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boCode . . . . 13 matches
* 로보코드(Robocode)란 스크린 상에서 전투하는 자바 객체인 자바 로봇을 만들어 개발자들이 자바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게임입니다.
각 로보코드 참가자는 자바 언어의 요소를 사용하여 자신의 로봇을 만들면서 자바가 갖고 있는 상속성, 다형성, 이벤트 처리 및 내부 클래스 다루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로보코드는 초보자들이 자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전문가들은 이를 이용하여 다른 개발자들과 실력을 견주면서 자신의 프로그래밍 스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로보코드는 오픈소스를 기본 전제로 합니다. 등록되어 있는 다른 개발자들의 소스를 다운받아 분석하고 자신의 소스를 업로드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로봇은 점차 진화하게 됩니다. 이것이 오픈소스의 묘미이지요.
로보코드를 이용해 로봇을 만들면서 여러분의 자바 스킬이 향상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 [http://www-128.ibm.com/developerworks/kr/library/j-robocode/ 로보코드 시작하기(한글)]
== 로보코드 설치 파일 ==
||[TheJavaMan/로보코드]|| 휘동 ||
||[JavaStudy2004/로보코드]|| 희경성만, 동영승환 ||
||[RoboCode/random], [RoboCode/sevenp], [로보코드/베이비] , [RoboCode/msm], [RoboCode/siegetank],[RoboCode/ing] || 2005년 데블스캠프 ||
[TheJavaMan/로보코드]와 [JavaStudy2004/로보코드]를 여기로 합치면 좋지 않을까요?--[Leonardong]
시간 제한 안에 로봇을 만들어내라고 했더니 아무것도 못 하는 사람도 있었다. 많은 명령어 가운데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할 지 감을 못잡아서 그럴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처음 로보코드를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간단한 규칙을 정해놓고 연습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이를테면 명령어 몇 가지만을 사용한다든지, 총 명령 개수를 제한한다든지 하는 규칙이 있겠다. --[Leonardong]
- ZP&COW세미나 . . . . 11 matches
* 로보코드 홈페이지: http://www-903.ibm.com/developerworks/kr/robocode/robocode.html
=== 로보코드 경기 참가 로봇 ===
=== 로보코드 경기 결과 ===
* TDD가 아직은 어렵다. 로보코드는 재미있었다.
* TDD를 좀더 알게 된 듯하다. 로보코드는 의외로 간단하다.
* TDD는 하나도 모르겠다. 로보코드 재미있었다.
* 잘 모르는 새로운 것을 안다는 것이 뿌듯했다. 준비할 때 참여자들 수준을 고려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로보코드 재미있다.
* TDD는 이런거다. 로보코드 성적은 아쉽지만 재미있었다.
* 늦게 와서 TDD는 보지 못하고 로보코드만 재미있게 했다. 다음부터 시간을 잘 지켜야 겠다.
* TDD는 좋은 방법인 듯 하다. 로보코드는 재미있다.
* 참가자를 좀더 고려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방학 내내 로보코드 폐인이 되지 않을까.
- TheJavaMan . . . . 5 matches
[TheJavaMan/로보코드] - 참여를 바랍니다.ㅜㅜ
- 로보코드..흥미를 불어일으키는 재미있는 장난감~! -[Leonardong]
- 부속 프로젝트로 로보코드 페이지를 만들기는 해야겠는데 무슨 형식으로 만들어야 하는감 - [문원명]
- [TheJavaMan/로보코드]로 하면 되지 않을까?ㅋㅋ 로보코드 폐인을 위해 -[Leonardong]
- 데블스캠프2005/월요일후기 . . . . 3 matches
사실 : OOP의 개념과 플래시, 프로그래밍 언어 만들기,로보코드를 했다
사실: 로보코드 부분에서
잡담카드게임이나 로보코드활동에서는 참여하는 인원이 많았다. 실습활동이기 때문일 것이다.
- TheJavaMan/로보코드 . . . . 2 matches
자바공부도 할 겸 로보코드 가지고 놀기
* 로보코드 홈페이지: http://www-903.ibm.com/developerworks/kr/robocode/robocode.html
- TheJavaMan/비행기게임 . . . . 2 matches
* 적기 움직임을 로보코드처럼 정해줄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로보코드를 분석해보려고 하는데 같이 할 사람? -[Leonardong]
- 데블스캠프2009/화요일후기 . . . . 2 matches
* [송지원] - 디폴트 코드와 거의 비슷하게 짰던 환이가 의외로 좋은 성적을 거두어서 뿌듯했지만 페어 프로그래밍에선 전혀 도움이 안됐던게 미안했다. 넷북에서 로보코드가 라이브러리 문제로 컴파일 에러가 나는건 기분이 나빴다.
* '''박준호''' - 로보랩과 먼가 비슷한 느낌이여서 쉽게 다가갔습니다. 하지만 로보랩이 C 로 작업하는것이라면 로보코드는 JAVA 로 작업하는것만 다르다는 그런 생각 이였습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너무 많은 변수들을 생각해야 되서 힘들긴 했지만 로보랩보다 더욱 더 재밌었습니다.
- 정모/2004.9.24 . . . . 2 matches
* 로보코드 - 로보코드 소개, 구현 및 play,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모임 한번 예정
- JavaStudy2004 . . . . 1 match
* [JavaStudy2004/로보코드]
- iruril . . . . 1 match
* [로보코드]
- 데블스캠프2005/월요일 . . . . 1 match
(V) 좋은 로보코드 jar 혹은 소스 파일
- 데블스캠프2009/수요일후기 . . . . 1 match
* [김준석] - 강의 내내 속으로 피말렸다. 강의 도중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걸 몇몇 빼먹은게 자꾸 떠올라서 천천히라도 설명하려했으나 설명해놓고 보니 좀 엉뚱한데서 설명해버린 안타까운 현실. 현역 군인이라 OOP 강의에 대해서 그렇게 많은 준비는 못한것이 사실이라 강의할때 도움도 좀 받았고. 휴가 나오기전에 1~2시간씩 코딩없이 강의 할만한 내용을 찾다가 C++을 사용할 1,2학년에게 좀 중요한 내용을 잡게 됬는데.. 휴가 나오고 PPT를 작성하는데 3일동안 하루 3~4번은 고치고 내용추가를 고민하는등 긴장을 좀 많이 탓다. OOP를 이해시키고 학교생활중 설계의 중요성을 몰라 삽질을 반복했기 때문에 그 후에 코딩하기 전에 설계하는법에 좀더 중점을 둔 시간을 가지고 싶었다. 그냥 무작정 달려들어서 Run&Fix도 하기 쉽지 않은 중복많은 2~3백자리 코딩을 하기 보다는 전날 Abstractionism에서 형진이가 말했듯이 20줄 이내의 코딩, 잘 설계된 잘나뉜 코딩은 어딘가를 목표로 갈때 지도나 정보를 모아 쉽고 편한 길로 가는것과 같다. 돈도 절약되고. 안힘들고. 문제가 생겨도 모아온 정보로 해결할수 있는.. 문제를 풀어 결과를 도출해놓는것도 좋지만.. 주위에는 답을 똑같이 도출해놓을수 있는사람이 90%는 될것이다. 그렇다면 짧고 보기쉬운것이 좋겠지. 정말 아쉬운 점이라면 API나 로보코드때 이걸 설명하고 했더라면 들은 학우들에게 더 많은것을 이해할수 있었던 시간일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좀더 빨리 준비했었어야됬어.
- 데블스캠프2009/월요일후기 . . . . 1 match
* [김준석] - 과거 06년도 데블스 캠프때 서버 할당받아서 svn잠깐 써보고 그다음에 전혀 써보지않았던 svn... 다시쓰기가 난감 할정도는 아니었지만 까는거에서 에러나면 어떻게 하는거야? 뭐여튼 nForge로 할당받아서 프로젝트 하나하나 올리면 되겠는데 문제는 이게 제로페이지 공용이라서 과연 학생들이 학업중 팀프로젝트때도 쓸려나.. 사용법을 가르쳐주는것 만으로 충분하긴 한데.. Zeropage내의 프로젝트는 얼마 되지 않는데;; 외부프로젝트라도.. 몇개나 올라올지는 모르겠지만 일단봐야지. 한 4~5개만 나와도 엄청난 프로젝트 갯수를 채우는 거겠군.. 프로젝트 진행중 중요한건 여러명의 개발자가 사용한 프로그램이기에 주석과 구조 그리고 변수건 함수건간에 서로 알아보기 쉽게 암묵적인 규약이라도 있어야된다는거 하긴 혼자할때는 그런거 필요없지만 SVN을 통해 올리는 프로젝트는 그렇게 해야 참고하고 구경하러온 학우들에게 도움이 될테니까. 특별히 코드레이스는 엄청나게 신경쓰면서 열심히 해봤는데 마지막에 올릴때 그것의 미인증이 인터넷을 막는 바람에 못올린것에 전산센터는 좀 반성해야되! 그리고 아쉬운점은 코드레이스는 좀더 늦게하고 제로페이지에 참가한 학우들에게 알고리즘이나 객체, 구조 함수에대해서 좀더 알려주고 조금 더 생각할 문제를 풀었으면 재밌었을텐데.. 난 printf()만 나오는 그리는 문제에는 잼병이란 말이다! 그렇다고 머리를 잘쓰는건 아니지만. 뭐.. 그렇듯 코드로 짜는건 빠른 손가락만 움직이면 되지만 푸는건 머리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코드레이스때 특정함수를 쓰게해서 DBMS나 라이브러리 북을 찾아보는 연습하는것도 좋았을텐데... 뒤에서 원그리고 있는데 앞에서 로보코드하고있을때는 안습. 끝나고 포트2 강추.
- 정모/2003.1.29 . . . . 1 match
* 로보코드에 흥미
- 정모/2004.1.20 . . . . 1 match
* 로보코드...못했다.ㅜㅜ -[Leonardong]
- 정모/2004.9.14 . . . . 1 match
|| JAVA || 로보코드 || 수민, 능규, 욱주 ||
- 정모/2006.5.1 . . . . 1 match
2. 로보코드 보여주기
- 조현태/놀이/지뢰파인더 . . . . 1 match
데블스 캠프에서 배운 로보코드를 활용할 생각..^^ 뭔가 객체같은 느낌이 들어서 클래스로 만들어 주기로 했다.^^
Found 18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50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