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변수의 스코프 ¶
#include <stdio.h>
int x=15;
function(int y){
printf("%d %d\n", x, y);
}
int main()
{
int x=5, y=10;
printf("%d %d\n", x, y);
function(5);
return 0;
}
- 한번 실행시켜 보세요.
2.2. 재귀 함수 ¶
printstar(int n){
if(n<1){
return;
}else{
printf("*");
printstar(n-1);
}
}
- 별을 n개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2.3. 별찍기 실습 ¶
- 하드 코딩을 시켜봤습니다.
- 위의 printstar(int) 함수가 정의되었다고 가정
int main()
{
printstar(5);
printstar(4);
printstar(3);
printstar(2);
printstar(1);
return 0;
}
2.4. 반복문 실습 ¶
- while은 수업 시간에 다룬 내용이라 짧게 설명했습니다. 위의 printstar를 응용한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 printstar 및 N이 정의되었다고 가정했습니다.
2.4.1. 유빈 ¶
int main()
{
int i;
i=1
N=11
while(i=<N);
printstar(N-i);
i++;
}
return 0;
}
- 세미콜론을 빼먹은 부분이 보입니다.
- while의 중괄호도 제대로 쓰여있지 않습니다.
- i=
- printstar(0)을 수행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2.4.2. 민규 ¶
int main
{
int i;
i=10
while(i>N){
printstar(i)
i--
}
return 0;
}
- 역시 세미콜론을 빼먹은 부분이 있습니다.
- main은 함수이므로 정의할 때 괄호가 필요합니다. main -> main()
- 의도한 대로라면, N은 항상 0인 상수이어야 하므로, 변수를 좀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