 해야겠다 등. --JuNe
- 등수놀이 . . . . 1 match
최근의 답글이 제일위로 올라오면 좋을텐데... 생각해보니 위키는 등수놀이가 안된다... - 세환
- 레밍즈프로젝트 . . . . 1 match
|| [레밍즈프로젝트/이승한] || 위키문서화, 그래픽 출력 프로토타이핑 ||
- 로그인하기 . . . . 1 match
["위키분류"]
- 문제풀이게시판 . . . . 1 match
문제풀이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과 직접 PairProgramming을 해준다. 도우미는 "문제풀이도우미시장"이라는 위키 페이지를 유지 관리하면서 요청이 들어오면 가능한 한 빨리 그 사람과 Xper:RemotePairProgramming 혹은 실제 PP를 해서 도움을 준다. 문제를 풀 직접적 지식을 전달하는 것보다 어떤 문제건 풀 수 있는 효과적/효율적 과정을 경험케 해주는 것이 우선이라는 점을 명심한다.
- 바퀴벌레에게생명을 . . . . 1 match
다큐에 RandomWalking함수를 제작하고 뷰에서 스페이스바의 키이벤트가 일어나면 0.3초의 타이머가 생성(OnTimer)되어 RandomWalking함수를 0.3마다 호출하고 변경된 위키와 방향대로 뷰에 그려준다.(OnDraw) 다시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움직임을 멈춘다.
- 박진하 . . . . 1 match
**********음..위키 한줄이라도 쓰래서 쓰고갑니다 ㅋ
- 박치하 . . . . 1 match
* 치하야! 안녕~ㅎㅎ 누나 위키페이지에도 놀러와^-^ - [허아영]
- 변준원 . . . . 1 match
* 모르는 것이 있으면 자유게시판이나 위키 어느 곳이든 질문을 하셔도 됩니다. -상욱(["whiteblue"])
- 병역문제어떻게해결할것인가 . . . . 1 match
* ~~[http://www.caucse.net/phpwiki/index.php?%C4%C4%B0%F8%C0%CE%B1%BA%B4%EB%B0%A1%B1%E2 컴공인군대가기(동문서버 위키)]~~
- 복 . . . . 1 match
|| 이름 || MSN || 위키 페이지 || 4/6 || 4/8 || 4/12 ||
- 분류분류 . . . . 1 match
* 이 위키에서 사용되는 분류페이지들의 시작점(Starting Point).
- 블로그2007 . . . . 1 match
* 블로그, 위키, 게시판 세가지의 장점을 모으고[[BR]]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개념의 사이트를 생각해본다.
- 빵페이지/숫자야구 . . . . 1 match
DeleteMe 내용이 중복되어서 문제정의와 참고자료 부분을 지웠습니다. 위키라는 지식 풀속에 중복되는 지식은 링크로 충분하겠지요. 아래의 문제들 역시 {{{~cpp 숫자야구/유주영}}} 식으로 하는 편이 차후 접근성 측면에서 더 좋을것 같습니다.--NeoCoin
- 사랑방 . . . . 1 match
["위키분류"]
- 상협/학문의즐거움 . . . . 1 match
* 위키 탐험중 이책이 자주 등장하고 여러 사람이 추천하길래 읽기로 마음을 먹게 되었다. 그래서 이책을 와우북에서 샀다. 책 사는거는 정말 오래 간만이었다.
- 새싹C스터디2005 . . . . 1 match
첫번째 모임 : 4월 6일 수요일 에 잠깐 위키설명이나 해줄까 생각중...이고.... 모임 예약은 4월 8일 금요일 11시
- 새싹C스터디2005/선생님페이지 . . . . 1 match
* 일주일에 한번을 모이더라도 위키를 통해서 쉽지만 많은 예제가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연습보다 좋은 선생님은 없으니까요.
- 새싹교실/2011/GGT/L1&L2 . . . . 1 match
* 위키 사용법을 먼저 알려줬어야했는데 하지 못했다.
- 새싹교실/2011/Pixar/3월 . . . . 1 match
* 위키 사용하기
- 새싹교실/2011/學高/1회차 . . . . 1 match
* 위키의 사용법, 편집방법, 링크, 소스코드,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고
- 새싹교실/2011/學高/2회차 . . . . 1 match
* 위키는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못 쓰는 게 당연한 일... 쓰다보면 다들 익숙해질거야 ㅋㅋㅋ 그나저나 벌써 2회차라니 빠른데!! - [김수경]
- 새싹교실/2011/무전취식/레벨10 . . . . 1 match
* ㅋㅋㅋ오늘도 일등입니당*_* 위키올라오기전에 미리 확인한 건 처음이에요. 과제하다가 들어와서 써용. 오늘 코딩해본 1, 2번은 다했습니다. 스스로 생각해보고 스스로 코딩해보는게 중요한 것 같아욧!! 문제를 보고 어떻게 해결할까 고민하는 과정이 실력을 키우는 것 같네용... 여태까진 다른사람 생각을 그대로 옮기는 코딩을 했다면 이제부터는 제 스스로 생각해보고 코딩을 해야겠어요히히*-_-* 하하핫 이제 3번을..... - [이소라]
- 새싹교실/2011/무전취식/레벨3 . . . . 1 match
* 이번 주 수업은 짧았습니다 약 한시간정도ㅎㅎ 제가 모르는것을 되짚어 주셔서 감사했어요 이히히 근데 숙제안해갈뻔 했네여..ㅋㅋㅋㅋ까먹고 있었어요 앞으로 위키를 자주 확인 해야겠습니당.ㅇ...C공부를 더 하기 위해 C언어 입문서를 오늘구입했습니당...ㅎㅎ 잘해지고 싶어욧~! -[이진영]
- 새싹교실/2011/씨언어발전/4회차 . . . . 1 match
* Zeropage 정모에 대한 안내(다음 정모 "새싹과 함께하는 위키 놀이" 안내)
- 새싹교실/2012/사과나무 . . . . 1 match
* 과제가 있습니다. 위키에 제출해주세요. - [새싹교실/2012/사과나무/과제방]
- 새싹교실/2012/새싹교실강사교육/1주차 . . . . 1 match
예) 새싹교실 첫 수업이었다. 강사는 누구셨고 잘생겼다. 누구누구랑 같이 듣게 되었는데 얘네는 처음 본다. 얘는 언제 봤었고 같이 해서 좋다. 새싹교실의 정의에 대해 배웠는데 강의 중에는 뭔가 강사가 들떠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리고 위키를 작성하는 것을 보았는데 사용법이 어려워 보였다. 그런데 거기다가 내 페이지로 글을 만들고 내 각오를 여기다가 적으니 부끄럽지만 신기하고 좋았다. 학교 강의에서는 이렇게 가르쳤는데 여기선 이렇게 가르친다 그런데 학교 강의가 더 잘 이해되는 것 같았다.
- 새싹교실/2012/설명회 . . . . 1 match
* 선생님 지원자가 정말 많으네요. 사실 너무 많은게 아닐까 싶은 생각도 조금 듭니다. 만약 새싹교실을 성실히 진행한 반에 지원한다거나, 위키 사용을 잘 하고 있는지 한번씩 체크해보고 싶다거나, 모든 반이 함께 모여 공동의 활동을 진행하려 할때 약간 버거울수도 있지 않을까 걱정되는 면이 있어요. 반편성이나 회장님께서 각 반 선생님들께 공지해야 할 일이 있을때도 좀 힘들지 않을까 싶어 걱정이네요ㅜㅜ
- 새싹교실/2012/앞부분만본반 . . . . 1 match
이 위키에는
- 새싹교실/2012/우리반 . . . . 1 match
* 위키사용하는 방법
- 새싹교실/2012/절반/중간고사전 . . . . 1 match
* 그리고 위키 Can't Save에 대해서도 해결책 찾아오기.
- 새싹교실/2013/라이히스아우토반/3회차 . . . . 1 match
* Internet Explorer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 (Chrome,FireFox, Opera)로 위키에 들어오면 편집하기 쉬워요.
- 새싹교실/2013/라이히스아우토반/4회차 . . . . 1 match
* Internet Explorer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 (Chrome,FireFox, Opera)로 위키에 들어오면 편집하기 쉬워요.
- 새싹교실/2013/라이히스아우토반/6회차 . . . . 1 match
* Internet Explorer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 (Chrome,FireFox, Opera)로 위키에 들어오면 편집하기 쉬워요.
- 새싹교실/2013/라이히스아우토반/7회차 . . . . 1 match
* Internet Explorer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 (Chrome,FireFox, Opera)로 위키에 들어오면 편집하기 쉬워요.
- 새싹교실/2013/록구록구/2회차 . . . . 1 match
* 위키의 대략적인 사용법
- 새페이지만들기 . . . . 1 match
[["위키분류"]]
- 서지혜/단어장 . . . . 1 match
* evernote 페이지를 공유해버리겠습니다. 위키 형식으로 수정하기도 귀찮고 페이지가 너무 길어져서
- 선현진 . . . . 1 match
|| 금요일 || 위키에 대해서 공부하기 ||
- 세여니 . . . . 1 match
* 이것 정말 써도 되는 것일까...ㅡㅡ;;;; [[BR]] 아직도 위키에 적응이 안되는 중이랍니다...^^;;["E=mc²"]
- 송지원 . . . . 1 match
* 이맘때쯤 하드가 난리나서 위키자료가 일절 없습니다ㅠ_ㅠ
- 스터디그룹패턴언어 . . . . 1 match
누가 먼저 이 페이지를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이 패턴을 다시 볼 필요가 생겨서요. 공부하는 셈 치고, 원문의 굵은 글씨랑, 일부 내용만 먼저 옮겨볼께요. 가능하다면 패턴 이름도. 요약 번역본이 되겠죠. 관심 갖는 사람이 더 많아 질 수 있을 것 같아요. 위키니까 도움도 받을 수 있을 것 같네요. --[이덕준]
- 신기훈 . . . . 1 match
지금껏 위키 안되서 진짜 답답했었는데;;;
- 역링크 . . . . 1 match
["위키분류"]
- 요정 . . . . 1 match
정확히 서양의 동화 신화에서 등장하는 요정으로 생각하면 되겠죠. 반지제왕이 나오기 전에 원래 구설 동화랄까요? [위키요정] 이야기 하면서 [요정] 이야기를 써야 할곳을 찾다가 가지고 온거니까요. --NeoCoin
- 우리홈만들기 . . . . 1 match
* 1월 8일 : 위키 페이지를 열었다. ^^ (만족~~ *^^*)
- 위키에 코드컬러라이저 추가하기 . . . . 1 match
["위키분류"], ["lostship"]
- 위키정원사 . . . . 1 match
#redirect 위키요정
- 윤종하 . . . . 1 match
3. HTML->MoniWiki Converter 제작. 근데 잘 살펴보니 html을 위키에 넣어버릴수도 있잖아? -_-
- 이민석 . . . . 1 match
* 하스켈 위키북 번역: https://wikidocs.net/book/204
- 이병윤 . . . . 1 match
위키를 꾸며보아요~
- 이상태 . . . . 1 match
* 위키사용법 , 비쥬얼스튜디오가 이런거구나~ / 3.16
- 이승한/PHP . . . . 1 match
그런데 위키에 글이 왜 안써진다냐? - 이영호
- 이장길 . . . . 1 match
-장길이의 위키탐험담..ㅋㅋ
- 이정화 . . . . 1 match
* 정화야!^^ 흐흣 설명회 잘 들었어 ? 언니 넘 떨었지? ㅋㅋ 히히~ 언니 위키페이지에도 놀러와! - [허아영]
- 이주영 . . . . 1 match
* 주영이 위키페이지 생겼네. ㅋㅋㅋ -[김태진]
- 자바프로젝트/방화벽팀메신저 . . . . 1 match
* 현재 학술터 위키의 프로젝트 페이지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자유게시판 . . . . 1 match
- 자유게시판에 글 수정, 삭제, 추가 하면 RecentChanges 에 반영되지 않나요? 글고 저는 위키위주로 사용해서... (제로페이지 북마크를 http://zeropage.org/wiki/RecentChanges 로 해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 [임인택]
- 자유로부터의도피 . . . . 1 match
* 위키에 열심히 정리해 보겠음 :)
- 저글링 4마리 . . . . 1 match
||이름||MSN||위키 페이지||4/5일||4/12일||
- 정모/2002.3.28 . . . . 1 match
6. 학술터위키와의 링크
- 정모/2002.8.22 . . . . 1 match
== 프로그래밍잔치, 위키 이름짓기 ==
- 정모/2003.1.29 . . . . 1 match
* 위키에서 날짜 정해서 가기 ["MT날짜정하기"]
- 정모/2003.11.17 . . . . 1 match
* 자바 스터디: 무기한 보류. 위키 페이지에 끝났다고 써놓기.
- 정모/2003.12.1 . . . . 1 match
* 위키에 공지 후 날짜 결정. ( 27일 가결 )
- 정모/2003.7.29 . . . . 1 match
* 지금 1'Wiki를 테스트를 하는 이유는 새로 위키를 같이 사용해 나가면서 규칙을 만들자는 취지이며, 0'Wiki를 닫지 않으면 1'Wiki를 테스트 해보는 사람만 테스트해 볼 것이므로 0'Wiki를 폐쇄할 거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ZeroWiki:ZeroPager 모두가(특히 신입생) 의욕적으로 1'Wiki사용에 참여하였으면 좋겠습니다.
- 정모/2004.1.6 . . . . 1 match
* 할 예정임 - 후에 위키에서 토론 방식과 일정을 결정
- 정모/2004.3.2 . . . . 1 match
* 흥보문안 - 위키를 통해서 여럿이서 작성하여 배포함
- 정모/2004.4.9 . . . . 1 match
* 위키 설명, 가입 방법 설명, 데블스 캠프 설명은 다음 회의 때 논의
- 정모/2004.5.21 . . . . 1 match
위키에 신청합시다
- 정모/2004.6.28 . . . . 1 match
*세미나 요청 위키 페이지
- 정모/2005.12.29 . . . . 1 match
|| 제로위키 || 리팩토링중 ||
- 정모/2005.4.4 . . . . 1 match
다음 부터는 회의록 작성및 위키화를 돌아가면서 신입생에게 맡겨보려 합니다. - [톱아보다]
- 정모/2005.5.23 . . . . 1 match
'위키' 항해해 보기
- 정모/2006.2.16 . . . . 1 match
신입생은 3월 초에 위키설명회 & Zeropage 설명회 통해서 받는다
- 정모/2006.2.2 . . . . 1 match
- 3월 초기에 위키세미나 & ZeroPage 보여주기를 실시한다.
- 정모/2007.3.27 . . . . 1 match
=> 참여하실분들은 위키에 글 올려주세요.
- 정모/2007.3.6 . . . . 1 match
유상욱 : 개인 pool 웹브라우저 <= SSM, JAVA를 활용, “여기에 동참하고 싶으신 분들은 연락주세요. 위키페이지에 이름을 남겨 주셔도 됩니다.”
- 정모/2011.3.2 . . . . 1 match
* 해당 시간에 강의가 있어서 참여를 못 했네요. 다음부턴 꼬박꼬박 참여하겠습니다. 그런데 모니위키엔 서명 기능이 없나요? - [황현]
- 정모/2011.3.21 . . . . 1 match
== 위키 제안 안내 ==
- 정모/2011.5.23 . . . . 1 match
* 모르는 11학우는 아마 [고한종] 이라고 위키에 자주 등장하는 녀석일거예요~ -[김태진]
- 정모/2011.5.30 . . . . 1 match
* 오 땡큐땡큐 ㅋㅋㅋ 어젠 다른 일에 치여 미처 위키 페이지를 못 만들었어;; 회고는 맨날 비슷한 거 하면 질리는 것 같아서 + 배워온 걸 공유하는 차원에서 방식을 바꿔봄 ㅎㅎ - [김수경]
- 정모/2011.7.25 . . . . 1 match
* 5.1장에서 회원 등급 조정을 예로 들어 책임을 구분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 관련 내용은 이번주에 위키에 올리겠습니다.
- 정모/2011.8.22 . . . . 1 match
* 서버 백업(아마도 nForge 위주?) 과정에 가끔 일어나는 위키 8:45 현상을 보면서 nForge에 불필요한 용량을 잡아먹는 프로젝트 svn들을 몇개 지워야겠단 생각이 들었어요. 몰랐을 때 코드만 관리하지 않고 이런저런 잡데이터를 넣었다보니-_-;; 사생대회 재밌었습니다. 고퀄의 로고를 만들지는 못했지만 간만에 그림질이라니 감회가 새로웠어요. 한솥 도시락 치킨마요가 2000원 할인하는 즐거운 월요일이었습니다 (물론 이건 8월까지 이지만;;) - [지원]
- 정모/2012.10.8 . . . . 1 match
* 위키페이지를 만들어주신 순의형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김태진]
- 정모/2012.12.10 . . . . 1 match
* 저번주 위키 참조.
- 정모/2012.12.3 . . . . 1 match
* [정진경] - 창세기전 옛날에 해봤으나 살라딘이 쌍검(?)을 쓴다는 것 외에는 기억이 나지 않음.. 회고해봤는데 벌써 1년이 지나갔군여. 프로젝트나 스터디에 모두 참여하는 일은 역시 힘든 것 같습니당. 크리에이티브클럽에서 나왔던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분야나 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하는게 어렵다면 전공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위키에 기록하는게 어떠냐..는 내용이 있었습니당. 내년에 저는 사라지기 때문에 막 던지기.. ㅋㅋ 굳이 전공 수업이 아니더라도 최근 어코드 사업으로 특강이나 멘토링 등등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많기 때문에 학술 활동을 하기 위한 여건이 학부 차원에서 나아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당.
- 정모/2012.4.2 . . . . 1 match
* 위키에서 이런걸 발견했다. [http://wiki.zeropage.org/wiki.php/HowToStudyInGroups HowToStudyInGroups] 링크의 제목이 슬프다 - [서지혜]
- 정모/2012.7.25 . . . . 1 match
* Spring : SimpleWiki 작성. 게시물 Page Repositery 기능. Hibernate 사용하는 기능을 Page Repositery에 붙이려고 하는데 Hibernate가 어려워서 잘 될까 모르겠다. 이후에는 Spring의 security 기능을 이용해서 회원가입 기능을 붙일 예정. 위키 문법을 어느 정도까지 다루어야 할지 생각 중.
- 정모/2012.8.29 . . . . 1 match
* 정모에서도 잠깐 이야기한 것처럼 ZeroPage에서 운영하는 서버 및 각종 장치와 도메인 네임, 이에 필요한 설정과 소프트웨어, 그리고 그와 관련한 이슈를 다루는 공간이 Trello에 있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게시판이나 위키에 비해 ZeroPage 웹사이트가 비정상 동작할 때도 사용할 수 있고, 전체 상황이 한 눈에 파악되면서 카드 별로 상태 관리가 간편하며, 모바일(iOS, Android)에서 notification push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커뮤니케이션과 이슈 추적 및 관리에 유리합니다.
- 정모/2012.9.10 . . . . 1 match
* Spring - 스프링 프레임워크 공부 합니다. 이제 결과물 내보려고 심플 위키 만들고 있지만, 이번주는 쉬었다는게 Fail..
- 정모/2013.1.8 . . . . 1 match
*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사람은 정모나 위키에서 공유할것.
- 정모/2013.4.1 . . . . 1 match
* ㅈㅅ... 위키 쓰다가 정신 놓음;; 각자 써주시면 감사하겠어요 ㅠ
- 정모/2013.5.20 . . . . 1 match
없는사람은 위키 직접쓰면서 출쳌하세요.
- 정모/2013.8.5 . . . . 1 match
* 사실 중앙대 GDG 설립 경과 보고에 있는 항목이나 지금 여기 후기에 있는 태진이 질문이나 몇몇 얘기들은 바로바로 위키나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서 알려줘야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현재 상황을 알고 그에 대해 생각을 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을텐데, 너무 아나운스가 없으니 뭐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가 없네요... 엠티도 사실 일정만 딱 나와 있고, 누가 가는지, 언제 가는지, 가서 뭘 하는지 준비물이 필요할 수도 있는데 그런 것들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없으니... - [서민관]
- 정모/2013.9.4 . . . . 1 match
* 홈페이지나 위키에 도서 기자재를 신청받을 것입니다. 필요한 도서가 있다면 신청해주세요.
- 정진수 . . . . 1 match
위키 마스터
- 제12회 한국자바개발자 컨퍼런스 후기/유상민의후기 . . . . 1 match
원문 : 한국 자바 개발자 컨퍼런스/12회 관련 개인 위키 페이지
- 제로페이지회칙만들기 . . . . 1 match
* ["회원자격"] : 사전 연락 없거나(게시판 or 위키 공지), 현재 납득할 사정(학부생 아닌 경우,휴학)이 없이 2회 연속 정모에 불참시.본인 의사로 회원 자격을 상실한다.
- 제안 . . . . 1 match
["위키분류"]
- 조영준 . . . . 1 match
* 설리 추가하고 갑니다 'v' 졸라... ^오^ 이거먼데 ㅋㅋ 깜놀했네 위키문법으악 - [최다인]
- 조현태 . . . . 1 match
= >>위키판때기<< =
- 조현태/놀이 . . . . 1 match
[조현태/놀이/위키서버]
- 조현태/놀이/지뢰파인더 . . . . 1 match
위키에서 마인 파인더를 본 기억이 어렴풋이 남아있다.(SeeAlso MineFinder)
- 조현태/프로젝트 . . . . 1 match
* 제로위키! - 제로페이지의 훌륭한 역사의 발자취(?)를 남길만한 작품..ㅎㅎ
- 졸업논문 . . . . 1 match
졸업논문이란 도전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써먹는 위키페이지
- 중위수구하기/허아영 . . . . 1 match
└ㅎㅎ 제아무리 이쁜 아가씨도 임자있으면 안 이쁜 아가씨..ㅋㅋㅋ...그런데 아무래도 위키는 우리가 점거해야겠는걸? ㅎㅎㅎ 이런 수다쟁이들..ㅎㅎ - [조현태]
- 지금그때/OpeningQuestion . . . . 1 match
* 위키 작성
- 지금그때2004/회고 . . . . 1 match
[지금그때2004] 를 준비한 사람들의 회고. (혹시 지금그때2004 위키에 어울리다면 그쪽으로 옮겨주길)
- 지금그때2005/회의20050318 . . . . 1 match
지금그때위키 링크
- 창섭 . . . . 1 match
|| [http://165.194.17.5/zero/?url=wizneo 개인위키] |||||||| wizneo1 @ 쥐mail.com ||
- 창섭/통기타 . . . . 1 match
|| [http://165.194.17.15/~wiz/cgi-bin/MoinMoin/wiki-moinmoin/moin.cgi/_c5_eb_b1_e2_c5_b8?action=highlight&value=음악분류#line23 창섭의 개인위키] ||
- 캡스톤설계실 . . . . 1 match
* 헐 이런 용도로 위키가 만들어지다니... ㅋㅋ
- 컴퓨터고전스터디 . . . . 1 match
* 2002년 MentorOfArts 위키에서 MythicalManMonth 로 Moa:컴퓨터고전스터디 그룹이 ZeroPagers 와 진행
- 큐와 스택/문원명 . . . . 1 match
그리고 위키의 사용 방법이나, 철학들을 [도움말]을 기점으로 따라가서 읽어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발성 게시판에 익숙한 많은 분들이 쏟아지는 정보에 두드러기가 날지도 모르겠군요. ^^;; 위는 그중 필요한 링크 입니다. --NeoCoin
- 페이지이름고치기 . . . . 1 match
["위키분류"]
- 페이지지우기 . . . . 1 match
[위키분류]
- 프로그래밍언어와학습 . . . . 1 match
p.s. 토크백에서 여러분은 일반 게시판 모델의 폐악을 여실히 보고 있습니다. 거기는 사람이 축이 되어 있습니다. 위키에서는 논점이 축이 됩니다. 논점을 축으로 그 글들을 재정리 하면 양이 1/10로 줄고 질은 10배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프로그램내에서의주석 . . . . 1 match
처음에 Javadoc 을 쓸까 하다가 계속 주석이 코드에 아른 거려서 방해가 되었던 관계로; (["IntelliJ"] 3.0 이후부턴 Source Folding 이 지원하기 때문에 Javadoc을 닫을 수 있지만) 주석을 안쓰고 프로그래밍을 한게 화근인가 보군. 설계 시기를 따로 뺀 적은 없지만, Pair 할 때마다 매번 Class Diagram 을 그리고 설명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래도 전체구조가 이해가 가지 않았다면 내 잘못이 크지. 다음부터는 상민이처럼 위키에 Class Diagram 업데이트된 것 올리고, Javadoc 만들어서 generation 한 것 올리도록 노력을 해야 겠군.
- 학회간교류/08 . . . . 1 match
* 특정학회의 위키에 종속되는 것 보다는 스프링노트가 낫지 않을까 싶다.
- 허아영 . . . . 1 match
위키Page -->> [http://165.194.87.227/zero/index.php?title=%C7%E3%BE%C6%BF%B5&url=ixforyouxl click]
- 혀뉘 . . . . 1 match
오랫만에 찾아본 내 위키페이지
- 황세연 . . . . 1 match
* 06년도 [위키설명회] 참여
Found 529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50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