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D R , A S I H C RSS

BackLinks search for "WebKit"

BackLinks of WebKit


Search BackLinks only
Display context of search results
Case-sensitive searching
  • DevOn
          * [정진경] - [파이어버그]의 기능들이 [파이어폭스]에 점점 합쳐지면서, 해당 기술들을 쓰는 것을 보여줬는데, [WebKit] 기반의 브라우저, 특히 [구글 크롬]과 크게 차별화된 점은 보지 못했다. 어느 정도 디테일한 부분에서 다른 점들이 있는 것 같은데, 눈으로 봐서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내가 크롬 도구를 전문적으로 써본 게 아니라서 파이어폭스의 디버거가 어떤 점이 더 우수한지는 잘 모르겠다. 기능 면에서는 부족하지 않은 것 같다.
  • Rust
         Rust는 [모질라]에서 실험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Servo] 프로젝트 개발에 쓰이고 있다. Servo 프로젝트 또한 모질라에서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렌더링 엔진] 개발 프로젝트이다. 기존의 오픈 소스 렌더링 엔진인 [WebKit]이나 [Gecko]는 [C++]로 작성되어 있는데, 렌더링 엔진이 해야할 온갖 복잡한 연산들을 병렬로 처리하기 위해 [멀티 프로세스], [멀티 스레드]로 구현하다 보니, 소프트웨어 복잡도가 급격히 높아졌다. Rust는 C++에 비해 성능이 뒤쳐지지 않으면서도, [병렬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도록 언어가 개발되고 있다.
  • Servo
         Servo는 [렌더링 엔진]이고, [모질라]의 실험적인 프로젝트이다. 모질라는 Servo가 파이어폭스의 [Gecko]를 대체하는 프로젝트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기존 렌더링 엔진 [WebKit]이나, [Gecko]가 [C], [C++]로 작성되어 있지만, Servo는 [Rust]로 작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데블스캠프2013/다섯째날/후기
         = 정진경 / WebKitGTK+ =
          * 오픈소스 테스트인 만큼 더 엄격하게 검사를 하는 것인지 수정한 코드가 제대로 돌아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buildbot 같은 물건도 같이 배포를 한다는 부분이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webkit은 webcore와 이를 감싼 api들을 제공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어떤 느낌인지 조금 더 감이 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최근까지 QT프로그래밍 과제를 했어서 g_signal_connect 부분이 QT의 connect()와 비슷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 [서영주]
          * webkit이 뭐지?라는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던 세션이였습니다. 생각해보니 NDC갔을때 웹에서 게임을 어느정도 높은 퀄리티로 이제 만들수 있다는 세션을 들은적이 있는데... 거기서도 분명 webkit을 언급했던게 이제 기억이나네요. 거기에서는 webkit이 무었인지 설명을 안하고 해서 그닥 기억에는 안남았었는데.. 이걸 듣고 기억을 더듬어 가는 계기가 될 수 있었습니다. - [김윤환]
          * WebKit에 대한 세션이었지만, 개인적으로 더 감탄했던 것은 역시 강사(?)의 진행 실력이었습니다. 깔끔하게, 쉽게, 그러면서도 지루하지 않게. 저도 조금 더 잘 발표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WebKit의 전체적인 개발 프로세스(?)도 상당히 체계적으로 잘 되어 있어서 인상이 깊었습니다. - [서민관]
  • 데블스캠프2017/InternalOfJavaScriptCore'sGarbageCollector
          * JSC(WebKit) 의 GC 구현
Found 5 matching pages out of 7547 total pages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Processing time 0.0199 sec