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CNA/2013스터디 . . . . 7 matches
- 엄밀한 의미에서는 이더넷은 10Mbps의 대역폭만 지원한다. 그리고 IEEE 802.11은 다양한 대역폭을 지원한다.
- 개별 호스트의 LAN 내부에서 지원하는 대역폭을 100Mbps을 지원한다.
- server->switch->host 구조일 때 switch->host의 대역폭이 100Mbps라는 의미.
- 따라서 server->switch에서 지원하는 대역폭이 커지지 않으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server->switch 대역폭을 1000Mbps(기가) 지원.
기존 전화망을 이용한 모뎀보다 훨씬 빠른 연결, 큰 대역폭 지원.
- DataCommunicationSummaryProject/Chapter11 . . . . 5 matches
* 광대역(대역폭이 넓은) 무선 시스템이 몇년 내에 유용할 것으로 보이는데 전화든 TV 든 유선통신보다 싸고 쉽게 쓸 수 있을 것이다.
* 단말기만 있으면 거의 영구적으로 base station 과 연결되어 사용가능하고 기타 등등 열라 좋은 점이 많긴하지만 대역폭을 공유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 8km 까지는 서비스 범위가 도달한다. 표준으로 11Mbps를 지원하지만 multipoint 특성상 대역폭을 사용자들이 공유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2~6Mbps 가된다.
* MMDS와 LMDS는 고정된 셀룰러 시스템을 형성하는데에 익숙해질 수 있는 다중점 시스템이다. MMDS는 길지만, 작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고, LMDS는 짧지만, 높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
- DataCommunicationSummaryProject/Chapter5 . . . . 3 matches
* 5Mhz의 채널 대역폭 사용
* CDMA2000 3xMC - 세개의 채널 짬뽕 -> 넓은 대역폭
* 1xMC에 비해 더 많은 새로운 대역폭이 필요
- DataCommunicationSummaryProject/Chapter9 . . . . 2 matches
* CCK(Complementary Code Keying)라고 불리는DSSS의 2.4GHZ를 사용한다. 물론 기존의 기계와 호환성을 기진다. MAC하는 방법은 CSMA/CA(여기서 A는 avoidance이다 유선과는 틀리다) half-duples이다.shared이다. 대역폭이 11Mbps이지만 오보헤드가 심하다. 여기에다가 쉐어드이니 장에가 심하면 1-2Mbps밖에 안된다.하지만 데이터 전송률은 쓸만하다. 이러한 낭비를 줄이려고 차세대로 갈수록 물리적인 데이터 율을 줄인다.
* 가장 유명한 무선 랜 기술은 IEEE 802.11b(2.4GHz의 ISM 대역폭에서 11Mbps의 속도를 낼수 있는) 이다.
- Gnutella-MoreFree . . . . 2 matches
희생(?)이 필요하다. 여기서 희생이란 불필요하지만 쓸 수 밖이 없는 대역폭을 말한다.
다면 불필요한 대역폭은 줄어들 것이고 분산된 서버를 하나의 순수 P2P로 묶고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 DataCommunicationSummaryProject/Chapter4 . . . . 1 match
* FDMA 는 대역폭 낭비
- DataCommunicationSummaryProject/Chapter8 . . . . 1 match
* 거리에 따라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료가 지불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역폭을 낭비하고, 지연시간이 늘어나고, IP 주소를 낭비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Found 7 matching pages out of 7555 total pages (5000 pages are searched)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