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새싹교실/2013/케로로반

Difference between r1.2 and the current

@@ -2,49 +2,78 @@

[[TableOfContents]]

1. 기초프로그래밍 과제를 하시는 데에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할 것입니다.
2. 새싹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보완하는 데에 신경을 쓸 것입니다.
3. 선형대수학에 대해서 궁금한 것은 질문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은 답변해 드립니다.
 
= 참여자 명단 =
 
[김해천], [김경선], [김태홍], [정서현] 
[박채원], [이강진], [민상천], [김도형]
= 우리의 목표 =
>
> '''새싹 교실을 통해서 배우고 싶은 , 얻어가고 싶은 , 목표와 각오 등을 적어주세요!!'''
= 1회차 =
다음 코드들이 어떻게 작동하는 알려 .
{{{
#include <stdio.h>
int main(){
printf("Hello World! \n");
printf("%d",a());
return 0;
}
int a(){
return 5;
}
}}}
* #include <stdio.h> 쓰는 건지
* 함수들의 마지막은 return 0;로 끝나는 , 어떻게 쓰는지
* 데이터타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 참여자 명단 ==
= 반에 대해서 하고 싶은 =
> 학교 수업은 느리다! 우린 앞서간다.
= 수업 진행 =
== 1회차 ==
* ~~튜터 혼자 X나게 떠들다가 끝났습니다.~~
* C언어의 유래와 C언어를 배워하는 이유,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소스를 짜고, 이것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함수를 곁들이기... 하다가 return 설명하는데 30분을 버리고 ~_~
* 6피에서 진행하는데, 일자형 구조라 생각보다 진행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앞으로는 미리 공부할 내용을 ppt에 올리고, 각자 보면서 진행하게 해야 할듯...
== 2회차 ==
* 피피티를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 컴퓨터 구조부터 연산자까지 짚었습니다.
* 저 혼자 떠드는 듯한 느낌을 또 받았습니다.
* 수업 막바지에 용승이 형이 조언을 해 주셨는데, 좋은 방법인 것 같아 다음 수업 부턴 다른 방식으로 수업 해보려 합니다.
== 3회차 ==
* 개인적인 사정으로 휴강!
== 4회차 ==
* 자료형과 printf 및 scanf의 서식 문자를 설명하는 것으로 (새싹교실 #01)ppt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 드디어 실습에 들어갔습니다. 실습 주제는 반복문 이해하기 였습니다.
* while문을 통해 1~10 까지 출력시키는 구문을 작성하고, 이를 통해 for문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해 주었습니다.
* 편하게 이야기 하기 위해 존댓말을 되도록 덜 쓰고, 대신 친근감을 주기 위해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 5회차 ==
* 휴....강
== 6회차 ==
* 2명이 말도 없이 나타나지 않아따! (팀플 때문이라고 합니다.)
* for문과 while문을 다시 복습하고. do while문과의 차이점을 설명했습니다.
* select case문과 if문에 대해서 학습했고, dangling else에 대해서도 설명했습니다. 들여쓰기의 중요성! 
* 논리 연산자 &&와 ||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실습을 했습니다.
* 실습 내용
- 시험 점수를 입력받는데, 90점 이상이면 A, 80점 이상이면 B, 70점 이상이면 C, 60점 이상이면 D, 50점 이하이면 F를 출력하는 기능을 만들고, 사용자가 -1을 입력할 때 까지 계속 반복될 수 있도록 하세요.
* if else문을 이용하여 해결한 학생은 else문의 필요성을 알 수 있게 했습니다.
* 단순 if문만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논리 연산자의 활용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 do while문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고, for문과 while문과의 차이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7회차 ==
* if와 else if를 익히고 switch case문을 익힌 뒤, 둘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익혔습니다.
* switch case문에는 break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 8회차 ==
* 시험 전 복습 1
== 9회차 ==
* 시험 전 복습 2
== 10회차 ==
* 함수에 대해서 가르쳐주었습니다.
== 11회차 ==
* 새싹 반과 단체로 밥 먹으러 갔습니다.
== 12회차 ==
* 함수에 대해서 다시 정리하고, 직접 만들어 보는 시간
* Preprocessor 전처리기에 대해서 다루고, 해당 명령어(#include 등)를 직접 설명 해 보였습니다. 
== 13회차 ==
* 과총 사업설명회 참여로 인해 휴강..
* 대신 새싹들에게 과제를 줬습니다. (수업자료 링크 참고)
== 14회차 ==
* 과제 풀이
* 지역변수, 전역변수, 정적변수
* 변수의 소멸 시점
* 지역변수가 다른 함수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이유와 call-by-value
== 15회차 ==
* static 전역 변수의 특징
* register 변수
* 블록 범위
* 수학함수
* 난수 생성
* 배열의 기본, 1차원 배열
== 16회차 ==
* 15회차 내용 복습
* 1차원 배열 실습, 2차원 배열
== 17회차 ==
* 배열 복습
* 메모리의 구성(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 스택, 큐)과 변수의 소멸 시점, 지역변수의 스택 생성과 제거
* 포인터의 기초
= 수업 자료 =
* 링크 : http://zeropage.org/index.php?mid=fresh&document_srl=88380
----
[새싹교실/2013]


상위 항목 : 새싹교실/2013


1. 참여자 명단

채원, 이강진, 상천, 김도형

2. 우리의 목표

학교 수업은 느리다! 우린 앞서간다.

3. 수업 진행

3.1. 1회차

  • 튜터 혼자 X나게 떠들다가 끝났습니다.
  • C언어의 유래와 C언어를 배워하는 이유,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소스를 짜고, 이것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함수를 곁들이기... 하다가 return 설명하는데 30분을 버리고 ~_~
  • 6피에서 진행하는데, 일자형 구조라 생각보다 진행이 쉽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앞으로는 미리 공부할 내용을 ppt에 올리고, 각자 보면서 진행하게 해야 할듯...

3.2. 2회차

  • 피피티를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 컴퓨터 구조부터 연산자까지 짚었습니다.
  • 저 혼자 떠드는 듯한 느낌을 또 받았습니다.
  • 수업 막바지에 용승이 형이 조언을 해 주셨는데, 좋은 방법인 것 같아 다음 수업 때 부턴 다른 방식으로 수업 해보려 합니다.

3.3. 3회차

  • 개인적인 사정으로 휴강!

3.4. 4회차

  • 자료형과 printf 및 scanf의 서식 문자를 설명하는 것으로 (새싹교실 #01)ppt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 드디어 실습에 들어갔습니다. 실습 주제는 반복문 이해하기 였습니다.
  • while문을 통해 1~10 까지 출력시키는 구문을 작성하고, 이를 통해 for문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해 주었습니다.
  • 편하게 이야기 하기 위해 존댓말을 되도록 덜 쓰고, 대신 친근감을 주기 위해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3.5. 5회차

  • 휴....강

3.6. 6회차

  • 2명이 말도 없이 나타나지 않아따! (팀플 때문이라고 합니다.)
  • for문과 while문을 다시 복습하고. do while문과의 차이점을 설명했습니다.
  • select case문과 if문에 대해서 학습했고, dangling else에 대해서도 설명했습니다. 들여쓰기의 중요성!
  • 논리 연산자 &&와 ||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 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 실습을 했습니다.
    • 실습 내용
      - 시험 점수를 입력받는데, 90점 이상이면 A, 80점 이상이면 B, 70점 이상이면 C, 60점 이상이면 D, 50점 이하이면 F를 출력하는 기능을 만들고, 사용자가 -1을 입력할 때 까지 계속 반복될 수 있도록 하세요.
  • if else문을 이용하여 해결한 학생은 else문의 필요성을 알 수 있게 했습니다.
  • 단순 if문만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논리 연산자의 활용을 할 수 있게 했습니다.
  • do while문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고, for문과 while문과의 차이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3.7. 7회차

  • if와 else if를 익히고 switch case문을 익힌 뒤, 둘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익혔습니다.
  • switch case문에는 break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했습니다.

3.8. 8회차

  • 시험 전 복습 1

3.9. 9회차

  • 시험 전 복습 2

3.10. 10회차

  • 함수에 대해서 가르쳐주었습니다.

3.11. 11회차

  • 새싹 반과 단체로 밥 먹으러 갔습니다.

3.12. 12회차

  • 함수에 대해서 다시 정리하고, 직접 만들어 보는 시간
  • Preprocessor 전처리기에 대해서 다루고, 해당 명령어(#include 등)를 직접 설명 해 보였습니다.

3.13. 13회차

  • 과총 사업설명회 참여로 인해 휴강..
  • 대신 새싹들에게 과제를 줬습니다. (수업자료 링크 참고)

3.14. 14회차

  • 과제 풀이
  • 지역변수, 전역변수, 정적변수
  • 변수의 소멸 시점
  • 지역변수가 다른 함수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이유와 call-by-value

3.15. 15회차

  • static 전역 변수의 특징
  • register 변수
  • 블록 범위
  • 수학함수
  • 난수 생성
  • 배열의 기본, 1차원 배열

3.16. 16회차

  • 15회차 내용 복습
  • 1차원 배열 실습, 2차원 배열

3.17. 17회차

  • 배열 복습
  • 메모리의 구성(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 스택, 큐)과 변수의 소멸 시점, 지역변수의 스택 생성과 제거
  • 포인터의 기초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2-07 05:29:50
Processing time 0.0624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