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OfContents]]
== 목적 ==
'새싹교실 Sprout Class'는 선배와 후배 간의 학술적인 교류를 개인적인 이익이 아닌 공공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들고자 하는 생각에서부터 시작합니다.

ZeroPage의 '2005 새싹 배움터'를 시작으로 '2011 새싹교실'부터 공식적인 틀을 마련한 '새싹교실'은 '2020 새싹교실'에 이르러 새내기들이 선배들과 친해질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선배들이 새내기들에게 가르침을 줄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합니다.

공식적인 교류 속에서 선배와 후배 그리고 교수님의 Feedback, Wiki, 회고를 바탕으로 '새싹교실'은 매 해마다 그리고 이듬 해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합니다.


== 주최 ==
 * 중앙대학교 컴퓨터 학회 ZeroPage
 * 중앙대학교 (준) 제 48대 소프트웨어학부 미소 학생회

== 인원 ==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평균적으로 강사는 16명, 새싹은 46명이 참가를 희망했습니다.
2020년에 강사 12명, 새싹 35명이 참가를 희망 중입니다.

|| 새싹반명 || 새싹강사명 || 새싹명 ||
|| [/예시] || [오준석] || 일준석, 이준석, 삼준석, 사준석 ||
|| [새싹교실/2020/장조림] || [정우현] || 김은솔, 김하연, 오송경 ||
|| [새싹교실/2020/알수없는파이썬과ML맛] || [김혜성] || 김수현, 김효진, 윤민규 ||



== 일정 ==
 * 2020.08.31 ~ 2020.09.11 : 강사 모집
 * 2020.09.14 : 온라인 설명회
 * 2020.09.15 : 강사 교육
 * 2020.09.14 ~ 2020.09.18 : 새싹 모집
 * 2020.09.20 : 새싹 배정
 * 2020.09.21 ~ 2020.12.21 : 온라인 새싹교실
 * 2020.12.23 ~ 2020.12.30 : 온라인 새싹톤
 * 2020.01.06 : 온라인 시상식


== 예산 ==
 *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위험성과 확산 우려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만큼 간식비, 기타비 등을 제외한 상금과 지원비만을 고려합니다.
 * 해당 예산 배정은 추후에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새싹톤 1 등 : 320,000원
 * 새싹톤 2 등 : 160,000원
 * 새싹톤 3 등 : 80,000원
 * 새싹톤 4 등 : 40,000원
 * 새싹톤 5 등 : 20,000원
 * 새싹톤 지원 : 0원


== 교육사항 ==
새싹에게 더 나은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강사님을 대상으로 사전에 다음과 같이 교육을 진행합니다.

 * [새싹교실/2012/새싹교실강사교육/1주차]
 * [새싹교실/2012/새싹교실강사교육/2주차]
 * [새싹교실/2012/새싹교실강사교육/3주차]
 * [새싹교실/2012/새싹교실강사교육/4주차]


== 안내사항 ==
=== 새싹교실 ===
 * 해당 안내사항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필수사항이 아닌 더 나은 교실을 위한 참고사항임을 알려드립니다.
==== 수업시간 ====
 * 짧은 시간은 가르칠 수 있는 내용이 한정적이며, 긴 시간은 집중력의 저하를 일으킵니다.
 * 8~9주간 일주일 기준, 2시간 내외의 시간으로 전체 16~18시간의 수업시간을 권장합니다.
 * 올해를 기준으로 중간고사 이전은 추석을 고려하여 2~3회, 기말고사 이전은 5~6회의 수업시간을 권장합니다.
==== 테스트 ====
 * 처음 들인 습관을 버리기 어려우며, printf와 같은 출력 함수를 이용한 코드 검증 습관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 직접 작성한 코드를 출력하여 확인하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지만, 이로 인해 잘못 생긴 습관은 여러가지 문제를 불러일으킵니다.
 * 출력을 이용한 테스트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것은 지금은 불필요한 일이니 [https://www.acmicpc.net/blog/view/70 example]의 '예제는 다 맞는데요...'와 '데이터가 잘못된 것 같아요'라는 예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printf와 같은 출력 함수는 가르칠 필요가 있으나 코드 검증 방식으로는 권유하지 않으며, 대신 assert 함수를 이용한 코드 검증 방식을 권장합니다.
 * 테스트를 위한 assert 함수의 사용법은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764 assert]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커리큘럼 ====
 * 여러 교수님의 1학년 1학기 기초프로그래밍, 1학년 2학기 프로그래밍 수업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해당 커리큘럼은 필수사항이 아닌 더 나은 교실을 위한 참고사항입니다.
   * 1주차 : [https://wiki.zeropage.org/wiki.php/%EC%83%88%EC%8B%B9%EA%B5%90%EC%8B%A4/2011#s-2 2011 새싹교실 커리큘럼]을 기준으로 3주차부터 6주차까지
   * 2주차 : [https://wiki.zeropage.org/wiki.php/%EC%83%88%EC%8B%B9%EA%B5%90%EC%8B%A4/2011#s-2 2011 새싹교실 커리큘럼]을 기준으로 9주차부터 10주차까지
   * 3주차 : 함수와 배열 그리고 포인터
   * 4주차 : 실습
   * 5주차 : 문자와 문자열, 변수 유효범위
   * 6주차 : 동적 메모리
   * 7주차 : 구조체와 공용체, 파일 입출력
   * 8주차 : 실습
 * 커리큘럼을 작성하시기 이전에 참고하실 만한 내용을 함께 작성하였습니다.
   * [HowTo/StudyProgrammingLanguage]
   * [http://www.soen.kr/ 혼자 연구하는 C/C++]
   * [http://www.orentec.co.kr/teachlist/C_BASIC_2/teach_sub1.php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교안]
   * [http://www.orentec.co.kr/jaryosil/C_BASIC_2/add_form.php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답안]
   * [http://www.cplusplus.com/reference/clibrary/ C Language Function Library]
   * [http://www.compileonline.com/compile_c_online.php Online C Language Compiler]
==== Feedback ====
 * 피드백은 불편함과 귀찮음을 유발하기 위함이 아닌 더 나은 다음 수업을 위한 그리고 나아가서 다음 해의 더 나은 새싹교실을 위한 참고사항입니다.
 * '좋았습니다'와 같은 단순한 피드백이 아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위해 새싹에게 피드백의 의미와 F4(ThreeFs + FutureActionPlan)을 설명하고 이를 지키도록 말씀해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피드백 작성이 어렵다면 강사님께서 구체적인 질문을 제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ZeroWiki ====
 * Wiki는 교육사항, 안내사항 등을 포함하여 이전의 새싹교실에서 사용하였던 다양한 자료가 존재합니다.
 * Wiki는 처음 써보는 사람에게는 낯선 환경이지만 사용하기 어렵지 않고, 내용이 누적되면 게시판에 비하여 필요한 내용을 찾기에 더 수월합니다.
 * Wiki를 사용하기 쉽도록 강사님과 새싹분들이 함께 사용하는 시간을 가지시기를 권장하며, 새싹분들이 참고할 수 있는 강사님의 Wiki 내용을 미리 작성해주시기를 권장합니다.
 * Wiki의 사용법 [HelpOnEditing]의 Wiki 편집 안내서를 참조해주시길 바랍니다.
  * [HelpOnFormatting]
  * [HelpOnHeadlines]
  * [HelpOnLists]
 * Wiki를 사용한 문법 연습은 WikiSandBox에서 해주시길 바랍니다.
==== 회고 ====
 * 회고는 매회 수업했던 것을 되돌아봄으로써 새싹들이 배운 것을 더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Feedback을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매회 수업이 끝나고 나면 3~5분 정도로 간단하게 당일 수업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권장해주시길 바랍니다.
 * 거창하거나 대단한 회고가 아닌 강사님과 새싹들이 돌아가면서 당일 소감을 말하는 정도만 되어도 괜찮습니다.

=== 새싹톤 ===
 * 해커톤(Hackathon)은 '무언가를 만든다 또는 파고든다'의 의미로 Hack과 장시간 달리기를 의미하는 Marathon의 합성어로 모여서 오랜 시간동안 무언가를 같이 만든다 또는 파고든다는 의미입니다.
 * '새싹톤 SproutThon'은 새싹(Sprout)과 해커톤(Hackathon)의 합성어이며, 기존 새싹교실 이후 개최하던 프로그래밍 대회 'CodeRace'를 대신하여 개최하는 해커톤입니다.
 * 새싹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실질적으로 사용하면서 서로 상호작용하고 의견을 나누는 것에 의의를 가집니다.
 * 해당 안내사항은 새싹교실 이후 개최하는 새싹톤의 진행과 심사방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 다음과 같은 사례를 참고하였습니다.
   * [https://dacon.io/competitions/official/235622/overview/ 국토교통 빅데이터 온라인 해커톤 경진대회]
   * [http://www.causw.com/deeplearn 다빈치오픈소스 SW·AI 딥러닝 해커톤]
==== 진행 ====
 * 주제는 각각의 반에서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으며, 결과는 H/W, S/W 어떤 형태이든 모두 상관없습니다.
 * 새싹톤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위험성과 확산 우려로 인하여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으로 개최합니다.
 * 새싹교실 이후 해당하는 주에 정기모임을 진행하는 수요일부터 다음 주 수요일까지 진행합니다.
==== 심사 ====
 * 새싹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적용(40점)과 창의(40점) 그리고 기술(20점) 점수를 합산하여 시상합니다.
 * 넓은 시각과 다양한 관점 그리고 공정한 평가를 위해서 ZeroPage(25%)와 학생회(25%) 그리고 교수님(50%)이 평가하여 시상합니다.
   * ZeroPage : 강사 또는 새싹이 아닌 5인 포함 예정 (편입생 출신 1명, 전과생 출신 1명, 신입생 출신 1명, 복전생 출신 1명 등)
   * 학생회 : 강사 또는 새싹이 아닌 5인 포함 예정
   * 교수님 : ZeroPage 1기 김승태 교수님, ZeroPage 1기 이찬근 교수님, 김효수 지도교수님 요청 예정
----
[새싹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