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OfContents]] = 수업 = == 진행 == 1. 장소 : 구글 밋으로 진행 예정 2. 시간 : 3/20 14:00 ~ 16:00 == 내용 == * 위키 작성법 * [https://github.com/sindresorhus/awesome 깃허브 awesome 저장소 소개] *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_bQVuPl8-74TnaRa2j58vETGAD9YNvFX2Le2j_Bs6ZA/edit?usp=sharing 수업 진행] = 숙제 = 1. 수업 내용 정리하기 2. 아래 문제들 풀어오기 - 10문제(선정 예정) 3. 수업 PPT에 있는 스택, 큐, 덱 소스코드 보고 익히기 = 수업 내용 정리 = == 김도엽 == {{{ 여기에 정리해주세요 }}} == 한윤호 == {{{ 여기에 정리해주세요 }}} == 한예준 == {{{ C는 절차지향, C++은 객체지향이다. C++11부터 함수형 언어의 패러다임이 도입되었다. (C++11부터 3년마다 한번씩 표준을 낸다. 가장 최신은 C++20) 복잡도 -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가 있다. 시간 복잡도는 실행 시간 등에 관한, 공간 복잡도는 배열 등에서 공간을 잡는 것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초과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빅O 표기법 - 시간복잡도를 표현하는 방법. 상수는 없애서 표현한다. 입출력 속도(입력 속도)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쓰면 더 빨라진다. 동적 메모리 할당 - C언어에서 malloc 쓰는 것보다 c++에서 쉽게 사용 가능 STL - Standard Template Library, C++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template, pair, vector,... C++11에서 auto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타입을 추론하도록 할 수 있다. 헤더파일 - , ,... -> 웬만한 헤더파일 선언되어 있음! [자료구조] deque - 앞뒤 모두에서 pop, push 가능, 헤더파일: list - 링크드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단일 연결 리스트 stack - LIFO(Last In First Out) 구조, 나중에 들어온게 먼저 나간다. vector로도 충분히 구현이 가능하다. 재귀의 개념이 stack. queue -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 먼저 들어온게 먼저 나간다. 스케쥴링할 때 많이 쓴다. }}} = 후기 = * '''후기 작성 요령''' : 후기는 F4(ThreeFs + Future Action Plan)에 맞게 작성해주세요. * Facts, Feelings, Findings, Future Action Plan. 즉, 사실, 느낀 점, 깨달은 점, 앞으로의 계획. 박인서: 김도엽: 한윤호: 한예준: ---- ----------------------------------- [새싹교실/2021] [새싹교실/2021/시작이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