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E D R , A S I H C RSS

데블스캠프2017/DeepLearningDay (rev. 1.13)

데블스캠프2017/Deep Learning Day

이스트소프트 AI Plus Lab
  • 컴퓨터 비전
  • 자연어 처리
  • 악성코드 탐지
  • 금융시장 예측



1. 딥러닝의 원리

1.1. 딥러닝의 이해

  • 인공지능
    • 사람만큼이나 사람보다 똑똑한 기계
  • 머신러닝
    •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지만, 처리 알고리즘은 사람이 만들어야 한다
    • 사람보다 똑똑한 기계를 만들기 위해 사람(생물)이 학습하는 방법을 모델링
      • 데이터로부터 경험적, 귀납적으로 만들어낸 알고리즘에 의해 추론
      • feature와 label
      • 더 좋은 feature들을 추출할 수 있다면, 더욱 쉽게 분류할 수 있다
      • feature engineering
        • 딥러닝 이전 머신러닝에서 반드시 수행되어야하는 작업
        • 사람이 정답을 더 잘 찾기 위한 특징을 찾아내고 (->도메인 전문가)
        • 사람이 데이터에서 그런 특징을 식별하고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 (->알고리즘)
    • 단일 층으로 분류가 불가능하다면, 분류가 가능할 때까지 공간을 변형시키면 된다
      • 즉, 다중 층을 사용하면 된다
  • 딥러닝
    • 여러 층을 통째로 학습시키면(차원이 늘어나면)
    • 사람이 찾을 수 있는 특징보다 더 좋은 특징을 찾아 분류를 할 수 있다
    • 이 특징은 사람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
    • 더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이를 수용력이라 함
    • 딥러닝은 머신러닝 더 넓은 수용력을 가지는 학습 방법
    • 학습할 데이터가 충분히 많아야 더욱 정확하고 복잡한 특징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 딥러닝에 필요한 것들
    • 선형대수학
    • 확률과 통계
    • 다변수 미적분
    • 알고리즘, 최적화
    • 기타 등등
      • 정보이론(엔트로피 ..)
      • 기타 수학적 이론들

1.2. 딥러닝의 원리 1 - similarity

  • 딥러닝에서는 스스로 좋은 feature를 찾아가기 때문에 최대한 손실이 없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벡터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방법
    • 유클리드 거리(두 벡터의 차이)
    • 코사인 유사도(두 벡터의 내적)
    • 하지만 유사한 데이터라고 해서 유사한 벡터인 것은 아니다
    • 이를 해결하는 것이 머신러닝의 핵심적인 목교
  • 입력층 벡터를 유사하게 -> 입력 데이터의 모델링
  • 마지막 은닉 층 벡터를 유사하게 -> 네트워크 모델링
  • Supervised Learning
    • 분류의 정답인 함수 값을 통해 어떤 데이터들이 분류가 같아야 하고, 분류가 달라야하는지
    • 기준을 가르치는 것
  • 뉴럴 네트워크를 학습한다는 것
    • 학습한다는 것은 정답과의 오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수정해 나가는 것
    • 학습이 잘 된 후에는 어떤 입력에 대해 강하게 반응하려면 가중치가 그 벡터와 유사해 진다
  • 모델링
    • 더 적은 데이터를 가지고 더 적합한 학습을 시킬 수 있도록하는 것이 모델링
    • ex) CNN
  • 응용
    • 변종 악성코드의 탐지와 분류
    • 악성코드의 유사도
      • 메타데이터가 유사하다
      • 파일 구조와 내용이 유사
      • 코드 패턴, 행위 패턴이 유사
      • 사용하는 API가 유사
      • 개발자의 습관이 유사
      • 노리는 대상이나 취약점이 유사
      • 통신하는 대상이나 패킷이 유사
      • 압축, 난독화, 암호화, 패키지 방식이 유사
      • 악성 여부?
        • 정말 모든 악성 코드를 유사한가?
        • 정말 모든 정상 코드는 유사한가?
        • 정말 정상코드와 악성코드는 유사하지 않은가?
      • 탐지명
        • 보안 분석가들이 오랜 기간동안 악성코드를 분류
        • 유사한 악성코드를 같은 탐지명으로 분류할까?
        • 같은 탐지명으로 분류된 악성코드들은 유사할까?
        • 하나의 악성코드는 하나의 탐지명으로만 분류할 수 있을까?
      • 탐지명을 label로 학습을 시킨다 하더라도
    • 신종 악성코드의 탐지와 분류
      • 학습한 데이터의 유사한 악성코드가 없다
      • 학습한 훈련 데이터에 같은 분류로 분류된 악성코드가 없다

1.3. 딥러닝의 원리 2 - Probability

  • 변별 모델
    • classification, regression
    • 입력 데이터 x가 주어질 때, 간단한 응답 y를 결정
    • 조건부 확률을 사용
      • 조건부 확률의 함정
      • 조건부 활률 뒤집기
        • 수 많은 경우의 수가 존재하므로 직접 계산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 결합 확률
          • x,y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
          • 베이즈 정리에 의해 계산
        • 결합 확률을 계산
  • 생성모델
    • y라는 속성을 같는 그럴듯한 x를 생성
    • 딥러닝을 활용하면 y뿐만아니라 대량의 x로부터 숨겨진 특징 z를 찾아낼 수 있다
    • 가르친 적 없는 x를 생성
    • 딥러닝 기반 생성모델 VAEs, GANs, Auto-Regressive model, DBNs, RBMs


2. (딥)러닝

http://cs231n.stanford.edu/
이미지 분류기
  • 이미지 데이터를 각 픽셀에 대해 rgb로 표현
  • 다른 시각에서, 다른 성질을 가진 같은 물체를 어떻게 같은 label로 분류할 것인가
  • hard-code로는 분류기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함

2.1. K Nearest Neighbor Classifier

  • 이미지를 학습하여 저장
  • 새로 들어온 이미지를 차이가 가장 작은 값을 통해 분류
  • 비교하는 방법
    • 픽셀값으 절대값 거리 계산
    • 이를 distance로 사용
  • 분류 시간이 linear하게 증가
  • CNN 모델에서는 학습시간은 증가하지만, 분류가 빠름
  • hyper parameter
    • L1 distance vs L2 distance
    • K?
    • 실험적으로 hyper parameter를 결정
      • 학습 데이터 중 일부를 validation data로 사용
      • cross-validation

2.2. Linear Classification

  • 선을 그어 분류하는 방법
  • non-parametric approach
    • KNN 등
  • parametric approach
    • 선의 기울기를 사용하여
    • f(x, W) -> 분류
    • score function f = W*x + b = 점수의 벡터
  • loss function
    • 학습 데이터에 대해 unhappiness를 측정하는 함수
    • loss function을 작게 만드는 과정 -> optimization
    • ex) SVM loss function
  • softmax classifier
    • score = 특정 분류에 대한 normalized 되지 않은 조건부 확률
    • loss function = -log(normalized score)
  • optimization
    • loss function을 최소화하는 W을 구하는 과정
    • random search
      • W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찾은 W 중 가장 loss 값을 가지는 W를 선택
      • 낮은 정확도
    • gradient descent
      • 가능한 작은 h를 사용하여 gradient를 측정
      • loss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접근

3. 고래 등에 태운 텐서플로


`sh
sudo docker rm -f tensorflow
sudo docker run -d --net=host --name tensorflow rktp/tensorflow:r1.2-patch jupyter notebook --allow-root --notebook-dir=/data
`

4. 딥러닝과 자연어 처리

5. 인공지능의 미래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02-07 05:29:17
Processing time 0.0400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