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열 복습 ==
 * ì„ ì–¸
  * 기본 타입 + []
 * 초기화
  * {}를 이용해서 초기화 함
 * 반복문을 이용한 배열 순회
== 함수 ==
 * 문법
  * 함수 만들기
   1. 이름
   1. 인자
   1. 리턴 값
   1. 함수 몸체(body)
  * 함수 호출
   * '''선언 시의 타입과 함수 호출 시의 타입이 맞아야 함'''
 * 4종류의 함수
  * 인자, 리턴
 * 변수의 유효범위(Scope)
 * 간단한 예제를 통해 함수 시험
  * 윤년 판정
  * 반복 print
 * swap 함수
  * 문제점 -> 왜 그럴까?
  * 함수 호출 시의 메모리 구조
   1. 인자에 대한 값의 복사
   1. 함수 호출 후 바뀐 변수들의 제거(POP)
   1. 원래 변수들에 반영 안 됨 -> '''POINTER'''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